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936A -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936A
KR20090053936A KR20097006515A KR20097006515A KR20090053936A KR 20090053936 A KR20090053936 A KR 20090053936A KR 20097006515 A KR20097006515 A KR 20097006515A KR 20097006515 A KR20097006515 A KR 20097006515A KR 20090053936 A KR20090053936 A KR 2009005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unnels
sgs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0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458B1 (ko
Inventor
유스께 다까노
도시유끼 다무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4Shortest path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2Wavelength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2Route determination based on requeste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동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기에 접속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는 복수의 터널들을 구축하고 요구에 따라 복수의 터널들을 스위칭한다. 이동 관리 장치는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게이트웨이 장치로 송신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스위칭 요구 신호, GTP 터널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단말기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개의 단말기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GGSN(Gateway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95),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94), RNC(Radio Network Controller)(93) 및 기지국(92)을 갖고 있다. GGSN(95) 및 SGSN(94)은 코어 네트워크에 속하고, RNC(93) 및 기지국(92)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속한다.
GGSN(95)은 2개의 서비스 네트워크(96, 97)에 접속된, 이동 통신 시스템과 서비스 네트워크들(96, 97) 사이의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서비스 네트워크들(96, 97)은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SGSN(94)은 GPR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드 장치이며, 단말기(91)에 접속된 RNC(92)에 접속하며, 또한 SGSN(94)과 GGSN(95) 사이에 터널들(98, 99)을 구축하여 단말기(91)가 서비스 네트워크들(96, 97)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RNC(93)는 기지국(9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며, 통상적으로는 복수의 기지국들(92)을 제어한다. RNC(93)는 그 자체와 코어 네트워크 및 단말기(91)의 쌍방 사이에서 호처리(call processing)를 실행함으로써 호를 설정한다.
기지국(92)은 단말기(91)와 무선으로 접속하고, 단말기(91)로부터의 통신을 중계한다.
도 1의 상태에서는, 단말기(91)는 서비스 네트워크들(96, 97)의 쌍방으로부터 접속 서비스를 받고 있다. 이 때, 단말기(91)의 접속을 위하여, SGSN(94)과 GGSN(95) 사이에 서비스 네트워크들(96, 97)로의 접속을 위하여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들(98, 99)이 각각 구축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91)가 이동해서 SGSN(94)에 변경이 생겼을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명료함을 위해 기지국이 생략되었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91)는 기지국(92)(도시 생략)을 통해 RNC(93)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91)가 이동원(source) RNC(931)에서 이동처(destination) RNC(932)로 이동하였다. 이 때, 단말기(91)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112)가 이동된 단말기(91) 또는 이동처 RNC(932)로부터 신(new) SGSN(942)에 전송된다.
그 후에, 신 SGSN(942)은 서비스 네트워크(96)에 대한 GTP 터널(98)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요구 신호(113)와, 서비스 네트워크(97)에 대한 GTP 터널(99)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요구 신호(114)를 GGSN(95)에 전송한다.
GGSN(95)은 2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들(113, 114)을 수신하여, 각각의 GTP 터널들(98, 99)을 구(old) SGSN(941)으로부터 신 SGSN(942)으로 스위칭한다.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서비스 네트워크들(96, 97)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91)가 이동했을 때, 이동처 RNC(932)를 수용하는 신 SGSN(942)은 1개의 단말기(91)의 1회의 이동을 위해 동일한 GGSN(95)에 대하여 2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동일한 단말기(91)에 대한 터널들을 스위칭하기 위하여 동일한 GGSN(95)에 대한 요구를 만들기 위해서, 각각의 터널에 대해 복수의 스위칭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큰 낭비이다.
또한,각각의 터널에 대해 각각의 요구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요구 신호들 중 하나가 소실되면 상태 불일치(status conflict)가 발생할 것이다. 이 경우에, 그러한 상태 불일치가 고려되는 시스템 설계가 요구되어 장치의 기능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이동과 연관된 터널 스위칭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는 복수의 터널들을 구축하고, 요구되는 복수의 터널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collectively)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은,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는 복수의 터널들을 구축하는 단계;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1개의 단말기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가 이동해서 SGSN에 변경이 생겼을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가 이동했을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터널 스위칭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신 SGSN(42)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가 이동했을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 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단말기가 이동했을 때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단말기가 이동했을 때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단말기가 이동했을 때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모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는 1개의 단말기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GGSN(Gateway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5),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4), RNC(Radio Network Controller)(3) 및 기지국(2)을 갖는다. GGSN(5) 및 SGSN(4)은 코어 네트워크에 속하고, RNC(3) 및 기지국(2)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속한다.
GGSN(5)은 2개의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되어 있는 게이트 장치이 며, 이동 통신 시스템을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은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들이다.
SGSN(4)은 GPR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드 장치이며, 단말기(1)에 접속되어 있는 RNC(2)에 접속하고, 또한 SGSN(4)과 GGSN(5) 사이에 터널들(8, 9)을 구축하여 단말기(1)를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RNC(3)는 기지국(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며, 통상적으로는 복수의 기지국들(2)을 제어한다. RNC(3)는 그 자체와 코어 네트워크 및 단말기(1)의 쌍방 사이에서 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호를 설정한다.
기지국(2)은 단말기(1)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단말기(1)로부터의 통신을 중계한다.
도 3의 상태에서, 단말기(1)는 서비스 네트워크들(6, 7) 쌍방으로부터 접속 서비스를 받고 있다. 이 때, 단말기(1)의 접속을 위하여, SGSN(4)과 GGSN(5)의 사이에는 서비스 네트워크들(6, 7)로 접속하기 위하여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들(8, 9)이 각각 구축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가 이동했을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명료함을 위해 기지국이 생략되어 있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는 기지국(2)(도시 생략)을 통해 RNC(3)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가 이동원 RNC(31)로부터 이동처 RNC(32)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구 SGSN(41)으로부터 신 SGSN(42)으로의 접속 변경이 이루어진다.
이 때, 신 SGSN(42), 이동처 RNC(32) 및 단말기(1) 사이에서는 이동과 연관된 신호들이 송신/수신된다. 미리 결정된 신호(10)를 수신하면, 신 SGSN(42)은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를 개시한다. 터널 스위칭 요구의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신호(10)는 단말기(1)로부터의 루트 영역(route area) 업데이트 신호 또는 이동처 RNC(32)로부터의 리로케이션(relocation) 완료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신 SGSN(42)은 단말기(1)에 대하여 구축되어 있는 터널에 대한 터널 정보를 구 SGSN(41)으로부터,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로서 획득한다. 예를 들면, 신 SGSN(42)이 구 SGSN(41)에게 PDP 콘텍스트 요구 신호를 보낸 후에 구 SGSN(41)이 응답으로서 PDP 콘텍스트를 보낼 수 있다. 또는, 구 SGSN(41)이 전송 리로케이션 요구 신호에 의해 신 SGSN(42)에 터널 정보를 자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도 5는 터널 스위칭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신 SGSN(42)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신 SGSN(42)은, 구 SGSN(41)으로부터 획득된 터널 정보로부터 스위칭될 터널의 수를 획득하고, 그 터널 수가 2개 이상인지를 판정한다(스텝(101)). 터널 수가 2개 이상이면, 신 SGSN(42)은 그 다음에 신 SGSN(42)과 동일한 GGSN(5) 사 이에 2개 이상의 GTP 터널들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102)).
스텝(102)의 판정의 결과, 신 SGSN(42)과 동일한 GGSN(5) 사이에 2개 이상의 GTP 터널이 있으면, 신 SGSN(42)은 복수의 GTP 터널들을 구 SGSN(41)에서 신 SGSN(42)으로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포함하는 스위칭 요구 신호(11)를 GGSN(5)에 송신한다(스텝(103)).
스위칭 요구 신호는 스위칭될 복수의 GTP 터널들에 대한 한 쌍의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들을 포함하고,1개의 업데이트 PDP 콘텍스트 요구 신호에 실어 송신된다.
스텝(101)의 판정 결과 스위칭되는 GTP 터널들의 수가 1개 이하이거나, 스텝(102)의 판정 결과 신 SGSN(42)과 동일한 GGSN(5) 사이에 2개 이상의 GTP 터널들이 없으면, 신 SGSN(42)은 각각의 GTP 터널을 스위칭하기 위해서 각각의 스위칭 요구 신호를 각각의 GTP 터널에 대응하는 GGSN(5)에 송신한다(스텝(104)).
이러한 방식으로 신 SGSN(42)으로부터 송신된 스위칭 요구 신호를 수신한 GGSN(5)은 그 스위칭 요구 신호를 해석하고, TEID에 의해 나타내어진 GTP 터널들을 구 SGSN(41)에서 신 SGSN(42)으로 스위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의 이동으로 인해 SGSN(4)이 스위칭되는 것일 필요한 경우, 신 SGSN(42)은 동일한 단말기(1)에 대한 동일한 GGSN(5)과 SGSN(4) 사이의 복수의 GTP 터널들에 대해,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로 일괄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구를 GGSN(5)에 한다. 따라서, 신 SGSN(42)과 GGSN(5) 사이의 통신량이 저감되어, 향상된 회선 성능으로 GTP 터널들의 스위칭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에 의해 복수의 GTP 터널들의 스위칭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GTP 터널들을 스위칭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SGSN(4)에서 GGSN(5)으로의 GTP 터널 스위칭 요구의 상태가 터널들 사이에서 언제나 동일하므로, GGSN(5) 및 SGSN(4)의 기능이 단순화되어 스위칭 동작들이 단순하게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RNC와 GGSN 사이에서 직접 GTP 터널들을 구축하는 Direct Tunnel 확장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하지만, GTP 터널들(8, 9)은 RNC(3)와 GGSN(5) 사이에 구축된다.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은 Direct Tunnel 확장 구성을 구축하는 동작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가 이동했을 때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명료함을 위해 기지국이 생략되어 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단말기(1)는 기지국(2)(도시 생략)을 통해 RNC(3)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는 1개의 GGSN(5)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1)가 이동 원 RNC(31)에서 이동처 RNC(32)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원 RNC(31)와 GGSN(5)의 사이에 구축된 GTP 터널들(8, 9)을, 이동처 RNC(32)와 GGSN(5) 사이의 위치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 때, SGSN(4), 이동처 RNC(32) 및 단말기(1)의 사이에서 이동과 연관된 신호들이 송신/수신된다. SGSN(4)은 단말기(1)의 이동 완료 통지(21)를 이동처 RNC(32)로부터 수신하면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를 개시한다.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처리와 동일하다. 하지만,SGSN(4)은 SGSN(4) 자체에 의해 유지되는 터널 정보를 스텝(101)의 판정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에 따르면, 동일한 GGSN(5)에 대해 스위칭될 필요가 있는 복수의 GTP 터널들이 있으면, SGSN(4)은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22)로 복수의 GTP 터널들을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만들 것이다.
통상적으로 SGSN(4)은 복수의 RNC(3)들을 수용하므로, SGSN(4)과 GGSN(5) 사이에서 GTP 터널들을 구축하는 것에 비해, RNC(3)와 GGSN(5) 사이에 GTP 터널들을 구축하는 Direct Tunnel 확장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GTP 터널들을 스위칭하는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본 실시예는 Direct Tunnel 확장 구성 때문에 더 많은 이점을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GPRS 시스템을 확장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시스템이 예시될 것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단말기가 이동했을 때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명료함을 위해 기지국이 생략되어 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단말기(1)가 기지국(2)(도시 생략)을 통해 RNC(3)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구 SGSN(41) 및 신 SGSN(42)은 서빙(serving) SAE GW(31)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GGSN(5) 대신 서빙 SAE GW(31) 및 PDN SAE GW들(321, 322)을 갖고 있다. RNC(3) 및 기지국(2)(도시 생략)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포함되고, SGSN(4), 서빙 SAE GW(31) 및 PDN SAE GW들(321, 322)은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된다. SAE 시스템에서는, UTRAN으로부터의 액세스는 SGSN(4)으로부터 GTP 터널들을 통해 서빙 SAE GW(31)에 접속된다.
서빙 SAE GW(31) 및 PDN SAE GW(321)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빙 SAE GW(31)는 PDN SAE GW(321)를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6)에 접속된다. 도면의 예에서는, 서빙 SAE GW(31) 및 PDN SAE GW(321)가 일체로 구성되므로,서빙 SAE GW(31)와 PDN SAE GW(321) 사이에는 구축된 GTP 터널이 없다.
또한,서빙 SAE GW(31)는 PDN SAE GW(322)를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7)에 접속된다. 서빙 SAE GW(31)와 PDN SAE GW(322) 사이에는 GTP 터널(35)이 구축된다.
서빙 SAE GW(Gateway)(31)는 서빙 SAE GW(31)와 SGSN(4) 사이의 GTP 터널들(33, 34)을 종단하는 장치이다.
PDN(Packet   Domain   Network) SAE   GW들(321 , 322)은 서비스 네트워크들(6, 7)로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 장치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단말기(1)가 이동원 RNC(31)에서 이동처 RNC(32)로 이동 하였다. 따라서 구 SGSN(41)에서 신 SGSN(42)로의 접속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이 때, 신 SGSN(42), 이동처 RNC(32), 단말기(1)의 사이에서는 이동과 연관된 신호들이 송신/수신된다. 신 SGSN(42)은 단말기(1)의 이동 완료 통지(36)를 이동처 RNC(32)로부터 수신하면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를 개시한다.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처리와 동일하다. SAE 시스템에서는, 1개의 단말기(1)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하는 경우, 1개의 서빙 SAE GW(31)로 터널들이 집약된다(consolidated). 이러한 집약 후에, 터널(35)이 서빙 SAE GW(31)와 PDN SAE GW(322) 사이에서 구축될 것이다. 서빙 SAE GW(31)에 복수의 터널들이 있으면, 신 SGSN(42)은 복수의 터널들을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하기 위한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37)를 서빙 SAE GW(31)에 송 신한다.
SAE 시스템에서는, 1개의 단말기(1)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하는 경우, 터널들이 1개의 서빙 SAE GW(31)에 집약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보다 복수의 터널 스위칭 요구들이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로 집약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아져서 더 많은 이점들이 획득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에 설명된 Direct Tunnel 확장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제3 실시예에 도시된 SAE 시스템이 예시될 것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단말기가 이동했을 때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명료함을 위해, 기지국이 생략되어 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단말기(1)는 기지국(2)(도시 생략)을 통해 RNC(3)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터널들(33, 34)은 RNC(3)와 서빙 SAE GW(31) 사이에 구축된다.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은 Direct Tunnel 확장 구성을 구축하기 위한 동작 외에는 제3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단말기(1)가 이동원 RNC(31)에서 이동처 RNC(32)로 이동하였다. 이 때, SGSN(4), 이동처 RNC(32) 및 단말기(1) 사이에서는 이동과 연관된 신호들이 송신/수신된다. SGSN(4)은 단말기(1)의 이동 완료 통지(41)를 이동처 RNC(32)로부터 수신하면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를 개시한다.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처리와 동일하다. SAE 시스템에서는, 1개의 단말기(1)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할 경우, 1개의 서빙 SAE GW(31)에 터널들이 집약된다. 이러한 집약 후에, 터널(35)은 서빙 SAE GW(31)와 PDN SAE GW(322) 사이에서 구축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Direct Tunnel 확장 구성이 적용되므로, SGSN(4)은 SGSN(4) 자체에 의해 유지되는 터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SGSN(4)은 서빙 SAE GW(31)에 복수의 터널들이 있으면, 복수의 터널들을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하기 위한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42)를 서빙 SAE GW(31)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3 실시예와 같이 제1 실시예보다 복수의 터널 의 스위칭 요구들이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에 집약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아져서 보다 많은 이점들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들이 획득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는, RNC와 기지국(eNB(evolved Node-B))이 일체로 구성되고 SGSN 대신 MME(Mobile Management Entity)가 제공되는 SAE 시스템이 예시된다. eNB는 EUTRAN(Evolved UTRAN)에 포함된다.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단말기가 이동했을 때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제5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기지국(2)과 RNC(3)가 eNB(51)로서 일체적으로 구성 되어 있는 점과, 도 8에 도시된 SGSN(4) 대신 MME(52)가 존재하는 점에서 도 8에 도시된 시스템과 상이하다. MME(52)는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을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않으므로, 도 8에 도시된 Direct Tunnel 확장 구성에서처럼,eNB(51)와 서빙 SAE GW(31) 사이에서 터널들이 직접 구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1)가 이동원 eNB(511)에서 이동처 eNB(512)로 이동하였다. 이 때, MME(52), 이동처 eNB(512) 및 단말기(1) 사이에서 이동과 연관된 신호들이 송신/수신된다. MME(52)는 단말기(1)의 이동 완료 통지(53)를 이동처 eNB(512)로부터 수신하면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를 개시한다.
터널 스위칭 요구 처리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처리와 동일하다. SAE 시스템에서는, 1개의 단말기(1)가 복수의 서비스 네트워크들(6, 7)에 접속하는 경우, 1개의 서빙 SAE GW(31)에 터널들이 집약된다. 이러한 집약 후에, 서빙 SAE GW(31)와 PDN SAE GW(322) 사이에 터널(35)이 구축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SAE 시스템은 eNB(51)와 서빙 SAE GW(31) 사이에 터널들이 구축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MME(52)는 MME(52) 자체에 의해 유지되는 터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빙 SAE GW(31)에 복수의 터널들이 있으면, MME(52)는 복수의 터널들을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하기 위한 1개의 스위칭 요구 신호(54)를 서빙 SAE GW(31)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5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해서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실시예의 설명들을 결합하거나 통합하는 것고 가능하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들이 청구 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한 설명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그 개시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전체로서 통합된, 2007년 3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7-06193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Claims (8)

  1.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기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는 복수의 터널들을 구축하고, 요구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널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이동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는 상기 복수의 터널들에 대한 복수의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들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관리 장치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인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서빙 게이트웨이인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eNB(evolved Node-B)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들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eNB 사이에 구축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단말기를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들에 접속시키는 복수의 터널들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collectively) 스위칭하라는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널들을 일괄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는 상기 복수의 터널들에 대한 복수의 TEID들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20097006515A 2007-03-12 2008-03-11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1017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61935 2007-03-12
JP2007061935 2007-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936A true KR20090053936A (ko) 2009-05-28
KR101017458B1 KR101017458B1 (ko) 2011-02-25

Family

ID=3986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06515A KR101017458B1 (ko) 2007-03-12 2008-03-11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38159A1 (ko)
EP (1) EP2059062A4 (ko)
JP (4) JP4788931B2 (ko)
KR (1) KR101017458B1 (ko)
CN (2) CN101548565B (ko)
BR (1) BRPI0804509A2 (ko)
CA (1) CA2664671C (ko)
RU (2) RU2482634C2 (ko)
WO (1) WO20081265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627B1 (ko) * 2008-07-18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게이트웨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0487B1 (en) * 2007-02-06 2016-03-29 Apple Inc. Re-establishing a direct tunnel between an access node and a gateway router
CN101548565B (zh) * 2007-03-12 2013-01-02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和通信控制方法
CN101547483B (zh) * 2008-03-28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网隧道切换的方法及网间互联设备
CN103096294B (zh) * 2009-06-10 2015-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隧道标识分配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20188895A1 (en) * 2009-08-13 2012-07-26 Nec Europe Lt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local ip connectivity for an (e)nodeb
GB2472866B (en) * 2009-08-21 2013-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elements,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for routing control
JP5011439B2 (ja) * 2011-01-07 2012-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ノード及び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装置
CN103002530B (zh) * 2011-09-08 2015-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切换到服务网络的方法和设备
CN103843396B (zh) * 2011-09-30 2017-07-18 日本电气株式会社 通信系统、方法和装置
JP5986287B2 (ja) * 2012-03-28 2016-09-06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ダイレクトトンネル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4869118B (zh) * 2015-05-15 2018-07-31 北京云杉世纪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隧道技术实现DDoS防御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3475B1 (en) * 1997-09-26 2002-10-08 3Com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tunnel switching
FI108982B (fi) * 1998-06-15 2002-04-30 Nokia Corp Sanomapalvelu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20020090940A1 (en) * 1999-09-21 2002-07-11 Chen Xiaobao X Ip utran
JP3855595B2 (ja) * 2000-04-25 2006-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ATE413075T1 (de) * 2000-05-08 2008-11-15 Nokia Siemens Networks Oy Verfahren und system zur änderung des inhaltes einer datenbank eines kommunikationsnetzwerkes und kommunikationsnetzwerk
WO2002003725A1 (en) * 2000-07-04 2002-01-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a user equipment to a telecommunication network
DE50102244D1 (de) * 2000-08-21 2004-06-17 Siemens Ag Optimierung der Bearbeitung und des Transports von Paketdaten für ein GSM/UMTS-Mobilfunksystem mit separierten Daten- und Signalisierungstransport
KR100389819B1 (ko) * 2001-07-09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방법
NO20020290D0 (no) * 2002-01-18 2002-01-18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åte ved roaming i mobilnett
KR100438430B1 (ko) * 2002-01-24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트래픽 플로우 탬플릿 재정렬 장치 및방법
CN1192576C (zh) * 2002-02-09 2005-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网络中实现多播业务的方法
KR100713435B1 (ko) * 2002-05-03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중 데이터 전송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40203787A1 (en) * 2002-06-28 2004-10-14 Siamak Naghia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handover in mobile mesh Ad-Hoc networks
JP4035026B2 (ja) * 2002-10-10 2008-0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及びipモビリティ制御方法
US7634274B2 (en) * 2002-12-31 2009-12-15 Nokia Corpor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PDP contexts
US7978655B2 (en) * 2003-07-22 2011-07-12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ecure and seamless WAN-LAN roaming
US8396500B2 (en) * 2003-10-27 2013-03-12 Fujitsu Limted Connection destination base station determination device
KR20050103065A (ko) * 2004-04-24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Umts 망에서의 통합된 sgsn 및 ggsn에서의터널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0550903C (zh) * 2005-06-06 2009-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微波接入全球互通接入网系统
JP2006352444A (ja) * 2005-06-15 2006-12-28 Fujitsu Ltd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US7953042B2 (en) * 2005-07-07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different systems
JP4378644B2 (ja) 2005-08-30 2009-12-09 マツダ株式会社 工具の加工パスデータ生成方法及び加工パス生成プログラム
JP2007177945A (ja) * 2005-12-28 2007-07-12 Kurimoto Ltd 弁体取替装置
WO2007052720A1 (ja) * 2005-11-01 2007-05-10 Ntt Docomo, Inc.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07103369A2 (en) * 2006-03-07 2007-09-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ff in an lte gtp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M322686U (en) * 2006-04-19 2007-11-21 Interdigital Tech Corp Apparatus for supporting routing area update procedures in a long term evolution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based system
US20070258427A1 (en) * 2006-05-03 2007-11-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multiple service bearers via efficient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procedures
WO2008076030A1 (en) * 2006-12-21 2008-06-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direct tunnelling in connection with handover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548565B (zh) * 2007-03-12 2013-01-02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和通信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627B1 (ko) * 2008-07-18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게이트웨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48340B2 (ja) 2013-11-20
JP2011234411A (ja) 2011-11-17
CN103002529A (zh) 2013-03-27
EP2059062A1 (en) 2009-05-13
JP4788931B2 (ja) 2011-10-05
EP2059062A4 (en) 2014-04-23
JP5212524B2 (ja) 2013-06-19
US20090238159A1 (en) 2009-09-24
JP2013093915A (ja) 2013-05-16
CA2664671C (en) 2014-07-08
RU2482634C2 (ru) 2013-05-20
KR101017458B1 (ko) 2011-02-25
BRPI0804509A2 (pt) 2011-08-30
WO2008126565A1 (ja) 2008-10-23
CN101548565B (zh) 2013-01-02
JP2013093916A (ja) 2013-05-16
CN101548565A (zh) 2009-09-30
RU2013113035A (ru) 2014-09-27
RU2634802C2 (ru) 2017-11-07
RU2009111601A (ru) 2010-10-10
CA2664671A1 (en) 2008-10-23
JPWO2008126565A1 (ja)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45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CN101925042B (zh) 控制隧道标识分配的方法、装置和系统
JP5704666B2 (ja) 通信システムと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装置
JP4959711B2 (ja) 遠距離通信装置及び方法
US99677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CN109673026B (zh) 数据转发方法、装置和系统
KR20100072236A (ko)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방법
CN106686572B (zh) 一种基于sdn的移动性管理的方法
WO2013161178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経路制御方法
CN103796249A (zh) 家庭基站系统中区域业务核心网流量卸载方法
CN104853344A (zh) 一种选择分流网关的方法和控制器
CN107148061B (zh) 一种基于sdn的lte与wlan异构网络切换系统及方法
CN101572929A (zh) 一种在切换过程中传送消息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874046A (zh) 一种过程消息的管理方法及设备
US201800637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handover control method
US8774132B2 (en) Bas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controlling devic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 device
CN103079189A (zh) 控制隧道标识分配的方法、装置和系统
CN108307504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6425253B2 (ja) コアネットワーク分散型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コネクション制御方法
JP5738716B2 (ja) トラヒックオフロード用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20200070174A (ko)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