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243A -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243A
KR20090049243A KR1020070115427A KR20070115427A KR20090049243A KR 20090049243 A KR20090049243 A KR 20090049243A KR 1020070115427 A KR1020070115427 A KR 1020070115427A KR 20070115427 A KR20070115427 A KR 20070115427A KR 20090049243 A KR20090049243 A KR 2009004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wiring
wire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421B1 (ko
Inventor
이용순
이기봉
Original Assignee
이용순
이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순, 이기봉 filed Critical 이용순
Priority to KR102007011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4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건물, 공장 등 각종 건축물의 전등-스위치 배선, 콘센트 배선 등 각종 전기공사에서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전선들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배리어(15)에 의해 분할된 적어도 2개의 수용홈(11, 12)을 가진 하우징(10), 하우징(10)의 수용홈에 배치되며 고정종단(31)과 원호형 탄성부(32)를 구비하도록 절곡형성된 고정스프링(30), 하우징(10)의 수용홈(11, 12) 내로 각기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콘택트(41, 42)와 콘택트(41, 42)를 연결하는 연결부(45)를 구비하는 접속단자(40), 및 접속단자(40)의 상부에서 하우징(10)의 고정돌기(16)와 결합하는 탄성아암 형식의 래치부(51)를 구비하여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함께 접속할 전선의 수에 대응하는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되며, 함께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들을 전선접속장치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완료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기존에 익숙한 작업방식에 따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전기공사, 전등, 스위치, 콘센트, 배선, 전선접속, 하우징, 수용홈, 배리어, 가이드홈, 접속단자, 콘택트, 푸시버튼, 커버

Description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Wire Connecting Device and Wir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옥내외 전기가설공사, 특히 조명배선공사, 콘센트배선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피스용 건물, 공장, 주택 등의 각종 건축물의 조명-스위치 배선, 콘센트 배선 등을 위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옥내외의 각각의 조명용 전등과 스위치와의 배선, 배전반과 콘센트의 배선을 위해 건물이나 주택에 설계된 다수의 풀박스, 정크박스, 스위치박스, 콘센트박스, 아웃렛박스 등으로 불리우는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배전반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스선(+ 선)과 마이너스선(- 선) 및 접지선을 스위치, 전등, 콘센트의 플러스선(+ 선), 마이너스선(- 선) 및 접지선들과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전선들의 접속은 통상적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피복을 벗겨 나선들을 꼬아 상호 접속한 후 이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하거나 고깔콘 형태의 와이어 컨넥터(wire connector)를 사용하여 차폐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선들의 종단을 벗겨내고 노출된 나선들을 꼬아서 접속시킨 후 이를 테이핑하거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차폐하는 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며 전선의 낭비가 심하므로 이를 모듈화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2006년 10월 19일에 공고된 특허 제 10-0635789 호(이하, "선행기술 1")는 전선 접속을 위한 모듈화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의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동판으로 연결된 전선 접속 모듈을 내장하는 절연제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구비한 모듈화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 공개된 모듈화장치는 건물이나 주택의 설계시 각각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배선될 전선의 수나 제어회로 등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계 제조된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어서, 각각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모듈들을 독립적으로 설계해야 하므로 모듈의 제조비가 고가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전등과 스위치를 연결하는 배선 등과 같이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접속할 배선이 복잡할 경우 작업자는 전선들의 접속을 위해 복잡한 배선도를 준비하여 각각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에 대해 특정된 모듈을 장착하고 모듈의 각각의 전선 수용홈에 대응하는 전선들을 접속해야 하므로 모듈의 사용이 도리어 작업을 어렵게 만들어 모듈의 사용에 따른 실질적인 작업시간 단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가진 것이다.
한편, 2007년 6월 4일에 공고된 특허 제 10-0720980 호(이하, 선행기술 2)는 상술한 전선 접속 모듈을 단순화한 구성을 가진 전원분배용 접속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선행기술 2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 2의 전원분배용 접속장치는 전원 수용홈과 접지 수용홈이 분리되어 형성된 절연체인 외형부재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도체인 전원 접속구와 접지 접속구를 설치하고, 전원선과 접지선을 탄성적으로 삽입 고정하며 접속이 잘못되었을 때 스프링부와 전선을 분리하기 위한 누름부를 가진 구성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은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하나의 접속장치를 사용한다는 개념에 따라 단일의 접속장치에 전원 수용홈과 접지 수용홈을 분리형성 하고, 수용홈들을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접지선을 포함하여 각기 4선의 2 쌍을 나란히 접속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단일화된 접속장치는 실제의 전등과 스위치 연결용 배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전선의 접속에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배선할 전등과 스위치의 수에 따라 접속해야할 전선들의 수가 매번 달라지게 되며 극성이 상이한 전선들은 서로 분리 접속되도록 하우징 내의 단자들을 서로 분리해야하므로 이를 하나의 접속장치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조와 규격의 접속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배선되는 전선들의 수가 많은 경우 선행기술 1과 같이 다수의 분할된 수용홈을 가진 복잡한 접속장치로 되어 작업자는 배선용 도면을 참조하여 배선해야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소수의 범용 접속장치들로 설계할 경우에도, 전등-스위치의 접속에서와 극성이 같은 함께 접속해야할 전선이 2 - 4 개 정 도인 경우가 빈번하며, 이와 같이 극성이 같은 함께 접속할 전선들과 접속장치의 구성(수용홈의 배열, 접속단자의 구성 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접속장치를 사용할 수 없거나, 전선접속장치에 사용되지 않는 수용홈이 다수 남게 되어 낭비의 원인이 된다.
또한, 선행기술 2에서는 접속장치의 전원용과 접지용 수용홈들이 2 열로 나란히 배열되지만, 배선할 전선들이 2 방향에서 나란히 이루어지지 않아 극성이 같은 전선들의 접속을 위해 전선을 반대방향으로 연장해야 하는 경우 등 설계된 접속장치에서 예상한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전선의 접속작업도 복잡해지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 2에 따른 접속장치는 극성에 따라 2 개로 분할된 전원용 수용홈과 접지용 수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속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이를 2 이상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배치하려는 경우에는 규격이 일정한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설치하기 곤란하다는 단점도 가진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 2는 선행기술 1의 구조를 개량하여 전선 수용홈에 탄성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나, 삽입과 분리의 용이성만을 고려하여 수용홈 내에 삽입된 전선을 스프링의 굴곡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선택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삽입된 전선에 작은 힘만 작용해도 수용홈으로부터 전선이 이탈되어 분리될 우려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공사, 특히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조명용 전등과 스위치를 연결하는 조명배선공사, 콘센트배선공사 등에서 종래의 테이핑 전선접속방식이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식을 대체할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면서도 종래의 전선접속방식에 익숙한 작업자들은 물론 배선회로를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용하기 쉬우며, 배선용 금속박스 내에 수납이 용이한 구조의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전선접속 후 전선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함께 접속하고자 하는 동일 극성의 전선들의 수와 위치에 대응하는 최소 규격을 선택하여, 단일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용이하게 다수 개 배치할 수 있는 소형의 전선접속장치 및 전선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이나 주택 등의 전기공사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전선 접속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의 전선들의 접속은 2 선, 3 선, 4선 등의 극성이 동일한 전선들로 분류하여 접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또한, 건물이나 주택 등에서 조명용 전등 수와 이를 분할하 여 점멸하기 위한 스위치의 수에 따라 각각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극성이 같으며 함께 접속되어야 하는 전선의 수는 다양하게 변하게 된다. 또한, 단일의 금속제 박스 내에서도 극성이 동일하여 함께 접속되어야할 전선과 극성이 상이하여 분리 접속되어야할 전선들이 존재하므로, 이를 단일한 전선접속장치로 통합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테이핑 전선접속방식이나 와이어 컨넥터 전선접속방식에서 처럼 함께 접속될 전선수에 따라 다수의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의 다양한 규격의 전선접속장치를 세트로 제공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이며 경제적이게 된다. 따라서, 옥내외 전기 공사에서 기존의 테이핑 전선접속방식이나 와이어 컨넥터를 이용하는 전선접속방식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2선, 3선, 4선 등 빈번히 사용되는 전선접속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규격의 전선접속장치를 세트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접속할 전선들의 수에 따라 접속장치를 선별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전선접속 및 테이핑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마주보는 타측벽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을 가진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하우징의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으로 각각 연장하는 적어도 2 개의 콘택트를 가지는 접속단자, 하우징의 각각의 수용홈 내에 설치되어 콘택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고정종단과 원호형 탄성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 개의 고정스프링, 및 하우징의 상단에 체결되는 커버로 구성되어, 함께 접속할 전선들을 하우징의 콘택트와 고정스프링 사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선들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는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벽으로부터 마주보는 타측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와 타측벽에 배리어와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홈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을 가진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하우징의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으로 각각 연장하는 적어도 2 개의 콘택트를 가지는 접속단자, 하우징의 수용홈 내에 설치되어 콘택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고정종단과 원호형 탄성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스프링, 하우징의 배리어와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와 고정스프링의 고정종단과 접촉하는 누름부를 가지는 푸시버튼 및 하우징의 상단에 체결되는 커버로 구성되어, 잘못 접속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는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벽과 타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용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와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부가 형성되어 하우징에 커버를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은 적어도 4 개의 수용홈들을 구비하며, 수용홈들이 일렬로 배치되고, 접속단자의 콘택트는 연결부의 일측에서만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의 수용홈과 접속단자의 콘택트들이 직렬로 배열되어 배선용의 금속제 박스 내에 다수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은 적어도 4개의 수용홈들을 구비하며, 수용홈들이 병렬로 배치되고, 접속단자의 콘택트는 연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서 연장하도 록 구성되어, 하우징의 수용홈과 접속단자의 콘택트들이 병렬로 배열되어 배선용의 금속제 박스 내에서 다수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적어도 2 개의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전반 또는 다른 배선용 금속제 박스로부터 연장되는 전선과 전등, 스위치, 콘센트의 전선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여 접속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전선접속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접속할 전선의 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되므로, 기존의 테이핑 전선접속방식이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극성이 동일하며 함께 접속할 전선들의 수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진 전선접속장치를 선택하여 함께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들을 전선접속장치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완료되므로 기존의 전선을 꼬아야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테이핑 전선접속방식이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식 등에서 발생하는 전선의 낭비를 줄이고, 기존의 전선접속작업 방식에 따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2 구형, 3 구형, 4 구형, 5 구형 등 접속할 전선의 수에 따라 최소의 크기를 가진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낭비가 없으며,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다수의 전선접속장치를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a), (b)에는 하우징의 평면사시도와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하우징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1의 A-A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중앙의 배리어(15)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수용홈(11, 12)을 가진 하우징(10), 하우징(10)의 수용홈(11, 12) 내에 배치되며 고정종단(31)과 원호형 탄성부(32)를 구비하도록 절곡 형성된 고정스프링(30), 하우징(10)의 수용홈(11, 12) 내로 연장하는 한 쌍의 콘택트(41, 42)와 콘택트(41, 42)를 연결하는 연결부(45)를 구비하는 접속단자(40) 및 접속단자(40)의 상부에서 하우징(1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6)와 결합하는 탄성아암 형태의 래치부(51)를 구비하여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0)로 구성된다. 그러나, 하우징(10)과 커버(50)의 착탈수단으로는 하우징(10)에 래치부를 배치하고, 커버(50)에 고정돌기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고정돌기와 래치부 대신에 나사체결 등의 하우징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해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공지된 다른 형태의 착탈수단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도 2 (a)와 (b)에는 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사시도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하우징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배리어(15)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수용홈(11, 12)의 전방벽(18) 측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전선삽입공(13, 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전방벽(18)을 제외한 하우징(10)의 내측벽들을 따라 접속단자(40)의 연결부(45)를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턱(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각각의 수용홈(11, 12)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속단자(40)의 콘택트(41, 42)들과 한 쌍의 고정스프링(30)이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삽입공(13,14)이 형성되는 하우징(10)의 저면을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전선접속장치들을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설치할 때 미숙련 작업자에 의해 만일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전선삽입공(13, 14)에 삽입된 전선들의 나선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서로 접촉함으로써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저면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미숙한 작업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40)의 연결부(45)는 하우징(10)의 테두리턱(21)에 안착하도록 설치되며, 접속단자(40)의 연결부(4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콘택트(41, 42)는 수용홈(11, 12)의 전방벽(18)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하며 전방벽(18)에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어, 접속단자(40)는 하우징(10)과 래치결합하는 커버(50)에 의해 하우징(10)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고정스프링(30)은 접속단자(40)의 콘택트(41, 42)와 마주보도록 수용홈(11, 12)내에 설치되며, 접속단자(40)의 연결부(45)와 접촉하여 하우징(10)의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고정스프링(30)은 고정종단(31)과 원호형 탄성부(32)를 구비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수용홈(11, 12)의 콘택트(41, 42)와 고정스프링(30) 사이로 삽입되는 전선(60)의 나선부(61)를 고정종단(31)과 원호형 탄성부(32)로 이중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종단(31)과 원호형 탄성부(32)는 2 점 지지의 형태로 전선(60)의 나선부(61)를 수용홈(11, 12) 내에서 안정되게 지지하며, 원호형 탄성부(32)는 나선부(61)를 접속단자(40)의 콘택트(41, 42)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견고한 접속을 얻을 수 있게 한다. 한편, 고정종단(31)은 날카로운 선단으로 수용홈(11, 12) 내에서 콘택트(41, 42)와 고정스프링(30) 사이로 삽입된 전선(60)의 나선부(61)와 체결됨으로써 전선(60)을 외부로 당기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나선부(61)가 고정종단(31)의 날카로운 선단에 걸려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종단(31)은 전선(60)의 나선부(61)의 삽입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하여 성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선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종단(31)에 의해 전선(60)의 삽입시에는 전선(60)의 나선부(61)가 고정종단(31)을 경사방향으로 눌러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전선(60)을 반대방향으로 인출하려는 힘에 대해서는 고정종단(31)이 경사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게 되므로 나선부(61)에 가해지는 인출력에 강력하게 저항하게 되어 전선접속장치에 삽인된 전선(60)의 인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 (a), (b)는 3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 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3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10a)은 한 쌍의 배리어(15a, 16a)에 의해 구획된 3 개의 수용홈(11a, 12a, 13a)을 구비하며, 접속단자(40a)는 연결부(45a)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하는 3개의 콘택트(41a, 42a, 43a)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콘택트(41a, 42a, 43a)는 하우징(10a)의 각각의 수용홈(11a, 12a, 13a)에 삽입되어 3 구형의 전선접속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고정스프링, 커버 등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개수나 크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a), (b)는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10b)은 3 개의 배리어(15b, 16b, 17b)에 의해 구획된 4 개의 수용홈(11b, 12b, 13b, 14b)을 구비하며, 접속단자(40b)는 연결부(45b)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하는 4개의 콘택트(41b, 42b, 43b, 44b)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콘택트(41b, 42b, 43b, 44b)는 하우징(10b)의 각각의 수용홈(11b, 12b, 13b, 14b)에 삽입되어 직렬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7 (a), (b)는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4 구형, 6 구형 등 4 이상의 짝수형 전선접속장치는 직렬형과 함께 병렬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4 구형의 하우징(10c)은 3 개의 배리어(15c, 16c, 17c)에 의해 구획된 4 개의 수용홈(11c, 12c, 13c, 14c)을 구비한다. 한편, 접속단자(40c)는 연결부(45c)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부(45c)의 양측에 각기 한 쌍씩 병렬로 배치된 콘택트(41c, 42c : 43c, 44c)를 구비하여 각각의 콘택트(41c, 42c, 43c, 44c)는 하우징(10c)의 각각의 수용홈(11c, 12c, 13c, 14c)에 삽입되어 사각형 형태의 병렬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3 구형과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의 구성을 바탕으로 5 구형 이상의 직렬 혹은 병렬형태의 다구형 전선접속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극히 용이하게 가능한 것이므로 5 구형 이상의 다구형 전선접속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도 8 내지 도 11에는 전선삽입장치에 잘못 연결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선삽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삽입장치에서 전선(60)의 나선부(61)와 체결된 고정스프링(300)을 나선부(6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시버튼(200)을 추가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전방벽(18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배리어(150)와 전방벽(180)과 마주보는 후방벽(190)으로부터 배리어(150)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가이드홈(160)에 의해 좌, 우로 분할된 한 쌍의 수용홈(110, 120)을 가진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후방벽(190)에 형성된 가이드홈(160)에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220)와 하우징(100)의 수용홈(110, 120)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누름부(210)를 구비하는 푸시버튼(200), 하우징(100)의 수용홈(110, 120)의 후방벽(190)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고정종단(310)과 원호형 탄성부(320)를 구비하도록 절곡형성된 고정스프링(300), 하우징(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450)와 연결부(450)로부터 하우징(100)의 수용홈(110, 120) 내로 연장하는 한 쌍의 콘택트(410, 420)를 구비하는 접속단자(400), 및 접속단자(400)의 상부에서 래치부(510)에 의해 하우징(100)과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00)로 구성된다. 그러나, 하우징(100)과 커버(500)의 착탈수단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래치부(510)를 하우징(100)에 배치하도록 역전 배치하거나,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른 형태의 착탈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 (a)와 (b)에는 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사시도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하우징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배리어(150)와 가이드홈(160)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수용홈(110, 120)의 전방벽(180) 측에 한 쌍의 전선삽입공(130, 140)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중앙에는 푸시버튼용 천공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전방벽(180)을 제외한 하우징(100)의 내측벽들을 따라 접속단자(400)의 연결부(450)를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턱(1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각각의 수용홈(110, 120)에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속단자(400)의 콘택트(410, 420)들과 한 쌍의 고정스프링(300)이 설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삽입공(130,140)과 푸시버튼용 천공 부(17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의 저면을 오목하게 형성하므로써, 다수의 전선접속장치들을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배치할 때 미숙련 작업자에 의해 만일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전선삽입공(130,140)에 잘못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들의 나선부가 서로 접촉하여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우징(100)의 저면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미숙한 작업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도 8의 A-A선을 따라 하우징(100)의 수용홈(110)을 단면도로 도시한 도 11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수용홈(110)에는 고정스프링(300)이 후방벽(190)에 지지되도록 수용되며, 접속단자(400)의 콘택트(410)는 전선삽입공(130)이 형성된 하우징(100)의 전방벽(180)에 접하도록 수납된다. 따라서, 전선삽입공(130)을 통해 삽입된 전선(60)의 나선부(61)는 콘택트(410)와 고정스프링(300)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스프링(300)의 고정종단(310)과 원호형 탄성부(320)에 의해 콘택트(410)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스프링(300)의 고정종단(310)은 전선(60)의 나선부(61)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고정스프링(300)의 고정종단(310)과 전선(60)의 나선부(61)의 체결을 분리하기 위한 푸시버튼(20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200)은 가이드돌기(220)가 하우징(100)의 가이드홈(160)에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가이드홈(16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푸시버튼(200)의 누름부(210)는 고정스프링(300)의 경사진 고정종단(31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전선(60)의 나선부(61)가 전선삽입공(130)을 통해 콘택트(410)와 고정스프링(300)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스프링(300)의 고정종단(310)과 원호형 탄성부(320)에 의해 고정된 후, 푸시버튼(200)의 하단부(230)을 도면상의 상방으로 누르면 푸시버튼(200)의 누름부(210)가 고정종단(310)을 상방으로 눌러 고정종단(310)과 전선(60)의 나선부(61)가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전선(60)을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전선(6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도시의 목적으로 2 구형의 전선접속장치를 상세히 예시하였으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3 구형과 4 구형 등 3 구형 이상의 다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3 개 이상의 전선들을 함께 접속할 수 있는 다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3 구형과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 (a),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3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에 푸시버튼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2 (c)는 3 구형 전선접속장치에 사용되는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3 구형 전선접속장치는 도 12 (a)와 같이 하우징(1000)에 형성된 3개의 수용홈(1110, 1120, 1130)과 하나의 푸시버튼(120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도 12 (b)와 같이 하우징(1001)에 형성된 3개의 수용홈(1111, 1121, 1131)에 한 쌍의 푸시버튼(1201, 1202)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구형에 사용되는 접속단자(1400)는 3 개의 콘택트(1410, 1420, 1430)가 연결부(1450)의 일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도 13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에 푸시버튼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와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14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에 푸시버튼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와 단자의 사시도이다.
4 구형 이상의 짝수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경우는 수용홈(2110, 2120, 2130, 2140)을 일렬로 배열한 직렬 배열 형태는 물론 수용홈(3110, 3120, 3130, 3140)을 한 쌍씩 상-하 혹은 좌-우로 나란히 배열하는 병렬 배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2000)과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3000) 모두 한 쌍의 푸시버튼(2210, 2220 : 3210,322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직렬 4 구형의 경우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을 단일의 푸시버튼으로 통합할 수도 있다. 직렬 4 구형에 사용되는 접속단자(2400)는 연결부(2450)의 일측에 4개의 콘택트(2410, 2420, 2430, 2440)가 나란히 배치되지만, 병렬 4 구형의 경우에는 연결부(3450)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의 콘택트(3410, 3420 : 3430, 3440)가 병렬로 배치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4에는 2 구형, 3 구형, 직렬 4 구형 및 병렬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들을 바탕으로 5 개 이상의 콘택트를 직렬 혹은 병렬로 배치한 단자를 사용하여 직렬 5 구형, 6 구형, 7 구형, 8 구형 등은 물론 병렬 6 구형, 8 구형, 10 구형 등 5 구형 이상의 직렬 혹은 병렬 형태의 다구형 전선접속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4 구형 이상의 짝수 구형 전선접속장치는 직렬과 병렬형태로 함께 제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구조에 따라 전선들의 접속에 편리한 구조의 전선접속장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등-스위치 배선시의 전선접속방법)
도 15 내지 19에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전반과 스위치 및 전등을 배선하는 방법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19에 도시된 전선접속장치(A)는 첫 숫자가 구형을 표시하도록 2A, 3A, 4A, 4A' 등으로 표시하였으며, 구형만 일치한다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 혹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형 전선접속장치의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두 가지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데, 모든 전선접속장치(2A, 3A, 4A, 4A')를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거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을 구비한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고, 3 구형 이상의 전선접속장치(3A, 4A, 4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하나의 스위치(S)와 하나의 전등(L)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에서 배전반(E)으로부터 도입되는 플러스선(I)과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과 전등(L)의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을 4개의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스위치(S)에 의해 점멸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작업자는 배전반(E)과 스위치(S), 스위치(S)와 전등(L)을 연결하는 플러스선(I)을 2 개의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배전반(E)과 전등(L)을 직접 접속하는 접지선(G)과 마이너스선(O)을 각기 2 구형의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배선을 완료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3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2 개의 스위치(S1, S2)로 2 개의 전등(L1, L2)을 선택적으로 점멸가능하도록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에서 배전반(E)으로부터 도입되는 플러스선(I)을 3 개의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스위치(S1, S2)와 전등(L1, L2)을 접속하고, 배전반(E)과 전등(L1, L2)의 마이너스선(O)과 접지선(G)을 각기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배선을 완료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3 개의 스위치(S1 ~ S3)와 3 개의 전등(L1 ~ L3)을 선택적으로 점멸가능하도록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에서 배전반(E)으로부터 도입되는 플러스선(I)을 4 개의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스위치(S1 ~ S3)와 전등(L1 ~ L3)을 접속하고, 배전반(E)과 전등(L1 ~ L3)의 마이너스선(O)과 접지선(G)을 각기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 를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배선을 완료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3 개의 스위치(S1 ~ S3)와 3 개의 전등(L1 ~ L3)을 선택적으로 점멸가능하도록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지만, 배전반(E)과 전등(L1 ~ L3)의 마이너스선(O)과 접지선(G)을 각기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 대신에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를 사용하여 접속한 점에서 상이하다. 도 17에 도시된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와 도 18에 도시된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의 채용은 실제 배선시 전선들의 배치와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의 전선접속장치의 배열을 고려하여 작업자들이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이나 도 18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동일한 구성의 배선에 있어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와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4A')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3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1 개의 스위치(S)로 각기 독립된 배선용 금속제 박스(B1 ~ B4)를 거쳐 4 개의 전등을 통합하여 점멸할 수 있도록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또 다른 형태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E)의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과 직접 접속되는 제 1 배선용 금속제 박스(B1) 내에서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와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사용하여 배전반(E)과 스위치(S) 및 제 1 전등(L1)을 접속하고, 제 2 배선용 금속제 박스(B2) 내에서는 제 1 배선용 금속제 박스(B1)로부터 인출된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을 3 개의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사용 하여 제 2 전등(L2)과 스위치(S)를 접속하고, 제 3 배선용 금속제 박스(B3) 내에서는 제 2 배선용 금속제 박스(B2)로부터 인출된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을 3 개의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사용하여 제 3 전등(L3)과 스위치(S)를 접속하고, 제 4 배선용 금속제 박스(B4) 내에서는 제 3 배선용 금속제 박스(B3)로부터 인출된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을 3 개의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를 사용하여 제 4 전등(L4)과 스위치(S)를 접속함으로써 배선이 완료된다.
도 15 내지 도 19의 전등-스위치 배선방법은 본 발명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된 배선방법들을 응용하여, 단일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의 4 개 이상의 다수의 스위치와 4 개 이상의 다수의 전등의 선택적 점멸 배선으로의 확장은 물론 다수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를 배치한 주택과 오피스 건물 등의 선택적 점멸 혹은 통합점멸은 물론 선택적 점멸과 통합점멸을 조합하는 다양한 배선 방법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4 개 이상의 다수의 스위치와 4 개 이상의 다수의 전등의 점멸에서는 함께 접속되어야하는 전선들의 수가 증가하여 5 구형 이상의 직렬 혹은 병렬형태의 전선접속장치들이 요구되게 될 것이다.
(콘센트 배선시의 전선접속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전등-스위치 배선은 물론 주택이나 건물 등 각종 건축물의 콘센트 배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각종 건축물의 콘센트 배선에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 다. 도 20과 21에 사용되는 전선접속장치는 구형을 표시하는 숫자와 함께 3A, 4A' 등으로 표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장치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형 전선접속장치의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이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사용하여 배전반과 콘센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콘센트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E)으로부터 인출된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은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에서 콘센트(C1, C2)의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과 3 개의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통하여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및 접지선(G)을 상호 접속하므로써 배선이 완료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전반과 콘센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콘센트 배선도이다. 단일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에서 연결되는 콘센트(C1 ~ C3)가 3 개로 증가하면, 배전반(E)의 플러스선(I), 마이너스선(O), 접지선(G)과의 접속을 위해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4A')가 사용되게 되며, 콘센트(C1 ~ C3)의 수가 3 개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다른 배선용 금속제 박스를 추가로 연결하는 경우 5 구형 이상의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선하게 된다. 도 21에서는 도시의 목적으로 병렬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4A')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직렬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4A)를 사용하거나, 직렬 4 구형과 병렬 4 구형의 전선접속장치(4A, 4A')를 조합하여 접속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3 구형의 전선접속장치를 배선용 금속 제 박스(B) 내에 장착한 상태(도 16의 전등-스위치 배선도에 대응)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금속제 박스(B) 내로 도입되는 전선들(I, O, G)은 금속제 박스(B) 내에서 극성이 동일한 전선들(I와 I, O와 O 혹은 G와 G)을 2 구형 전선접속장치(2A) 혹은 3 구형 전선접속장치(3A)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전선접속장치(2A, 3A)에 삽입된 전선들(I, O, G)을 구부려서 금속제 박스(B) 내에 수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전선접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선접속방식에 익숙하거나 혹은 배선회로를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극성만을 확인하여 극성이 동일한 전선들의 나선부를 전선접속장치(2A, 3A)에 삽입하고 이를 금속제 박스(B)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손쉽게 배선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의 적용분야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적용례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전선접속장치가 예시된 바와 같은 주택이나 건물 등 각종 건축물의 전등-스위치용 배선, 콘센트 배선에 적용하는 등의 각종 전기공사는 물론 전기, 전자제품 내의 각종 전선들의 접속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를 각종 전선들의 접속을 필요로 하는 전기, 전자 제품들에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택이나 건물 등의 전등-스위치 배선, 콘센트 배선 등의 전기공사에서 기존의 테이핑 전선접속방식 및 와이어 컨넥터를 이용하는 전선접속방식에 익숙한 작업자들은 물론 배선회로를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존의 배선전선회로 접속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규격의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함께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수와 전선들의 배치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규격의 전선접속장치를 선택하여 전선삽입공에 극성이 동일한 전선들의 나선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완료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전선의 낭비를 방지하고, 각종 건축물의 전등-스위치 배선, 콘센트 배선 등 다양한 형태의 배선에 탁월한 응용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접속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제한된 규격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에 다수의 전선접속장치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a),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a),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3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 (a),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7 (a),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a),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a), (b)는 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3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들이며, (c)는 3 구형 전선접속장치용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3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4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전등과 스위치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3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전등과 스위치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직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전등과 스위치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또 다른 형태의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전등과 스위치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2 구형 및 3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전등과 스위치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등-스위치 배선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3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전반과 콘센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콘센트 배선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4 구형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전반과 콘 센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콘센트 배선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전선접속장치들을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부호)
10, 100 : 하우징 11, 12, 110, 120 : 수용홈
15, 150 : 배리어 30, 300 : 고정스프링
31, 310 : 고정종단 32, 320 : 원호형
40, 400 : 접속단자 41, 42, 410, 420 : 콘택트
50, 500 : 커버 200 : 푸시버튼
210 : 누름부 220 : 가이드돌기
2A, 3A, 4A, 4A' : 전선접속장치 B, B1 ~ B4 : 배선용 금속제 박스
C1, C2, C3 : 콘센트 E : 배전반
G : 접지선 I : 플러스선 (+선)
L, L1, L2, L3 : 전등 O : 마이너스선 (-선)
S, S1, S2, S3 : 스위치

Claims (6)

  1. 일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마주보는 타측벽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으로 각각 연장하는 적어도 2 개의 콘택트를 가지는 접속단자,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수용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택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고정종단과 원호형 탄성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 개의 고정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전선접속장치.
  2. 일측벽으로부터 마주보는 타측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와 타측벽에서 배리어와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홈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2 개의 수용홈으로 각각 연장하는 적어도 2 개의 콘택트를 가지는 접속단자,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택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고정종단과 원호형 탄성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배리어와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와 고정스프링의 고정종단과 접촉하는 누름부를 가지는 푸시버튼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전선접속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과 타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와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4 개의 수용홈들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들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콘택트들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만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의 수용홈들과 접속단자의 콘택트들이 직렬로 배열되는 전선접속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4개의 수용홈들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들이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콘택트는 연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의 수용홈들과 접속단자의 콘택트들이 병렬로 배열되는 전선접속장치.
  6. 각종 건축물의 배선용 금속제 박스 내에서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적어도 2 개의 전선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배전반 또는 다른 배선용 금속제 박스로부터 연장되는 전선과 전등, 스위치, 콘센트의 전선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여 접속하는 전선접속방법.
KR1020070115427A 2007-11-13 2007-11-13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KR100934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427A KR100934421B1 (ko) 2007-11-13 2007-11-13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427A KR100934421B1 (ko) 2007-11-13 2007-11-13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243A true KR20090049243A (ko) 2009-05-18
KR100934421B1 KR100934421B1 (ko) 2009-12-29

Family

ID=4085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427A KR100934421B1 (ko) 2007-11-13 2007-11-13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59B1 (ko) * 2009-07-21 2011-05-31 상 택 임 로터리 풀 스위치의 단자 연결구조
KR101258686B1 (ko) * 2011-09-05 2013-04-26 주식회사 위너스 콘센트용 강판스프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72Y1 (ko) * 2003-08-29 2003-12-03 문동해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0635789B1 (ko) * 2004-07-26 2006-10-19 배병준 전선 접속을 위한 모듈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0980B1 (ko) * 2005-08-19 2007-06-04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59B1 (ko) * 2009-07-21 2011-05-31 상 택 임 로터리 풀 스위치의 단자 연결구조
KR101258686B1 (ko) * 2011-09-05 2013-04-26 주식회사 위너스 콘센트용 강판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421B1 (ko) 200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4626A (en) Set of assembly elements intended to facilitate concurrent electrica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modular automatic circuit breakers
US6945815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outlet
US6777611B2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TWI544703B (zh) 成套排列式電插座裝置及其組合方法
US6004163A (en) Electrical multi-pole plug-and-socket-type connector with associated socket part
US7893567B1 (en) Modular utility system
US7537496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2012007736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ranch wiring connector
US4295697A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principally for space-dividing panels in office buildings
CN101286428A (zh) 具有多种接线功能的塑壳式电器的插入式底座
AU2022209270A1 (en) Patch panel arrangements cable terminating devices & methods
US5326933A (en)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US6856056B2 (en) Three phase electric motor terminal box mounted connection board
KR100934421B1 (ko) 전선접속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선접속방법
EP2678903B1 (en) A modular electrical connection unit
JPH04264377A (ja) 建物予配線用の低電流コンセント
US4437725A (en) Junction connections for modular wiring systems
JP2000243483A (ja) 端子装置および分電盤
US10490927B2 (en) Self-enclosed electrical assembly with wire crimping structure
KR100758922B1 (ko) 개량형 전기 배선함
US20240106215A1 (en)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Conductive Elements
US11070040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WO2024051745A1 (zh) 插座
EP4325669A1 (en) Connecting assembly, cable plug and cab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