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372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372A
KR20090056372A KR1020070123499A KR20070123499A KR20090056372A KR 20090056372 A KR20090056372 A KR 20090056372A KR 1020070123499 A KR1020070123499 A KR 1020070123499A KR 20070123499 A KR20070123499 A KR 20070123499A KR 20090056372 A KR20090056372 A KR 2009005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rvice
radio bearer
context
control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105B1 (ko
Inventor
신재욱
박애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2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105B1/ko
Priority to US12/745,523 priority patent/US20100309859A1/en
Priority to PCT/KR2008/006994 priority patent/WO2009069950A2/en
Publication of KR2009005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하위 계층의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통해 세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 전달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시그널링 지연을 최소화시키며, 서비스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를 별도로 정의하고 서비스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서비스 및 베어러 간에 다-대-일 대응이 가능하여 진화된 무선통신 시스템 상에서 보다 효율적인 패킷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세션 제어, 무선자원 제어, 무선 베어러, 컨텍스트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Method for session control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404-33, 과제명: 3G Evolution 단말 기술 개발].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어는 단말과 망간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프로토콜을 통하여 수행된다.
새로운 서비스의 수행이 필요하거나 현재 수행 중인 서비스의 종료가 필요할 경우, 단말은 패킷망과 세션 설정 또는 세션 해제 절차를 트리거링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 또는 삭제한다. 즉, 단말은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할 경우 해당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여 망으로 전송하면, 망에서는 단말이 송신한 세션 설정 정보에 따라 요청된 서비스의 수행을 승인하거 나, 또는 협상이 필요할 경우 수정된 서비스 품질을 단말에게 응답으로 전달한다.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가 망에서 승인될 경우 망은 단말로 베어러 설정 절차를 트리거링하여 해당 서비스가 수행되는데 필요한 베어러를 설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션 제어 방식은 단말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과 패킷 필터 정보를 설정하여 망으로 전달하고 망은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승인 또는 재협상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세션 설정이 지연되며, 모든 서비스에 대해서 단말이 서비스 품질 및 패킷 필터 정보를 직접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구현이 복잡해 지고, 다양한 제조업체가 제작한 단말과 망간에 상호 운용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문맥 정보 관리를 위한 세션 제어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에서 수행하고,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 제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프로토콜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세션 설정과 베어러 설정 절차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 순차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시그널링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와 베어러 간 다-대-일 대응을 제공하며, 세션 설정 및 해제 절차를 하위 계층의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계층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시그널링 지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가 설정되는 설정단계,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컨텍스트에 대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달받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가 설정되도록 하는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식별자, 서비스 품질, 상향링크 패킷 필터정보, 및 베어러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한다. 이때, 상기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session control protocol) 메시지이며, 상기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 보다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인 것으로 하며,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인식하는 식별자와 그 설정정보 및 상기 무선 베어러를 포함하는 베어러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다운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이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업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설정방법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세션 설정을 해제하기 위해,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가 삭제되는 삭제단계,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컨텍스트에 대한 삭제 완료 메시지를 전달받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설정된 세션을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종료하는 서비스 종료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해제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가 삭제되도록 하는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 및 상기 해제 요청된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도록 하는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이며,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설정된 상기 무선 베어러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해제 완료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다운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 이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업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은 무선 베어러에 대한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하위 계층의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통해 세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 전달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시그널링 지연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를 별도로 정의하고 서비스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서비스 및 베어러 간에 다-대-일 대응이 가능하여 진화된 무선통신 시스템 상에서 보다 효율적인 패킷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EPS는 기존의 단말 제어 기반 서비스 모델보다 망 제어 기반 서비스(network controlled service) 모델을 선호하며, 다수의 서비스 간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함) 및 베어러(bearer)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동일한 서비스 품질 특성을 가진 다수의 서비스가 하나의 베어러에 대응될 수 있는 베어러 모델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3GPP에서의 EPS는 이동통신 시스템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및 낮은 전송 지연을 목표로 하는 패킷 최적 화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고속의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장치는 요청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Network, N) 및 네트워크(N)에 접속되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20)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는 이동성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N)는 패킷망(packet network, 10), 무선망(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30), 게이트웨이(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미도시),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미도시),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PCRF)(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패킷망(10)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20)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망이다. 또한, 게이트웨이(40)는 패킷망(10)과 사용자 단말기(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중계수단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송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달하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및 패킷망(10)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달하는 패킷망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는 무선망(E-UTRAN)(30) 및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와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서비스 및 무선 베어러를 제어하며, 데이터 패킷 전달을 위한 트래픽 베어러는 사용자 단말기(20)와 패킷 게이트웨이(P-GW) 간에 설정되어 사용자 단말기(20)와 패킷망(10) 사이의 패킷 서비스를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최상위 계층에는 사용자 서비스 제어를 위한 세션 제어(Session Management, SM) 프로토콜(가)이 위치하며, 그 하위 계층에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패킷 이동성 관리 (Packet Mobility Management, PMM) 프로토콜(나),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프로토콜(다),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프로토콜(라),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마) 및 물리(PHY) 계층(바)이 순서대로 각각 위치한다.
여기서,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다)은 무선 접속 및 무선 베어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로서, 하부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라),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마) 및 물리 계층(바)의 설정을 제어하여, 시그널링 및 트래픽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를 설정 또는 해제한다.
또한, 상위 계층의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 및 패킷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메시지는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하위 계층에서 설정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통해서 전달된다. 이때,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다)의 상향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UDT) 메시지 또는 하향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DDT) 메시지에 포함되 어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및 베어러 간 대응관계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GPP의 EPS에서 베어러는 사용자 단말기(20)와 무선망(30) 간에 형성되는 무선 베어러 및 무선망(30)과 게이트웨이(40) 사이에 형성되는 접속 베어러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 베어러와 접속 베어러는 각각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베어러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대응되는데, 이때 각각의 서비스와 베어러는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거나, 또는 다-대-일 대응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하나의 베어러에 하나의 서비스가 대응되거나, 또는 하나의 베어러에 둘 이상의 서비스가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베어러와 각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는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특성, 망 개시자의 서비스 품질 제어 정책에 의해서 정해진다.
일 예로서, Non-Guaranteed Bit Rate(Non-GBR) 서비스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서비스는 Non-GBR 특성을 가지는 하나의 베어러로 다-대-일 대응이 될 수 있으며, Guaranteed Bit Rate(GBR)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의 QoS를 만족하는 개별 GBR 베어러로 일-대-일 대응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은 그 동작 흐름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방법이 도시된 흐름도로서,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 신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이를 통해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N)의 게이트웨이(40)를 통해 패킷 서비스를 요청한다(S100). 이때,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검출하고(S110),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를 생성한다(S130). 이때,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는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로서, 베어러 식별자(Bearer_ID), 무선 베어러 식별자(RB_ID), 무선 베어러 설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패킷데이터 프로토콜을 설정하기 위한 컨텍스트(context)를 설정한다(S120). 네트워크(N)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데, 이때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로서, 하위 계층의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된다(S140). 여기서,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식별자(NSAPI), 서비스 품질(QoS), 상향링크 패킷 필터정보(UL_PF), 및 베어러 식별자(Bearer_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N)로부터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S140),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PDP) 설정에 따른 컨텍스트를 생성한다(S150). 또한,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에 무선 베어러를 설정한다(S160).
사용자 단말기(20)는 무선 베어러를 설정 후, 무선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S170), 네트워크(N)로 전달되도록 한다(S180). 또한, 컨텍스트 생성 후, 컨텍스트에 대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로 전달하는데, 이때 컨텍스트 설정 완료 메시지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된다(S180). 여기서,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이다.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S180),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 세션 설정을 완료하고(S190), 이를 통해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한다(S200).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방법이 도시된 흐름도로서, 기존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N)로 서비스를 요청한다(S300). 이때, 네트워크(N)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컨텍스트를 설정하고(S310),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S320). 이때,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하향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S320). 여기서,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로서,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식별자(NSAPI), 서비스 품질(QoS), 상향링크 패킷 필터정보(UL_PF) 및 제공될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 식별자(Bearer_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하향링크 전송 메시지는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 보다 하위 계층의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이다.
사용자 단말기(20)는 하향링크 전송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N)로부터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S320),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생성한다(S330). 또한, 컨텍스트 생성 후, 컨텍스트에 대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로 전달하는데, 이때 컨텍스트 설정 완료 메시지는 상향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된다(S340).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컨텍스트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 세션 설정을 완료하고(S350), 이를 통해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한다(S360).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션 해제방법이 도시된 흐름도로서, 하나의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세션 해제방법이 제공된다.
먼저, 도 6은 하나의 베어러에 하나의 서비스가 대응되는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N)로 서비스 종료 요청을 한다(S400). 이때,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서비스 종료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검출하여(S410),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를 생성한다(S430). 여기서,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는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로서, 해제할 무선 베어러에 대한 베어러 식별자(Bearer_ID), 무선 베어러 식별자(RB_ID)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생성된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된 다(S440). 한편, 네트워크(N)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해제하기 위해 해제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삭제하고(S420),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데, 이때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S440). 여기서,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로서, 요청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 식별자(Bearer_ID),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 및 해제하고자 하는 서비스 식별자(NSAP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N)로부터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S440),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컨텍스트를 삭제한다(S450). 또한,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해제한다(S460).
사용자 단말기(20)는 무선 베어러 해제 후, 무선 베어러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S470), 네트워크(N)로 전송한다(S480). 또한, 사용자 단말기(20)는 컨텍스트 삭제 후(S450), 컨텍스트에 대한 삭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로 전달하는데, 이때 컨텍스트에 대한 삭제 완료 메시지는 무선 베어러 해제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된다(S480).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컨텍스트 삭제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 설정된 세션을 해제함으로써(S490),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종료한다.
또한, 도 7은 하나의 베어러에 두 개 이상의 서비스가 대응되는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N)로 서비스 종료 요청을 한다(S600). 이때, 네트워크(N)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를 삭제하고(S610), 종료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해제하기 위해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S620). 이때,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하향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여기서,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베어러 식별자(Bearer_ID),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 및 해제하고자 하는 서비스 식별자(NSAP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는 하향링크 전송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N)로부터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S620),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컨텍스트를 삭제한다(S630). 또한, 컨텍스트 삭제 후, 컨텍스트에 대한 삭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로 전달하는데, 이때 컨텍스트 삭제 완료 메시지는 상향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된다(S640).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향링크 전송 메시지를 통해 컨텍스트 삭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N) 간 설정된 세션을 해제하여(S650),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종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은 세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하위 계층의 베어러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무선 인터페이스 사에 전달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수를 감소시켜 시그널링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및 베어러 간 대응관계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방법이 도시된 흐름도, 그리고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션 해제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패킷망 20: 사용자 단말기
30: 무선망 40: 게이트웨이

Claims (17)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가 설정되는 설정단계;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컨텍스트에 대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달받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가 설정되도록 하는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식별자, 서비스 품질, 상향링크 패킷 필터정보, 및 베어러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session control protocol) 메시지이며,
    상기 세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 보다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인 것으로 하며,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인식하는 식별자와 그 설정정보 및 상기 무선 베어러를 포함하는 베어러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다운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업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0.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 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세션 설정을 해제하기 위해,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가 삭제되는 삭제단계;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컨텍스트에 대한 삭제 완료 메시지를 전달받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설정된 세션을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종료하는 서비스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해제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가 삭제되도록 하는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 및 상기 해제 요청된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 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도록 하는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에 설정된 상기 무선 베어러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해제 완료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는 다운링크 전송(Down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무선자원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업링크 전송(UpLink Direct Transfe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KR1020070123499A 2007-11-30 2007-11-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KR10090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99A KR100909105B1 (ko) 2007-11-30 2007-11-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US12/745,523 US20100309859A1 (en) 2007-11-30 2008-11-27 Session control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8/006994 WO2009069950A2 (en) 2007-11-30 2008-11-27 Session control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99A KR100909105B1 (ko) 2007-11-30 2007-11-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72A true KR20090056372A (ko) 2009-06-03
KR100909105B1 KR100909105B1 (ko) 2009-07-30

Family

ID=4067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499A KR100909105B1 (ko) 2007-11-30 2007-11-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309859A1 (ko)
KR (1) KR100909105B1 (ko)
WO (1) WO200906995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446A (ko) * 2012-03-0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01251A (ko) *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분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3213T3 (es) 2011-04-29 2019-11-28 Lg Electronics Inc Método para procesamiento de datos asociados con gestión de sesión y gestión de movilidad
US9629028B2 (en) * 2012-03-16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carrier aggregation
CN104918329B (zh) * 2014-03-13 2019-06-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通信处理方法、装置及基站
CN106717094A (zh) * 2015-05-15 2017-05-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
EP3496451B1 (en) 2016-10-17 2023-10-11 Sk Telecom Co., Ltd. Base station device and qos control method in wireless s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10859T1 (de) * 2000-04-07 2008-10-15 Nokia Corp Übertragung von protokolldateneinheiten fester länge durch die transparente funkverbindungssteuerung
FI20002903A (fi) * 2000-12-29 2002-06-30 Nokia Corp Bittinopeuden määrittäminen
US7106718B2 (en) * 2001-02-09 2006-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quality of service class for use in multimedia communicatations
FR2822320B1 (fr) * 2001-03-16 2003-07-04 Evolium Sas Procede pour le controle de session d'appel multimedia dans un systeme cellulair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KR20040059561A (ko) * 2002-12-27 2004-07-06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선자원 및 세션 해제방법
ES2304496T3 (es) * 2003-07-31 2008-10-1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Procedimiento de gestion de recursos de radio comun en una red telefonica celular multi-rat.
KR20050014984A (ko) * 2003-08-01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드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재전송하는 방법
KR20050017319A (ko) * 2003-08-12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시그널링 베어러 관리방법
GB0319359D0 (en) * 2003-08-18 2003-09-17 Nokia Corp Activation of communication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05625B1 (ko) * 2004-06-17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엠티에스시스템의 세션해제방법
DE202005021930U1 (de) * 2005-08-01 2011-08-08 Corning Cable Systems Llc Faseroptische Auskoppelkabel und vorverbundene Baugruppen mit Toning-Teilen
KR100690439B1 (ko) * 2005-12-08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US7953006B2 (en) * 2006-02-09 2011-05-31 Nokia Corporation Handling multiple point-to-multipoint services
US8200236B2 (en) * 2006-02-27 2012-06-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 state change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20090201947A1 (en) * 2006-05-30 2009-08-13 Rune Goera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The Amount Of Messages S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ATE539564T1 (de) * 2006-07-24 2012-01-15 Lg Electronics Inc Punkt-zu-punkt-funkträger für einen ausstrahlungsdien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446A (ko) * 2012-03-0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01251A (ko) *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분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105B1 (ko) 2009-07-30
US20100309859A1 (en) 2010-12-09
WO2009069950A2 (en) 2009-06-04
WO2009069950A3 (en)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38572B (zh) 一种双连接中分割承载的数据分配方法和装置
KR10090910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제어방법
JP4040975B2 (ja) セッション開始プロトコルによる、マルチメディア呼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971297B2 (ja) 通話セットアップ待ち時間の減少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JP5221526B2 (ja) システム間ハンドオーバの場合に端末のpdpコンテキストを転送する装置及び方法
JP5242797B2 (ja) ネットワークおよびモバイル・デバイスによって設定されるサービス品質
JP4084357B2 (ja) Iuインターフェース上の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信号ベアラー接続のための方法
CN110213032B (zh) 配置ue的聚合最大速率的方法
JP2019511161A (ja) データ伝送のための制御プレーンおよびユーザプレーンの選択
WO2013064104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移动性管理实体和移动终端
US8139522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HRPD network packet data service in 1x network
WO2005069646A1 (fr) Procede d&#39;enregistrement pour service multidestination a diffusion multimedia
EP2785105B1 (en) Bearer mode selection method, packet gateway and policy and charging control function entity
JP2004523170A5 (ko)
WO2014048224A1 (zh) 通过控制面信令传输数据的方法、设备及系统
EP3886511B1 (en) Messag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09089790A1 (fr) Procédé pour l&#39;acquisition du type d&#39;un service support et pour la commutation entre réseaux supports pour des terminaux
WO20090754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based on call prior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796407A1 (en) Call setup method for minimizing call setup delay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WO2012152130A1 (zh) 承载处理方法及装置
WO2009065321A1 (fr)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pour traiter le service d&#39;un domaine à commutation de circuits
CN1640177B (zh) 蜂窝移动无线系统中改进服务质量管理的方法和设备
JP4406204B2 (ja) 2層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接続解除
WO2009067912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mmutation pour mettre en œuvre une commutation
JP5408452B2 (ja) Mbmsベアラの確立、再構成、及び解放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