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963A -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963A
KR20090052963A KR1020070119541A KR20070119541A KR20090052963A KR 20090052963 A KR20090052963 A KR 20090052963A KR 1020070119541 A KR1020070119541 A KR 1020070119541A KR 20070119541 A KR20070119541 A KR 20070119541A KR 20090052963 A KR20090052963 A KR 2009005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2963A/ko
Publication of KR2009005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은 제1 접속신호 및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콘키; 상기 제1 접속신호 및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객실의 도어락 장치를 개폐시키며, 제2 접속신호 및 전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2 접속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객실의 전원 라인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리모콘키를 인식시킴으로써 도어락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고 도어락이 개방됨과 동시에 객실 전원이 공급되므로 키의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된 키의 리모콘 기능을 통하여 객실 내부의 각종 시설물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므로 객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숙박 시설, 무선 리모콘, 키홀더, 지그비, 근거리 통신

Description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Wireless remote-control key system for accommodation}
실시예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숙박시설에 투숙을 하는 경우, 투숙객은 카운터에 등록하고 키를 제공받는다. 숙박시설용 키는 카드 형태의 열쇠고리에 부착되어 있으며, 객실의 출입문 안쪽에는 열쇠고리를 꼽을 수 있는 키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키홀더에 열쇠고리가 꼽힌 상태에서 객실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투숙객이 객실 내부에 위치한 경우 키를 키홀더에 보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투숙객의 일부가 객실 밖으로 외출하는 경우, 객실 내부에 머무르는 일행을 위하여 외출자는 키를 소지할 수 없으며, 객실 내부에 머무르는 자가 일일이 출입문을 열어주어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숙박시설이 고급화되면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와 같이 조명기기 및 전자 제품 등을 리모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있으나, 리모콘의 분실 사고가 자주 발생되므로 리모콘 시스템을 도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시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콘과 키가 결합됨으로써, 키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고 키홀더 없이 객실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객실 내부의 조명 기기, 전자 제품과 같은 시설물을 원격제어할 수 있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은 제1 접속신호 및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콘키; 상기 제1 접속신호 및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객실의 도어락 장치를 개폐시키며, 제2 접속신호 및 전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2 접속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객실의 전원 라인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리모콘키를 인식시킴으로써 도어락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고 도어락이 개방됨과 동시에 객실 전원이 공급되므로 키의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된 키의 리모콘 기능을 통하여 객실 내부의 각종 시설물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므로 객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셋째, 다른 객실 비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잘 관리되는 키에 리모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리모콘의 분실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이하,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이라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은 호텔, 모텔, 여관과 같은 숙박 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은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를 포함하는 리모콘키(100), 도어락 장치(210)와 연결된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 퓨즈박스(500)의 스위칭 회로(400)와 연결된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 가전기기(700)와 연결된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 내지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600)는 지그비(Zigbee) 송수신 장치 또는 RFID 송수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는 지그비 송수신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리모콘키(100)는 숙박 시설의 카운터에서 투숙객에게 발급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키(100)는 객실 열쇠의 키고리 부분을 하우징으로 이용하여 제작 될 수 있으며,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투숙객은 리모콘키(100)에 부착된 객실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객실문을 열 수 있고, 또한 리모콘키(100)의 버튼을 조작하여 무선으로 객실문을 열 수 있다. 이때, 무선으로 객실문을 개방한 경우 객실의 전원은 자동으로 공급된다.
또한, 투숙객은 상기 리모콘키(100)의 버튼을 조작하여 객실 내에 비치된 각종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리모콘키(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키(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키(100)가 하우징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리모콘키(100)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 키패드(120), 제1 구동회로(130), 키검출회로(14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는 제1 신호해석모듈(112)과 신호생성모듈(113)을 포함하는 제1 제어부(111), 송수신처리부(114) 및 제1 안테나(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는 RFD(Reduced Function Device) 지그비 장치로 구현되며, 지그비 네트워크의 종단 기기(End device)로 동작된다.
상기 키패드(120)는 행/열 신호를 발생시키는 메트릭스(matrix) 회로 및 버튼을 구비하는데, 도 3을 참조하면, 키고리 형태의 하우징에 다수의 버튼(A, B)이 설치된 형태를 볼 수 있다.
상기 버튼은 크게 세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제1 접속신호와 개폐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버튼이 있으며, 도 3에는 "무선키"라는 버튼으로 예시되었다.
상기 제1 접속신호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의 기기식별정보,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하고, 개폐신호는 도어락 장치(210)의 개폐 여부를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신호는 도어락 장치(210)의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둘째, 제3 접속신호와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버튼이 있으며, 도 3에는 "TV", "조명", "에어컨", "난방"이라는 버튼으로 예시되었다.
상기 제3 접속신호에 의하여 상기 가전기기 제어신호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에 의하여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600)로 라우팅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 제어신호는 객실 내부에 비치된 조명기를 포함한 가전기기(7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셋째, 상기 설명된 버튼을 조작하여 리모콘키(100)를 무선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또는 가전기기 제어용으로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 후, 세부 제어 항목을 선택하는 부가버튼(B)이 있다.
예를 들어, 투숙객은 "무선키" 버튼을 눌러 도어락 장치(210)를 제어할 것을 명령하고, 부가버튼(B)을 조작함으로써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투숙객은 "조명" 버튼을 누른 뒤, 부가버튼(B)을 조작함으로써 조명의 온/오프 또는 디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다양한 조합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키패드(120)의 메트릭스 회로는 눌러진 버튼의 식별신호를 상기 제1 구동회로(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1 구동회로(130)는 스위칭트랜지스터, 인코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는 버튼 식별신호를 처리하여 메트릭스회로의 열신호를 검출하고, 인코더는 행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바운스 현상을 처리한다.
상기 키검출회로(140)는 버퍼, 플립-플롭모듈, 입력루틴처리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버퍼는 상기 열신호 및 행신호를 임시저장한다. 상기 플립-플롭모듈은 바이브레이터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받고, 임시저장된 열신호 및 행신호를 입력루틴처리모듈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루틴처리모듈은 최종적으로 해석가능한 키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ADC(150)는 키검출회로(140)로부터 키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상기 제1 제어부(111)의 제1 신호해석모듈(112)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키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신호생성모듈(113)은 해석 결과에 따라 개폐신호와 제1 식별신호 또는 가전기기 제어신호와 제3 식별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송수신처리부(114)는 개폐신호 및 제1 식별신호 또는 가전기기 제어신 호 및 제3 식별신호를 제1 안테나(115)를 통하여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로 송신한다.
이어서,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210) 및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20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도이다.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는 도어락 장치(2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 및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600)로 신호를 라우팅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PAN 코디네이터(Personal Area Network coordinator)로 동작가능한 FFD 지그비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도어락 장치(210)는 잠금장치(212), 구동모터(214), 제2 구동회로(21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는 제2 제어부(220), 맥처리부(230), RF수신부(240), RF송신부(250), 위상동기회로(260), 전력제어회로(270) 및 제2 안테나(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락 장치(210)와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는 객실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212)는 객실문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거나 개방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구동모터(214)는 잠금장치(212)의 기계적 구조물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2 구동회로(216)는 상기 제2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1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로 개폐신호와 제1 접속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신호해석모듈(222)은 제1 접속신호에 의하여 리모콘키(100)를 식별하고, 개폐신호를 해석한다.
상기 개폐신호가 개방신호로 해석된 경우, 상기 신호처리모듈(224)은 상기 제2 구동회로(216)로 제1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잠금장치(212)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신호가 폐쇄신호로 해석된 경우, 상기 신호처리모듈(224)은 상기 제2 구동회로(216)로 제2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잠금장치(212)가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전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로 전달함으로써 객실 전원 제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객실 전원 제어는 상기 도어락 장치(210)의 개폐 제어와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제어신호는 객실 전원 라인의 전원공급신호 또는 전원차단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로부터 상기 개방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제2 접속신호 및 전원공급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폐쇄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제2 접속신호 및 전원차단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접속신호와 전원공급신호 또는 제2 접속신호와 전원차단신호는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로부터 제3 접속신호와 가전기기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신호해석모듈(222)은 제3 접속신호를 해석하여 라우팅정보를 추출하고, 라우팅 정보에 따라 제3 접속신호 및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600)로 라우팅시킨다.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는 지그비 네트워크의 종단기기로서, RFD(Reduced Function Device) 지그비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2 접속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객실 내부의 전원 라인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전원제어신호가 전원공급신호로 해석된 경우,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는 퓨즈박스(500)와 상기 객실 내부의 전원 라인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회로(400)로 제3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퓨즈박스(500)와 상기 전원 라인을 도통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신호가 전원차단신호로 해석된 경우,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300)는 상기 스위칭 회로(400)로 제4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퓨즈박스(500)와 상기 전원 라인을 개방시킨다.
한편,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600)는 종단기기로서, RFD(Reduced Function Device) 지그비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를 통하여 라우팅된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전기기(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가 처리하는 프로토콜 스택은 크게 PHY(Physical) 계층(Layer)(S5), MAC(Media Access Controller) 계층(S4), 네 트워크(Network/security) 계층(S3),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계층(S2) 및 응용(Application/Profiles) 계층(S1)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PHY 계층(S5)과 MAC 계층(S4)은 IEEE 규정(Standard)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 네트워크 계층(S3)과 프레임워크 계층(S2)은 지그비 연합(Alliance)의 규정 영역에 해당되며, 상기 응용 계층(S1)은 사용자 설정(User defined) 영역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 스택을 처리하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의 나머지 구성부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RF수신부(240), RF송신부(250), 위상동기회로(260) 및 전력제어회로(270)는 프로토콜 스택의 PHY 계층(S5)에 해당되는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부들로서 RF통신 구조와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안테나(280)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로부터 전달된 개폐신호 및 제1 접속신호 또는 가전기기 제어신호 및 제3 접속신호를 수신하여 RF수신부(24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2 안테나(280)는, 라우팅될 상기 가전기기 제어신호 및 제3 접속신호 또는 제2접속신호 및 전원제어신호를 RF송신부(250)를 통하여 송신한다.
앞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가령, 개폐신호 및 제1 접속신호가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되면,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는 수신확인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접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절차는 당업자에겐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RF수신부(240)는 저잡음증폭기, 수신필터, 믹서, 복조회로 등을 포함하 며, 수신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 디지털신호의 순서로 복조하여 맥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상기 RF송신부(250)는 변조회로, 믹서, 송신필터, 전력증폭모듈 등을 포함하며, 맥처리부(23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송신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 RF 신호의 순서로 변조하여 제2 안테나(280)로 전달한다.
상기 위상동기회로(260)는 RF수신부(240)의 복조 동작 및 RF송신부(250)의 변조 동작에 필요한 발진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RF수신부(240)와 RF송신부(250)는 변복조시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방식을 이용하는데, 2.4 GHz 대역의 경우 32 PN 코드 길이의 O-QPSK(Offset-Quadrature Phase-Shift Keying) 변복조 방식이 사용되고, 1 GHz 이하 대역의 경우 15 PN 코드 길이의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변복조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맥(MAC; Media Access Controller)처리부(230)는 PHY 계층(S5)의 디지털 처리가 끝나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해석하여 프레임을 승인하고, 에러를 감지하여(Error Detection; CRC 또는 Checksum을 통하여 감지함)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며, 패킷 라우팅을 처리한다.
상기 제2 제어부(220)는 나머지 소프트웨어 맥계층(S4), 네트워크 계층(S3), 프레임워크 계층(S2)의 신호를 처리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응용 계층(S1)의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각종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제2 제어부(220)의 모드제어모듈(226)은 타이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인터럽트 신호를 전력제어회로(27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제어회로(270)는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면 제2 제어부(220)를 포함한 각 구성부들로 전원을 공급하여 액티브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이후, 일정 시간이 흐른뒤 전원을 모드제어모듈(226)로만 공급함으로써 슬립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들(110, 200, 300, 600)은 주파수 채널, PAN ID, 네트워크 ID가 설정되며, 코디네이터인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200)는 상기 설정된 정보에 의하여 제1 접속신호, 제2 접속신호, 제3 접속신호를 관리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들(110, 200, 300, 600)은 프로세서칩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의 종류, 즉 네트워크 계층(S3), 프레임워크 계층(S2)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RFD, FFD 또는 PAN 코디네이터로 기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키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키가 하우징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송수신하는 데이터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도.

Claims (9)

  1. 제1 접속신호 및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콘키;
    상기 제1 접속신호 및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객실의 도어락 장치를 개폐시키며, 제2 접속신호 및 전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2 접속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객실의 전원 라인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신호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신호는 상기 전원 라인의 전원공급신호 또는 전원차단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는 상기 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공급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폐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차단신호를 송신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는 제3 접속신호 및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는 상기 제3 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라우팅시키며,
    상기 라우팅된 가전기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는
    퓨즈박스와 상기 객실의 전원 라인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키는
    버튼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 상기 버튼 식별신호의 열신호 및 행신호를 검출하는 제1 구동회로; 상기 열신호 및 행신호를 클럭신호에 동기화시켜 해석가능한 키신호로 생성하는 키검출회로; 상기 키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키신호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개폐신호 및 상기 제1 접속신호를 생성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키는
    버튼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 상기 버튼 식별신호의 열신호 및 행신호를 검출하는 제1 구동회로; 상기 열신호 및 행신호를 클럭신호에 동기화시켜 해석가능한 키신호로 생성하는 키검출회로; 상기 키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키신호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접속신호를 생성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내지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는 지그비(Zigbee) 송수신 장치 또는 RFID 송수신 장치로 구현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는 PAN 코디네이터(Personal Area Network coordinator)로 동작가능한 FFD 지그비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제3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4 근거리무선통신부는 RFD(Reduced Function Device) 지그비 장치로 구현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2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는 상기 제1 접속신호 및 상기 개폐신호를 해석하는 제2 신호해석모듈, 상기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구동회로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KR1020070119541A 2007-11-22 2007-11-22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KR20090052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541A KR20090052963A (ko) 2007-11-22 2007-11-22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541A KR20090052963A (ko) 2007-11-22 2007-11-22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963A true KR20090052963A (ko) 2009-05-27

Family

ID=4086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541A KR20090052963A (ko) 2007-11-22 2007-11-22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29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18B1 (ko) * 2011-03-21 2013-07-12 (주)소프트크로스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WO2021006710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US12127140B2 (en) 2019-07-10 2024-10-22 Lg Electronics Inc. Audio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18B1 (ko) * 2011-03-21 2013-07-12 (주)소프트크로스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WO2021006710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US12127140B2 (en) 2019-07-10 2024-10-22 Lg Electronics Inc. Audio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156B2 (en) Access control via selective direct and indirect wireless communications
EP1269444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EP2437179B1 (en) 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via physical connection
US20100088439A1 (en) Intelligent case for handheld computer
EP240928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KR100657381B1 (ko) 무선 단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 모뎀
WO2008097477A1 (en) Networked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CN101151642A (zh) 用于门应用的通用无线传输网络
JP2000184471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方式
JP2014114562A (ja) 車両の遠隔操作装置
IT1309109B1 (it) Sistema per il monitoraggio e controllo di un insieme di utenzeelettriche.
EP1859424A2 (en)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US20150044969A1 (e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KR10062578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GB2259172A (en) Wireless remote control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electrical appliances
KR20090052963A (ko)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JP4470650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端末機器
KR100836886B1 (ko) 인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전력 제어 시스템
JP2000152352A (ja) 無線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77679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외선 기반의 가전기기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9990060587A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장치
KR200368067Y1 (ko) 무선 홈 네트워크용 전원 제어 장치
KR2006000720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50002182A (ko) 리모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68757A (ko)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