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804A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804A
KR20090050804A KR1020070117437A KR20070117437A KR20090050804A KR 20090050804 A KR20090050804 A KR 20090050804A KR 1020070117437 A KR1020070117437 A KR 1020070117437A KR 20070117437 A KR20070117437 A KR 20070117437A KR 20090050804 A KR20090050804 A KR 2009005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data
sub
main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801B1 (ko
Inventor
장순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8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도가 개선되고 노이즈가 저감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i)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ii)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상도가 개선되고 노이즈가 저감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통상적으로 구비된 촬상소자가 다양한 감도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 밝기에 따라 사용자가 촬상소자의 감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주위가 어두운 환경(low ambient lighting condition)에서는 촬상소자의 감도를 높여 셔터 스피드를 빠르게 함으로써 흔들림 없는 이미지를 얻도록 하고, 주위가 충분히 밝은 환경에서는 촬상소자의 감도를 낮춰 노이즈 없는 이미지를 얻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경우, 촬상소자의 감도에 따라 얻어지는 이미지의 사이즈가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ISO(감도) 100에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의 사이즈가 2048 X 1536인 반면 예컨대 ISO 1600에서 얻은 이미지의 사이즈는 1024 X 768이 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사이즈의 구체적인 크기는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경우 촬상소자의 감도에 따라 얻어지는 이미지의 사이즈가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에 따라 저 ISO로 촬영된 이미지의 사이즈와 같도록 고 ISO로 촬영된 이미지의 사이즈를 키울 경우,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거나 노이즈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이미지(좌측)의 사이즈를 키우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의 좌측 이미지는 예컨대 ISO 1600에서 얻은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우측 이미지는 예컨대 ISO 100에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의 사이즈인 큰 사이즈로 좌측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키우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이미지 사이즈 증가에 따라 도 1의 좌측 이미지의 P1 내지 P4로 표시된 픽셀들은 도 1의 우측 이미지의 P1 내지 P4로 표시된 픽셀들에 대응하지만, 이미지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도 1의 우측 이미지의 P1 내지 P4로 표시된 픽셀들 사이에는 새로운 픽셀들이 추가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P1 내지 P4와 같은 기존의 픽셀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가되는 새로 운 픽셀들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이미지의 해상도를 저하시키거나 노이즈를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상도가 개선되고 노이즈가 저감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i)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ii)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가 있기 전까지, 라이브 뷰(live view) 이미지로부터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1
,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2
,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3
라 할 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새로운 휘도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4
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각 픽셀의 휘도를 수정하는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에 의해 휘도가 수정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5
본 발명은 또한, (a)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d)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은 상기 (b) 단계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얻기 전까지의 라이브 뷰 이미지로부터 얻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6
, 상기 (b) 단계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7
,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8
라 할 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새로운 휘도
Figure 112007082506811-PAT00009
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각 픽셀의 휘도를 수정하는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휘도가 수정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0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 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해상도가 개선되고 노이즈가 저감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참조번호 4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가 아니라 도 3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로 도시된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일 수도 있다. 한편, 렌즈(10), 조리개(20) 및 촬상소자(30)에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분 또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렌즈(10), 조리개(20) 및 촬상소자(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라고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와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와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 등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와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를 구비하면 족하다.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와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획득한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는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SubIm1, SubIm2, SubIm3, SubIm4, SubIm5, SubIm6)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또한 사용자 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Im)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4a에서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여섯 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서브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는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획득에 앞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짧은 시간 내에 신속히 획득하기 위함이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라이브 뷰(live view) 모드를 이용한 결과 각 서브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는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와 제2신호는 사용자가 셔터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셔터는 반누름 상태와 완전누름 상태로 조작이 가능한 바, 사용자에 의한 셔터의 반누름 상태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가 발생하는 것이고 사용자에 의한 셔터의 완전누름 상태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셔터의 반누름 상태가 이루어지면 이미지 촬영을 위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는 바,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셔터의 반누름 상태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가 발생하는 것이라 할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은 포커싱이 정확하게 이루어진 선명한 이미지들이 된다.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에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 이터를 획득하고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면,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에서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한다. 이때,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가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52)부가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메인 스틸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좌측 이미지는 예컨대 ISO 1600에서 얻은 작은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우측 이미지는 예컨대 ISO 100에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의 사이즈인 큰 사이즈로 좌측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키우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이미지 사이즈 증가에 따라 도 5의 좌측 이미지의 P1 내지 P4로 표시된 픽셀들은 도 5의 우측 이미지의 P1 내지 P4로 표시된 픽셀들에 대응한다. 그리고 이미지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도 5의 우측 이미지의 P1 내지 P4로 표시된 픽셀들 사이에는 새로운 픽셀들이 추가되는 바, 예컨대 P12, P13, P14, P22, P23 및 P24와 같은 새로운 픽셀들이 추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1024 X 768 사이즈의 좌측 이미지를 사이즈 증가를 통해 2048 X 1536 사이즈의 우측 이미지로 만들 경우, 좌측 이미지의 한 개의 픽셀 당 3 개의 새로운 픽셀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는 이러한 새로이 추가되는 픽셀들의 데이터를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가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생성한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고 ISO에서 촬영한 경우에는 저 ISO에서 촬영한 경우에 비하여 최종 이미지의 사이즈가 작아지며, 따라서 최종 이미지 사이즈를 증가시킬 경우 최종 이미지에 포함된 기존의 픽셀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이즈 증가에 따른 새로운 픽셀들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해상도가 저하되거나 노이즈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고 ISO에서 촬영하더라도 저 ISO에서 촬영한 경우와 동일한 사이즈로 최종 이미지를 저장하며, 이때 메인 스틸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새로이 추가되는 픽셀들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서 새로이 추가되는 픽셀들의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최종 스틸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가 증가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므로, 최종 스틸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저 ISO에서 촬영한 경우와 고 ISO에서 촬영한 경우 저장되는 최종 스틸 이미지가 그 사이즈가 동일하므로, 사용자가 촬영 후 추가적으로 고 ISO에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의 사이 즈를 개별적으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는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함에 있어서, 라이브 뷰(live view)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어지는 실시간 동영상이라고 할 수도 있는 라이브 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할 구도 등을 결정하여 촬영한다. 즉 라이브 뷰 이미지는 일종의 동영상 이미지이다. 이러한 라이브 뷰 이미지는 대략 초당 30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므로, 결과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초당 30장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각 프레임 이미지를 각 서브 스틸 이미지로 간주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수정에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는,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가 있기 전까지, 라이브 뷰 이미지로부터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라이브 뷰 이미지의 각 프레임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640 X 480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이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이브 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사이즈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예컨대 1024 X 768과 같은 메인 스틸 이미지(Im)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라이브 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은 초당 30장이므로, 예컨대 사용자가 셔터를 반누름한 상태에서 1초 후 셔터를 완전누름한다면, 디지털 촬영장치는 30장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각 서브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가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보다 작다고 하더라도,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데이터 양은 메인 스틸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정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충분하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같은 1024 X 768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우측과 같은 2048 X 1536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로 사이즈를 증가시킨다면, 좌측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한 개의 픽셀 당 세 개의 픽셀들을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도 5의 좌측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각 픽셀 당 세 개의 픽셀들에 대한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 서브 스틸 이미지는 640 X 480 사이즈의 이미지인 바, 따라서 데이터의 양으로 비교하면 대략 2.56장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데이터의 양이 도 5의 좌측과 같은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데이터 양에 대응한다. 따라서 도 5의 좌측과 같은 1024 X 768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우측과 같은 2048 X 1536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로 사이즈를 증가시킨다면, 2.56 X 3 = 7.68 장의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서브 스틸 이미지만 있어도 충분하다. 라이브 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예컨대 8장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라이브 뷰 이미지가 통상적으로 대략 초당 30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므로, 8/30≒0.27초라는 짧은 시간 내에 도 5의 좌측의 메 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이즈의 메인 스틸 이미지로 키우는데 필요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더 많은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고해상도이면서도 노이즈가 적은 최종 메인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 등에 의해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 내의 피사체의 위치가 상호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이유 등으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 내의 피사체의 위치와 메인 스틸 이미지 내의 피사체의 위치가 상호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기에 앞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상호 정합시키거나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과 메인 스틸 이미지를 정합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합이라 함은 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가 상호 일치하도록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합 과정에서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MPEG 또는 H.264 기술은 동영상 압축에 관한 기술로서, 동영상 압축의 경우 일 프레임과 타 프레임 사이의 이미지 정합여부, 또는 일 프레임을 소영역들로 분할하고 타 프레임을 소영역들로 분할하여 대응하는 소영역들 사이의 정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러한 MPEG 또는 H.264 기술의 경우 두 이미지들의 정합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정합 과정에서 이와 같은 종래의 MPEG 또는 H.264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라이브 뷰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 각각의 휘도가 상호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과 (수정 전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휘도가 상호 상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면, 결과적인 최종 메인 스틸 이미지는 각 영역에 있어서 휘도가 상이하게 되어 화질이 오히려 더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라이브 뷰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 각각의 휘도를 수정하는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이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에 의해 수정된 휘도를 갖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2
는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이고,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3
은 (수정 전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이며,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4
는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휘도이고,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5
는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새로운 휘도이다. 이와 같이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에 있어서 휘도를 새로이 수정하고 이러한 휘도 수정을 모든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해 행한 후 수정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 인 스틸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면, 수정 후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 역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고, 그와 다른 독립된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와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 사이에 위치하여,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2) 및/또는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6) 및/또는 메모리(60) 등과 데이터를 상호 주고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그 후,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S30)를 거치게 된다. 이때, S10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S20 단계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얻기 전까지의 라이브 뷰 이미지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S30 단계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즈가 크고 고해상도이면서 노이즈가 적은 최종 메인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S10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6
, S20 단계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7
, S10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8
라 할 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S10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새로운 휘도
Figure 112007082506811-PAT00019
를 계산함으로써, S10 단계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각 픽셀의 휘도를 수정하는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S30 단계는, 상기와 같은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 단계에서 휘도가 수정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S20 단계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0
이와 같이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에 있어서 휘도를 새로이 수정하고 이러한 휘도 수정을 모든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해 행한 후 수정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면, 수정 후의 메인 스틸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2에서의 CPU(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이미지(좌측)의 사이즈를 키우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획득한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메인 스틸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가 있기 전까지, 라이브 뷰(live view) 이미지로부터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1
    ,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2
    ,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3
    라 할 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새로운 휘도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4
    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각 픽셀의 휘도를 수정하는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틸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상기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부에 의해 휘도가 수정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5
  5. (a) 사용자로부터의 제1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의 제2신호에 따라 한 개의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 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d)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은 상기 (b) 단계의 메인 스틸 이미지를 얻기 전까지의 라이브 뷰 이미지로부터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스틸 이미지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c)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6
    , 상기 (b) 단계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의 모든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7
    ,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 의 휘도를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8
    라 할 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i번째 서브 스틸 이미지의 (x,y) 픽셀의 새로운 휘도
    Figure 112007082506811-PAT00029
    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의 각 픽셀의 휘도를 수정하는 서브 스틸 이미지 휘도 수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휘도가 수정된 복수개의 서브 스틸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에서 획득한 메인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7082506811-PAT00030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70117437A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0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37A KR101406801B1 (ko)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37A KR101406801B1 (ko)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04A true KR20090050804A (ko) 2009-05-20
KR101406801B1 KR101406801B1 (ko) 2014-06-12

Family

ID=4085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37A KR101406801B1 (ko) 2007-11-16 2007-11-1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8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53B1 (ko) * 2007-11-16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801B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3174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101900097B1 (ko) 이미지 캡처 방법 및 이미지 캡처 장치
KR101692401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102787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373769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602051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0919470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624889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044367A (ja) 撮影方法及び撮影装置
JP2007057599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処理システム
US901940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correcting dark area gradation
JP4167200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610868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3000588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0412906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055415A (ja) カメラ
JP201912181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23514A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22486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2009038818A (ja) 画像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KR20090050804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941424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812479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
JP2010199845A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