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912A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912A
KR20090050912A KR1020070138983A KR20070138983A KR20090050912A KR 20090050912 A KR20090050912 A KR 20090050912A KR 1020070138983 A KR1020070138983 A KR 1020070138983A KR 20070138983 A KR20070138983 A KR 20070138983A KR 20090050912 A KR20090050912 A KR 2009005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electric resonator
loop antenna
dielectric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765B1 (ko
Inventor
이동현
박위상
박경호
문성진
우대웅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12,287 priority Critical patent/US7843288B2/en
Publication of KR2009005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감쇠파(evanescent wave)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는 유전체 공진기; 및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되어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유전체 공진기는 상하면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감쇠파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며,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방사(radiation)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므로써, 근거리나 원거리에서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전력 전송, 유전체 공진기, 루프 안테나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fering power wirelessly}
본 발명은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최근 들어 휴대폰을 포함한 각종 모바일 장치나 공장의 로봇 등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이슈가 되고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을 하는 방법으로는 자계 커플링 방식과 방사 방식이 대표적인 예이다.
자계 커플링(inductive coupling) 방식은 코일을 여러번 감아서 한 방향으로 강하게 자계를 유기시키는 방식으로, 비슷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코일이 아주 근접하게 되면 커플링이 일어나서 전력이 전송된다. 그러나, 자계 커플링 방식은 아주 근접한 거리에서만 전력 전송이 가능하고 각도가 조금만 틀어져도 전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방사(radiation) 방식은 모노폴(monopole)이나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등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계나 자계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방사가 일어나는 방식이다. 같은 주파수의 안테나가 있을 경우 입사파 의 극(polarization) 특성에 맞게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 방식은 모든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주변으로 방사되는 전력이 많으므로 효율적인 전력 전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계 커플링 방식보다 먼 거리에서도 전력 전송이 가능하고 방사 방식에 비해 근거리에서의 전송 효율을 높인 보다 효율적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방향으로 감쇠파를 형성하는 유전체공진기 안테나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감쇠파(evanescent wave)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는 유전체 공진기; 및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되어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유전체 공진기는 상하면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감쇠파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며,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방사(radiation)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공진기는 기준거리 이하에서는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방사 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발생된 감쇠파를 수신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전체 공진기; 및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되어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루프 안테나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유전체 공진기에서 발생된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력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전송 장치에서 발생된 감쇠파를 이용하여 유전체 공진기에서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루프 안테나를 통해 기기에 전달하는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각각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가 커플링되어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각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가까울수록 전력의 송수신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 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장치로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제안한다. 도 1a는 유전체공진기 안테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며, 도 1b는 유전체 공진기의 구조와 전계 및 자계의 모양을 나타내며, 도 1c는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구조를 도시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유전체 공진기(10)와 루프 안테나(20)를 구비한다. 먼저,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 resonator)(10)는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감쇠파(evanescent wave)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한다. 감쇠파는 근거리에서 강한 필드를 만들어 내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세기가 감소하는 필드를 말한다.
유전체공진기(10)는 고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기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내부에서 공진이 일어나게 되며 공진기 밖에서는 차단모드(cutoff mode)가 되어 감쇠파가 형성된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의 측면 사방으로 방사(radiation)가 일어난다. 이러한 유전제 공진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상하면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감쇠파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며,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방사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공진기는 기준거리 이하에서는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방사 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구성하는 유전체 공진기(10)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의 구조 및 전계, 자계의 모양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형태의 유전체 공진기 구조를 채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유전체 공진기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10)는 TE01δ 모드가 형성되며 자계(H field)는 z방향으로 형성이 된다. 이는 후술하는 루프 안테나(20)를 이용한 급전 구조에서의 자계의 방향과 같으므로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급전이 가능해진다. 유전체 공진기 내에서 공진이 일어나게 되면 z 방향으로는 차단 모드가 형성되어 감쇠파가 발생하며, xy 방향으로는 방사가 일어난다.
표 1은 835MHz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설계를 위한 파라미터 수치를 예시한다.
기호 수치(mm)
r1 8
r2 31
h 23
그러나, 원하는 주파수나 무선 전력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가진 단말의 특성에 따라 유전체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파라미터 수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한편, 도 1c를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2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루프 안테나(20)는 유전체 공진기(10)의 일면과 커플링을 형성하여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루프 안테나는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이격되며, 루프 안테나에 인가된 전력을 통해 전자기장을 여기시켜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루프 안테나(20)는 기판 위에 루프 형태의 안테나를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형태일 수 있다. 즉, 필드를 여기시키기 위한 급전 구조는 루프형태로 하고, 제작의 정확도와 유전체 공진기와의 결합을 쉽게 하기위하여 마이크로스트립 구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테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루프 형태의 안테나를 그대로 이용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할 수도 있다.
표 2는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급전구조의 설계 파라미터를 예시한다.
기호 수치(mm) 기호 수치
a 62 d1 13
b 66 d2 4
w 1 t 1.55
r3 17    
그러나, 원하는 주파수나 무선 전력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가진 단말의 특성에 따라 루프 안테나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파라미터 수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루프 안테나(20)는 루프 면과 수직하게 자계(H field)가 형성되며 루프 자체의 공진 주파수는 원하는 주파수나 무선 전력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가진 단말의 특성에 따라  UHF, HF, 또는 LF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기(10)는 TE01δ 모드에서 자계가 z방향으로 형성이 되므로,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급전 구조에서의 자계의 방향과 같으므로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급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조에서 안테나의 매칭을 위하여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의 간격(l)을 3 mm로 설계하였다. 그러나, 원하는 주파수나 무선 전력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가진 단말의 특성에 따라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의 간격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파라미터 수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 형태의 안테나가 패터닝된 기판의 일면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필드 형성을 위한 간격 조절을 위하여 손실이 적은 기판이나 스트로폼 등의 절연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 기판 사이의 거리가 l이며,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사이의 거리도 l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격 l이 3mm 인 경우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형태의 안테나가 패터닝된 기판의 일면의 반대 면과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이 접촉하여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루프 안테나(20)의 기판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하여 기판 뒷면에 루프를 패터닝(patterning)함으로써, 추가적인 구조물이 없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의 기판 사이의 거리가 0이며,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사이의 거리는 기판의 두께 t 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의 두께 t가 1.55mm인 경우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모양의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실린더 형태(도 3a 참조), 실린더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형태(도 3b 참조), 직육면체 형태(도 3c)의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유전체 공진기는 유전체 주변부에 코일을 감아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도 3d). 유전체 공진기에 코일을 감음으로써 동작주파수를 낮출수 있으며, 또한 방사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서 무선전력 송수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모양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모양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하고자 하는 제품에 가장 효율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원하는 동작주파수에 맞추어 유전체 공진기의 모양 및 크기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제품 응용이 용이하다. 또한, 원하는 전력 전송 거리에서 가장 전력 전송 효율이 높아지도록 감쇠파와 방사 간의 영향을 조절하도록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밖에 원하는 주파수나 무선 전력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가진 단말의 특성에 따라 유전체 공진기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모양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신호를 인가할 때 형성되는 필드의 모양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전체 공진기(10)와 루프 안테나(20)가 커플링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신호를 인가할 때의 필드의 모양이 도시된다.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의 필드 형태가 유사하므로 유전체 공진기의 내부에서 공진이 일어난다. 유전체 밖에서는 z 방향으로 차단 모드가 되어 신호의 감쇠가 일어난다. 이때 신호가 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감쇠파로 볼 수 있다. xy 방향으로는 방사가 일어난다.
이상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전술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즉,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발생된 감쇠파를 수신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전체 공진기와,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되어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유전체 공진기 및 루프 안테나의 구조는 앞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은 전력 전송 장치(1)와 전력 수신 장치(2 또는 3)를 포함한다.
전력 전송 장치(1)는 루프 안테나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유전체 공진기에서 발생된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력 수신 장치(2 또는 3)에 전송한다. 이때, 전력 전송 장치(1)는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루프 안테나가 커플링되어 형성된다.
전력 수신 장치(2 또는 3)는 전력 전송 장치(1)에서 발생된 감쇠파를 이용하여 유전체 공진기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루프 안테나를 통해 기기에 전달한다. 이때 전력 수신 장치(2)는 각각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루프 안테나가 커플링되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 전송 장치와 전력 수신 장치간의 커플링을 위한 구조가 도시된다. 전력 수신 장치(2)는 유전체 공진기가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며, 전력 수신 장치(3)은 유전체 공진기가 수평으로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수직구조의 경우 z-방향으로 방사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감쇠파를 통한 전송이 가능하다. 수평으로 배치된 구조는 원거리에서 방사가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는 방사, 근거리에서는 방사 및 감쇠파에 의한 전송이 가능하다.
도시된 도 5에서 전력 전송 장치(1)의 유전체 공진기 상하면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 장치(2)의 경우, 유전체 공진기 상하면에 수직한 양방향(+z 방향 및 -z 방향)으로 생성되는 감쇠파를 주로 이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도시된 도 5에서 전력 전송 장치(1)의 유전체 공진기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 장치(3)의 경우, 유전체 공진기의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방사(radiation) 방식을 주로 이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만약 도시된 도 5에서 전력 전송 장치(1)의 유전체 공진기 상하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 장치의 경우, 기준거리 이하에서는 감쇠파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방사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장치(1) 및 전력 수신 장치(2 또는 3)는 각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가까울수록 전력의 송수신 효율이 높아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의 감쇠파 특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는 수직 방향으로는 감쇠파를, 수평 방향으로는 방사를 일으키므로, 무전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에서는 유전체 공진기의 감쇠파를 이용한 수직 방향의 커플링이 강하게 일어나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방사에 의한 수평방향 커플링이 강하게 일어난다. 즉, 근거리 내에서는 감쇠파에 의한 전송이 방사에 의한 전송에 비해 효율적이며, 원거리에서는 감쇠파에 의한 전송과 방사에 의한 전송이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근거리와 원거리 사이에서 무선으로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가 서로 수직일 때는 감쇠파 모드로, 수평일 때는 방사 모드로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나아가, 공진기의 모양이 실린더 형태 외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응용의 폭이 넓어진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유전체 공진기의 다양한 변형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신호를 인가할 때 형성되는 필드의 모양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Claims (17)

  1.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감쇠파(evanescent wave)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는 유전체 공진기;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하면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감쇠파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방사(radiation)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기준거리 이하에서는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방사 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실린더 형태, 실린더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형태, 직육면체 형태 중 어느 하나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유전체 주변부에 코일을 감아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이격되며, 상기 루프 안테나에 인가된 전력을 통해 전자기장을 여기시켜 유전체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기판위에 루프 형태의 안테나를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가 패터닝된 기판의 일면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유 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을 형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가 패터닝된 기판의 일면의 반대 면과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이 접촉하여 커플링을 형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발생된 감쇠파(evanescent wave)를 수신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유전체 공진기;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일면과 커플링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2.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루프 안테나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유전체 공진기에서 발생된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력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력 전송 장치; 및
    상기 전력 전송 장치에서 발생된 감쇠파를 이용하여 유전체 공진기에서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루프 안테나를 통해 기기에 전달하는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각각 유전체 공진기와 루프 안테나가 커플링되어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각 유전체 공진기의 상하면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생성되는 감쇠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각 유전체 공진기의 상하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방사(rad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기준거리 이하에서는 감쇠파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방사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전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는 각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가까울수록 전력의 송수신 효율이 높아지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유전체; 및
    동작주파수를 낮추도록 상기 유전체 주변부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0070138983A 2007-11-15 2007-12-27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10137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12,287 US7843288B2 (en) 2007-11-15 2008-04-30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01 2007-11-15
KR20070116901 2007-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12A true KR20090050912A (ko) 2009-05-20
KR101371765B1 KR101371765B1 (ko) 2014-03-11

Family

ID=4085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983A KR101371765B1 (ko) 2007-11-15 2007-12-27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76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05A2 (ko) * 2009-11-04 2011-05-12 한국전기연구원 감쇄파 공진을 이용한 공간 적응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2148152A1 (ko) * 2011-04-26 2012-11-01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공진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
KR20140058308A (ko) * 2012-11-05 2014-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용 공진체 구조물
KR20140094275A (ko) * 2013-01-22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자기 공명 무선 전력 전송 및 엔에프씨 복합 수신단 장치
US8994222B2 (en) 2010-08-24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US9786430B2 (en) 2009-11-04 2017-10-10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pace-adap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ing evanescent field resonance
CN114123546A (zh) * 2020-08-25 2022-03-01 南京矽力微电子(香港)有限公司 无线传能装置及系统
WO2023033521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근접 물체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0968B2 (en) * 2002-06-26 2005-11-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lanar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JP2005311525A (ja) 2004-04-19 2005-11-0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伝送線路アンテナ
JP2005311524A (ja) 2004-04-19 2005-11-0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誘電体共振器アンテナ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05A2 (ko) * 2009-11-04 2011-05-12 한국전기연구원 감쇄파 공진을 이용한 공간 적응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1055905A3 (ko) * 2009-11-04 2011-09-01 한국전기연구원 감쇄파 공진을 이용한 공간 적응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9786430B2 (en) 2009-11-04 2017-10-10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pace-adap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ing evanescent field resonance
US8994222B2 (en) 2010-08-24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US9673666B2 (en) 2010-08-24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WO2012148152A1 (ko) * 2011-04-26 2012-11-01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공진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
KR20140058308A (ko) * 2012-11-05 2014-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용 공진체 구조물
KR20140094275A (ko) * 2013-01-22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자기 공명 무선 전력 전송 및 엔에프씨 복합 수신단 장치
CN114123546A (zh) * 2020-08-25 2022-03-01 南京矽力微电子(香港)有限公司 无线传能装置及系统
WO2023033521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근접 물체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765B1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288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KR10137176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TW201728001A (zh) 三維陶瓷模造天線
EP1569300B1 (en) Wireless device having antenna
JP4217709B2 (ja) 携帯端末用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TWI536660B (zh) 通訊裝置及其多天線系統設計之方法
WO2015182677A1 (ja) マルチア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る無線装置
CN103843196A (zh) 单侧多波段天线
KR101242389B1 (ko) 메타물질 하이브리드 패치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JP6054827B2 (ja) アンテナ装置
JPH0279602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JP2004260647A (ja)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通信装置
KR101385152B1 (ko) 복합 스파이럴 공진코일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또는수신장치
TWI532258B (zh) 無接觸式共振器耦合之天線裝置及其方法
US2013003849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ing impedance bandwidth of antenna thereof
KR20110075105A (ko)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수신 장치
JP2012085234A (ja) 伝送システム及び伝送装置
US20200176874A1 (en) Antenna,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001232B2 (ja)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CN106785491B (zh) 一种偶极双频天线和电子产品
KR101244760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040049154A (ko) 급전 슬롯 루프 안테나
JP2015142224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5164270A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JP6282011B2 (ja) 誘電体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