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727A -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 Google Patents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727A
KR20090051727A KR1020090038879A KR20090038879A KR20090051727A KR 20090051727 A KR20090051727 A KR 20090051727A KR 1020090038879 A KR1020090038879 A KR 1020090038879A KR 20090038879 A KR20090038879 A KR 20090038879A KR 20090051727 A KR20090051727 A KR 2009005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grout
casing
order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483B1 (ko
Inventor
문동춘
Original Assignee
문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춘 filed Critical 문동춘
Publication of KR2009005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4P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Abstract

방조제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제체 등에서 치환사석과 제체사석 내에 물의 흐름으로 인해 유동량이 크고 토립자의 유실이 심하며, 물의 유속이 빨라 효과적인 차수 그라우팅 공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지반층의 공극이나 공동이 크고, 유속이 빠른 해안이나 방조제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라우팅 차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케이싱(1)을 횡으로 연속하여 사석층(3)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1) 내부 공간에 끝단이 막힌 긴 포대(10)를 삽입하여, 상기 포대(10)의 내부에 그라우트(2)를 채우고 상기 케이싱(1)은 인발하도록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있어서, 상기 포대(10) 내부에 채워진 그라우트(2)가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른 수중에세 일체의 유실이 없이 경화되면 다수의 부정형 형상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어 차수벽(1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차수벽, 사석층, 매립층, 해안매립

Description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SERIAL WATERPROOF WALL GROUTING METHOD}
방조제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제체 등에서 치환사석과 제체사석 내에 물의 흐름으로 인해 유동량이 크고 토립자의 유실이 심하며, 물의 유속이 빨라 효과적인 차수 그라우팅 공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유속이 빠른 해안이나 방조제 및 공극이나 공동이 큰 지반층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라우팅 차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케이싱(1)을 횡으로 연속하여 사석층(3)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1) 내부 공간에 끝단이 막힌 긴 포대(10)를 삽입하여, 상기 포대(10)의 내부에 그라우트(2)를 채우고 상기 케이싱(1)은 인발하도록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관한 것이다.
방조제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제체 등에서 치환사석과 제체사석 내에 물의 유속이 빠르고 유동량이 큼으로 인해 토입자의 유실 정도가 심한 실정이다. 즉, 지반층이 공극이 크고, 유속이 빠른 해안이나 방조제 및 공극이나 공동이 큰 지반층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차수 공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지역에서 일반 시멘트밀크계 및 우레탄계 뿐 아니라 몰탈주입 공법 등도 공극이 큰 사석층에서는 유속이 빨라 주입과 동시에 주입된 재료가 유실되어 적용이 불가능하며, Sheet Pile을 이용한 공법도 자재의 사장과 부식으로 인해 경제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근본적으로 유속이 심한 곳에서 원활한 차수를 위해 공극을 메운 그라우트의 재료유실이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주입재료가 경화종료시간까지 공극 사이로 흐르는 물의 세굴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그라우트 주입재를 보호하고 수압에 의해 침식되지 않는 공법이어야 한다.
또한, 방조제 및 제체, 지층내 공극 및 공동등은 크기와 형상이 매우 다양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공동/공극 등의 형태에 유연성있게 주입되고 보호될 수 있도록 부직포가 늘어나거나 늘어나지 않거나 적절히 늘어나는 등 다양한 물성이 쓰일 수 있어야 하며, 매우 큰 공극/공동 등에는 접어진 포대가 주입재의 주입으로 공극/공동 내에서 펴지면서 최대한 많은 주입재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석층을 천공하여 케이싱을 설치하고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를 케이싱 내부에 삽입하여 몰탈(그라우트)을 포대 내부로 주입한 후에 케 이싱을 인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유속이 빠르고 공극이 큰 사석층 내에서도 주입된 그라우트 재료가 경화되기 전까지 포대가 보호해줄 수 있어서 물에 씻겨 나가지 않아 세굴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뚝처럼 수직하중 또는 수평하중을 받는 구조체가 아니고, 순수하게 차수의 목적만을 가지고 지반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차수벽의 내부에는 별도의 철구조물(강도 보강용으로 철근, 강봉, 또는 강관 등) 등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중앙의 코어 부분은 재료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비활용성 코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은,
사석층(3)이나 지반에 케이싱(1)을 설치하는 케이싱설치단계와, 상기 케이싱(1) 내부 공간에 포대(10) 또는 합성수지제 관을 삽입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포대(10)의 내부에 그라우트(2)를 채우며, 상기 케이싱(1)을 인발하는 인발단계와, 상기 포대(10) 내부에 채워진 그라우트(2)가 경화되는 경화단계와, 상기 그라우트(2)가 경화되어 형성된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차수벽(100)이 형성되는 차수벽형성단계를 갖는다.
상기 차수벽형성단계는, 상기 케이싱(1)을 서로 연속되지 않도록 사석층(3)에 다수개 설치하여 차수기둥(110)을 형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설치 된 차수기둥(110)들의 사이의 사석층(3)에 상기 케이싱(1)을 설치하여 차수기둥(110)을 형성하는 제2과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과정 또는 제2과정에서, 상기 케이싱(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포대(10)의 상부는 상기 케이싱(1)의 직경과 대략 유사한 직경이며, 포대(10)의 하부는 상기 케이싱(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포대(10)의 하부는 측면을 따라 종으로 접혀 상기 케이싱(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대(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포대(10)를 감싸는 대략 포대(10)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도링(20) 또는 상기 포대(1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나선형링(21)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링(20) 또는 나선형링(21)은 상기 케이싱(1)과 포대(1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봉(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대(10)를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포대(10)를 길이방향으로 눌러 접어서 상기 유도봉(30)에 상기 유도링(20) 또는 나선형링(21)을 고정하여 상기 케이싱(1)의 바닥까지 눌러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겨서 포대(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봉(30)은 유공강관(31) 또는 끝단이 뚫린 강관(32)이며, 상기 유도봉(30)은 유공강관(31)인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의 인발 이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구비된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며, 상기 유도 봉(30)은 끝단이 뚫린 강관(32)인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의 인발과 동시에 혹은 케이싱(1)이 인발된 이후에 상기 강관(32)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하부부터 그라우트(2)를 분사하면서 인발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대(10)는 부직포, 천, 또는 종이에 풀을 먹여 굳혀서 만든 대략 상기 케이싱(1)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풀종이포대(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공강관(31)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의 인발 이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구비된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거나, 상기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는 끝단이 뚫린 하나 이상의 강관(32)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의 인발과 동시에 혹은 케이싱(1)이 인발된 이후에 상기 강관(32)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하부부터 그라우트(2)를 분사하면서 인발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링(20)의 내부 동일평면상에는 상기 유도링(20)과 둘 이상의 코어링 지지대(4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포대(10) 내부의 바닥 부분에 그라우트(2)를 일부 채운 후, 상기 코어링(40)을 관통 하여 상기 포대(1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하여, 상기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종이포대(11)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대략 상기 풀종이포대(11)의 내경을 갖는 다수의 유도링(20)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링(20)의 내부 동일평면상에는 상기 유도링(20)과 둘 이상의 코어링 지지대(4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풀종이포대(11) 내부의 바닥 부분에 그라우트(2)를 일부 채운 후, 상기 코어링(40)을 관통하여 상기 풀종이포대(11)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하여, 상기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종이포대(11)가 상호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풀종이포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물(12)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종래 기술로는 해안의 방조제 또는 제체를 시공하는 경우에 차수를 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공사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을 활용하면 공극이 큰 사석층이나 공동이 큰 지반층이더라도 완벽한 차수가 가능하고 공사비의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공법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좋고, 유공강관이나 강관을 사용하여 2차로 그라우트를 주입함으로써 더욱 완벽한 차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포대를 삽입시 포대 외부에 유공강관 또는 강관을 부착 연결하여 동시에 케이싱 내부에 넣어주기 때문에 추가로 천공을 할 필요가 없어 공법이 간단하며 공사비 절감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공극 또는 공동이 매우 큰 경우에는 케이싱 내에 접이식 포대(17)를 넣고 그라우트를 주입하면 공극 및 공동 형태에 맞게 유연하게 포대가 자리잡으면서 주입재가 주입되도록 유도하므로써 공극 또는 공동을 완전히 채워 차수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중앙의 코어 부분에 재료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시키므로써, 자재 및 비용등을 절감하거나,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의해 완성된 차수벽(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의해 완성된 차수벽(100)의 다양한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을 시행하면 횡으로 연속되는 차수기둥(110)이 결합되어 차수벽(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은, 다수의 케이싱(1)을 횡으로 연속하여 사석층(3)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싱(1) 내부 공간에 끝단이 막힌 긴 포대(10)를 삽입하여, 상기 포대(10)의 내부에 그라우트(2)를 채우고 상기 케이싱(1)은 인발하도록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있어서, 상기 포대(10) 내부에 채워진 그라우트(2)가 경화되면 다수의 차수 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어 차수벽(1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말뚝처럼 수직하중 또는 수평하중을 받는 구조체가 아니고, 순수하게 차수의 목적만을 가지고 지반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차수벽의 내부에는 별도의 철구조물(강도 보강용으로 철근, 강봉, 또는 강관 등) 등이 구비될 필요가 없고, 수직/수평적으로 경계를 만들어서 물의 유입만을 차단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케이싱(1)은 종래 지반 천공시 삽입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사석층(3)은 공극이 많은 층을 의미하는 것이다. 통상 방조제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제체 등에는 치환사석이나 제체사석이 매립되게 되며, 이들은 입자가 커서 공극이나 공동이 크고 유속이 빠른 해안가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차수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본 발명에서 사석층(3)은 상기 설명한 치환사석이나 제체사석 등이 매립된 층을 의미하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크기가 큰 호박돌, 전석, 암괴 및 소량의 자갈이나 모래 등으로 이루어져서 차수 수단이 필요한 층이라면 모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대(10)는 주입되는 그라우트(2)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되는 그라우트(2)가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의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통상 취급이 용이한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특징상 포대(10)는 그라우트(2) 주입재료가 경화되기까지만 유수에 씻겨나가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것이면 가능하다. 즉, 차수목적의 목표치, 지반상태, 유속의 정도 등에 따라 형태나 재질이 다양하게 바뀔 수 있으므로, 포대의 형태와 재질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포대(10)는 부직포, 천, 또는 종이에 풀을 먹여 굳혀서 만든 대략 상기 케이싱(1)의 내부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의 풀종이포대(11)나 PVC와 같은 합성제 또는 합성수지제 관을 사용할 수 있다. 풀종이포대(11)는 종이에 풀을 먹어서 굳힌 것으로 약간의 강성을 갖으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 한 것이다. 또한, 물이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에는 물이 투과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 사용하기 매우 적당하다. 또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풀종이포대(11)는 녹아서 없어지게 된다.
다만, 풀종이포대(11)는 그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서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는 두꺼운 풀종이포대(11)가 매우 빠른 유속에 씻겨서 벗겨지면 그만큼 인접 차수기둥간에 공극이 커질 위험이 있으므로, 인접부 만큼은 인장력이 좋고 얇은 직물천인 직물(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차수기둥(110)의 상호 인접부는 매우 얇은 직물(12)로 되어 있어서 1차적으로 인접부의 공극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사용하여 추가로 그라우트(2)를 뿌려주는 경우에 쉽게 차수할 수 있게 된다(도 7h참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라우트(2)는 보통슬럼프치 또는 저슬럼프치(슬럼프 0~10)의 몰탈을 사용할 수 있는 바, 포대(10)에 투입되는 내부그라우트는 보통슬럼프치 또는 저슬럼프치의 몰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부가 막힌 유공강관(31)으로 주입되는 외부그라우트는 급결식 저슬럼프치 몰탈 및 급결제 시멘트계를 사용하고, 하부가 뚫린 강관(32)으로 주입되는 외부그라우트는 저슬럼프치(슬럼프 0~10)의 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포대(10) 내부 재료는,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 재료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총 4개의 차수기둥(110)이 연속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시공시에는 연속적으로 지반을 천공하는 것은 아니며, 먼저 2개를 형성한 후에(1st), 상기 형성된 것의 사이로 새롭게 천공하여 나머지 2개를 형성하게 된다(2nd). 이 경우, 먼저 형성된 것과 인접하게 천공을 할 수도 있으나, 먼저 형성된 부분도 겹치도록 천공을 시행할 수도 있다. 이 또한 지반에 횡으로 연속하여 천공을 하는 경우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의해 완성된 차수벽(100)의 다양한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포대(10)가 유도링(20) 또는 나선형링(21)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유공강관(31) 및 강관(32)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도 1에서 형성된 차수벽(100)의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차수기둥(110)이 상호 겹치면서 형성된 차수벽(100)의 단면도이다.
도 2의 (c) 내지 (f)는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이용하여 추가로 그라우트(2)를 주입한 것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포대(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포대(10)를 감싸는 대략 포대(10)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도링(20)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링(20)은 상기 케이싱(1)과 포대(1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봉(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대(10)를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포대(10)를 길 이방향으로 눌러 접어서 상기 유도봉(30)에 상기 유도링(20)을 고정하여 상기 케이싱(1)의 바닥까지 눌러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겨서 포대(1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케이싱(1)에 주입되는 포대(10)는 공극이나 공동이 큰 사석층에 삽입되는 것이여서, 케이싱(1) 내부는 물이 차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10)를 케이싱(1)의 내부 바닥까지 삽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유도링(20)이 포대(10)에 장착되게 된다. 유도링(20)은 대략 포대의 직경을 갖는 원형 링으로서 상기 포대(10)를 소정 간격으로 감싸게 된다. 즉, 포대(1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게 된다.
유도링(20)은 통상 낚시대나 텐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탄소섬유나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탄성을 갖고 있어 링 형상을 유지하기 좋은 것을 사용한다. 또한, 지반 천공시 천공비트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유도링(20)으로 강재를 사용하게 되면 1st 차수기둥(110)을 설치하고 인접하여 2nd 차수기둥(110)을 설치하는 경우에 천공비트에 강재가 걸릴 수 있어 공사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의 (g)는 도 2의 (a)에서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이용하여 추가로 그라우트(2)를 주입한 것의 단면도이다. 차수기둥(110)이 상호 겹치면서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차수기둥(110)이 겹쳐지지 않는 경우에도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이용하여 추가로 그라우트(2)를 주입하여 외부 그라우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의 (h)는 시공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h)를 살펴보면, 차수기둥(110)은 ①과 ②로 구분되어 있다. 시공순서는 ①를 먼저 시공하여 완료하고, ②를 시공한다. ①과 ②는 모두 직물제 포대를 사용할 수도 있고, ①은 풀종이 포대 또는 PVC등의 합성제 관을 사용하고 ②는 직물제 포대를 사용할 수 있다. ①과 ②를 모두 풀종이 포대 또는 PVC등의 합성제 관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①과 ②의 사이에 ②의 케이싱의 두께만큼의 공차가 있어 고품질의 차수가 이루어질 수는 없으며, 저품질의 차수가 요망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도 있다. ②를 직물제 포대로 하는 경우 ①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상관없이 ②의 시공시에 직물제 포대가 ①에 밀착되므로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의 (h)에서도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이용하여 추가로 그라우트(2)를 주입하여 외부 그라우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유도링(20)이 유도봉(30)에 고정되는 모습을 알 수 있으며, 유도링(20)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고정고리(25)에 의해 유도봉(30)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는 포대(10)를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에 이미 물이 차올라 있어 삽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포대(10)를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눌러 접어서 집어 넣은 후에 다시 포대(10)의 상단을 상부에서 당겨서 고정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용이하므로, 이에 활용하기 위해 유도링(20)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대(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포대(1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나선형링(21)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링(21)은 상기 케이싱(1)과 포 대(1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봉(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대(10)를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포대(10)를 길이방향으로 눌러 접어서 상기 유도봉(30)에 상기 나선형링(21)을 고정하여 상기 케이싱(1)의 바닥까지 눌러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겨서 포대(1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설명한 유도링(20)을 대신하여 나선형링(21)을 구비하는 것이다. 나선형링(21)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링이므로 포대(10)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기는 경우에, 나선형링(21)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포대(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해준다.
나선형링(21) 또한, 상기 설명한 유도링(2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이다.
도 3의 (b)에서 보듯이 나선형링(21)도 고정고리(25)를 이용하여 유도봉(30)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도봉(30)은 끝단이 막힌 유공강관(31)이되, 상기 케이싱(1)의 인발 이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구비된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공강관(31)으로, 밀폐된 끝단이 지중을 향하도록 삽입하게 된다. 유공강관(31)은 전체적으로 다수의 분 사홀(33)을 구비하여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분사하게 된다. 유공강관(31)은 고정된 상태에서 그라우트(2)를 분사하므로 분사를 완료한 후에는 매립된 상태로 두거나 인발하여 재활용할 수도 있다.
유공강관(31)에서 분사되는 그라우트(2)는 차수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포대(10) 내부에 그라우트(2)의 주입을 완료하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차수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차수기둥(110)과 차수기둥(110) 사이의 공간에 그라우트(2)를 주입해줘야 하므로 유공강관(31)은 차수기둥(110)과 차수기둥(110) 사이의 공간에 그라우트(2)를 주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도 2의 (c) 내지 (f)에서 보듯이, 상기 유공강관(31)은 포대(10)에 설치되는 유도링(20)과 연결되면서도 추후에 형성될 차수기둥(110)과 차수기둥(110)의 사이 공간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유공강관(31)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도 2의 (c)처럼 각 포대(10)당 1개의 유공강관(31)이 차수기둥(110)과 차수기둥(110) 사이에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도 2의 (d) 또는 (e)처럼 각 포대(10)당 2개의 유공강관(31)이 차수벽(100)의 일면을 향해 또는 양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f)처럼 4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차수기둥(110)과 차수기둥(110) 사이의 네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설치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도봉(30)은 끝단이 뚫린 강관(32)이되, 상기 케이 싱(1)의 인발과 동시에 혹은 케이싱(1)이 인발된 이후에 상기 강관(32)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하부부터 그라우트(2)를 분사하면서 인발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b)는 강관(32)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관(32)은 끝단이 열려 있어 끝단으로만 그라우트(2)를 주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라우트(2) 주입시에는 지하 깊숙한 곳부터 차례로 강관(32)을 인발하면서 주입하게 되므로 강관(32)은 자동으로 회수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강관(32) 또한, 기본적으로 상기 설명한 유공강관(31)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추가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유공강관(31)이 분사홀(33)을 통해 그라우트(2)를 뿜어내는 구조이고 강관(32)은 끝단으로 그라우트(2)를 밀어내는 구조이므로, 통상 유공강관(31)에서 뿜어지는 그라우트(2)는 적은 양으로 차수가 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공자는 지반의 상태 및 시공 여건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서 비활용성 코어(5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말뚝처럼 수직하중 또는 수평하중을 받는 구조체가 아니고, 순수하게 차수의 목적만을 가지고 지반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차수벽의 내부에는 별도의 철구조물(강도 보강용 철근, 강봉, 또는 강관 등) 등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오히 려, 중앙의 코어 부분은 재료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유도링(20)의 내부 동일평면상에는 상기 유도링(20)과 둘 이상의 코어링 지지대(4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포대(10) 내부의 바닥 부분에 그라우트(2)를 일부 채운 후, 상기 코어링(40)을 관통하여 상기 포대(1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하여, 상기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포대(10) 내부에 전체적으로 그라우트(2)를 채울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물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을 제외한 차수기둥(110)의 중앙 부분에는 비활용성 코어(51)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그라우트(2)를 주입할 때 포대(10)의 내부 공간 중앙부분에 별도의 거푸집이 요구되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코어투입관(50)에 해당한다. 또한, 코어투입관(50)을 지지해 줄 도구도 필요하며 이 역할을 하는 것은 코어링(40) 및 코어링 지지대(41)에 해당한다. 코어링(4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 개의 지지점이 필요하므로 코어링 지지대(41)는 2개 이상이 구비되어야 한다.
코어링(40) 또한 상기 설명한 유도링(20)이나 나선형링(21)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게 되며, 코어링 지지대(41)는 코어링(40)을 지지할 수만 있으면 재질에 제한은 없다.
코어투입관(50)은 매립식 또는 제거식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통상 PVC재질 의 합성수지제를 많이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비활용성 코어(51)는 세굴되지 않도록 물과 닿지 않아야 하므로 포대(10)의 바닥 부분에는 일정량의 그라우트(2)를 주입한 후에, 그 상부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해야 한다.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이나 모래, 또는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그라우트(2)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단가 절감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포대(10)로 풀종이포대(1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풀종이포대(11)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대략 상기 풀종이포대(11)의 내경을 갖는 다수의 유도링(20)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링(20)의 내부 동일평면상에는 상기 유도링(20)과 둘 이상의 코어링 지지대(4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풀종이포대(11) 내부의 바닥 부분에 그라우트(2)를 일부 채운 후, 상기 코어링(40)을 관통하여 상기 풀종이포대(11)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하여, 상기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서 사용되는 풀종이포대(11)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의 ①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포대(10)가 상기 설명한 풀종이포대(11)인 경우에는 물에 녹기 전까지는 풀종이포대(11) 자체가 강성을 가지고 있어 서 케이싱(1)과 풀종이포대(11) 사이에서 마찰에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풀종이포대(11)는 상기 케이싱(1)의 내경과 거의 비슷한 직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스럽게 유도링(20)은 풀종이포대(11)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은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 장착되게 된다. 다만, 풀종이포대(11)는 통상 직물로 구성된 포대와는 달리 강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풀종이포대(11)에는 자체적으로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서 안쪽으로 묻혀진 형태를 구비하여 안쪽으로 묻혀진 부분에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이 부착되게 된다.
풀종이포대(11) 내부에 그라우트(2)를 채우고 난 후에 추가로 유공강관(31) 또는 강관(32)을 사용하여 그라우트(2)를 주입하게 된다. 풀종이포대(11)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물에 녹게 되므로, 차수기둥(110) 상호 간의 접촉부의 빈 공간에는 직물(12)을 덧대고, 직물(12)에 대응되는 부위의 풀종이는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의 ②는 풀종이포대(11)의 단면도로서, 풀종이포대(11)의 일부가 절개되고, 직물(12)이 덧대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a의 ③은 풀종이포대(11)의 측면도로서 상하로 배열된 직물(12)의 중간중간이 떨어져 있으며 풀종이포대(11) 재질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a의 ③에서 직물(12)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체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끝단 이 막힌 하나 이상의 유공강관(31)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의 인발 이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구비된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끝단이 뚫린 하나 이상의 강관(32)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의 인발과 동시에 혹은 케이싱(1)이 인발된 이후에 상기 강관(32)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하부부터 그라우트(2)를 분사하면서 인발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b는 풀종이포대(11)의 하부의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풀종이포대(11)의 하부에는 바닥판(13)이 있어 통수를 막고 있으며, 바닥판(13)의 상부에 지지대(18)가 풀종이포대(11)에 연결되어 있고, 지지대(18)의 중앙에는 물 순환구(14)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18)의 상부에는 소정 길이의 뚜껑 고정끈(15)이 다수개 부착되어 있으며, 뚜껑 고정끈(15)의 말단에는 뚜껑(16)이 달려 있다. 바닥판(13)은 그라우트(2)가 유속압에 세굴되지 않는 얇은 질긴 천 종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의 ①②와 ③④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①과 ③은 풀종이포 대(11)를 물속 아래로 넣을 때 뚜껑(16)이 열려 바닥판(13)의 하부에서 물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이며, ②와 ④는 풀종이포대(11)가 정지되거나 상부로 잡아당겨질 때 뚜껑(16)이 닫혀 물의 이동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풀종이포대(11)의 내부에 그라우팅이 채워지면 뚜껑(16)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6b의 ⑤는 ③ 및 ④의 평면도이다. 바닥판(3)의 상부에는 4개의 지지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18)의 중앙에는 물 순환구(14)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물 순환구(14)의 상부에는 뚜껑(16)이 덮여 있다.
도 6a 또는 도 6b에서 풀종이포대(11)은 PVC등의 합성제 관으로 대체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이 시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i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이 시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공법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a) 지반천공단계
도 7a는 사석층(3)에 케이싱(1)을 삽입하면서 햄머빗트를 이용하여 사석층(3)을 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b) 포대삽입단계
도 7b는 햄머빗트를 인양하고 케이싱(1) 내부에 포대(10)를 삽입한 모습이 다. 포대(10)는 강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케이싱(1)의 내부는 이미 물이 차올라 있으므로 포대(10)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포대(10)를 길이방향으로 눌러 접어서 전체적으로 눌러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겨서 원 모양으로 회복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다만, 포대(10)로 풀종이포대(1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풀종이포대(11)가 강성이 있으므로, 풀종이포대(11)를 접지 않고 바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c) 포대설치단계
도 7c는 상기 (b)단계에서 포대(10)를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겨서 포대(10)를 케이싱(1)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다만, 풀종이포대(1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단계는 불필요하다.
(d) 그라우트주입단계
도 7d는 상기 설치된 포대(10)의 내부로 그라우트(2)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그라우트(2)를 주입하면서 지중에 삽입된 케이싱(1)도 인발하게 된다. 케이싱(1)을 인발하게 되면, 포대(10)를 지지해주던 힘이 없어지므로 포대는 도면에서 보듯이 볼록볼록한 외주면을 구비하게 된다.
(e) 차수기둥 완성단계
도 7e는 상기 (d)단계에서의 그라우트(2) 주입을 계속하여 차수기둥(11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f) 추가 지반굴착단계
본 발명에서 차수벽(100)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차수기둥(110)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이는 도 7f에서 보듯이 1st 기둥을 먼저 설치하고, 2nd 기둥을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2nd 차수기둥(110) 설치를 위해 추가로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이다.
(g) 추가 차수기둥 완성단계
도 7g는 2nd 차수기둥(110)을 모두 완성하는 단계이다. 차수기둥(110)의 설치방법은 상기 (b) 내지 (e) 단계를 시행하여 가능하다.
(h) 추가 그라우트 분사단계
상기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하여 완성되기는 했으나, 차수기둥(110)과 차수기둥(110) 사이에는 간극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7h의 (a)는 추가 그라우트 분사를 위해 유공강관(31)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도 7h의 (b)는 추가 그라우트 분사를 위해 강관(32)을 사용하는 모습이다.
끝단말 열린 강관(32)은 차수기둥 사이에 공극이 크게 남는 경우에 주입량이 큰 저슬럼프치의 몰탈을 주입하면서 인양하게 된다.
(i) 차수벽 완성단계
도 7i는 상기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차수벽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포대(10)를 접지 않고 케이싱(1)의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와, 포대(10)를 접어 케이싱(1)의 내부로 삽입한 경우의 시공상황도이다.
도 8의 (a)는 케이싱(1)을 사석층(3)에 설치하고, 케이싱(1)의 내부에 포대(10)가 삽입되어 하강하되, 포대(10)의 비중이 낮아 물위에 뜨거나 잘 가라앉지 않는 경우에는 포대(10)의 내부에 그라우팅주입관(12)을 넣어 강제로 하강시킨다. 이렇게 하는 경우 포대(10)는 물의 압력에 의해 쪼그라 들게 되며, 포대(10)의 아래에서부터 그라우팅(2)이 채워지며, 이때 케이싱(1)과 그라우팅주입관(120)은 서서히 상승시켜 인양한다.
도 8의 (b)는 케이싱(1)을 사석층(3)에 설치하고, 케이싱(1)의 내부에 포대(10)가 상하로 접혀서 삽입되며, 포대인양용 끈(60)에 의해 포대(10)의 상부가 상승하게 되면 포대(1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포대(10)는 내부와 외부에 물이 존재하므로 쪼그라 들지 않게 되며, 포대(10)의 아래에서부터 그라우팅(2)이 채워지며, 포대(10) 내부의 물은 포대(10)의 상부로 배출된다. 이때 케이싱(1)과 그라우팅주입관(120)은 서서히 상승하며 그라우팅을 주입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치환사석이나 제체사석 사이의 공극이 큰 경우의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살펴보면, 사석층(3)에 케이싱(1)을 설치한 경우, 케이싱(1)의 주변에 있는 사석층(3)의 치환사석이나 제체사석의 입자 크기에 의해 공극이 생긴다. 상기 공극은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수㎥에서 수십㎥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공극은, 치환사석이나 제체사석의 입자 크기 때문에 생성되기도 하지만, 물의 세굴에 의해 형성되거나 탄광처럼 인위적인 공동형성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도 9의 (a)와 같이 커다란 공극에 일반적인 포대를 사용하여 그라우트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그라우트로 공극이 채워지지 않아 불완전하게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a)와 같이 커다란 공극이 있는 경우 일반적인 포대를 사용하지 않고, 도 9의 (b)와 같이 하부가 넓은 접이식포대(17)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 접이식포대(17)의 하부의 직경은 케이싱의 직경보다 넓은 것을 사용한다.
도 9의 (c)는 케이싱(1)의 내부에 접이식포대(17)가 접혀져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접이식포대(17)의 상부의 직경은 케이싱(1)의 직경과 유사하므로 케이싱(1)의 내부에 삽입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포대(17)의 하부의 직경은 케이싱(1)의 직경보다 크므로 포대(17)의 하부는 측면을 따라 접어서 케이싱(1)에 삽입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의해 완성된 차수벽(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의해 완성된 차수벽(100)의 다양한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포대(10)가 유도링(20) 또는 나선형링(21)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유공강관(31) 및 강관(32)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서 비활용성 코어(5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서 사용되는 풀종이포대(11)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i는 본 발명인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이 시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공법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포대(10)를 접지 않고 케이싱(1)의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와, 포대(10)를 접어 케이싱(1)의 내부로 삽입한 경우의 시공상황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치환사석이나 제체사석 사이의 공극이 큰 경우의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2: 그라우트
3: 사석층
10: 포대
11: 풀종이포대
12: 직물
13: 바닥판
14: 물 순환구
15: 뚜껑 고정끈
16: 뚜껑
17: 접이식포대
18: 지지대
20: 유도링
21: 나선형링
25: 고정고리
30: 유도봉
31: 유공강관
32: 강관
33: 분사홀
40: 코어링
41: 코어링 지지대
50: 코어투입관
51: 비활용성 코어
60: 포대 인양용 끈
100: 차수벽
110: 차수기둥
120: 그라우팅주입관

Claims (11)

  1.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에 있어서,
    사석층(3)이나 지반에 케이싱(1)을 설치하는 케이싱설치단계;
    상기 케이싱(1) 내부 공간에 포대(10) 또는 합성수지제 관을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포대(10)의 내부에 그라우트(2)를 채우며, 상기 케이싱(1)을 인발하는 인발단계;
    상기 포대(10) 내부에 채워진 그라우트(2)가 경화되는 경화단계;
    상기 그라우트(2)가 경화되어 형성된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차수벽(100)이 형성되는 차수벽형성단계;를 갖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수벽형성단계는,
    상기 케이싱(1)을 서로 연속되지 않도록 이격시켜 사석층(3)에 다수개 설치하여 차수기둥(110)을 형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설치된 차수기둥(110)들의 사이의 사석층(3)에 상기 케이싱(1)을 설치하여 차수기둥(110)을 형성하는 제2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 또는 제2과정에서,
    상기 케이싱(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포대(10)의 상부는 상기 케이싱(1)의 직경과 대략 유사한 직경이며, 포대(10)의 하부는 상기 케이싱(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포대(10)의 하부는 측면을 따라 접혀 상기 케이싱(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포대(10)를 감싸는 대략 포대(10)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도링(20) 또는 상기 포대(10)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나선형링(21)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링(20) 또는 나선형링(21)은 상기 케이싱(1)과 포대(1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봉(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포대(10)를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포대(10)를 길이방향으로 눌러 접어서 상기 유도봉(30)에 상기 유도링(20) 또는 나선형링(21)을 고정하여 상기 케이싱(1)의 바닥까지 눌러 삽입한 후 포대(10)의 상단을 당겨서 포대(1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봉(30)은 유공강관(31) 또는 끝단이 뚫린 강관(32)이며,
    상기 유도봉(30)은 유공강관(31)인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의 인발 이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구비된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며,
    상기 유도봉(30)은 끝단이 뚫린 강관(32)인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의 인발과 동시에 혹은 케이싱(1)이 인발된 이후에 상기 강관(32)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하부부터 그라우트(2)를 분사하면서 인발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10)는 부직포, 천, 또는 종이에 풀을 먹여 굳혀서 만든 대략 상기 케이싱(1)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풀종이포대(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공강관(31)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의 인발 이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유공강관(31)에 구비된 분사홀(33)로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거나,
    상기 풀종이포대(11)의 외주면에는 끝단이 뚫린 하나 이상의 강관(32)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의 인발과 동시에 혹은 케이싱(1)이 인발된 이후에 상기 강관(32)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주입하여 하부부터 그라우트(2)를 분사하면서 인발하여 상기 다수의 차수기둥(110)이 횡으로 연속설치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2)를 추가로 분사하여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링(20)의 내부 동일평면상에는 상기 유도링(20)과 둘 이상의 코어링 지지대(4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포대(10) 내부의 바닥 부분에 그라우트(2)를 일부 채운 후, 상기 코어 링(40)을 관통하여 상기 포대(1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하여, 상기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종이포대(11)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대략 상기 풀종이포대(11)의 내경을 갖는 다수의 유도링(20)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링(20)의 내부 동일평면상에는 상기 유도링(20)과 둘 이상의 코어링 지지대(41)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링(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풀종이포대(11) 내부의 바닥 부분에 그라우트(2)를 일부 채운 후, 상기 코어링(40)을 관통하여 상기 풀종이포대(11)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코어투입관(50)을 설치하여, 상기 코어투입관(50)에는 젖은 흙, 모래 등의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비활용성 코어(5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종이포대(11)가 상호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풀종이포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물(12)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종이포대(11)가 상호 인접하는 부분은, 상기 풀종이포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물(12)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KR1020090038879A 2009-04-20 2009-05-04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KR100938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4304 2009-04-20
KR1020090034304 2009-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727A true KR20090051727A (ko) 2009-05-22
KR100938483B1 KR100938483B1 (ko) 2010-01-25

Family

ID=4085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879A KR100938483B1 (ko) 2009-04-20 2009-05-04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4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676A (zh) * 2017-11-21 2018-04-20 重庆建工市政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穿越全填充型溶洞的桩基施工方法
WO2022200692A1 (en) 2021-03-25 2022-09-29 Pirkan Laatupalvelu Oy Method for forming a wall structure in the ground by drilling and wall structure formed by drill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264B2 (ja) * 1993-04-15 1995-11-15 東洋建設株式会社 地中連続壁工法
KR100719875B1 (ko) * 2005-03-15 2007-05-18 남기천 고압분사 그라우팅에 의한 차수벽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66450B1 (ko) * 2006-08-10 2007-10-17 (주)신화소일테크 정착지지체로 이루어진 지반정착앵커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연약지반내 앵커시공방법
KR100914158B1 (ko) * 2007-07-16 2009-08-28 김창근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676A (zh) * 2017-11-21 2018-04-20 重庆建工市政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穿越全填充型溶洞的桩基施工方法
WO2022200692A1 (en) 2021-03-25 2022-09-29 Pirkan Laatupalvelu Oy Method for forming a wall structure in the ground by drilling and wall structure formed by dri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483B1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CN102561271B (zh) 一种高聚物注浆土石坝的施工方法
AU2018102180A6 (en) Anti-clogging strengthened permeabl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4268192A (en) Concrete wall construction
KR102248187B1 (ko) 보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110778328B (zh) 穿越滑坡体的黄土隧道进洞口段施工方法
CN102330436B (zh) 一种用于半岩土层超深圆形旋流池的组合支护结构及方法
CN109457709A (zh) 一种双排桩结合大角度锚索的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08951649B (zh) 一种基坑支护结构
JP2007070820A (ja) 盛土の補強工法および盛土
WO2012053733A2 (ko) 말뚝 선단의 기초부 형성과 인장부재의 고정정착부 형성을 위한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 공벽확장용 도구
KR100938483B1 (ko) 연속차수벽 그라우트 공법
KR102173079B1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1543209B1 (ko) 지오튜브와 이의 부상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그 시공 방법
JP4727718B2 (ja) 擁壁の補強工法
KR102247848B1 (ko) 가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0638548B1 (ko) 배수 겸용 가압 그라우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식 사면및 지반보강공법
CN110424202A (zh) 临海路基防浪结构及其施工方法
PT788572E (pt) Processo para o calcamento de edificios
CN106836203B (zh) 模袋桩体和淤泥硬化体的联合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748790A (zh) 一种适用于地下暗河环境桩基的施工方法
CN205804383U (zh) 一种旋流池止水帷幕
CN205804366U (zh) 一种渣沟结构
CN212104113U (zh) 锚拉桩与土钉墙联合支挡结构
CN201473955U (zh) 流沙层中人工挖孔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