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193A -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193A
KR20090056193A KR1020070123242A KR20070123242A KR20090056193A KR 20090056193 A KR20090056193 A KR 20090056193A KR 1020070123242 A KR1020070123242 A KR 1020070123242A KR 20070123242 A KR20070123242 A KR 20070123242A KR 20090056193 A KR20090056193 A KR 20090056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external
forma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충환
서보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6193A/ko
Publication of KR2009005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유한 영상 데이터를 간단하게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데이터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거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영상 변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 메모리, 제 1 및 제 2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포멧

Description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소유한 영상 데이터를 간단하게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영상 표시장치로부터의 영상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각종 정보기기의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장치로 경량 박형의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구조적으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및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로 구성된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발광원리적으로 메모리 구동방식과 비메모리 구동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은 메모리 구동방식과 의미가 통하며,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은 비메모리 구동방식과 의미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과 메모리 구동방식은 프레임 단위의 주기로 발광하는 방식으로써 액정 표시장치, 플리즈마 표시패널, 발광 표시장치 등이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들은 그래픽 카드나 그래픽 드라이버 등의 미리 설정된 그래픽 시스템을 통해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공급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공하는 영상들을 표시하기에는 불편함이 많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장치 등의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을 액정 표시장치 등의 평판 표시장치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그래픽 시스템이 구비된 인터페이스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아울러, 반대의 경우 즉, 표시되는 영상들을 사용자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서도 인터페이스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해야만 가능하다. 특히, 인터페이스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은 고가의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용부담을 감수해야 할 뿐더러 조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영상의 관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영상 데이터를 간단하게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거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영상 변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통해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지만, 상기 영상 변환부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공급을 중지하고, 상기 영상 변환부로 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는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의 자체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외부 데이터의 포멧을 판별하여 영상 판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판별부,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데이터 변환부, 상기 1차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프레임 메모리에 공급하는 제 1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포멧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공급받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포멧과 함께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옵셋신호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중 어느 한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이며, 상기 제 2 옵셋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 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포멧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포멧으로 영상 데이터를 순차 변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를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버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를 통해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포멧이 변환된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공급을 중지하고, 상기 포멧이 변환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는 단계는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의 자체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데이터의 포멧을 판별하여 영상 판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출력하는 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의 변환 단계는 상기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포멧과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포멧에 따라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옵셋신호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중 어느 한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이며, 상기 제 2 옵셋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사용자가 소유한 영상 데이터를 간단하게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영상 표시장치 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비용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간편하게 소유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표시 영상을 외장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의 관리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2);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4);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6);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함과 아울러 데이터 드라이버(4)와 게이트 드라이버(6)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8);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외장 메모리(12)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Idata)를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8)에 공급하거나,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 정렬된 영상 데이터(Data)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장 메모리(12)로 전송하는 영상 변환부(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패널(2)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의해 정의되는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및 TFT와 접속된 액정 커패시터(Clc)를 구비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TFT와 접속된 화소전극, 화소전극과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공통전극으로 구성된다. TFT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으로부터의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각각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화소전극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와 공통전극에 공급된 공통전압의 차전압을 충전하고, 그 차전압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가변시켜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한다. 그리고 액정 커패시터(Clc)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병렬로 접속되어 액정 커패시터(Clc)에 충전된 전압이 다음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까지 유지되게 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전극이 이전 게이트 라인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전극이 스토리지 라인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데이터 드라이버(4)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각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스캔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 주기마다 1수평 라인분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각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 공급한다. 즉, 데이터 드라이버(4)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계조값에 따라 소정 레벨을 가지는 감마전압을 선택하고 선택된 감마전압을 각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6)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 중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게이트 신호 즉, 스캔펄스를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게이트 신호의 전압을 각 화소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쉬프트 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드라이버(6)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매 프레임마다 스캔펄스를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8)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RGB) 즉, 외부의 그래픽 시스템(미도시) 또는 영상 변환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외부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하지만, 영상 변환부(10)로부터 영상 데이터(RGB)가 입력되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RGB) 수신을 중지한다. 그리고, 영상 변환부(10)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동기신호들(DCLK,DE,Hsync,Vsync)을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와 게이트 드라이버(6)를 제어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메모리를 구비하여 정렬된 영상 데이터(Data)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메모리는 타이밍 컨트롤러(8)에 내장될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8)의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영상 변환부(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외장 메모리(12)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Idata)를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8)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 정렬된 영상 데이터(Data)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장 메모리(12)로 전송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영상 변환부(10)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 입력되는 동기신호들(DCLK,DE,Hsync,Vsync)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공급받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와 영상 변환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영상 변환부(10)는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 28)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를 수신하여 외부 데이터(Idata)의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는 데이터 수신부(21), 데이터 수신부(21)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의 포멧을 판별하여 영상 판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I'data)를 출력하는 영상 판별부(22),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I'data)를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RGB')로 변환하는 제 1 데이터 변환부(23), 제 1 데이터 변환부(23)로부터의 1차 영상 데이터(RGB')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RGB)를 타이밍 컨트롤러(8)의 프레임 메모리(18)에 공급하는 제 1 메모리(24),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 정렬된 영상 데이터(Data)를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제 2 메모리(25), 사용자로부 터의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제 2 메모리(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Data')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F'data)로 변환하는 제 2 데이터 변환부(26), 및 제 2 데이터 변환부(26)로부터의 데이터(F'data)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USB 포트(28)를 통해 외장 메모리(12)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27)를 구비한다.
데이터 수신부(21)는 USB 포트(28)를 통해 외장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외부 데이터(Idata)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를 영상의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판별부(22)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데이터 수신부(21)에는 인터페이스부, 래치부, 쉬프트 래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부(21)는 외부 데이터(Idata)를 순차적으로 래치시켜서 메모리에 정렬한 다음 순차적으로 영상 판별부(22)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는 IEEE1284 내지 IEEE1394 규격을 만족하고, 동영상 데이터의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규격 변환이 가능하다.
영상 판별부(22)는 데이터 수신부(21)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의 포멧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판별부(22)는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의 헤더파일(header file)이나 확장자 등을 읽어들임으로써 외부 데이터(Idata)의 포멧을 판별한다. 이때, 영상 판별부(22)로부터 판별되는 포멧은 정지영상의 경우 bmp(Bitmap), jpg(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pcx, tif(tiff), raw,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동 영상의 경우 avi(Audio Video Interleaved), mpg, wmv, asf, wma, vob, rmvb, quick time, dvmci(digital video media control interface) 등의 포멧이 판별될 수 있다. 영상 판별부(22)는 상기의 영상 포멧을 각각 3비트(3bit) 또는 4비트의 영상 판별신호로 설정하고, 외부 데이터(Idata)에 상기 설정된 영상 판별신호를 포함시켜서 제 1 데이터 변환부(23)에 공급한다. 한편, 제 1 데이터 변환부(23)에는 사용자가 직접 영상 판별신호를 제 2 옵셋신호(Offset2)로 입력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영상 판별부(22)는 영상 판별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영상 판별부(22)가 구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 1 데이터 변환부(2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I'data)를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RGB')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 1 옵셋신호(Offset1)는 외부 데이터(Idata)를 액정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동작, 및 액정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Data)를 외장 메모리(12)에 저장하는 동작 중 어느 한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이러한, 제 1 옵셋신호(Offset1)는 1비트 또는 2비트로 입력되는데 예를 들어, 2비트의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10"으로 입력되면 제 1 데이터 변환부(23)는 데이터 수신부(21) 및 영상 판별부(22)를 통해 외부 데이터 외부 데이터(I'data)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인다. 그리고,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RGB')로 변환한다. 만일, 제 1 데이터 변환부(23)에 "00", "01", 및 "1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1 데이터 변환부(23)의 동작은 중지된다.
제 1 메모리(24)는 제 1 데이터 변환부(23)로부터 변환된 1차 영상 데이터(RGB')를 프레임 단위로 순차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RGB)를 타이밍 컨트롤러(8)의 프레임 메모리(18)에 공급한다. 이러한, 제 1 메모리(24)와 타이밍 컨트롤러(8) 간에는 영상 데이터(RGB)의 통신을 위해 데이터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제 1 메모리(24)의 역할을 프레임 메모리(18)가 대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 1 메모리(24)가 구비되지 않고 제 1 데이터 변환부(23)로부터 변환된 1차 영상 데이터(RGB')가 바로 프레임 메모리(18)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메모리(25)는 타이밍 컨트롤러(8)에서 정렬되어 프레임 메모리(18)를 통해 데이터 드라이버(4)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Data)를 동시에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데이터(RGB)가 공급되면 이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메모리(25)는 데이터 드라이버(4)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Data)를 동시에 공급받는다. 그리고, 공급받은 영상 데이터(Data')를 프레임 단위로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다시 공급한다. 물론, 이는 제 1 데이터 변환부(23)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의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01"로 입력되어 제 2 데이터 변환부(26)가 구동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한편, 제 2 메모리(25)의 역할을 프레임 메모리(18)가 대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 2 메모리(25)가 구비되지 않고 프레임 메모리(18)로부터의 영상 데이터(Data)가 바로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메모리(25)의 역할을 제 1 메모리(24)가 대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메모리(24,25) 중 어느 하나만 구 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메모리(24,25)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에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헤더파일이나 확장자 등의 영상 포멧들이 저장되어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영상 포멧으로는 정지영상의 경우 bmp, jpg, pcx, tif, raw, gif 등이 될 수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avi, mpg, wmv, asf, wma, vob, rmvb, quick time, dvmci 등이 될 수 있다.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Offset1,2)에 따라 제 2 메모리(25)로부터의 영상 데이터(Data')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F'data)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제 1 옵셋신호(Offaet1)가 "01"로 입력되고, 제 2 옵셋신호(Offset2)가 동영상 포멧인 avi를 의미하는 "010"으로 입력되면,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제 2 메모리(25)로부터 avi 포멧과 영상 데이터(Data')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읽어들인 영상 데이터(Data')를 avi 포멧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avi 포멧의 데이터(F'data)로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옵셋신호(Offset2)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로써 3비트 내지 4비트의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옵셋신호(Offset2)가 "000"으로 입력되는 경우,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bmp 포멧을 읽어들여 bmp 포멧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 2 옵셋신호(Offset2)가 "001"로 입력되는 경우,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jpg 포멧을 읽어들여 jpg 포멧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00", "10", 및 "1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2 데이터 변환부(26)의 동작은 중지된다.
데이터 송신부(27)는 제 2 데이터 변환부(26)로부터 변환된 데이터(F'data)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한 다음, USB 포트(28)를 통해 외장 메모리(12)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송신부(27)에는 인터페이스부, 래치부, 쉬프트 래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송신부(27)는 변환된 데이터(F'data)를 순차적으로 래치시켜서 메모리에 정렬한 다음 순차적으로 외장 메모리(12)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송신부(27)의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 수신부(21)의 인터페이스부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외장 메모리(12)는 휴대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변환부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부의 구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변환부(10)는 외장 메모리(12)의 접속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12)가 USB 포트(28)에 접속되면 제 1 옵셋신호(Offset1)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 변환부(10)는 외장 메모리(12)가 USB 포트(28)에 접속되어도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입력되지 않으면 동작되지 않는다. 하지만, 외장 메모리(12)가 USB 포트(28)에 접속되고,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입력되면 제 1 옵셋신호(Offset1)에 따라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1).
제 1 옵셋신호(Offset1)는 2비트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비트의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00", "11"로 입력되면 영상 변환부(10)의 동작은 중지된다. 그리고, "01"로 입력되면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장 메모리(12)에 저장하고, "10"으로 입력되면 외장 메모리(12)의 저장 데이터(Idata)를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먼저,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10"으로 입력된 경우 즉, 외장 메모리(12)의 저장 데이터(Idata)를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의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영상 변환부(10)에 입력되면 데이터 수신부(21)는 USB 포트(28)를 통해 외장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외부 데이터(Idata)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를 영상의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판별부(22)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영상 판별부(22)는 데이터 수신부(21)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Idata)의 포멧을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영상 판별신호를 포함시켜서 외부 데이터(I'data)를 제 1 데이터 변환부(23)에 공급한다(S22).
제 1 데이터 변환부(23)는 상기의 영상 판별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옵셋신호(Offset2)를 판별하여 외부 데이터(Idata)의 변환 여부를 판단한다(S23). 그리고, 제 1 데이터 변환부(23)는 영상 판별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옵셋신호(Offset2)에 따라 외부 데이터(I'data)를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RGB')로 변환한다(S24).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 등의 영상 표시장치에 공급되는 영상의 포멧은 미리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외부 데이터(Idata)의 경우 포멧 종류에는 상관없이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 포멧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판별부(22)는 필요에 따라서만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데이터(I'data)의 포멧를 판별하는 단계나 외부 데이터(Idata)의 변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는 필요에 따라서만 수행해도 무방하다.
이 후, 제 1 메모리(24)는 제 1 데이터 변환부(23)로부터 변환된 1차 영상 데이터(RGB')를 프레임 단위로 순차 저장한다(S25). 그리고,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RGB)를 타이밍 컨트롤러(8)의 프레임 메모리(18)에 공급한다(S26).
타이밍 컨트롤러(8)는 프레임 메모리(18)에 공급된 영상 데이터(RGB)를 액정패널(2)의 구동에 알맞게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데이터 드라이버(4)에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액정패널(2) 등의 표시패널에 외부 데이터(Idata)가 표시되도록 한다(S27). 여기서, 타이밍 컨트롤러(8)는 프레임 메모리(18)에 공급된 영상 데이터(RGB)를 바로 데이터 드라이버(4)에 순차 공급함으로써 표시패널에 외부 데이터(Idata)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12)의 외부 데이터(Idata)가 액정패널(2) 등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동작은 외장 메모리(12)가 탈착되거나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00","11" 또는 "01"로 입력될 때까지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01"로 입력된 경우 즉,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장 메모리(12)에 저장하는 구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01"로 영상 변환부(10)에 입력되면 제 2 메모리(25)는 타이밍 컨트롤러(8)의 프레임 메모리(18)를 통해 데이터 드라이버(4)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Data)를 동시에 공급받는다. 그리고, 공급받은 영상 데이터(Data')를 프레임 단위로 제 2 데이터 변환부(26)로 출력한다(S12). 여기서, 제 2 메모리(25)의 역할은 프레임 메모리(18)가 대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 2 메모리(25)가 구비되지 않고 프레임 메모리(18)로부터의 영상 데이터(Data)가 바로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메모리(25)의 역할을 제 1 메모리(24)가 대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메모리(24,25)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옵셋신호(Offset2)를판별하여 제 2 옵셋신호(Offset2)에 따라 제 2 메모리(25)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을 읽어들인다(S13).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제 2 메모리(25)로부터의 영상 데이터(Data')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F'data)로 변환한다(S14). 예를 들어,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제 2 옵셋신호(Offset2)가 avi를 의미하는 "010"으로 입력되면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제 2 메모리(25)로부터 avi 포멧과 영상 데이터(Data')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읽어들인 영상 데이터(Data')를 avi 포멧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avi 포멧의 데이터(F'data)로 변환한다. 만일, 제 2 옵셋신호(Offset2)가 "000"으로 입력되는 경우,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bmp 포멧을 읽어들여 bmp 포멧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 2 옵셋신호(Offset2)가 "001"로 입력되는 경우, 제 2 데이터 변환부(26)는 jpg 포멧을 읽어들여 jpg 포멧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송신부(27)는 제 2 데이터 변환부(26)로부터 변환된 데이터(F'data)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한다(S15). 그리고, 데이터 송신부(27)는 변환된 데이터(F'data)를 USB 포트(28)를 통해 외장 메모리(12)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16).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신부(27)는 변환된 데이터(F'data)를 순차적으로 래치시켜서 메모리에 정렬한 다음 순차적으로 외장 메모리(12)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포멧으로 변환하여 외장 메모리(12)에 저장하는 동작은 제 2 데이터 변환부(26)에 제 1 옵셋신호(Offset1)가 "00", "10", 및 "11"로 입력되면 중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영상 변환부(10)는 액정 표시장치에 구비된 경우만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액정 표시장치 외에도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영상 데이터 전송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가 구비된 표시장치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장치 외에도 발광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패널, 및 전계방출 표시장치 등의 영상 표시장치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와 영상 변환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변환부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 액정패널 4 : 데이터 드라이버
6 : 게이트 드라이버 8 : 타이밍 컨트롤러
10 : 영상 변환부 12 : 외장 메모리
21 : 데이터 수신부 22 : 영상 판별부
23 : 제 1 데이터 변환부 24 : 제 1 메모리
25 : 제 2 메모리 26 : 제 2 데이터 변환부
27 : 데이터 송신부 28 : 외장 메모리

Claims (1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여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거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영상 변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통해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지만, 상기 영상 변환부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공급을 중지하고, 상기 영상 변환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의 자체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외부 데이터의 포멧을 판별하여 영상 판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판별부,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데이터 변환부,
    상기 1차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프레임 메모리에 공급하는 제 1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데이터 포멧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공급받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포멧과 함께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2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옵셋신호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중 어느 한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이며,
    상기 제 2 옵셋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포멧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포멧으로 영상 데이터를 순차 변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를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정렬하 여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포멧에 알맞게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를 통해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포멧이 변환된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공급을 중지하고, 상기 포멧이 변환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공급하는 단계는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의 자체 크기에 맞게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데이터의 포멧을 판별하여 영상 판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출력하는 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판별신호가 포함된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의 구동에 알맞게 1차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의 변환 단계는
    상기 제 2 옵셋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포멧과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포멧에 따라 상기 정렬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외장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옵셋신호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패널에 표 시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중 어느 한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이며,
    상기 제 2 옵셋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포멧의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70123242A 2007-11-30 2007-11-30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90056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42A KR20090056193A (ko) 2007-11-30 2007-11-30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42A KR20090056193A (ko) 2007-11-30 2007-11-30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193A true KR20090056193A (ko) 2009-06-03

Family

ID=4098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242A KR20090056193A (ko) 2007-11-30 2007-11-30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1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485A (ko) * 2014-05-21 2015-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485A (ko) * 2014-05-21 2015-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270667B2 (en) 2014-05-21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869458B2 (en) 2014-05-21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4423B (zh) 控制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亮度的设备和方法
US8184114B2 (en) Multi-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518600B2 (en) Connector and apparatus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84771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US8810479B2 (en) Multi-panel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align multiple flat panel display devices for representing a single imag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TWI540562B (zh) 液晶顯示裝置
US8421779B2 (en) Display and method thereof for signal transmission
TWI424418B (zh) 色序顯示器與相關省電方法
US200702294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30707B (zh) 液晶顯示器及其源極驅動裝置與面板的驅動方法
CN102103841B (zh) 液晶显示设备及其视频处理方法
US7777706B2 (en) Impuls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evice
CN112397003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90874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1488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0814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56193A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97340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54786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60375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20111643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127857B1 (ko) 화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80084152A (ko) 액정표시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494149B1 (ko) 데이터 구동 회로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0385953B1 (ko) 프레임 메모리를 내장하는 tft-lcd의 구동 ic 및구동 ic에서의 데이터 동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