KR20090058289A -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289A
KR20090058289A KR1020070125002A KR20070125002A KR20090058289A KR 20090058289 A KR20090058289 A KR 20090058289A KR 1020070125002 A KR1020070125002 A KR 1020070125002A KR 20070125002 A KR20070125002 A KR 20070125002A KR 20090058289 A KR20090058289 A KR 20090058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earning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영
박중용
Original Assignee
정문영
박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영, 박중용 filed Critical 정문영
Priority to KR102007012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289A/ko
Publication of KR20090058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여 목표 학습 결과에 미치지 못할 경우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을 제한하여 학습자의 학습 향상에 동기를 부여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의 목표 학업 성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자의 학업 성과가 목표 학업 성과에 미치지 못할 경우, 부족분에 비례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강의 참여도와 테스트에 대한 결과로 현재 학업 성과를 평가하는 수단; 현재 학업 성과와 목표 학업 성과를 비교하고, 현재 학업 성과의 부족분을 구하는 수단; 부족분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결정하는 수단; 및 이용 제한 범위를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제한을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세우고 목표에 미치지 못할 경우 스스로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을 감수할 것을 약속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습 동기를 부여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Online study system and its method for enhancing study results using limitation of mobile phone's usag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성과가 목표치에 미달하는 경우 강제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을 제한하여 학습자의 성취 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키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여 학습에 참가할 수 있고, 언제든지 원할 때마다 반복 학습할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있을 때에만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오프라인 학습은 약속된 장소와 시간에 학습자가 참가해야만 수업을 들을 수 있지만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가 수업 참가를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온라인 학습을 위한 동기 부여 방법은 학습 결과에 비례하는 인센티브 제공이 주류를 이루었다. 인센티브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의 동기 부여는 학습 의지가 있고 지속적으로 성적이 향상되는 학생들에게는 유효하였지만, 상대적으로 학습 결과가 우수하지 못한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동기 부여가 되지 않았다.
학부모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 설문 조사를 보더라도 온라인 학습의 최대 단점은 학습 참가에 강제력이 부여되지 않아서 오로지 학습자의 자기 의지로만 학습을 해야 하는 것이었다. 즉, 온라인 학습의 특성상 성적이 낮고 처음 학습하는 학습자의 경우는 학습에 점차 흥미를 잃어가고 종국에는 아예 학습 참가를 외면하기까지 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온라인 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라도 한번 두번 학습을 빼먹는 경우, 내성이 생기고 학습 소홀에 대한 불이익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잘못된 학습 습관을 들여서 학습자에게 악영향을 주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학습자로부터 온라인 학습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학습자의 현재 학업 성과와 목표 학습 성과를 등록받고, 학습 참여가 불량하거나 목표 학습 성과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강제력을 동원하여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 이용을 제한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온라인 강의에 참가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수행 성과를 평가하여 학습 목표치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서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에 제한을 가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자의 목표 학업 성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자의 학업 성과가 상기 목표 학업 성과에 미치지 못할 경우, 부족분에 비례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강의 참여도와 테스트에 대한 결과로 현재 학업 성과를 평가하는 수단; 현재 학업 성과와 목표 학업 성과를 비교하고, 현재 학업 성과의 부족분을 구하는 수단; 상기 부족분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이용 제한 범위를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제한을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용 제한 범위는, 이동통신단말의 통화 발신/수신, 메시지 발신/수신 및 무선인터넷 접속에 대한 각각의 개별 기능에 대하여 이용 가능 시간대 및 이용 회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시간이 고정된 경우, 온라인 학습 시간대는 자동으로 상기 이용 제한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이용 제한 범위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이 긴급 통화(119, 112, 114)와 보호자(부모님)와의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이용 제한 범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용 제한 범위에 해당되어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이 사용 불능인 경우, 학습자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수신 및 문자 수신은 보호자(부모님) 이동통신단말에서 대체 수신될 수 있도록 자동 착신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서비스에 따라서, 학습자 전화번호, 이용 제한 기능, 이용 제한 시간대 및 횟수, 보호자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방법에 따르면,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온라인 강의에 참가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수행 성과를 평가하여 학습 목표치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서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에 제한을 가하는 온라인 학습 서버의 온라인 학습 방법에 있어서, (S31)학습자의 목표 학업 성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S32)학습자의 학업 성과가 상기 목표 학업 성과에 미치지 못할 경우, 부족분에 비례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S33)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강의 참여도와 테스트에 대한 결과로 현재 학업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 (S34)현재 학업 성과와 목표 학업 성과를 비교하고, 현재 학업 성과의 부족분을 구하는 단계; (S35)상기 부족분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S36)상기 이용 제한 범위를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제한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그 부족분에 비례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을 감수할 것을 약속함으로써 학습 동기가 부여를 통하여 학습 성과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시스템 구성>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을 위하여 학습 서버(3)로 접속하는 학습자 단말(2),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결과에 따라서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을 제한하는 학습 서버(3) 및 학습 서버(3)로부터 이용 제한 요청을 수신하여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을 제한하는 이동통신사 서버(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2)은 학습 서버(3)에 접속하여 온라인 강의를 선택하고 수강 신청을 한다. 본 발명에서의 온라인 강의는 학생 교과 과목 및 일반 사회인 수강 과목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정 대상을 상대로 하는 학습 콘텐츠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가 수강 신청을 할 때 목표 학습 성과를 미리 등록하고, 목표 학습 성과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에 이용 제한을 하도록 요청한다. 여기서, 수강 신청 및 본 발명의 학습자 이동통신단말 이용 제한 신청은 학습자가 하는 것이 원칙이나 학부모가 할 수도 있다. 학부모에게 허용할 경우 학습자 정보와 대응하는 학부모 정보의 관리가 요구된다.
상기 학습 서버(3)는 온라인 학습 사이트를 구축하여 홈페이지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리고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실력을 수시로 평가한다. 학습자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학습자의 학습 평가 결과는 목표 학습 성과와 비교되고, 목표량에 미달되는 부족분에 비례하여 사전 약속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서는 학습 서버(3)가 수강 신청을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현재 학습 실력을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에 따라서 적합한 디폴트 목표 학습 성과와 디폴 트 이동통신단말의 제한 범위를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학습자가 자신의 실력은 고려하지 않고 너무 높게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 그 실현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학습 동기 부여가 제대로 안되기 때문이다.
이동통신단말의 제한 대상은 통화 발신, 통화 수신, 메시지 발신, 메시지 수신 및 무선 인터넷 이용이다. 학습자는 전술한 제한 대상 중에서 적절한 정도로 이용 제한을 설정한다. 이용 제한의 대상이 설정되고 나면 제한 방법으로서 기간별 제한, 이용 시간 제한, 이용 횟수 제한을 할 것인지 선택한다. 기간별 제한은 날짜 및 시간대를 정의하여 이용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용 시간 제한은, 1달, 1주일 또는 1일 동안 이용 가능한 총 시간을 정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용 횟수 제한은 1달, 1주일 또는 1일 동안 이용 가능한 총 회수를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습자가 고등학생이라 가정할 경우, 학습 서버(3)는 학생이 학교에 머무는 시간,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는 시간은 이동통신단말의 모든 통신 이용을 불허하는 이용 제한을 학습자에게 디폴트로 추천한다. 또한, 아래 표 1과 같은 이용 제한을 디폴트로 추천한다. 학습자는 디폴트로 추천받은 이용 제한의 내용을 거부할 수도 있으며, 선택을 한 경우 선택한 항목에 대해서도 이용 제한 데이터를 임의로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성취도 판단항목 내용 제한의 경우 휴대폰 제한
통화 문자 콘텐츠
출석율 및 학습 진도 결석, 지각, 진도가 느릴때 기준 점수로부터 차감 차감 점수에 비례하여 설정 기준 점수 이상이 될 때까지 모든 이용 제한
수시 TEST 결과 목표 점수와 TEST 점수 비교 목표 학업 성과에 10% 미달 익일 18~21시 사용 제한 하루 40개 사용 가능 1주일 1회만 사용 가능
20% 미달 익일부터 2일간 18~21시 사용 제한 하루 30개 사용 가능 일주일 사용 정지
30% 미달 익일부터 3일간 18~21시 사용 제한 하루 20개 사용 가능 일주일 사용 정지
40% 미달 익일부터 4일간 18~21시 사용 제한 그외 시간은 수신만 가능 하루 10개 수신만 가능 일주일 사용 정지
50% 미달(보호자에게 보고) 익일부터 7일간 사용 제한 일주일 문자 정지 일주일 사용 정지
마무리 TEST 결과 목표 점수보다 낮을 때 일주일간 모두 정지
전술한 표 1에서 학습자는 학습 서버(3)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신청할 때 통화, 문자 및 콘텐츠 각 항목에 대하여 자신에게 맞는 적합한 이용 제한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서비스가 시행되는 경우, 학습자는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때문에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가 있다. 때문에 예외적으로 다음의 경우 이용 제한을 적용하지 않는다. 먼저, 학습자의 긴급 통화(예 : 112, 119 등)는 이용 제한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한, 학습자와 보호자(예 : 부모님, 선생님) 사이의 통화 또는 메시지는 이용 제한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에 강제적으로 이용의 제한이 가해진 경우,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을 수신으로 하는 모든 발신 신호는 보호자 이동통신단말로 착신 전환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친구가 일시적으로 강제 이용 제한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로 보내는 모든 통화 및 메시지는 학습자의 보호자 이동통신단말에서 수신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3)의 개략적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3)는 신청자(학습자 또는 학부모)로부터 목표 학업 성과를 등록받는 목표 학업 성과 등록 수단(31), 신청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설정받는 이용 제한 설정 수단(32),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실력을 평가하는 학습 관리 수단(33), 학습자의 학습 결과가 목표 학업 성과를 비교하는 학업 성과 비교 수단(34), 학업 성과가 목표량에 부족한 경우 부족분에 대응하는 이용 제한 범위를 결정하는 이용 제한 결정 수단(35) 및 결정된 이용 제한을 학습자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이용 제한을 요청하는 이용 제한 요청 수단(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비례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는 학습 서버(3)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방법을 통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사 서버(4)의 개략적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사 서버(4)는 학습 서버(3)로부터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요청을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에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및 이용 제한 정보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자동 착신 전환 수단(41)은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에서 수신되어야 할 통화 및 메시지 발신을 학습자의 보호자 이동통신단말로 자동 착신 전환한다. 이용 제한이 가해진 학습자가 받지 못하는 통화 및 메시지는 부모님께 대신 전달된다.
예외적 통화 허용 수단(42)은 이용 제한이 가해진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에서 긴급 통화와 보호자와의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이용 제한을 적용받고 있는 도중에 이동통신단말을 사용하면 이동통신사 서버는 이용 제한을 음성(통화시) 또는 문자(SMS 발신시) 안내한다. 반면에 긴급 통화를 하거나 부모님과 통화를 하는 경우는 아무런 제약없이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동통신사 서버(4)는 학습자에게 통화 및 메시지 발신을 시도하는 상대방들에게 사용자의 요청으로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이 일시적으로 제한중이라는 메시지를 안내할 수도 있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3)가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의 전체 순서를 도시한다.
학습자는 학습 서버(3)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홈페이지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서 학습자는 회원 가입이 요구될 수도 있으며, 또한, 유료 회원제로 운영될 수도 있다. 나아가, 학습자가 수강 신청하는 온라인 강의도 유료 서비스일 수 있다.
신청자(학습자 또는 학부모)는 수강 신청을 하고, 수강 신청이 완료된 온라인 강의를 선택하여 옵션으로 본 발명의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학습 서버(3)의 목표 학습 성과 등록 수단(31)은 신청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목표 학업 성과를 전송받고 목표 학습 성과 DB에 저장한다(S31). 여기서, 학습 서버(3)는 학습자의 현재 실력에 비하여 너무 높은 학업 성과가 설정될 경우, 목표 학업 성과를 낮추도록 안내하여 학습자의 동기 부여를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강의에서 복수의 테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개별 테스트마다 목표를 정할 수 있다.
목표 학업 성과가 등록된 후, 이용 제한 설정 수단(32)은 신청자로부터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이용 제한 범위를 설정받고 목표 학습 성과 DB에 저장한다(S32). 학습 서버(3)는 신청자가 평균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디폴트 이용 제한 범위를 추천한다. 신청자는 디폴트 이용 제한 범위를 그대로 선택하거나 또는 임의로 변경하여 자신만의 이용 제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학습 관리 수단(33)은 학습을 요청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학업 성과를 실시간 평가한다(S33). 온라인 콘텐츠 및 강의 형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정해진 시간에 학습자가 참가하는 강의도 가능하고, 학습자가 요청하는 시간에 강의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학습자의 결석, 지각과 같은 온라인 출석이 평가되고 학습자의 학습 진도 상황 또한 평가된다.
학업 성과 비교 수단(34)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학습자의 현재 학업 수행 결과와 목표를 비교하고, 만약, 목표량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약속대로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을 위하여 그 부족분을 구한다(S34).
목표량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이용 제한 결정 수단(35)은 구해진 부족분에 대응하는 이용 제한 정보를 목표 학습 성과 DB로부터 조회한다(S35).
이용 제한 요청 수단(36)은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정보를 이동통신사 서버(4)로 전송하여 제한을 요청한다(S36). 이 과정에서 학습자 및 학부모에게 이용 제한이 앞으로 실시될 것을 SMS, 이메일 또는 우편물을 통하여 알릴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사 서버(4)는 이용 제한 정보에 따라서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일부 기능을 제한한다. 제한이 적용되는 와중에 학습자 이동통신단말로 수신되는 통화 또는 메시지는 학부모 이동통신단말로 자동 착신 전환된다.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수신하지 못하지만 나중에 부모님을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긴급 통화 또는 부모님과의 통화 및 메시지 전송은 아무런 제약없이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사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가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의 전체 순서도.

Claims (12)

  1.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온라인 강의에 참가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수행 성과를 평가하여 학습 목표치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서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에 제한을 가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자의 목표 학업 성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자의 학업 성과가 상기 목표 학업 성과에 미치지 못할 경우, 부족분에 비례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강의 참여도와 테스트에 대한 결과로 현재 학업 성과를 평가하는 수단;
    현재 학업 성과와 목표 학업 성과를 비교하고, 현재 학업 성과의 부족분을 구하는 수단;
    상기 부족분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이용 제한 범위를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제한을 요청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제한 범위는,
    이동통신단말의 통화 발신/수신, 메시지 발신/수신 및 무선인터넷 접속에 대한 각각의 개별 기능에 대하여 이용 가능 시간대 및 이용 회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시간이 고정된 경우, 온라인 학습 시간대는 자동으로 상기 이용 제한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제한 범위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이 긴급 통화(119, 112, 114)와 보호자(부모님)와의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이용 제한 범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제한 범위에 해당되어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이 사용 불능인 경우, 학습자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수신 및 문자 수신은 보호자(부모님) 이동통신단말에서 대체 수신될 수 있도록 자동 착신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서비스에 따라서, 학습자 전화번호, 이용 제한 기능, 이용 제한 시간대 및 횟수, 보호자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7.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온라인 강의에 참가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수행 성과를 평가하여 학습 목표치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서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의 이용에 제한을 가하는 온라인 학습 서버의 온라인 학습 방법에 있어서,
    (S31)학습자의 목표 학업 성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S32)학습자의 학업 성과가 상기 목표 학업 성과에 미치지 못할 경우, 부족분에 비례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S33)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강의 참여도와 테스트에 대한 결과로 현재 학업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
    (S34)현재 학업 성과와 목표 학업 성과를 비교하고, 현재 학업 성과의 부족분을 구하는 단계;
    (S35)상기 부족분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S36)상기 이용 제한 범위를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제한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 온라인 학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제한 범위는,
    이동통신단말의 통화 발신/수신, 메시지 발신/수신 및 무선인터넷 접속에 대한 각각의 개별 기능에 대하여 이용 가능 시간대 및 이용 회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시간이 고정된 경우, 온라인 학습 시간대는 자동으로 상기 이용 제한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제한 범위는,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이 긴급 통화(119, 112, 114)와 보호자(부모님)와의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이용 제한 범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제한 범위에 해당되어 학습자 이동통신단말이 사용 불능인 경우, 학습자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수신 및 문자 수신은 보호자(부모님) 이동통신단말에서 대체 수신될 수 있도록 자동 착신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이동통신단말의 이용 제한 서비스에 따라서, 학습자 전화번호, 이용 제한 기능, 이용 제한 시간대 및 횟수, 보호자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KR1020070125002A 2007-12-04 2007-12-04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KR20090058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02A KR20090058289A (ko) 2007-12-04 2007-12-04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02A KR20090058289A (ko) 2007-12-04 2007-12-04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289A true KR20090058289A (ko) 2009-06-09

Family

ID=4098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002A KR20090058289A (ko) 2007-12-04 2007-12-04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2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333B1 (ko) * 2011-06-10 2013-07-30 (주) 프라이스톤스 게임 동특성에 기초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182921A (zh) * 2014-08-28 2014-12-03 北京学合行教育科技有限公司 实现在线学习互动的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333B1 (ko) * 2011-06-10 2013-07-30 (주) 프라이스톤스 게임 동특성에 기초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182921A (zh) * 2014-08-28 2014-12-03 北京学合行教育科技有限公司 实现在线学习互动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rison et al. Success and impact in widening participation policy: What works and how do we know?
Plotner et al.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implementation
WO2013026095A1 (en) Social rating system
US20020055386A1 (en) Net game system, processing method for playing net g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playing net game
Belzer et al. We are what we do: Adult basic education should be about more than employability
US200700278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guided assembly of people
NZ530549A (en) Education service system using communicate line and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20070134642A1 (en) System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Kirmanoğlu et al. Using basic personal values to test theories of union membership
KR20120000311A (ko) 스터디 플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90058289A (ko) 이동통신단말의 사용 제한을 이용하여 학습 성과를 올리는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온라인 학습 방법
Lazaros Using email-based text messaging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parents and students
KR20190011540A (ko) 모바일 외국어 학습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서비스 운영 방법
Luo et al. Text 4 answers: a collaborative service model
KR101676826B1 (ko) 커뮤니티 페이지를 사용한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uyinda et al. Unleashing mobile phones for research supervision support at Makerere University, Uganda: the lessons learned
WO2007119088A1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or portable devices for searching and finding people with common or mutual interests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Mwizerwa et al. Improving response rates to an alumni survey in East Africa
Erhard et al. Role behavior profiles of Israeli school counselors
Hallam Evaluation of behavioural management in schools: A review of the behaviour improvement programme and the role of behaviour and education support teams
Dunn et al. Mentoring in the Academy: A Survey of Existing Programs.
Mokher et al. The Complexities of Recruiting Participants for a Statewide Education Survey.
KR20170043332A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aski et al. Conducting research by mobile phone: Experiences from a nationwide educational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