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450A -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450A
KR20090056450A KR1020070123591A KR20070123591A KR20090056450A KR 20090056450 A KR20090056450 A KR 20090056450A KR 1020070123591 A KR1020070123591 A KR 1020070123591A KR 20070123591 A KR20070123591 A KR 20070123591A KR 20090056450 A KR20090056450 A KR 2009005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tpeg
p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3391B1 (ko
Inventor
김병근
Original Assignee
(주)디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코인 filed Critical (주)디코인
Priority to KR102007012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3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3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는: (a)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서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입력된 노선번호에 상응하는 노선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디스플레이된 노선정보 중 특정 정류장이 선택되고 선택된 특정 정류장 및 (a)단계에서 입력된 노선번호가 관심노선으로 설정되고 관심노선을 저장하는 단계; (d)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c)단계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에 상응하는 노선에 따라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e) 수신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c)단계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의 노선번호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d)단계에서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산출된 관심노선의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을 제공한다.
티펙(TPEG), 휴대단말, 디엠비(DMB),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 구간별 소요시간, 도착소요시간, 노선번호, 정류장, 대중교통수단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Method for informing arrival of public vehicle using TPEG PTI service with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providing that method}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에서 수신된 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에서 추출, 가공된 정보를 토대로 특정 노선에 대한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예정시간을 제공하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티펙(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은 디지털 방송매체를 통해 교통 및 여행자정보(TTI, Traffic & Traveler Information)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교통정보와 여행자 정보를 DMB 방송신호에 실어 DMB 수신칩을 장착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보여주는 기술의 표준규격을 말한다. 티펙(TPEG)서비스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등 디지털 방송 매체를 통해 교통 및 여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티펙은 데이터의 부호화, 복호화, 필터링을 포함한 각종 규격을 담고 있다. 향후 텔레매트릭스 및 첨단의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됨으로써 기존의 서비스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나 FM 방송의 FM DARC(FM DAta Radio Channel)보다 한 수 위의 첨단 서비스가 가능하다.
TPEG 서비스는 크게 다양한 수집 인프라를 통하여 교통정보를 모으고 가공하는 수집 단계, 수집된 교통정보를 TPEG 포맷으로 가공하고 DMB망을 통하여 송출하는 전송 단계, 단말에서 TPEG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출 단계인 세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TPEG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컨텐츠 제작공급업체는 고객에게 전달할 TTI 를 수집, 가공하여 방송사업자에게 제공하고, 이때, TPEG 생성기(Generator)는 전달할 정보를 TPEG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방송사업자는 디지털 방송신호와 TTI를 고객들에게 방송하고, 방송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는 TPEG 디코더(decoder) 를 통해 방송신호에서 TTI를 분리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 태로 변환해주고 이를 단말기를 통해 표시한다.
현재 국내(대한민국)에서 TPEG 서비스 사업자로는 위성DMB 사업자인 TU 외에 KBS/MBC/YTN/SBS 4개의 지상파DMB 사업자가 있다. 각각의 방송 사업자들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전송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TPEG 정보를 송출하고 있다. KBS는 TDC (Transparent Data Channel)라는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바이트 스트림 형식으로 정보를 전송하고, MBC/YTN/SBS는 MOT (Multimedia Object Transfer) Carousel이라는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파일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하며, TU미디어는 Data Carousel이라는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BC/YTN/SBS와 동일하게 파일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종래에 휴대전화를 이용한 대중교통정보 안내는 등록특허 제10-0403173호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의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공개특허 제10-2005-0117089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등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의 공개된 특허문헌에서의 기술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교통안내서버에 교통안내서비스를 요청하면 교통안내서버에서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예정시간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에서 요청된 신호의 전송과 상기 신호에 따른 서버에서의 검색/추출과 다시 이동통신단말로의 결과 전송에 따른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종래의 버스 정류장에서 도착시간 알림서비스 시스템은 각 정류장이 교통정보서버로부터 자신의 정류장에 정차하는 모든 버스노선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안내 게시판에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였다.
그에 따라 종래의 버스 정류장의 게시판에서 제공되는 대중교통, 특히 버스의 도착알림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교통정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류장에 관계되는 모든 버스의 정보를 수집해야 하므로, 수집 또는 처리하여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즉, 버스정류장 게시판에서는 개인에 필요한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들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엠비(DMB) 방송의 티펙(TPEG)서비스로 제공되는 정보들 중 대중교통의 도착시간의 안내에 필요한 부분을 수집 추출하여 가공함으로써, 실시간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하고, 또한 필요한 부분에 대한 수집 및 가공을 함으로써 교통정보의 전송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버스 정류장에서와 같은 특정 정류장에 관계되는 모든 버스정보가 아닌 개인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만을 수집, 가공하도록 하여 정보의 양 및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고, 종래 휴대단말을 통해 교통안내서버에 매회 접속하여 교통안내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내려받는데 따른 시간소요 및 시간소요로 인한 정보의 정확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는: (a)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서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입력된 노선번호에 상응하는 노선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디스플레이된 노선정보 중 특정 정류장이 선택되고 선택된 특정 정류 장 및 (a)단계에서 입력된 노선번호가 관심노선으로 설정되고 관심노선을 저장하는 단계; (d)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c)단계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에 상응하는 노선에 따라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e) 수신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c)단계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의 노선번호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d)단계에서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산출된 관심노선의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인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의 하나의 실시예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노선번호를 입력하고 특정 정류장을 설정입력하고 관심노선을 설정입력하는 설정입력부; 관심노선 설정입력에 따라 노선번호와 특정 정류장 정보를 저장하고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추출된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수신된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에 포함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를 디코딩하여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노선번호와 특정 정류장 정보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며 그리고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 및 추출부; 디코딩 및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도착시간 산출부; 도착시간산출부에서 산출된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수신되어 디코딩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추출된 갱신된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 또는 갱신된 특정 정류장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정보 또는 갱신된 특정 위치정보 및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도착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도착소요시간에 따라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직전의 도착소요시간 정보가 변경되는지 판단하고 변경되는 경우 도착소요시간 변경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갱신 판단 및 알림부; 및 휴대단말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엠비(DMB) 방송의 티펙(TPEG)서비스로 제공되는 정보들 중 대중교통의 도착시간의 안내에 필요한 부분을 수집 추출하여 가공함으로써, 실시간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필요한 부분에 대한 수집 및 가공을 함으로써 교통정보의 전송효율을 높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버스 정류장에서와 같은 특정 정류장에 관계되는 모든 버스정보가 아닌 개인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만을 수집, 가공하도록 하여 정보의 양 및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고, 종래 휴대단말을 통해 교통안내서버에 매회 접속하여 교통안내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내려받는데 따른 시간소요 및 시간소요로 인한 정보의 정확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착시간 갱신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서비스 이용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가지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의 본 발명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이 실시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수집된 교통정보 컨텐츠가 저장되고 DMB 방송을 위하여 방송센터로 전송하는 교통방송서버 와 교통방송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교통정보 컨텐츠를 DMB망을 통하여 송출하는 방송센터, 그리고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된 DMB 방송의 TPEG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단말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 또는 이동단말은 휴대전화, PDA, PMP 등의 DMB방송 수신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방송센터에서 송출되는 DMB 방송의 티펙(TPEG)스트림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방송에서의 TPEG 스트림구조는 TPEG 메세지들로 구성되며, 각 TPEG 응용 메세지들은 메세지 관리 컨테이너(message management container), 이벤트 컨테이너(event container), 위치 컨테이너(location container)로 구성될 수 있다. 메세지 관리 컨테이너에는 메세지의 유지, 관리, 보수에 필요한 버전 및 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 컨테이너에는 이벤트 정보가 각 응용별 다른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I응용의 경우 PTI-이벤트 또는 RTM(Road Traffic Message)응용의 경우 RTM 이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혼잡교통정보를 담는 CTT(Congestion & Traffic-Time Information) 응용의 경우 CTT-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PTI-이벤트는 대중교통정보를 담고 있고, RTM 이벤트는 유고교통정보, 즉 도로 돌발상황정보를 담을 수 있다. 위치 컨테이너에는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방송센터에서 송출되는 티펙(TPEG)스트림에 포 함된 PTI 이벤트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EG 스트림에 포함되는 PTI 이벤트 컨테이너는 트랜트포트 모드(Transport mode) 컴포넌트,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 컴포넌트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컴포넌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방송센터에서 송출되는 TPEG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들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중교통수단으로써 버스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아래의 트랜스포트 모드(transport mode) 컴포넌트의 트랜스포트_모드(transport_mode)를 pti01_7로 설정하여 버스(bus)서비스임을 명시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1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 컴포넌트는 pti27의 값을 이용하여 노선정보, 구간별 소요시간정보, 실시간 도착시간 정보를 구별하도록 설정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2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컴포넌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서비스 인증(Transport service identification) 컴포넌트와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3
트랜스포트 서비스 인증(transport service identification) 컴포넌트는 하나의 트랜스포트 서비스 아이디(transport service id) 컴포넌트로 구성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4
트랜스포트 서비스 아이디(transport service id) 컴포넌트의 트랜스포트_정보_형태(transport_information_type)을 pti14_2로 설정하여 다음의 트랜스포트 서 비스 아이디(transport service id)필드가 서비스 넘버(service number)임을 명시하고 트랜스포트 서비스 아이디(transport service id)필드에는 노선번호를 적재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5
이곳의 노선번호는 다음의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이 어디에 귀속되는지 식별해주는 ID로, 이 노선번호별로 교통정보를 분류하여 정보의 검색 및 저장이 이루어진다.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 컴포넌트에는 정류장정보, 소요시간 정보, 버스위치정보 등을 전송하고, 컴포넌트의 구성은 메세지 리포트 형태에 따라 달리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6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이 노선정보인 경우, 노선의 모든 정류장을 정류장 이름과 정류장 위치쌍으로 나열하고 마지막에 노선의 첫차, 막차, 배차간격 등의 시간정보를 나열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TI 이벤트 구조에서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의 하나인 노선정보 전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러한 스티림 구성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정류장 이름은 다음의 서비스 배달 포인트(service delivery point) 컴포넌트의 서비스 배달 포인트 이름(service delivery point name)필드에 전송하고, 버스노선의 정류장은 미리 계획되는 것이므로 스케쥴드_프리딕티드(scheduled_predicted) 필드는 pti16_1로 설정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7
정류장 위치정보는 위치 컨테이너(Location Container) 컴포넌트에 전송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8
시간정보는 다음의 시간 형태(Time type) 컴포넌트에 설정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09
시간정보가 계획된 것인지, 예상된 것인지 구분하여 스케쥴드_프리딕티드(scheduled_predicted)필드를 설정하고 시간정보의 단위를 시간_형태(time_type)필드에 설정한다. 실제 시간정보는 시간_형태_컴포넌트(time_type_component)에 전송되는데, 첫차시간, 막차시간과 같이 특정 시간정보일 경우에는 다음의 시간 예(Time instance) 컴포넌트에,
Figure 112007086571817-PAT00010
배차간격, 소요시간 등과 같은 시간간격정보일 경우에는 다음의 인터벌 시간 타입(Interval Time type) 컴포넌트에,
Figure 112007086571817-PAT00011
운행일과 같은 요일 정보일 경우에는 다음의 서비스 일자 형태(Service day type) 컴포넌트에 시간정보를 전송한다.
Figure 112007086571817-PAT00012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가 구간별 소요시간정보인 경우,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에 노선의 모든 정류장에 대해 구간별 소요되는 시간을 전송한다. 서비스 배달 포인트(Service Delivery Point)에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는 정류장 이름을 전송하고, 시간형태(인터벌 시간){Time Type(Interval time)}에 이전 정류장에서 서비스 배달 포인트(Service Delivery Point)에 명시된 정류장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전송한다. 이 소요시간 정보는 특정 정류장에서 특정 정류장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정보로 노선의 모든 정류장에 대해 전송되어야 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TI 이벤트 구조에서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의 하나인 구간별 소요시간정보 전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다.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이 실시간 도착정보인 경우에는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에 트랜스포트 서비스 인증(Transport service identificatio)에서 명시된 노선번호로 운행되는 모든 버스들의 현재 위치정보, 곧 도착할 정류장 이름과 소요시간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 배달 포인트(Service Delivery Point)에 곧 도착할 정류장 이름을, 시간형태(인터벌 시간){Time Type(Interval time)}에 앞서서 언급한 정류장까지 걸리는 시간을, 위치 컴포넌 트(Location component)에 버스의 위치를 전송한다. 도 5c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TI 이벤트 구조에서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의 하나인 도착시간정보 전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조의 PTI 스트림을 휴대단말에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시 요구되는 정보들을 수집, 저장, 가공(분류)하게 된다.
휴대단말은 우선적으로 노선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가 노선정보인 메세지들을 수집하여 수신된 모든 노선별 정류장 정보를 테이블로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노선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b와 같은 테이블로 구성된다. 노선정보는 변경이 매우 드문 정보이므로 구성된 테이블을 휴대단말의 메모리, 바람직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재 운행되고 있는 모든 버스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있는 실시간 도착정보를 수집한다. 이 정보는 계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버스들의 위치 및 시간 정보로 매우 자주 그 정보가 갱신되게 된다. 메세지 리포트 형태(Message report type)가 실시간 도착정보인 메세지들 중 사용자가 지정해 둔 노선번호의 정보를 전송하는 메세지들만을 수집하여 버스들의 위치를 도 6의 d와 같 이 곧 도착할 정류장에 표시를 하고 그 정류장까지의 소요시간을 테이블의 e와 같이 저장한다. 실시간 도착시간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지정해둔 노선의 지정해둔 정류장에서 가장 가까운 2 대의 버스를 검색하여 지정된 정류장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테이블의 구간별 소요시간(c)과 도착시간(e)을 더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나인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인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1)의 하나의 실시예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노선번호를 입력하고 특정 정류장을 설정입력하고 관심노선을 설정입력하는 설정입력부(20)와, 정보저장부(30)와, 디코딩 및 추출부(40)와, 도착시간 산출부(50)와, 도착시간산출부에서 산출된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0)와, 휴대단말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정보저장부(30)는 관심노선 설정입력에 따라 노선번호와 특정 정류장 정보를 저장하고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추출된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을 저장한다.
디코딩 및 추출부(40)는 수신부(10)에서 수신된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에 포함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를 디코딩하여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정보저장부(30)에 저장된 노선번호와 특정 정류장 정보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며 그리고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도착시간 산출부(50)는 디코딩 및 추출부(40)에서 추출된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1)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 판단 및 알림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갱신 판단 및 알림부(70)는 수신되어 디코딩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추출된 갱신된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 또는 갱신된 특정 정류장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정보 또는 갱신된 특정 위치정보 및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도착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도착소요시간에 따라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직전의 도착소요 시간 정보가 변경되는지 판단하고 변경되는 경우 도착소요시간 변경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하는 디엠비 티펙(TPEG)서비스의 PTI 스트림의 구조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또는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대중교통 도착안내 화면 및 메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대중교통수단으로써 버스를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다.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는 다음의 (a) 내지 (f)단계(S110 내지 S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단계(S110)에서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서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노선번호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버스의 특정 노선번호로 '4425'를 입력할 수 있다.
(b)단계(S120)에서는 (a)단계(S110)에서 입력된 노선번호에 상응하는 노선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선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노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해당 노선의 첫차시간, 막차시간, 배차간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해당 노선의 정류장을 경로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c)단계(S130)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노선정보 중 특정 정류장이 선택되고(S131), 선택된 특정 정류장 및 (a)단계(S110)에서 입력된 노선번호가 관심노선으로 설정되고 관심노선을 저장한다(S13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노선의 노선정보중에서 경로를 나타내는 정류장 중의 특정 정류장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정류장에 대한 관심노선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관심노선이 등록되는 경우 해당 노선번호와 선택된 특정 정류장이 관심노선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관심노선의 목록은 도 2에서와 같이 목록보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d)단계(S14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00에서 휴대단말에서 수신한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앞선 (c)단계(S130)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에 상응하는 노선에 따라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e)단계(S150)에서는 단계 S100에서 수신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c)단계(S130)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의 노선번호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S151) 또한 추출된 위치정보와 (d)단계(S140)에서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한다(S152).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도착소요시간은 메모리에 저장될 것이다(S153).
다음으로 (f)단계(S160)에서는 산출된 관심노선의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에서 관심노선목록을 선택하여 특정 노선 및 정류장을 선택한 경우에 노선 및 정류장 표시와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흐름도의 일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에 포함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에 따라 갱신되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S251 참조).
게다가,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에 포함되는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갱신되는 구간별 소요시간정보일 수 있다(S240 참조).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e') 및 (f')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단계(S250-1)에서는 (e)단계(S150)에서 산출되는 도착소요시간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 또는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에 따라 변경되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실시예에서의 (e)단계(S150)에 대응하여 단계 S251 내지 S253를 포함하는 단계 S250을 나타내고 있다. 단계 S240에서 TPEG 서비스의 PTI 메세지로부터 관심노선에 상응하는 갱신된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거나 단계 S251에서 TPEG 서비스의 PTI 메세지로부터 관심노선의 대중교통수단의 갱신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단계 S252에서 추출된 구간별 소요시간 정보 또는 위치정보로부터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산출된 도착소요시간은 단계 S253에서 저장되게 되고, 저장된 정보는 추후 변경되는 도착소요시간과 단계 S250-1에서 비교되게 된다.
다음으로 (f')단계(S250-2 및 S260)에서는 (e')단계(S250-1)에서 도착소요시간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착소요시간 변경에 대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S250-2) 변경된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한다(S26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서비스를 등록한 경우 도착소요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알림신호로 출력하게 하게 된다. 출력방법은 알람(벨)이나 진동형태일 수 있고, 또는 바로 디스플레이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이들의 복합형태일 수도 있다. 도 2에서 마지막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종전 산출된 도착소요시간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도착소요시간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더욱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단계(S150)에서 위치정보 추출되고 상기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이 산출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은 상기 특정 정류장으로 진행하는 상기 관심노선의 노선번호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중 상기 특정 정류장에 가장 가까운 2대의 대중교통수단일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노선목록에서 선택된 관심노선에 대한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이 이번 차와 다음 차 형태로 2대의 도착소요시간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 중교통 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디엠비서비스에 있어서 휴대단말을 통한 티펙(TPEG)서비스 기술의 발전에 유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이 실시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또는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대중교통 도착안내 화면 및 메뉴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방송센터에서 송출되는 티펙(TPEG) 스트림구조의 하나의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방송센터에서 송출되는 티펙(TPEG)스트림에 포함된 PTI 이벤트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TI 이벤트 구조에서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의 하나인 노선정보 전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TI 이벤트 구조에서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의 하나인 구간별 소요시간정보 전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TI 이벤트 구조에서 노선설명(route description)의 하나인 도착시간정보 전송 스트림을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노선정보 테이블을 나타내 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인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흐름도의 일부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인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 :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
10 : 수신부 20 : 설정입력부
30 : 정보저장부 40 : 디코딩 및 추출부
50 : 도착시간 산출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갱신 판단 및 알림부 80 : 제어부

Claims (6)

  1. (a)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서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노선번호에 상응하는 노선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노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디스플레이된 노선정보 중 특정 정류장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정류장 및 상기 (a)단계에서 입력된 노선번호가 관심노선으로 설정되고 상기 관심노선을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상기 (c)단계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에 상응하는 노선에 따라 상기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상기 (c)단계에서 저장된 관심노선의 노선번호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d)단계에서 저장된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산출된 관심노선의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에 포함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에 따라 갱신되는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서 수신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의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에 포함되는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갱신되는 구간별 소요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e') 상기 (e)단계에서 산출되는 도착소요시간이 상기 갱신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 또는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에 따라 변경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도착소요시간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착소요시간 변경에 대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변경된 도착소요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위치정보 추출되고 상기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이 산출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은 상기 특정 정류장으로 진행하는 상기 관심노선의 노선번호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중 상기 특정 정류장에 가장 가까운 2대의 대중교통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티펙(TPEG) 대중교통정보(PTI)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도착안내 방법.
  6.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에 있어서,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노선번호를 입력하고 특정 정류장을 설정입력하고 관심노선을 설정입력하는 설정입력부;
    상기 관심노선 설정입력에 따라 노선번호와 특정 정류장 정보를 저장하고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추출된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을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수신된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에 포함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노선번호와 특정 정류장 정보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상기 특정 정류장까지의 정류장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추출하며 그리고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디코딩 및 추출부;
    상기 디코딩 및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구간별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정류장까지 도착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도착시간 산출부;
    상기 도착시간산출부에서 산출된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특정 정류장까지의 도착소요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되어 디코딩된 대중교통정보(PTI) 메세지로부터 추출된 갱신된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 또는 갱신된 특정 정류장까지의 구간별 소요시간정보 또는 갱신된 상기 특정 위치정보 및 소요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도착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도착소요시간에 따라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직전의 도착소요시간 정보가 변경되는지 판단하고 변경되는 경우 도착소요시간 변경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갱신 판단 및 알림부; 및
    상기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중교통 도착안내 서비스제공되는 디엠비(DMB) 티펙(TPEG)서비스 이용가능한 휴대단말.
KR1020070123591A 2007-11-30 2007-11-30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KR100913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91A KR100913391B1 (ko) 2007-11-30 2007-11-30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91A KR100913391B1 (ko) 2007-11-30 2007-11-30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450A true KR20090056450A (ko) 2009-06-03
KR100913391B1 KR100913391B1 (ko) 2009-08-21

Family

ID=4098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591A KR100913391B1 (ko) 2007-11-30 2007-11-30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553A (zh) * 2019-09-26 2020-01-03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一种站点提醒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41B1 (ko) 2018-11-21 2020-10-26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 환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18B1 (ko) * 2005-08-10 201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중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82213B1 (ko) * 2005-08-10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중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09077B1 (ko) * 2005-11-04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중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553A (zh) * 2019-09-26 2020-01-03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一种站点提醒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391B1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46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aid information
US79407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a prediction of travel time to traverse a link and using the same
KR101254219B1 (ko) 링크 식별 방법 및 링크 식별 장치
US8566025B2 (en) Method of selecting rout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A2609189C (en)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traffic congestion tendency and using the same
US7940741B2 (en)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relating to a prediction of speed on a link and using the same
KR101480449B1 (ko) 멀티미디어 기반 교통 및 여행 정보 메시지를 이용한 상세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US20100115030A1 (en) Providing of link information between various application information and using the link information
US7920073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200800773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encoding traffic information
KR100913391B1 (ko)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