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818B1 -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18B1
KR101285818B1 KR1020110024762A KR20110024762A KR101285818B1 KR 101285818 B1 KR101285818 B1 KR 101285818B1 KR 1020110024762 A KR1020110024762 A KR 1020110024762A KR 20110024762 A KR20110024762 A KR 20110024762A KR 101285818 B1 KR101285818 B1 KR 10128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rvice
user
wireless network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305A (ko
Inventor
노준범
Original Assignee
(주)소프트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프트크로스 filed Critical (주)소프트크로스
Priority to KR102011002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한다)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이동단말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가능한 서비스 수행장치,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한 서비스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상태 정보에 따른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서비스가 실행되어야 할 서비스 수행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접근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접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전에 설정 등록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System for sensing departure and access of user using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영역으로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된 영역으로 접근 또는 이탈하였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와 같이 무선인터넷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유비쿼터스(ubiquitous)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컴퓨터 관련 기술이 생활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있음을 뜻하는 '퍼베이시브 컴퓨팅(pervasive computing)'과 같은 개념이다. 유비쿼터스는 단독으로 쓰이지는 않고 유비쿼터스 통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등과 같은 형태로 쓰인다.
한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기술 중 하나로 인터넷이 연결된 곳은 어디에서든지 가정 또는 사무실의 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는, 근거리 또는 원격지에서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가정 또는 사무실 내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기존에는 휴대폰 등의 개인단말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휴대폰 등의 개인단말을 이용함에 따라 개인의 위치를 확인하고,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통신 또는 인터넷 등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비용이 추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요청에 의해서만 서비스가 이루어졌다. 즉,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요청이 있을 시에만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서비스 요청을 하기 위해 버튼을 조작하거나, 인터넷 접속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사용자의 직접적인 요청 없이도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정보에 따라 사용자 접근이나 이탈을 확인하면, 해당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인터넷접속이 가능한 이동단말을 구비한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해진 영역으로 접근하였을 경우 설정된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한다)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이동단말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가능한 서비스 수행장치,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한 서비스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무선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접속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AP는 이동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AP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이동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접속 상태 알림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상태 정보에 따른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서비스가 실행되어야 할 서비스 수행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 상태 정보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AP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거나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따라 사전 설정된 컴퓨터를 자동 부팅 또는 자동 종료시키는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 또는 네트워크 접속 해제 요청을 포함하는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상태 정보에 따른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 상태 정보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AP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거나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면 사전 설정된 컴퓨터를 자동 부팅시키는 명령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컴퓨터를 자동 종료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AP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해당 이동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허여하는 인증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와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에 연동되는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의 부재중임을 알리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사전 설정 등록된 서비스 수행장치들로 전송하는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해제 요청을 포함하는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상태 정보에 따른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수행장치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 및 전자 메일 송수신 가능한 다른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명령 메시지는 전자 메일의 형태로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한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에 연동되는 사용자가 사전 설정한 컴퓨터를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상기 사전 설정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명령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기 컴퓨터를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에 연동되는 사용자가 사전 설정한 전화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착신 전환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상기 사전 설정한 전화로 전송하는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모듈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수신번호들에 의해 걸려온 전화만을 착신전환 하도록 상기 수신번호 목록을 포함하여 명령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들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고,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들 또는 개인용 컴퓨터들로 상기 생성된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접근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접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전에 설정 등록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료와 같은 통신비가 지출되지 않으면서,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의 사용자 접근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회사나 사무실과 같은 업무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를 부팅시킴으로써, 업무 시작 전에 개인 컴퓨터를 부팅하는 시간을 절약하여 업무 능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없을 시에는 자동으로 종료되므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회사나 사무실과 같은 업무 영역에서 이탈하면 자동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부재중을 알림으로써, 부재중인 사용자에게 결재를 맡기위해 사무실에서 대기하는 시간 등을 없앨 수 있어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재중 상태에 도달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업무를 복귀하여 부재중이었을 대의 업무 파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를 보안함으로써, 사용자 외에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가 없어 컴퓨터 안의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사용자의 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착신전환함으로써, 전화를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수신번호에 대한 전화만을 착신 전환하여 필요한 전화만을 골라 받을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업무 진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동일한 AP 영역에 속한 구성원들의 연락처 등과 같은 정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되고, 서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특정 공간 내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한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항상 휴대한다는 가정하에 설계되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곳에 반드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도 함께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이동단말기(130), 다수 개의 AP(Access Point:100)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서비스 서버(Server, 110) 및 서비스 수행장치(12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이동단말기(130), AP(100) 및 서비스 수행장치(120)를 각각 하나씩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시스템은 다수 개의 이동단말기, AP 및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PDA, 넷북 등이 있다. 상기 사용자는 무선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이동단말기를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자 접근 및 이탈을 인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이동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이동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유무에 따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로 인식하는 대체물인 아바타(Avatar)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130)는 네트워크 접속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130)의 주변에 무선 네트워크 영역이 존재하는지 항상 확인하며,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접근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속한 AP 중 가장 인접한 AP로 자동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접근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가 AP로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시 송수신하는 데이터 및 명령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AP(1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네트워크에 이미 접속된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이동단말기(130)가 망을 이탈하여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AP의 식별정보 외에 이동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 및 접속 요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각 사용자별로 사전에 설정 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설정 정보들을 토대로 하여 각 사용자의 네트워크 접근 및 이탈 정보에 따라 사전 설정 등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사용자들이 소지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 지정된 영역에 설치된 다수 개의 AP(Access Point)의 식별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수행장치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목록 등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S100), 이동단말기가 해당 AP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110) 이동 단말기가 해당 AP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150) 이동 단말기가 해당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AP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S120), 인증되면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허용하며(S130), 인증되지 못하면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차단한다(S140).
이동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허용되거나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150),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 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를 판독하고(S160), 이동단말기의 접근 및 이탈 여부에 따라, 상기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S170), 명령 메시지를 직접 실행하거나 명령 메시지를 실행할 서비스 수행장치(120)로 전송한다(S180).
상기 명령 메시지는 서비스의 종류 및 내용에 따라 각각 달리 설정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하는데 쓰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서, 서버플랫폼이라고도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다수 개의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 다수 개의 AP의 식별정보, 다수 개의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의 식별정보 및 복수 개의 서비스들을 사전에 등록 및 설정하여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식별정보들을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관리한다. 즉, 상기 다수 개의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각각의 이동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설정한 서비스를 연동하고, 특정 AP의 식별정보를 연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에 접근하거나 이탈하였을 때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110) 각각의 식별정보들을 추가, 삭제, 편집 및 그룹 관리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0)에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간편하게 등록하기 위해,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QR코드(QR code)를 이용할 수 있다. QR 코드란,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상기 QR 코드는 주로 일본에서 많이 사용되며 명칭은 덴소 웨이브의 등록상표 Quick Response에서 유래하였다. 상기 QR 코드는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써,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QR 코드를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찍으면, 자동으로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서버에 전송되어 등록이 됨으로써, 간편하게 다수 개의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등록된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마다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내용이 다르므로,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에 상기 서비스를 연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는 다수 개의 서비스 수행장치의 각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서비스 수행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수 개의 서비스들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에서 서버로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의 GPS 위치 및 접속요청시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 연동함으로써, 주변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밤 또는 새벽에 특정 AP 영역에 접근하였을 때는 사용자가 지나가는 통로의 전등의 전원을 켜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낮 시간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120)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명령메세지가 전송되면, 상기 명령메세지에 의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120)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며, 컴퓨터, 전등, 프린터, 에어컨 및 전화기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각종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는 상기 명령을 제대로 실행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에 따른 명령 실행 결과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로부터 전송된 명령 실행 결과 정보에 따라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가 전송되면, 상기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특정 AP 영역에 접근 또는 이탈하였을 시에 자신이 설정된 서비스가 제대로 공급되었는지 이동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접근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접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전에 설정 등록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료와 같은 통신비가 지출되지 않으면서,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의 사용자 접근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 사용자가 접근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인식하면,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를 자동 부팅시키거나 자동 종료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시스템과 전체 구성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수행장치는 개인용 컴퓨터이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은 컴퓨터를 자동 부팅시키거나 자동 종료시키는 것에 한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의 이동단말기는 네트워크 접속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신한 상기 AP는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거나 네트워크 접속 해제를 요청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가 저장되며, 특히 컴퓨터 자동 부팅 및 종료 서비스를 설정한 사용자 및 이에 연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컴퓨터 식별 정보 및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또는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를 자동 부팅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무선 네크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를 자동 종료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는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이동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허여하는 인증 모듈을 더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명령메세지가 전송되면, 자동 부팅을 실행하거나 자동 종료시킨다.
한편,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명령을 제대로 실행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에 따른 명령 실행 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명령 실행 여부에 따라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가 전송되면, 상기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특정 AP 영역에 접근 또는 이탈하였을 시에 컴퓨터의 자동부팅 또는 자동 종료 서비스가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이동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에 접근 또는 이탈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접근 또는 이탈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 등록된 컴퓨터를 부팅하거나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사나 사무실과 같은 업무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를 부팅시킴으로써, 업무 시작 전에 개인 컴퓨터를 부팅하는 시간을 절약하여 업무 능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없을 시에는 자동으로 종료되므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인식하면, 다른 사용자들에게 사용자에 대한 부재중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재중 상태에 메세지가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시스템과 전체 구성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수행장치는 사전 설정등록된 사용자들의 이동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이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은 특정 사용자에 대한 부재중 알림 메시지를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고, 부재중 동안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가 저장되며, 특히 부재중 알림 서비스를 설정한 사용자 및 이에 연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 각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알려줄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알려줄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사용자의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부재 상태를 알려줄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판독된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수행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 및 전자 메일 송수신 가능한 다른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명령 메시지는 전자 메일의 형태로 상기 서비스 수행장치로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의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받은 다른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등은 메시지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또는 서비스 수행장치로부터 메시지 등이 송신되면, 상기 메시지가 일반 메시지인지 긴급 메시지인지를 판독한다. 다음, 만약 일반 메시지로 판독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 연동하여 저장하였다가, 부재중이었던 사용자가 다시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는 전송된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다른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메시지가 긴급 메시지로 판독되면,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문자나 전자메일과 같은 형태로 상기 메시지를 변환하고, 인터넷 또는 전화통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긴급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는 전송된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알람을 울려서 긴급 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이탈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부재 상태를 알려줄 다른 사용자에게 부재중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재중 상태에 메시지가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사나 사무실과 같은 업무 영역에서 이탈하면 자동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부재중을 알림으로써, 부재중인 사용자에게 결재를 맡기위해 사무실에서 대기하는 시간 등을 없앨 수 있어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재중 상태에 도달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업무를 복귀하여 부재중이었을 대의 업무 파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인식하면, 사용자의 컴퓨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하는 컴퓨터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시스템과 전체 구성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수행장치는 개인용 컴퓨터이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은 컴퓨터를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컴퓨터를 보안하는 것에 한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가 저장되며, 특히 컴퓨터 보안 서비스를 설정한 사용자 및 이에 연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 각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컴퓨터 식별 정보 및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사용자 등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를 보안하도록 하는 명령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는 컴퓨터 보안 모듈을 더 구비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명령메시지가 전송되면, 컴퓨터가 제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컴퓨터를 보안한다.
한편,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명령을 제대로 실행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에 따른 명령 실행 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명령 실행 여부에 따라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가 전송되면, 상기 명령 실행 확인 메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특정 AP 영역에 접근 또는 이탈하였을 시에 컴퓨터의 자동부팅 또는 자동 종료 서비스가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이동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이탈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 등록된 컴퓨터를 제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컴퓨터를 보안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사나 사무실과 같은 업무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를 보안함으로써, 사용자 외에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가 없어 컴퓨터 안의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전화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착신전환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시스템과 전체 구성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수행장치는 사전 설정등록된 사용자들의 전화기이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은 사용자의 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착신전화시키는 것에 한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가 저장되며, 특히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를 설정한 사용자 및 이에 연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의 전화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수신번호 중 원하는 수신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만을 착신전환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설정하면, 다수 개의 수신번호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그룹으로 관리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착신전환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화기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수신번호 중 원하는 수신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만을 착신 전환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설정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사전에 설정된 수신번호 목록을 포함하도록 명령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화기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전화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명령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걸려오는 모든 전화를 착신 전환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수신번호 목록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착신 전환시킨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이탈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 등록된 전화기에 걸려오는 전화를 자동으로 착신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사나 사무실과 같은 업무 영역을 이탈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착신전환함으로써, 전화를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수신번호에 대한 전화만을 착신 전환하여 필요한 전화만을 골라 받을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업무 진행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에 접근한 것을 인식하면,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들에게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제6 실시예의 시스템과 전체 구성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수행장치는 동일한 AP에 접속된 사용자들의 이동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이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은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들의 목록을 상기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등록된 서비스 등록 정보가 저장되며, 특히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의 목록 제공 서비스를 설정한 사용자 및 이에 연동되는 이동단말기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컴퓨터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실행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동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면,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들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고,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상기 생성된 목록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실행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생성된 목록을 이용하여 동일한 AP에 접속된 이동단말기들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AP 영역에 접근하였을 경우, 동일한 AP 영역에 접속된 이동단말기들을 인식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들의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들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들을 소지한 사용자의 컴퓨터에 상기 생성된 목록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들을 소지한 사용자들은 동일한 AP 영역에 속한 구성원들의 연락처 등과 같은 정보를 알 수 있게 되고, 서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특정 공간 내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은 네트워크 서비스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업무가 신속하게 처리되어야하는 기업과 같은 경우, 본 발명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100 : AP
110 : 서버
120 : 서비스 수행장치
130 : 이동단말기

Claims (6)

  1.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따라 사전 설정된 컴퓨터를 자동 부팅 또는 자동 종료시키는 서비스 실행 모듈;
    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 또는 네트워크 접속 해제 요청을 포함하는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서비스 등록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상태 정보에 따른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비스 실행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 상태 정보로부터 이동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AP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거나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 접근하면 사전 설정된 컴퓨터를 자동 부팅시키는 명령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컴퓨터를 자동 종료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AP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해당 이동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허여하는 인증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와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5. 다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AP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상태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의 AP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특정 AP 영역을 이탈한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동단말기에 연동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컴퓨터가 제어되지 않도록 하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메시지를 상기 사전 설정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서비스 실행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명령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기 컴퓨터가 제어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KR1020110024762A 2011-03-21 2011-03-21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KR10128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62A KR101285818B1 (ko) 2011-03-21 2011-03-21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62A KR101285818B1 (ko) 2011-03-21 2011-03-21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601 Division 2010-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05A KR20120030305A (ko) 2012-03-28
KR101285818B1 true KR101285818B1 (ko) 2013-07-12

Family

ID=4613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62A KR101285818B1 (ko) 2011-03-21 2011-03-21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68B1 (ko) * 2011-09-23 2013-10-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보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5905B1 (ko) * 2012-05-04 2019-0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영역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9808A (ko) * 2012-09-25 2014-04-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Wifi 환경의 무선 통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051A (ja) * 1998-06-03 1999-12-14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050039322A (ko) * 2003-10-24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보안설정 방법
KR20090052963A (ko) * 2007-11-22 2009-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KR100906570B1 (ko) * 2008-06-09 2009-07-06 강경흠 블루투스 모듈이 있는 휴대폰을 활용한 고객인지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051A (ja) * 1998-06-03 1999-12-14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050039322A (ko) * 2003-10-24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보안설정 방법
KR20090052963A (ko) * 2007-11-22 2009-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숙박 시설용 무선 리모콘키 시스템
KR100906570B1 (ko) * 2008-06-09 2009-07-06 강경흠 블루투스 모듈이 있는 휴대폰을 활용한 고객인지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05A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814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30141514A1 (en) Method for switching video calls between devices
JP2002077372A (ja) 紛失、盗難または悪用される携帯電話の制御および保護方法ならびに装置
KR101875145B1 (ko)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US98881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5580392A (zh) 无缝呼叫切换
US20100217852A1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Server Therefor
CN103810034A (zh) 操作模式切换方法
US20190080572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evices using virtual buttons
JP2005117472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1285818B1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및 이탈 인식 시스템
US20100291913A1 (en) Remote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phones
CN103279272A (zh) 一种在电子装置中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EP3226591B1 (en) Call transfer method and terminal
CN106296060A (zh) 一种快递柜的应用程序与硬件设备间的信息交互方法及系统
KR20080081686A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 및 위치정보 제공 방법
KR101847271B1 (ko) 레고형 센서모듈을 활용한 스마트 it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CN101098368A (zh) 远程控制来电转接的方法
CN105227609A (zh) 一种基于微信公众平台的功能自适应的物联网设备交互方法
KR100998753B1 (ko)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m2m모듈, 상기 m2m 모듈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m2m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CN103236096A (zh) 蓝牙型智能密码钥匙
JP2009177360A (ja) 通信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WO2009016684A1 (ja) 携帯端末装置の初期化方法
CN103841508A (zh) 用户信息获取方法和信息汇聚平台
KR20130073801A (ko) 이동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이동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