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293A -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293A
KR20090056293A KR1020070123379A KR20070123379A KR20090056293A KR 20090056293 A KR20090056293 A KR 20090056293A KR 1020070123379 A KR1020070123379 A KR 1020070123379A KR 20070123379 A KR20070123379 A KR 20070123379A KR 20090056293 A KR20090056293 A KR 2009005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powder
lipid complex
group
cosmetics
nh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500B1 (ko
Inventor
박병덕
김윤
정세규
Original Assignee
(주)네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팜 filed Critical (주)네오팜
Priority to KR102007012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용 무기분체의 표면개질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i)유사세라마이드 5∼20중량%; (ii)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팔미테이트, 콜레스테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 (iii)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 20∼40중량%; 및 (iv)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는 지질복합체에 의해 표면 코팅되어 제조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가 제공되는바,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표면개질 무기분체는 표면에 코팅되는 지질복합체로 인하여 피부장벽기능을 보조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질환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질환으로 인해 외관이나 색상이 변형된 피부를 훌륭하게 보정해 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색조화장료, 무기분체, 유사세라마이드, 표면개질

Description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SURFACE-TREATED POWDER FOR COSMETICS, AND THE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용 무기분체의 표면개질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피부색보정효과 외에 피부보호기능을 가지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피부의 결점을 은폐하고 아름다운 피부색으로 조절하여 피부를 젊고 건강하게 가꾸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메이크업화장품은 피부에 얇게 도포되어 피부에 부담을 주지 않고 높은 피부색보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메이크업화장품에는 무기분체들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탈크, 마이카(백운모), 세리사이트(견운모),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무기분체 자체는 피부에 대한 밀착감이 불량하여 도포하고 장시간 경과하면 들떠 떨어져 나가거나 물이나 땀에 의해 떨어져 나가거나 또는 분체끼리 서로 응집하여 뭉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화장을 자주 고쳐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분체가 피부모공을 막음으로 인해 심한 경우 피부질환의 원인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무기분체의 경우에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되고, 도포되었을 때 매끈한 사용감을 줄 수 있어야 하고, 물이나 기름에 대해 영향 받지 않는 내수성/내유성, 도포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해주는 부착성 및 피부와의 친화성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특정 보완원료를 분체에 혼합하여 제형화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색조화장품의 원료가 고체 분체라는 특성 때문에 그 배합에 심한 제약이 따르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좋은 방법은 분체표면을 적당한 방법으로 코팅처리 하는 것인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코팅재로는 보습력 향상을 위한 수용성 보습제, 내수성 향상을 위한 유성성분, 불소화합물, 내수성과 사용감을 향상시켜주는 실리콘고분자 성분 등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코팅재들은 무기분체 자체의 기능성만을 고려한 것들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민감하거나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색조화장품의 성분으로써 기본적으로 요구되어지는 물성을 만족하는 외에 피부보호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화장료용 무기분체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인체의 피부는 외부 환경의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일차적인 장벽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피부를 통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제어함으로써 피부와 피부로 둘러싸인 인체 내부의 장기가 정상적인 생물학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해한 인자가 피부를 통해 침범하는 것을 억제하는 장벽 기능을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조직이다. 이러한 각질층은 약 40%의 단백질과 40%의 수분, 그리고 10∼20%의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질층의 구조는 단백질이 풍부한 각질세포(corneocytes)와 각질세포 간 영역을 채우고 있는 각질세포 간 지질로 분획되어 있다. 이러한 각질층의 구조는 벽돌(각질세포)과 그 사이사이에 채워지는 접착물인 모르타르(세포간 지질)에 비유하여 "brick and mortar model"로 설명되고 있다. 각질층 내 각질세포간 지질은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주요 구성 성분이며, 이들이 적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각질 세포 사이에서 다중라멜라(multilamellar)구조를 이루고 있다. 다양한 연구의 결과 이러한 각질세포 간 지질의 구성 성분비와 이들이 구성하고 있는 다중 라멜라 구조가 피부가 나타내는 장벽 기능의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특히 세라마이드의 조성과 함유량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 피부 질환으로서는 건선, 급성 자극성 접촉성피부염, 급성 직업성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만성 직업성 피부염, 건선, 비대성 반흔(hypertrophic scar), 켈로이드성 반흔(keloid scar), 구순염(cheilitis), 층판성 어린선(lamellar ichthyosis) 등이 있다. 또한, 민감성 피부나 건조 피부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피부 상태에 있어서도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 것 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다양한 피부 질환이나 비정상적인 피부 상태에 있어 피부 장벽 기능의 정상화 또는 피부 장벽 기능의 강화는 피부 질환의 치료나 피부 기능의 정상화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피부 장벽 기능을 정상화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성분과 이를 이용한 외용 제형에 대한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피부 각질세포 간 지질의 주요 구성 성분인 세라아미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유사세라마이드와 이를 함유하는 다중라멜라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에 대하여 다수의 특허를 출원, 등록한 바 있다(국내특허등록 10-0472125호, 미국특허등록 6221371호, 대만특허등록 90110061호, PCT특허 WO02/067900호). 그러나 그 적용범위가 주로 바디케어 또는 헤어케어 조성물 등의 외용 액상화장료에 한정되어 있었다.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이 동반된 피부 질환자의 경우, 흔히 질환의 병변부의 주위에는 부분적인 색소 침착, 흉터 등이 나타나므로 비병변부와 비교하여 외관상의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피부색 보정을 위해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페이스 파우더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민감한 피부이거나 피부질환이 있어서 피부 장벽 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한 피부에 화장품, 특히 메이크업제품을 적용하는 것은 비교적 강한 자극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많은 경우 병변을 악화시키거나, 심지어 새로운 병변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아 그 사용이 매우 어렵게 된다.
기존에 무기분체에 유사세라마이드와 실리콘오일을 코팅하여 피부 보습력, 내수성, 피부 부착성, 사용감이 우수한 표면처리 분체를 얻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 지만, 유사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성분 자체가 서로 응집하며 실리콘오일과 서로 잘 섞이지 않는 경향이 있어,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 결과, 비록 세라마이드의 결핍이 피부장벽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기는 하나, 세라마이드 혹은 각질세포 간 지질에서 세라마이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유사세라마이드만을 외용으로 도포하는 것은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이나 강화에 효과가 없음이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기존의 메이크업 화장품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 강화시킬 수 있는 효능을 지닌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에 필요한 새로운 원료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의 결과 유사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며 특정한 배합비를 가지는 지질복합체에 의해 코팅되어 표면개질 된 무기분체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구성 성분으로서의 무기분체 자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피부와의 친화성이 높고,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및 강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표면개질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함유하고, 민감성 피부나 건조 피부, 아토피 피부염 등과 같이 피부 장벽 기능이 저해되어 일반 색조화장품의 사용이 곤란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i)하기 구조식 (I),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사세라마이드 5∼20중량%; (ii)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팔미테이트, 콜레스테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 (iii)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 20∼40중량%; 및 (iv)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는 지질복합체에 의해 표면 코팅되어 제조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가 제공된다.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R3 및 R4는 각각 H, CH3, C2H5, C3H7, 또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단당류이다). 이 경우 상기 구조 식(I), (II)의 -NR3R4은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또는 -NHCH2CH2O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질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i)과 (ii)의 중량비 합계가 10∼30%이고, 상기 (iii)과 (iv)의 중량비 합계가 7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질복합체가 상기 표면개질된 화장료용 무기분체의 전체 중량에 대해 1∼7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코팅하기 위한 지질복합체로서 (i)하기 구조식 (I),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사세라마이드: (ii)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팔미테이트, 콜레스테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iii)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 (iv)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이 중량비로 5∼20:5∼10:20∼40:30∼50이 되도록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 혼합과 코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질복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믹서에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넣고 교반하면서 상기 용해된 지질복합체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NR3R4은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또는 -NHCH2CH2OH임)
이때, 상기의 지질복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 및 코팅공정은 40∼80℃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1∼99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무기분체로는 산화철,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탈크, 마이카, 카올린 등이 있다. 탈크, 마이카, 카올린 등은 피부에 대한 사용감이 우수하여 많은 고체화장료나 색조화장료에 베이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다음으로 무기분체의 표면개질을 위해 사용되는 지질복합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성분들이 지질복합체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었다.
유사세라마이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사세라마이드는 본 발명자의 한국등록특허 제10-0472125호와 미국특허 제06221371호에 개시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구조는 하기의 식과 같다. 하기 화학식(I)은 알킬 케텐다이머와 에탄올아민을 반응시켜 합성한 것이고 하기 화학식(II)는 화학식(I)을 환원 반응시켜 제조한 것이다.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R3 및 R4는 각각 H, CH3, C2H5, C3H7, 또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단당류이다)
특히, 구조식(I)과 구조식(II)에 대해 공히 -NR3R4 부분이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NHCH2CH2OH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산으로는 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아라키딕애씨드, 베헤닉애씨드(behenic acid), 팔미톨레익애씨드, 올레익애씨드, 리놀레익애씨드, 리놀레닉애씨드, 아라키도닉애씨드 등이 있다. 또한,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형태의 각종 식물유도 동일한 목적으로 배합이 가능하다. 그 예로는 팜유, 팜커넬유, 코코넛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아카다미아넛오일, 해바라기씨유, 캐스터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단, 사슬길이가 8 이하인 지방산이나 글리세라이드를 주로 사용하게 되면 자체가 피부자극이 있고 액정형성 측면에서 곤란한 점이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또 다른 구성성분으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아세테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팔미테이트, 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소이빈스테롤 등을 사용한다. 이들은 자체적으로 스킨컨디셔닝 및 피부보호효과를 보이며 위의 성분들과 적정한 비율로 혼합되었을 때 액정구조 형성에 기여하게 한다.
기타 성분
위의 성분들로 형성되는 다중라멜라 액정상을 더욱 안정화하기 위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과 같은 고급알코올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활용목적에 따라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등의 윤활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피부의 각질세포간 지질이 나타내는 다중 라멜라 구조와 유사한 다중 라멜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질 복합체의 조성비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통해 실제 인체 피부의 각질세포간 지질 성분의 구성 성분비와는 전혀 다른 조합비에서 안정한 다중 라멜라 구조가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사세라마이드는 천연세라마이드와는 작용기 차원에서 유사하나, 분자 구조적으로는 다르기 때문이다.
중량비 기준으로 i) 상기 구조식(I)과 (II)에 보이는 유사세라마이드는 5∼20%, ii)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들은 5∼10%, iii) 고급지방산류 및 글리세라이드류는 20∼40%, iv) 고급알코올류는 30∼50%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i)과 ii)의 중량비 합계가 10∼30%이고, iii)과 iv)의 중량비 합계가 70∼90%의 범위에 있을 때 다중라멜라 구조가 용이하게 형성되었다.
유사세라마이드류와 콜레스테롤류의 배합량이 너무 높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는 다중라멜라 구조형성 보다는 자체간의 응집이 일어나며 사용시 매끈한 감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표면개질 작업시 사용되는 상기 지질복합체의 배합량은 전체 표면개질 무기분체에 대해 1∼7%인 것이 적합하다. 1% 미만인 경우 표면개질의 효력이 나타나지 않고, 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뻑뻑해 지는 등 사용감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세라마이드 혹은 유사세라마이드만을 사용하여 분체를 코팅하는 경우에는 세라마이드 단독으로는 융점이 100℃ 이상이 되므로, 이를 분체에 적용할 경우 많은 양의 용매와 높은 온도조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지질복합체, 즉 유사세라마이드와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성분들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다중 라멜라 구조를 형성할 경우, 상전이 온도가 약 48℃도로 내려가므로, 용매의 양을 줄이고 좀더 낮은 온도에서 분체의 코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지질복합체를 이용하여 본 발명 화장료용 무기분체의 표면을 개질하는 본 발명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제조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코팅하기 위한 지질복합체의 성분으로서 (i)하기 구조식 (I),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사세라마이드: (ii)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팔미테이트, 콜레스테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iii)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 (iv)세틸알코올, 스 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이 중량비로 5∼20:5∼10:20∼40:30∼50이 되도록 계량하여 준비한다.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NR3R4은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또는 -NHCH2CH2OH 임)
혼합과 코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질복합체를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다. 믹서에 산화철,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탈크, 마이카, 카올린 등의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넣고 교반하면서 상기 용해된 지질복합체를 분사하여 코팅한 후에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제조한다.
무기분체에 대한 표면개질을 실시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건식법과 습식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습식법의 경우 물을 제거하는 건조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건식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표면 개질된 무기분체 1∼99%와 다른 부형제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 성물은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페이스파우더 등의 고형 또는 분체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표면개질 무기분체는 표면에 코팅되는 지질복합체로 인하여 피부장벽기능을 보조하고 높은 안전성을 갖게 되며,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동안 색조화장품 사용이 곤란하였던 피부질환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질환으로 인해 외관이나 색상이 변형된 곳을 훌륭하게 커버하고 보정해 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설명하는바, 본 발명은 하기의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크의 표면개질
먼저, 지질복합체로서 미리스토일/팔미토일 옥소스테아라미드/아라카마미드 엠이에이 : 콜레스테롤 : 스테아릭애씨드 : 세테아릴 알코올이 중량% 기준으로 10:5 : 35:50의 비율이 되도록 계량하였다. 혼합과 코팅이 용이하게 되도록 이소프로판올을 먼저 계량된 지질복합체에 대해 1:1의 중량비로 가하여 혼합 용해시켰다. 헨셀믹서에 탈크 500g을 넣고 고속교반하면서 미리 혼합 용해되어 70℃를 유지하고 있는 지질복합체-이소프로판올 혼합액 50g을 고속 교반하면서 스프레이 분사하였다. 분사 후 일정시간 추가로 교반한 후 분말을 꺼내어 감압 하에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여 표면개질 분체를 얻었다.
실시예 2: 탈크의 표면개질
먼저, 지질복합체로서 디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 카프릴로일 아마이드 : 콜레스테롤 : 스테아릭 애씨드 : 세테아릴 알코올이 중량% 기준으로 5 : 10 : 35 : 50의 비율이 되도록 계량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표면개질분체를 얻었다.
실시예 3: 마이카의 표면개질
먼저, 지질복합체로서 미리스토일/팔미토일 옥소스테아라미드/아라카마미드 엠이에이 : 소이빈 스테롤 : 스테아릭 애씨드 : 세테아릴 알코올이 중량% 기준으로 10 : 10 : 40 : 40의 비율이 되도록 계량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표면개질분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유사세라마이드 단독사용에 의한 탈크의 표면개질
미리스토일/팔미토일 옥소스테아라미드/아라카마미드 엠이에이를 동량의 이소프로판올에 넣고 가온 용해시켰다. 탈크에 대해 이후 상기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하여 표면개질분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유사세라마이드 단독사용에 의한 마이카의 표면개질
디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 카프릴로일 아마이드를 동량의 이소프로판올에 넣고 가온 용해시켰다. 마이카에 대해 상기의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가공하여 표면개질분체를 얻었다.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파우더를 만들어 평가하였다.
구성성분 A B C D E
실시예 1 무기분체 TO 100% - - - -
실시예 2 무기분체 - TO 100% - - -
실시예 3 무기분체 - - TO 100% - -
비교예 1 무기분체 - - - TO 100% -
비교예 2 무기분체 - - - - TO 100%
Zinc oxide 5% 5% 5% 5% 5%
Magnesium stearate 5% 5% 5% 5% 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험예 1: 다중라멜라 구조 관찰
실시예에서 사용된 지질복합체의 다중라멜라 구조 형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질 복합체를 편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액정 형성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지질 복합체의 편광 현미경 상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실시예 1의 경우 다중라멜라 구조 형성으로 인한 액정상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데 비하여, 비교예 1의 경우 이러한 액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2: 사용감 평가
20∼30세의 여성패널 10인에 대해 사용 후 매끈한 느낌, 퍼짐성, 부착성에 대해 매우 나쁨 1점, 나쁜 편 2점, 보통 3점, 좋은 편 4점, 매우 좋음 5점의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 평균점수는 하기 표 2에 표시되었다.
조성물 A B C D E
평균점수 4.4 4.2 4.3 3.2 2.8
시험예 3: 안정성 관능평가
20∼30세의 여성패널 10인에 대해 도포 후 일정시간 경과 후 파우더가 뭉치지 않고 안정하게 도포되어 있는지에 대해 매우 나쁨 1점, 나쁜 편 2점, 보통 3점, 좋은 편 4점, 매우 좋음 5점의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 평균점수는 하기의 표 3에 표시되었다.
조성물 A B C D E
평균점수 4.6 4.3 4.2 2.7 2.5
시험예 4: 피부 기능 개선 효과
20∼30세의 여성패널 10인에 대해 양쪽 팔 상완부 내측의 세 부위에 있어 피부 각질층 내 수분량 (skin hydration)과 경피수분손실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피부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Koln, Germany)와 수분증발량측정기(Tewameter, TM300, Courage&Khazaka, Koln, Germany)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급성 피부 장벽 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동일 부위에 D-Squame tape (Cu-Derm Corporation, Dallas, USA)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테이프 스트리핑(tape-stripping)을 수행하였다. 급성 피부장벽 손상 후 장벽이 손상된 세 부위의 피부에 A, B, C, D, E를 각각 1회씩 즉시 도포하고, 이후 매일 1회씩 도포하도록 하여 시간에 따른 피부의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피부 각질층 내 수분 함유량과 경피 수분 손실의 변화를 각각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120시간 이후 측정하였으며, 피부 각질층 내 수분 함유량의 변화와 피부 장벽 기능 회복율을 각각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아노바 분석(ANOVA test)을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p<0.05 이하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피부수분량변화 (Change of Skin hydration) = 일정 시간 경과 후의 피부 수분량 (Skin hydration at measured time) - 피부장벽 손상 전의 피부수분량 (Skin hydration before barrier disruption)
경피수분손실 회복율 (% Recovery of TEWL) = [1-(일정시간 경과후의 TEWL 측정값 - 피부장벽 손상 전의 TEWL 측정값) / (피부장벽 손상 직후의 TEWL 측정값) - 피부장벽 손상 전의 TEWL 측정값)] X 100
급성 피부장벽 손상 후 각질층 내 수분 함유량의 변화는 도 2에 나타내었으며, 급성 피부장벽 손상 후 경피수분손실 회복율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의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 1, 비교예 2에 비하여 각질층 내 수분 함유량의 회복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의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에, 비교예 1, 비교예 2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경피수분손실 회복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조 실시예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면개질 부기분체를 이용한 처방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예시된 처방은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사용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무기분체가 적용되는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제조 실시예 1: W/O 유화형 파운데이션
하기의 표 4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W/O 유화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분체 실시예 3의 표면개질분체 8%
Kaolin 5%
Titanium dioxide 7%
Yellow Iron oxide 2%
Black Iron oxide 0.15%
유상 Squalane 10%
Dimethicone 15%
수상 정제수 TO 100%
1,3-Butylene glycol 5%
Glycerin 5%
Methylparaben 적량
기타 Tocopheryl acetate 1%
향료 적량
먼저, 상기 표4의 수상을 70℃로 가열 교반 후 분체부를 첨가하여 호모믹서 처리하였다. 70℃로 가열된 유상을 가하고 다시 호모믹서로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 냉각 후에 40℃에서 향료를 가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 2: 유성타입 파운데이션
하기의 표 5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분체 실시예 1의 표면개질분체 TO 100%
Kaolin 15%
Titanium dioxide 15%
Red Iron oxide 1%
Yellow Iron oxide 3%
Black Iron oxide 0.2%
결합제 Paraffin wax 5%
Carnauba wax 10%
Microcrystalline wax 6%
Bees wax 5%
Squalene 5%
Isopropyl palmitate 15%
Isopropyl myristate 3%
산화방지제 Tocopheryl acetate 2%
착향제 향료 적량
상기 표 5의 결합제 및 산화방지제를 85℃에서 용해하고 충분히 혼합 분쇄된 분체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콜로이드밀에서 분쇄 분산하였다. 향료를 가하고 탈포한 후 용기에 넣고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 3: 볼연지
하기의 표 6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볼연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표면개질분체 TO 100%
Kaolin 9%
Zinc myristate 5%
안료 3%
Squalane 3%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상기 표 6의 향료와 스쿠알란 이외의 성분을 교반기에서 잘 혼합하고 나머지 성분을 분무하여 분쇄기에서 처리한 후 압축 성형하였다.
본 발명 표면개질 무기분체는 피부보호기능을 추가적으로 가지므로 그동안 색조화장품 사용이 곤란하였던 피부질환자들에게도 적용 가능한 화장료의 제조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 무기분체 제조를 위하여 사용한 지질 복합체를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적용하였을 때의 급성 피부장벽 손상 후 각질층 내 수분 함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적용하였을 때의 급성 피부장벽 손상 후 경피수분손실 회복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8)

  1. (i)하기 구조식 (I),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사세라마이드 5∼20중량%;
    (ii)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팔미테이트, 콜레스테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5∼10중량%;
    (iii)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 20∼40중량%; 및
    (iv)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 30∼50중량%로 구성되는 지질복합체에 의해 표면 코팅되어 제조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R3 및 R4는 각각 H, CH3, C2H5, C3H7, 또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6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또는 단당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I), (II)의 -NR3R4은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또는 -NHCH2CH2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과 (ii)의 중량비 합계가 10∼30%이고, 상기 (iii)과 (iv)의 중량비 합계가 7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복합체가 상기 표면개질된 화장료용 무기분체의 전체 중량에 대해 1∼7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5.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코팅하기 위한 지질복합체성분으로서 (i)하기 구조식 (I),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사세라마이드: (ii)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팔미테이트, 콜레스테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이빈스테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iii)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 (iv)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이 중량비로 5∼ 20:5∼10:20∼40:30∼50이 되도록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
    혼합과 코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질복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믹서에 화장료용 무기분체를 넣고 교반하면서 상기 용해된 지질복합체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제조방법.
    R1-COCHR2CONR3R4 (Ⅰ)
    R1-CH(OH)CHR2CONR3R4 (Ⅱ)
    (상기 식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22의 직쇄 혹은 분지형 알킬기, -NR3R4은 -NHCH2CH(OH)CH2OH, -NHCH(CH2OH)2, -NHCH2(CH(OH))4CH2OH, -NHC(CH3)(CH2OH)2, 또는 -NHCH2CH2OH 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과 (ii)의 중량합계와 상기 (iii)과 (iv)의 중량 합계가 10∼30:7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질복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무기분체를 코팅하는 단계가 40∼80℃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개질 무기분체를 1∼99%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23379A 2007-11-30 2007-11-30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10144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79A KR101446500B1 (ko) 2007-11-30 2007-11-30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79A KR101446500B1 (ko) 2007-11-30 2007-11-30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293A true KR20090056293A (ko) 2009-06-03
KR101446500B1 KR101446500B1 (ko) 2014-10-06

Family

ID=4098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379A KR101446500B1 (ko) 2007-11-30 2007-11-30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79A1 (ko) * 2013-02-19 2014-08-28 (주)네오팜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40142412A (ko) * 2013-06-03 2014-12-12 (주)네오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843277A (zh) * 2016-10-17 2019-06-04 株式会社新药 抗炎用组合物
CN109843278A (zh) * 2016-10-17 2019-06-04 株式会社新药 抗炎用组合物
CN113876601A (zh) * 2021-09-30 2022-01-04 宁波爱诗化妆品有限公司 一种化妆品用改性无定形磷酸三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905A1 (ko) * 2014-12-01 2016-06-09 (주)네오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433A (ko) * 1991-10-19 1993-05-20 최근선 화장료용 안료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34991A (ko) 1996-11-11 1998-08-05 안용찬 비천연세라미드 관련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100795686B1 (ko) * 2001-12-08 2008-01-21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표면 처리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040038133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태평양 토코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리놀레익산을 최적비로 혼합한유사각질지질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79A1 (ko) * 2013-02-19 2014-08-28 (주)네오팜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40142412A (ko) * 2013-06-03 2014-12-12 (주)네오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843277A (zh) * 2016-10-17 2019-06-04 株式会社新药 抗炎用组合物
CN109843278A (zh) * 2016-10-17 2019-06-04 株式会社新药 抗炎用组合物
CN109843277B (zh) * 2016-10-17 2022-08-02 株式会社新药 抗炎用组合物
CN113876601A (zh) * 2021-09-30 2022-01-04 宁波爱诗化妆品有限公司 一种化妆品用改性无定形磷酸三钙及其制备方法
CN113876601B (zh) * 2021-09-30 2023-09-29 宁波爱诗化妆品有限公司 一种化妆品用改性无定形磷酸三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500B1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8134A1 (en) Stable Vitamin C System
KR101838642B1 (ko)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WO2021109319A1 (zh) 一种具有高保湿功效的浴用润肤膏及其制备方法
KR101446500B1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102077644B1 (ko)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3635155B2 (ja) 化粧料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4104A (ko) 피부에 도포 후 메이크업층과 보습 및 윤기막의 이중층으로 분리되는 메이크업용 킷트 조성물
KR20110047374A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5553B1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147A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8240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2027B1 (ko) 바오밥 나무 열매 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JP2023552814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2023553098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