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978A -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978A
KR20090053978A KR1020070120597A KR20070120597A KR20090053978A KR 20090053978 A KR20090053978 A KR 20090053978A KR 1020070120597 A KR1020070120597 A KR 1020070120597A KR 20070120597 A KR20070120597 A KR 20070120597A KR 20090053978 A KR20090053978 A KR 2009005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terminal
content
network devic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르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르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르네코
Priority to KR102007012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3978A/ko
Publication of KR2009005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1/3025Domain name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홈네트워크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홈서버에 할당된 IP 주소의 변경을 감지하고, 외부 DNS 서버에 상기 홈서버의 IP 주소를 최신의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주소관리부; 홈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집한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단말기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단말기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주소관리부, 저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홈네트워크, DLNA, 컨텐츠

Description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for contents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홈네트워크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기술이란 가정 내의 정보가전 기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다양한 고품질의 홈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 가정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종류로는 인터넷TV(IPTV), 주문형 비디오(VoD) 등과 같은 홈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콘텐츠, 데이터 공유, 인터넷 전화(VoIP) 및 영상전화 등과 같은 홈데이터통신 서비스, 가전기기의 원격제어, 원격검침, 방범, 방재 등과 같은 홈오토메이션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들은 디지털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되므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홈 서비스라 일컬어진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며, 사용자는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다양한 기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 프레임워크 중에서 가정 내 AV 미디어 장치 및 네트워킹, 기기 간 미디어 전송방식, 콘텐츠 공유, 미디어 포맷에 대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구로서, 디지털리빙네트워크연합(DLNA :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있다.
DLNA는 디지털화된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각기 다른 AV 미디어 디바이스 간에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UPnP AV 구조 기반의 디지털 홈 네트워크 플랫폼, 미디어 포맷, 콘텐츠 보호 방식 및 미디어 장치들 간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표준을 제시한다.
현재, 가이드라인 표준으로서 2004년도에 "Home Networked Device Interoperability Guidelines v1.0"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이 권고안에서는 PC 및 다양한 가전 기기가 디지털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코어 조건과 이의 구현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 권고안은 기존 PC 및 인터넷 표준에서 상당 부분을 유추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유무선 이더넷, 인터넷 프로토콜, 범용 플러그앤플레이 소프트웨어, 기본적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형식(JPEG, LPCM, MPEG-2) 등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권고안은 디지털 홈 내부에서의 네트워크 및 미디어 장치 그리고 미디어 컨텐츠 간의 상호운용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외부 단말과 가정 내의 기기 간의 전송 방식 및 가정 내에서 외부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에 대한 표준화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가 홈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외부 단말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댁내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의 저장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홈서버에 할당된 IP 주소의 변경을 감지하고, 외부 DNS 서버에 상기 홈서버의 IP 주소를 최신의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주소관리부; 홈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집한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단말기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단말기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주소관리부, 저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서버에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 워크 장치의 검색을 요청하고,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수신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저장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경로 설정부;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집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상기 수집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 경로 설정부, 수집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서버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호스트네임을 DNS 서버에 등록하는 제 1단계; 상기 DNS 서버에 등록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요청받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받고, 해당하는 홈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요청한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아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서버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호스트네임을 DNS 서버에 등록하는 제 1단계; 상기 DNS 서버에 등록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홈네트워크 장치 검색을 요청받고,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요청받고,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전송받아 경로를 설정한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상 기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제 4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종료요청을 받고, 이를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홈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받고, 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통신부는 컨텐츠 리스트의 저장위치 정보를 공인 IP주소 및 포트로 변환한 후, 변환한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는 장치의 IP 주소, 저장용량 및 저장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외부 단말기로 홈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망을 통해 홈네트워크에 있는 컨텐츠의 목록을 검색하고,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홈네트워크의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댁내에서 재생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의 저장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LNA 시스템(100), 단말기(200), DNS 서버(300)로 구성되며, DLNA 시스템(100)은 홈서버(110), DMP(120), DMS(130), DMP(140)를 포함한다.
DMP(Digital Media Player)(120, 140)는 MRD(Media Renderer Device) 및 MRCP(Media Renderer Control Point)의 기능, 즉, 미디어의 선택, 제어 및 선택된 미디어를 플레이해 주는 역할을 하고, DMS(Digital Media Server)(130)는 UPnp(Universal Plug & Play) AV 스펙에서 멀티미디어 서버 디바이스(Media Server Device)의 기능, 즉, 미디어를 제공하는 서버 역할을 한다.
DLNA 시스템(100)은 댁내 장치들 간의 컨텐츠를 공유하며, 인터넷을 통해 외부 단말기(200)와도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DLNA 시스템(10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DMS(130)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DMP(120, 140)를 포함하고, DMS(130)와 DMP(120, 140)는 유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제어하는 것은 홈서버(100)이다. 홈서버(100)는 홈게이트웨이를 겸할 수 있으며, DMP(120, 140)는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MS(130)는 PC 등을 나타내며, DMP(120, 140)는 AV 기기 등을 나타낸다.
DLNA 시스템(100)과 인터넷 간의 통신은 IPv4, IPv6를 이용하고, 단말기(200)는 인터넷을 통해 DLNA 시스템(100)에 연결된다. DLNA 시스템(100)은 홈서버(110), DMP(120, 140) 및 DMS(130)을 포함하는 사설 IP 기반의 홈네트워크로, 홈서버(110)는 홈네트워크와 인터넷과의 연동을 위하여, 홈외부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하나의 공인 IP를 할당받는다. 이때, 홈서버(110)가 ISP로부터 할당받는 공인 IP는 고정형일 수도 있고, DHCP를 이용한 동적 주소일 수도 있다.
또한, DNS(Domain Name System) 서버(300)는 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로, 계층적 이름 구조를 갖는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망을 통하여 연결된 단말기(200)는 DNS 서버(300)에 질의하면 홈서버(110)의 호스트네임을 이용하여 현재 할당된 홈서버(110)의 IP주소를 얻을 수 있다.
DMS(130) 및 DMP(120, 140)는 홈서버(110)와의 DHCP 통신을 통하여 동적으로 사설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DLNA 시스템(100)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장치들 간(DMS(130), DMP(120, 140))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DMS(130)에 저장된 AV 컨텐츠를 DMP(120, 140)에서 자유롭게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단말기(200)가 수집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DLNA 시스템(100)에 연결된 장치(DMS(11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200)는 인터넷을 통해 DLNA 시스템(100)에 연결된 장치들을 검색하고, 그 장치로부터 전달된 장치정보 중 저장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경로를 설정한 후 그 경로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DMS(110))에 단말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면, DMP(120, 140)는 DMS(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마치 로컬에 저장된 데이터처럼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소관리부(112), 통신부(114), 저장부(116), 제어부(118)를 포함한다.
주소관리부(112)는 홈서버(110)에 할당된 IP주소의 변경을 감지하고, 외부 DNS 서버에 홈서버(110)의 IP주소를 최신의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4)는 외부 단말기 또는 홈네트워크의 장치(DMP, DMS)와 통신하기 위한 곳으로,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요청받고, 제어부(118)를 통해 리스트를 제공하며, 단말기가 선택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통신부(114)는 컨텐츠 리스트의 저장위치 정보를 공인 IP주소 및 포트로 변환한 후, 변환한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사설 IP기반의 DMS 또는 DMP와 공인 IP 기반의 단말기 간에 포트포워딩을 설정하여, 컨텐츠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기 위하여 장치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118)에 전달하고, 그에 대응하는 응답을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한다.
저장부(116)는 단말기로부터 컨텐츠의 리스트 요청이 있을 경우, DMS, DMP를 통해 전송받은 리스트를 저장하고, 저장한 리스트를 통신부(114)를 통해 전송한다. 단말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홈네트워크 장치의 경로를 저장함으로써, 단말기 데이터의 저장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18)는 주소관리부(112), 통신부(114), 저장부(116)를 제어하는 곳으로,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리스트 또는 장치 검색을 요청받으면 이에 대응하는 것을 처리하고, 단말기로 응답을 전송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경로 설정부(210), 통신부(220), 수집부(230), 표시부(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경로 설정부(210)는 단말기의 저장경로를 설정하는 곳으로, 통신부(220)를 통해 DLNA 시스템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받고,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경로 설정부(210)는 제어부(250)로부터 장치의 주소(IP 주소)정보, 저장용량(MByte 단위) 및 저장경로(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저장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통신부(220)는 홈서버와 통신하는 곳으로, DLNA 시스템의 장치 검색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으며, 수집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홈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홈네트워크의 컨텐츠 또는 리스트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는다.
수집부(230)는 단말기(200)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단말기(200)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영상, 이미지, 오디오 등의 데이터를 홈서버에 저장하도록 한다.
표시부(240)는 홈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곳으로, 컨텐츠뿐만 아니라,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서 리스트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200)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경로 설정부(210), 통신부(220), 수집부(230), 표시부(240)를 제어하는 곳으로, 표시부(240)로부터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워크의 장치 검색 요청을 통신부(220)로 전송하고, 수집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부(2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받은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워크의 장치 정보를 표시부(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경로 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홈서버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한 자신의 호스트네임을 DNS 서버에 등록한다(S410). 이후에 단말기는 홈네트워크의 컨텐츠 리스트 요청을 하기 위해 DNS 서버로부터 홈서버의 호스트네임을 이용하여 IP 주소를 검색하고(S420), IP 주소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 검색을 요청한다(S430).
홈서버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요청받으면, 장치(DMS, DMP)들로부터 리스트를 수집하고,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S440). 리스트를 전송받은 단말기는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S450), 홈서버는 컨텐츠의 해당하는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며(S460), 장치는 단말기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홈서버에 전송하고(S470), 홈서버는 이를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S480), 단말기는 홈네트워크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말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홈네트워크의 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홈서버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한 자신의 호스트네임을 DNS 서버에 등록한다(S505). 이후에 단말기는 홈네트워크의 컨텐츠 리스트 요청을 하기 위해 DNS 서버로부터 홈서버의 호스트네임을 이용하여 IP 주소를 검색한다(S510).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DMS)의 검색을 요청하고(S515), 홈서버는 이에 대응하는 장치를 단말기에 전송한다(S520). 단말기는 검색된 장치의 정보를 요청하고(S525), 홈서버는 장치의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한다(S530). 이때, 장치의 정보는 사용가능한 장치의 주소(IP 주소), 저장 용량(Mbyte 단위) 및 저장경로(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설정한 후(S535),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홈서버와의 세션을 연결한다(S540). 단말기와 홈서버가 연결되면, 단말기는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를 홈서버로 전송하고(S545), 홈서버는 단말기에서 설정한 경로에 해당하는 장치(DMS)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550). 상기 경로는 네트워크 주소(IP 주소) 및 저장 경로를 포함하며,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로 인식되었다가, 홈서버의 통신부에서 사설 IP주소로 변환하도록 한다.
단말기로부터 종료 요청이 전달되면(S555), 이를 장치(DMS)에 전송하여 더이상 전송될 데이터가 없음을 알려주고(S560), 장치(DMS)는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홈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종료되었음을 나타낸다(S565). 홈서버는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완료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었다고 알려준다(S570). 이런 과정으로 통해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는 홈네트워크에 저장하고, 홈네트워크에 저장된 데이터는 DMS 또는 DMP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DLNA 시스템 110 : 홈서버
112 : 주소관리부 114 : 통신부
116 : 저장부 118 : 제어부
120, 140 : DMP 130 : DMS
200 : 단말기 210 : 경로설정부
220 : 통신부 230 : 수집부
240 : 표시부 250 : 제어부
300 : DNS 서버

Claims (16)

  1.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홈서버에 할당된 IP 주소의 변경을 감지하고, 외부 DNS 서버에 상기 홈서버의 IP 주소를 최신의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주소관리부;
    홈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집한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단말기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단말기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주소관리부, 저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는 DMP 또는 DMS를 나타내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MP 또는 DMS는 상기 홈서버와의 DHCP 통신을 통하여 사설 IP주소를 할당받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경로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IP 주소 및 저장경로를 나타내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컨텐츠 리스트의 저장위치 정보를 공인 IP주소 및 포트로 변환한 후, 변환한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6.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에 있어서,
    홈서버에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검색을 요청하고,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수신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저장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경로 설정부;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집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또는 상기 수집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 경로 설정부, 수집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는 장치의 IP 주소, 저장용량 및 저장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영상,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
  9.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에 있어서,
    홈서버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호스트네임을 DNS 서버에 등록하는 제 1단계;
    상기 DNS 서버에 등록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요청받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받고, 해당하는 홈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요청한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아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는 DMP 또는 DMS를 나타내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사설 IP기반의 상기 DMP 또는 DMS와 공인 IP 기반의 단말기 간에 포트포워딩을 설정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방법.
  12.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홈서버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호스트네임을 DNS 서버에 등록하는 제 1단계;
    상기 DNS 서버에 등록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홈네트워크 장치 검색을 요청받고,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요청받고,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전송받아 경로를 설정한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제 4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종료요청을 받고, 이를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홈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받고, 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는 DMS를 나타내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는 장치의 IP 주소, 저장용량 및 저장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경로 설정은 홈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및 저장 경로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단말기의 데이터를 홈네트워크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KR1020070120597A 2007-11-26 2007-11-26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3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597A KR20090053978A (ko) 2007-11-26 2007-11-26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597A KR20090053978A (ko) 2007-11-26 2007-11-26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978A true KR20090053978A (ko) 2009-05-29

Family

ID=4086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597A KR20090053978A (ko) 2007-11-26 2007-11-26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39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159A2 (en) * 2009-08-10 201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KR20120066915A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의 장치에 대한 원격 접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060103A (zh) * 2015-04-03 2016-10-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KR102294259B1 (ko) * 2020-11-17 2021-08-25 임종준 Lan 영역에서 하나의 랜선을 객실로 인입시켜 객실 내 iptv와 노하드 컴퓨터를 결선시키는 네트워크 결선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159A2 (en) * 2009-08-10 201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WO2011019159A3 (en) * 2009-08-10 201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US9179289B2 (en) 2009-08-10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KR20120066915A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의 장치에 대한 원격 접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893909B2 (en) 2010-12-15 2018-02-13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remote access device to access remote access target device within home network
CN106060103A (zh) * 2015-04-03 2016-10-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KR102294259B1 (ko) * 2020-11-17 2021-08-25 임종준 Lan 영역에서 하나의 랜선을 객실로 인입시켜 객실 내 iptv와 노하드 컴퓨터를 결선시키는 네트워크 결선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962B1 (ko)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5032B1 (ko) 홈 네트워크에 통합하기 위한 모듈
KR10079686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461593B1 (ko) 통신망을 통한 원격제어서비스 제공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1212384B (zh) 实现家庭网络互联的方法、系统及设备
EP1193912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in IP-based network system
US20020040397A1 (en) IP based network system and networking method thereof
KR100662509B1 (ko) 댁내 미디어 컨텐츠 원격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재생 단말과그 방법
JP4726190B2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ddnsサーバ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CN101867508B (zh) 实现家庭网络互联的方法、系统及设备
JP200235396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ゲートウェイ
KR20090053978A (ko) 홈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원격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122399B2 (ja) 中継装置、および通信制御装置
JP514221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004344A (ja) リモートアクセスを行う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744473B1 (ko) Dlna 네트워크의 dms에서 디바이스 들의 rs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9284456A5 (ko)
JP2005244275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20060066385A (ko) 홈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포맷 및 전송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US9112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LNA network information
EP2537099B1 (en) Network node for detecting a communication device
KR20140086358A (ko)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방법
US20080228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Address of a Gate Device of a Local Network
JP4680172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5235175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