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465A -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465A
KR20090050465A KR1020070116912A KR20070116912A KR20090050465A KR 20090050465 A KR20090050465 A KR 20090050465A KR 1020070116912 A KR1020070116912 A KR 1020070116912A KR 20070116912 A KR20070116912 A KR 20070116912A KR 20090050465 A KR20090050465 A KR 2009005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eavy metal
solution
concentrated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710B1 (ko
Inventor
양희진
하민진
박형수
양선일
현문식
김홍석
박병선
Original Assignee
한국바이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바이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국바이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7011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10B1/ko
Priority to CN2008801246459A priority patent/CN101910831A/zh
Priority to PCT/KR2008/001965 priority patent/WO2009064044A1/en
Publication of KR2009005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8Cleaning of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2Measuring deposition or liberation of materials from an electrolyte; Coulometry, i.e. measuring coulomb-equivalent of material in an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8Systems using polarography, i.e. measuring changes in current under a slowly-varying volt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고 표면 안정성 및 재현성이 향상된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전극에 일정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여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상기 작업전극에 농축시킨 후, 상기 작업전극에 점차적으로 전압을 반대로 인가시키면서 상기 작업전극으로부터 농축된 물질이 벗겨짐에 따른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중금속의 종류와 농도를 측정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에서 염산 및 질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중금속 이온으로 해리된 시료 용액이 유입되는 전기화학 셀의 상측에는 상기 작업전극과 함께 기준전극 및 보조전극이 구비되되, 상기 작업전극은 바탕전극에 금속 용액이 흡착되어 전극막이 형성되는 농축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중금속이온, 전기화학 분석, 자동분석장치, 비스무트 전극, 금 전극

Description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On-line analysis system for heavy metal using a electrochemical method}
본 발명은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경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고 표면 안정성 및 재현성이 향상된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량의 중금속을 정량하는 방법으로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GC),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법(ICP), 원자 흡수 분광광도법(AAS) 그리고 원자방출분광법(AES) 등의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원자 흡수 분광광도법은 측정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비 장비와 같은 측정 기기들이 매우 고가이고 유지비도 많이 들고, 측정을 위한 기기환경의 조절이 복잡하며, 분석 단가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분광법을 이용하는 측정기는 광원을 비롯하여 기기의 주요 부품들이 매우 고가이며 부품의 교체 및 A/S에 있어서 부가적인 유지관리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기기의 구성과 원리상 현장적용이 매우 어려워 측정값의 재현성과 정확도 에 있어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전기화학적 측정방법은 상기 분광법에 비해 비교적 신속하고 경제적인 분석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기화학적 측정방법 중 적하수은 전극 방식은 수은 원액의 전도매체를 사용했을 때 수은 전극의 끊김 현상이 발생하여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측정이 불가능하고, 매달린 수은 방울 전극(Hanging Mercury Drop Electrode, HMDE), 얇은 막 수은 전극(Mercury Thin Film Electrode, MTFE)의 경우에는 전도매체로 수은 원액이 사용됨으로써 2차 환경오염 발생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분석 재현성 및 신뢰성이 다소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얇은 막 수은 전극의 경우에도 매번 수은 막을 형성시킨 후에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연속측정을 위한 자동화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경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고 표면 안정성 및 재현성이 향상된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전극에 일정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여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상기 작업전극에 농축시킨 후, 상기 작업전극에 점차적으로 전압을 반대로 인가시키면서 상기 작업전극으로부터 농축된 물질이 벗겨짐에 따른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중금속의 종류와 농도를 측정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에서 염산 및 질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중금속 이온으로 해리된 시료 용액이 유입되는 전기화학 셀의 상측에는 상기 작업전극과 함께 기준전극 및 보조전극이 구비되되, 상기 작업전극은 바탕전극에 금속 용액이 흡착되어 전극막이 형성되는 농축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이 흡착됨과 동시에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농축시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 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을 먼저 흡착시킨 후,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농축시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 용액은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금속 용액 중 측정하고자 하는 중금속 이온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용액이 흡착되어 농축 비스무트 전극 및 농축 금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탕전극은 전도성 매질인 유리질 탄소 전극, 비스무트 로드 전극 그리고 금 로드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에는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이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비스무트 로드 전극에는 비스무트 용액이 흡착되며, 상기 금 로드 전극에는 금 용액이 흡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초음파 진동자 및 증류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세척되되,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흡착된 금속 이온과 상기 전기화학 셀에 남아있는 중금속 이온이 모두 세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 셀의 하측에는 상기 시료 용액을 교반하는 교반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작업전극, 기준전극 그리고 보조전극은 정전압장치에 연결되되, 상기 정전압장치는 처리부에 의해 상기 각 전극에 전위를 가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전극이 유리질 탄소 전극, 비스무트 로드 전극, 금 로드 전극과 같은 바탕전극에 각각 한정된 양의 비스무트 용액 또는 금 용액과 같은 금속 용액이 흡착되어 전극막을 형성하는 농축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금속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흡착시키는 금속 양의 조절이 가능하여 전압의 역 주사에 의해 전극막의 제거가 빨리 이루어질 수 있어 더욱 신속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작업전극의 전도매체가 수은이 아닌 인체에 무해한 금속 용액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염물질 발생이 억제되어 환경 친화적이며 안전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바탕전극에 분석하고자 하는 중금속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으므로 분석 중금속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농축 금속 전극은 초음파 진동자 또는 증류수 세척으로도 흡착된 금속 용액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극의 표면을 연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도 전극 표면의 재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바탕전극에 금속 용액의 흡착 및 세척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연속 측정 및 실시간으로 중금속 이온의 동시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이온 온라인 분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이온 온라인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금속 이온 온라인 분석장치는 분석부(10), 시약보관부(60) 그리고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약보관부(60)에는 분석에 필요한 전해질과 표준용액 등의 시약이 보관되며, 상기 분석부(10)에는 공급되는 시료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이온을 측정하는 전기화학 셀(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약보관부(60)와 상기 분석부(10)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석부(10)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용액에 포함된 중금속 이온이 농축되고 벗겨지는 작업전극(42)은 수은이 아닌 금속 이온이 흡착되어 전극막이 형성된 농축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발생이 억제되고 바탕전극에 분석하고자 하는 중금속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금속 용액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으므로 분석의 재현성이 향상되고, 더욱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석부(10)는 전처리장치(20), 항온장치(30), 전기화학 셀(40) 그리고 정전압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장치(20)는 가열장치(22)과 교반장치(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장치(22)는 시료 용액을 120~150℃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교반장치(24)는 상기 시료 용액에 질산 또는 염산을 공급하여 중금속과 반응하여 시료 용액 내에 여러 형태의 화합물이 존재하도록 하는 유기물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처리장치(20)는 시료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이 이온으로 해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전처리장치(20)에서 전처리된 시료 용액은 시료공급부(52)를 거쳐 상기 항온장치(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기화학 셀(4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시료 용액은 펌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펌프력에 의해 이동되어 지며, 상기 시료 용액의 이동은 상기 시료 용액이 이동되는 유로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개방하는 멀티채널 밸브(54)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화학 셀(4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료공급부(52)를 거쳐 이동된 시료 용액은 상기 전기화학 셀(40)의 내측에 담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화학 셀(40)의 상측에는 전압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42),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44) 그리고 보조전극(counter electrode)(4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전극(44)은 은/염화은(Ag/AgCl) 전극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업전극(42)의 전위를 제어하고 측정하게 되며, 상기 보조전극(46)은 백금(Pt)선으로 이루어지고 전류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이루도록 구비됨 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전극(42)은 바탕전극에 전위를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이 흡착되어 필름과 같은 형태의 전극막을 형성하는 농축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 용액은 비스무트(bismuth) 용액 또는 금(gold) 용액과 같은 금속 용액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상기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금속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전극(42)이 수은보다 인체에 덜 유해한 비스무트 또는 금과 같은 금속의 용액이 흡착되어 제조됨으로써 오염 발생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금속 용액의 전구체는 산에 해리시킨 금속 이온을 금속 표준 용액과 같은 용액에 적절히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을 형성하는 바탕전극은 유리질 탄소(glassy carbon) 전극, 비스무트 로드(rod) 전극 그리고 금 로드(rod)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은 우수한 전극표면을 가지므로, 일정시간 동안 전위를 인가하여 금속 용액을 흡착시켜 금속 전극을 생성시키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비스무트 로드 전극과 금 로드 전극은 금속을 농축시키기 위한 전구체와 동일하여 로드 표면과 용액 사이에 흡착력이 우수하고 전도도 또한 높아 중금속 이온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분해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에는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이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스무트 로드 전극에는 비스무트 용액이 흡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금 로드 전극에는 금 용액이 흡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 또는 상기 비스무트 로드 전극의 표면에 비스무트 용액이 흡착되어 농축 비스무트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 또는 상기 금 로드 전극의 표면에 금 용액이 흡착되어 농축 금 전극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은 측정하고자 하는 중금속 이온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용액이 흡착되어 농축 비스무트 전극 또는 농축 금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탕전극에 흡착되는 금속 용액의 농도와 양이 조절 가능함에 따라 상기 바탕전극에 흡착되어 생성되는 전극막의 두께를 원하는 양으로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농축 금속 전극의 감도를 조절하고, 농축되는 중금속의 농도를 조절하여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짧은 시간 동안에 농축된 중금속 이온의 전기분해 벗김이 가능하여 신속한 측정값을 얻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벗김 과정에 고속주사 전압-전류법을 적용할 경우 데이터 분석이 용이한 봉우리 형태의 분석 신호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바탕전극에 전위를 인가하여 금속 용액을 흡착시켜 전극막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고, 그 후에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 온을 농축하고 탈리시켜 전압전류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바탕 전극에 금속 용액을 흡착시킬 때,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 용액과 함께 전압을 걸어주어 원하는 양만큼 중금속 이온을 동시에 농축시킴으로써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을 제조한 후에 환원시켜 금속 용액과 중금속 이온을 탈리시켜 전압전류값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작업전극(42), 기준전극(44) 그리고 보조전극(46)은 정전압장치(5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전압장치(50)는 상기 각 전극(42,44,46) 사이에 전위나 전류를 가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검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전압장치(50)는 상기 제어부(70)에 구비되는 처리부(72)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72)는 PC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장치(50)에서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며, 측정 변수를 입력하고, 상기 분석부(10)에 구비된 상기 각 장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부(72)는 디스플레이부(74)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74)는 실시간으로 측정값 및 기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에는 상기 분석부(10)에 구비되는 각종 펌프, 밸브 및 센서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 및 제어 장치(미도시)와, 측정값을 전송하기 위한 범용 직렬 버스컨트롤(USB) 포트(미도시), 그리고 각종 전원장치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72)는 펌프, 상기 교반장치(24), 상기 멀티채널 밸브(54) 등의 제어요소를 디지털 on/off 제어로서 디지털 출력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며, 최종 분석 값으로 나온 데이터는 아날로그 출력으로 외부와 통신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전처리장치(20), 전기화학 셀(40), 펌프 그리고 멀티채널 밸브(54) 등이 구비되고 정전압장치(50),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성함으로써 무인 자동화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화학 셀(40)의 하측 또는 측면에는 상기 전기화학 셀(40) 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초음파 진동자(34)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기화학 셀(40)의 하측 또는 측면에는 중금속 측정시 상기 전기화학 셀(40) 내에 시료 및 완충용액을 섞어주는 교반기(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작업전극(42)으로의 중금속 이온의 농축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초음파 진동자(34)뿐만 아니라, 증류수에 의해서도 세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와 같은 세척에 의해 상기 농축 금속 전극에 흡착된 금속 이온이 세척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세척에 의해 농축된 중금속 이온이 같이 세척되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에 의한 세척으로 바탕전극만이 남게 되어 필요에 따라 비스무트 용액 또는 금 용액과 같은 금속 용액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흡착시킬 수 있 어 다양한 종류의 농축 금속 전극의 생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바탕전극에 분석하고자 하는 중금속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으므로 분석의 재현성이 향상되고, 보다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장치(20), 전기화학 셀(40), 유로관 등은 산(acid)을 적절히 희석하여 제조된 세척 용액에 의해 세척될 수 있으며, 세척을 통해 발생된 폐기용액은 폐기용액 저장조(80)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약보관부(60)는 상기 전기화학 셀(40)에 공급되는 전해질이 보관되는 전해질 보관부(62)와, 다양한 정량의 중금속이 함유된 표준용액이 보관되는 표준용액 보관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보관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해질과 표준용액, 그리고 시료 용액은 상기 분석부(10)에 구비된 연동펌프(미도시)에 의해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농축 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중금속 이온을 분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을 흡착키고, 상기 전처리장치(20)를 통해 전처리된 시료 용액을 상기 전기화학 셀(40)에 공급하여 교반하면서 상기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시료 용액에 포함된 중금속 이온을 농축시켜 농축 금속 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 을 흡착시킬 때, 시료 용액에 포함된 중금속 이온이 동시에 흡착되도록 하여 농축 금속 전극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시료는 100~500㎍/L 농도의 비스무트와 금을 함유하고 있으며, 완충용액은 chloroacetate buffer를 사용하고, 중금속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시료를 측정한 baseline을 기준으로 시료 내 중금속의 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정량의 중금속 표준용액을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기화학 셀(40)에 공급된 시료 용액은 30~60Hz의 진동수에서 60~240초 동안 중금속 이온이 상기 농축 금속 전극에 농축(농축과정(deposition step))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그 후에는 휴지단계(quiet step)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을 환원시켜 농축된 중금속 이온을 탈리시키면서 전압전류를 측정(벗김과정(stripping step))하여 중금속의 종류와 농도를 분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다양한 전해질에서 납을 시차 벗김 분석법과 사각파 벗김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해질은 chloroacetate, acetate, phosphate, HCl+KNO3 buffer를 적절한 pH로 조절하여 제조되었으며, 주사방법은 시차 벗김 분석법(Difference Pulse stripping voltammetry, DPSV)과, 사각파 벗김 분석법(Square Wave stripping voltammetry,SWSV)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전해질에서 100㎍/L의 납을 측정한 결과, 시차 벗김 분석법에서는 0.06mol/L의 acetate buffer 전해질 내에서 2.533μA로 가장 높았으며, 사각파 벗김 분석법에서는 0.1mol/L chloroacetate buffer 전해질 내에서 10.160μA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비스무트의 양과 농축시간에 따른 전류 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스무트 농축 전극을 이용하여 중금속 이온을 측정할 경우, 비스무트 농도에 따른 전류 값을 알아보기 위해 비스무트 농도를 100㎍/L에서 500㎍/L까지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비스무트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류 값은 점차 낮아짐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비스무트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스무트 외에 다른 금속들의 흡착을 방해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비스무트양은 100~200㎍/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정량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5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전극(42)을 농축 비스무트 전극으로 하여 납(Pb), 카드뮴(Cd), 아연(Zn), 구리(Cu) 각각의 중금속 이온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중금속은 각각 100μg/L, 200μg/L, 300μg/L, 400μg/L, 500μg/L로 증가시켜 주입되었다.
그 결과 상기 각 중금속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류값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상관계수 값(R2)이 0.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농축 비스무트 전극에서 상기 각 중금속 이온에 대한 정량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유리질 탄소 전극으로 형성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정량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비스무트 로드 전극으로 형성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정량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질 탄소 전극에 비스무트 용액이 흡착되어 형성된 농축 비스무트 전극과, 비스무트 로드 전극에 비스무트 용액이 흡착되어 형성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납(Pb), 카드뮴(Cd), 아연(Zn) 각각의 중금속 이온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중금속은 각각 100μg/L, 200μg/L, 300μg/L, 400μg/L, 500μg/L로 증가시켜 주입되었다.
그 결과 상기 각 중금속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류값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상관계수 값(R2)이 0.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바탕 전극을 유리질 탄소 전극 또는 비스무트 로드 전극으로 하여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각 중금속 이온에 대한 정량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각각 다른 농도의 납, 카드뮴, 아연의 농도 조건에서 구리의 농도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1은 도 10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Pb), 카드뮴(Cd) 그리고 아연(Zn)을 각각 10㎍/L, 100㎍/L 농도로 유지하고 여기에 구리를 in-situ 방식으로 50μg/L, 100μg/L, 150μg/L, 200μg/L, 250μg/L, 300μg/L 증가시켜 주입하였다.
그 결과 납, 카드뮴, 아연의 존재 하에 구리를 첨가할 경우 납, 카드뮴, 아연의 농도에 관계없이 전류 값은 비례적을 증가하였으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관계수 값(R2)이 0.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납, 카드뮴, 아연의 농도에 관계없이 구리 이온의 정량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유리질 탄소 전극 및 금 로드 전극으로 각각 형성된 농축 금 전극을 이용하여 비소를 정량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도 12의 중금속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질 탄소 전극에 금 용액이 흡착되 어 형성된 농축 금 전극과, 금 로드 전극에 금 용액이 흡착되어 형성된 농축 금 전극을 이용하여, 비소(As)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비소를 각각 100μg/L, 200μg/L, 300μg/L, 400μg/L, 500μg/L로 증가시켜 주입되었다.
그 결과 상기 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류값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관계수 값(R2)이 0.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바탕 전극을 유리질 탄소 전극 또는 금 로드 전극으로 하여 농축 금 전극을 형성하더라도 비소에 대한 정량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유리질 탄소 전극 및 금 로드 전극으로 각각 형성된 농축 금 전극을 이용하여 안티모니를 정량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15는 도 14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질 탄소 전극에 금 용액이 흡착되어 형성된 농축 금 전극과, 금 로드 전극에 금 용액이 흡착되어 형성된 농축 금 전극을 이용하여, 안티모니(Sb)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안티모니를 각각 100μg/L, 200μg/L, 300μg/L, 400μg/L, 500μg/L로 증가시켜 주입되었다.
그 결과 상기 안티모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류값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관계수 값(R2)이 0.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바탕 전극을 유리질 탄소 전극 또는 금 로드 전극으로 하여 농축 금 전극을 형성하더라도 안티모니에 대한 정량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이온 온라인 분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이온 온라인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다양한 전해질에서 납을 시차 벗김 분석법과 사각파 벗김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비스무트의 양과 농축시간에 따른 전류 값을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정량분석한 그래프.
도 6은 도 5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유리질 탄소 전극으로 형성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정량분석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비스무트 로드 전극으로 형성된 농축 비스무트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정량분석한 그래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 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각각 다른 농도의 납, 카드뮴, 아연의 농도 조건에서 구리의 농도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도 11은 도 10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유리질 탄소 전극 및 금 로드 전극으로 각각 형성된 농축 금 전극을 이용하여 비소를 정량분석한 그래프.
도 13은 도 12의 중금속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서 유리질 탄소 전극 및 금 로드 전극으로 각각 형성된 농축 금 전극을 이용하여 안티모니를 정량분석한 그래프.
도 15는 도 14의 중금속의 농도와 전류값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석부 20: 전처리장치
30: 항온장치 32: 교반기
34: 초음파 진동자 40: 전기화학 셀
42: 작업전극 50: 정전압장치
54: 멀티채널 밸브 60: 시약보관부
70: 제어부

Claims (7)

  1. 작업전극에 일정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여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상기 작업전극에 농축시킨 후, 상기 작업전극에 점차적으로 전압을 반대로 인가시키면서 상기 작업전극으로부터 농축된 물질이 벗겨짐에 따른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중금속의 종류와 농도를 측정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에서 염산 및 질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중금속 이온으로 해리된 시료 용액이 유입되는 전기화학 셀의 상측에는 상기 작업전극과 함께 기준전극 및 보조전극이 구비되되, 상기 작업전극은 바탕전극에 금속 용액이 흡착되어 전극막이 형성되는 농축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이 흡착됨과 동시에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농축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바탕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금속 용액을 먼저 흡착시킨 후, 시료 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을 농축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용액은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상기 금속 용액 중 측정하고자 하는 중금속 이온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용액이 흡착되어 농축 비스무트 전극 및 농축 금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전극은 전도성 매질인 유리질 탄소 전극, 비스무트 로드 전극 그리고 금 로드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에는 비스무트 용액 및 금 용액이 각각 선택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비스무트 로드 전극에는 비스무트 용액이 흡착되며, 상기 금 로드 전극에는 금 용액이 흡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금속 전극은 초음파 진동자 및 증류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세척되되, 상기 바탕전극의 표면에 흡착된 금속 이온과 상기 전기화학 셀에 남아있는 중금속 이온이 모두 세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 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셀의 하측에는 상기 시료 용액을 교반하는 교반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작업전극, 기준전극 그리고 보조전극은 정전압장치에 연결되되, 상기 정전압장치는 처리부에 의해 상기 각 전극에 전위를 가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KR1020070116912A 2007-11-15 2007-11-15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KR10095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12A KR100955710B1 (ko) 2007-11-15 2007-11-15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CN2008801246459A CN101910831A (zh) 2007-11-15 2008-04-08 利用电化学分析法的在线重金属分析装置
PCT/KR2008/001965 WO2009064044A1 (en) 2007-11-15 2008-04-08 On-line analysis system for heavy metal using an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12A KR100955710B1 (ko) 2007-11-15 2007-11-15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65A true KR20090050465A (ko) 2009-05-20
KR100955710B1 KR100955710B1 (ko) 2010-05-03

Family

ID=4063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912A KR100955710B1 (ko) 2007-11-15 2007-11-15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55710B1 (ko)
CN (1) CN101910831A (ko)
WO (1) WO200906404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55A1 (ko) * 2014-10-29 2016-05-06 비엘프로세스(주) 중금속 실시간 측정 장치
KR101631186B1 (ko) 2015-10-13 2016-06-24 (주)썬텍엔지니어링 선택적 전극 활성화를 통한 수질오염물질 동시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652086B1 (ko) 2015-10-13 2016-08-30 (주)썬텍엔지니어링 시료 안정화 기능을 가지는 실시간 중금속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60135052A (ko) * 2015-05-15 2016-11-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수계 중금속 측정을 위한 회전디스크형 전기화학센서
CN111426730A (zh) * 2020-05-18 2020-07-17 金陵海关技术中心 薄层微区流动富集系统的重金属快速测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7599B (zh) * 2010-07-21 2013-03-27 宇星科技发展(深圳)有限公司 多合一重金属在线分析仪
CN102445488A (zh) * 2011-09-20 2012-05-09 青岛佳明测控仪器有限公司 基于阳极溶出伏安法的多参数水质重金属自动在线监测仪
CN102507713B (zh) * 2011-11-08 2013-12-18 中国地质调查局水文地质环境地质调查中心 一种用于矿山地下水中砷、锑和铅连测的电化学溶出伏安方法
CN106198625A (zh) * 2016-06-02 2016-12-07 东北电力大学 一种重金属原位在线监测系统装置
CN108614027B (zh) * 2018-04-28 2020-05-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换液监控装置
CN113092564A (zh) * 2019-12-23 2021-07-09 上海雄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的重金属快速检测方法
CN114354702A (zh) * 2021-12-16 2022-04-15 上海大学 一种高纯铟电解液中铟离子浓度的在线监测系统及方法
CN114354704B (zh) * 2022-01-05 2024-05-10 大连海事大学 一种重金属离子电化学原位在线检测装置及方法
CN115639337A (zh) * 2022-12-23 2023-01-24 国科大杭州高等研究院 具有原位富集性能的环境水体采样装置及采样方法
CN116465950B (zh) * 2023-04-20 2023-10-20 山东朱老大食品有限公司 一种饺子馅的添加剂重金属含量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5099A (en) * 1971-08-02 1974-12-17 Environmental Sciences Ass Inc Electrode for anodic stripping voltammetry
US5292423A (en) * 1991-04-09 1994-03-08 New Mexico State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e metal testing
US5389215A (en) 1992-11-05 1995-02-1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GB9311035D0 (en) * 1993-05-28 1993-07-14 Environmental Med Prod Electrochemical metal analysis
US5391270A (en) * 1993-08-11 1995-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heavy metals
US5595635A (en) 1995-09-08 1997-0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pparatus for measuring lead content of water
US6527930B1 (en) * 1999-07-02 2003-03-04 Trustees Of Tufts College Microfabricated array of iridium microdisks
US6682647B1 (en) * 2000-05-10 2004-01-27 New Mexico State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Corporation Bismuth-based electrochemical stripping analysis
KR20020036292A (ko) * 2000-11-09 2002-05-16 현문식 다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다중-스트리핑 분석법, 이를 이용한 수용액 중의 중금속 이온 탐지 및 측정 시스템
CN1540333A (zh) * 2003-04-22 2004-10-27 英科新创(厦门)科技有限公司 检测金属离子的传感装置
US7435320B2 (en) * 2004-04-30 2008-10-1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organic additives in electrochemical deposition solu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55A1 (ko) * 2014-10-29 2016-05-06 비엘프로세스(주) 중금속 실시간 측정 장치
KR20160135052A (ko) * 2015-05-15 2016-11-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수계 중금속 측정을 위한 회전디스크형 전기화학센서
KR101631186B1 (ko) 2015-10-13 2016-06-24 (주)썬텍엔지니어링 선택적 전극 활성화를 통한 수질오염물질 동시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652086B1 (ko) 2015-10-13 2016-08-30 (주)썬텍엔지니어링 시료 안정화 기능을 가지는 실시간 중금속 분석 장치 및 방법
CN111426730A (zh) * 2020-05-18 2020-07-17 金陵海关技术中心 薄层微区流动富集系统的重金属快速测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10831A (zh) 2010-12-08
KR100955710B1 (ko) 2010-05-03
WO2009064044A1 (en)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10B1 (ko) 전기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온라인 중금속 분석장치
US78970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voltammetric and potentiometric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contamination in liquids
US20110284395A1 (en) Simultaneous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Multiple Heavy Metal Ions in Liquid
US202103490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race metal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diamond electrodes
Chuanuwatanakul et al. Determination of trace heavy metals by sequential injection-anodic stripping voltammetry using bismuth film screen-printed carbon electrode
US20180246059A1 (en) Electrochemical Tongue
KR101437496B1 (ko) 휴대용 중금속 검출용 센서
EP21627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silica species
CN103278551A (zh) 一种基于活性炭两电极体系的重金属电化学传感器及其检测方法
JP2008216061A (ja) ホウ素ドープ導電性ダイヤモンド電極を用いた電気化学的分析方法
CA2658663C (en) Electrochemical technique to measure concentration of multivalent cations simultaneously
Brett Novel sensor devices and monitoring strategies for green and sustainable chemistry processes
KR101631186B1 (ko) 선택적 전극 활성화를 통한 수질오염물질 동시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50212042A1 (en) In-situ electrochemical deposition and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CN103091386A (zh) 氨氮测试装置及使用该装置测定溶液中氨氮浓度的方法
Hema et al. Development, analysis and evaluation of arsenic (III) sensor
Wang Stripping-based electrochemical metal senso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Wang et al. Determination of cadmium in a sequential injection lab-on-valve system with voltammetric detection using a morin modified electrode
RU261284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НОЧАСТИЦ Au, Ni И Cu В ЖИДКИХ ОБЪЕКТАХ
US10191009B2 (en)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Wonsawat et al.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arbon Electrode in µ-Flow Sensor by On-Line Automated Flow System Original Paper
JP5276737B2 (ja) 溶液分析方法
Hauser Electroanalytical methods
Emons Electrochemical microanalysis
Puig-Font et al. Electrochemical stripping analysis, a powerful technique for real-time controlling of environment pollution from heavy me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