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183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183A
KR20090049183A KR1020070115308A KR20070115308A KR20090049183A KR 20090049183 A KR20090049183 A KR 20090049183A KR 1020070115308 A KR1020070115308 A KR 1020070115308A KR 20070115308 A KR20070115308 A KR 20070115308A KR 20090049183 A KR20090049183 A KR 2009004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ing unit
line
video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9183A/ko
Priority to US12/164,256 priority patent/US20090121975A1/en
Priority to EP08166871A priority patent/EP206123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이 복수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과;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스위칭유닛과;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라인스위칭유닛 및 출력스위칭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달할 때, 복수 영상신호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 모니터, TV 등으로 구현되며, 수신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LCD, PDP 또는 CRT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 DVD 등 다양한 영상 신호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하나의 영상 신호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복수의 영상 신호원으로부터 복수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들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가진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가 공중파 방송국 및 유선 방송국으로부터 안테나 및 유선 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들 각각의 영상신호는 스위치로 전달된 후 스위치에 의해 두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스위치로서는 릴레이 혹은 스위치 IC와 같은 단품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스위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신호 사이에 간섭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는지는 스위치로 이용된 소자 자체의 절연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스위치의 절연 특성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신호 간에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는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의 절연 특성을 높이고자 하면 장치 비용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두 신호의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으로 표시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신된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서, 선택된 영상신호와 여타 영상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여타 영상신호의 간섭이 배제되어 출력되는 하나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주화면 및 부화면 각각에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과; 상기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스위칭유닛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상기 라인스위칭유닛 및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나의 상기 라인스위칭유닛은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에 전달하는 하나의 전송라인에 설치된 메인스위칭소자와; 상기 전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그 단부가 접지된 분기라인에 설치되며,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의 동작상태가 상기 메인스위칭소자와 상반되는 분기스위칭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스위칭소자는 상기 전송라인 상에 복수로 직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전송라인으로부터 복수 개가 병렬적으로 분기하여 접지되고, 각각의 상기 분기라인마다 상기 분기스위칭소자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송라인은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은 상기 각각의 전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은 상기 영상신호를 각기 출력하는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스위칭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여 상기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로 각각 전달하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한 화면을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인화면 및 상기 서브화면에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게 하는 메인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서브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게 하는 서브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 중 어느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이 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가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출력스위칭유닛이 상기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은,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에 전달하는 하나의 전송라인에 설치된 메인스위칭소자와; 상기 전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그 단부가 접지된 분기라인에 설치되며, 턴온 및 턴오프의 논리적 동작상태가 상기 메인스위칭소자와 상반되는 분기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스위칭유닛의 영상신호 전달 단계는, 상기 메인스위칭소자 및 상기 분기스위칭소자의 논리적 동작상태를 전환시켜 각각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 및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화면을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인화면 및 상기 서브화면에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 하며,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의 영상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상기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서브화면에 각각 영상으로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은 상기 영상신호를 각기 출력하는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상기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서, 스위치의 절연 특성을 극대화시켜, 선택된 영상신호와 여타 영상신호 사이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를 PIP 기능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현함으로써, 주화면 및 부화면 각각에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칭 회로(10)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회로(10)는 복수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각각의 대응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310, 320)과, 이 라인스위칭유닛(310, 320)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스위칭유닛(400)과, 이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310, 320) 및 출력스위칭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위칭 회로(10)에 두 가지의 영상신호, 예를 들면 공중파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유선 케이블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각기 수신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영상신호의 특성 및 그 수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스위칭 회로(10)에 각기 상이한 영상신호가 셋 이상 수신될 수도 있다.
스위칭 회로(10)는 각각의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제1입력포트(110) 및 제2입력포트(120)를 가진다. 또한 스위칭 회로(10)는 제1입력포트(110) 및 제2입력포트(120)를 통해 각각 수신된 영상신호가 출력스위칭유닛(400)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제1전송라인(210) 및 제2전송라인(220)을 포함된다.
여기서 제1입력포트(110) 및 제1전송라인(210)과, 제2입력포트(120) 및 제2전송라인(220)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호 절연된 상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사상은 입력포트 및 전송라인의 수가 셋 이상인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310, 320)은 제1전송라인(210)을 통한 영상신호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제1라인스위칭유닛(310)과, 제2전송라인(220)을 통한 영상신호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을 가진다. 제1 및 제2라인스위칭유닛(310, 320)은 제1 및 제2전송라인(210, 220) 각각에 대응하게 설치된다.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에 있어서는 제1라인스위칭유닛(310)과 동일한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의 구성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은 제1전송라인(210)에 설치된 제1메인스위칭소자(311)와, 제1전송라인(210)으로부터 분기되어 그 단부가 접지된 제1분기라인(313)에 설치된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를 포함한다.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 각각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자세하게는,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제어부(500)로부터 하이레벨(high-level) 및 로우레벨(low-level) 중 어느 하나의 논리 상태를 가진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이에 따라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된다.
여기서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각각 상반되는 논리적 동작특성을 가진다. 즉 제1메인스위칭소자(311)가 턴온 상태가 된다면,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의 동작상태 전환에 의해,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은 제1전송라인(210)을 통한 영상신호의 전달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이하, 하이레벨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1메인스위칭소자(311)가 턴온 상태가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제1분기스위칭소자(315)에도 동일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제1분기스위칭소자(315)의 논리적 동작특성은 제1메인스위칭소자(311)와 상반되므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에 대해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제1메인스위칭소자(311)가 턴온 상태이므로 제1입력포트(110)로 수신된 영상신호는 제1전송라인(210)을 통해 전달된다. 그리고 제1분기스위칭소자(315)가 턴오프 상태이므로, 제1분기라인(313)을 통해서는 영상신호가 전달되지 못한다.
반대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1메인스위칭소자(311)는 턴오프 상태가 되며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턴온 상태가 된다. 이에 영상신호는 제1전송라인(210)으로 전달되지 못하며, 제1분기라인(313)을 통해 접지 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은 제1전송라인(210)을 통한 영상신호의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한다.
여기서 제1분기라인(313)이 분기되는 분기점은 제1메인스위칭소자(311)의 전단, 즉 제1입력포트(110) 및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사이의 제1전송라인(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에 의한 영상신호의 전달 허용 또는 차단 특성을 향상 및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 각각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1메인스위칭소자(311)는 제1전송라인(210)을 따라서 복수 개가 직렬 설치된다.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는 제1분기라인(313)이 제1전송라인(210)으로부터 복수 개가 병렬적으로 분기하여 접지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1분기라인(313)마다 설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1분기라인(313)은 복수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중 가장 전단의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전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은 제2전송라인(220)에 설치된 제2메인스위칭소자(321)와, 제2전송라인(220)으로부터 분기되어 그 단부가 접지된 제2분기라인(323)에 설치되며 그 논리적 동작 특성이 제2메인스위칭소자(321)와 상반되는 제2분기스위칭소자(325)를 포함한다.
제2메인스위칭소자(321) 및 제2분기스위칭소자(325)는 그 동작 특성이 각각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1분기스위칭소자(315)와 유사하다. 즉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가 동일하게 인가될 때, 제1메인스위칭소자(311) 및 제2메인스위칭소자(321)는 턴온 및 턴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취한다. 그리고 제1분기스위칭소자(315) 및 제2분기스위칭소자(325)는 이와 반대의 동작상태를 취한다.
그런데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이 영상신호의 전달을 허용할 때에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은 영상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며,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이 영상신호 의 전달을 차단할 때에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은 영상신호의 전달을 허용하게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라인스위칭유닛(310)과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그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500)가 제1라인스위칭유닛(310)과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에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로부터 연장되며 제1라인스위칭유닛(310)과 제2라인스위칭유닛(320) 각각으로 분기하는 제어신호라인(510)과, 이 분기점과 제2라인스위칭유닛(320) 사이의 제어신호라인(510)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의 특성을 전환시키는 인버터(520)가 마련된다. 또한 제어신호라인(510)은 제어부(500)로부터 각각의 스위칭소자(311, 315, 321, 325)들에 제어신호가 전달되도록 분기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이라면,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에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그대로 인가되지만,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에는 인버터(520)에 의해 로우레벨로 전환된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인버터(520)는 제1라인스위칭유닛(310) 측의 제어신호라인(51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신호는 그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칭 회로(10)는 제1 및 제2라인스위칭유닛(310, 320) 각각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스플리터(610) 및 제2스플리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플리터(610) 및 제2스플리터(620)는 각각 제1전송라인(210) 및 제2전송라인(220)을 통해 전달된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출력스위칭유닛(40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는 각 스플리터(610, 620)가 영상신호를 둘로 분배하는 것으로 표시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제1라인스위칭유닛(310)과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은 상반되도록 동작하므로, 제1스플리터(610)에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전달되면,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으로부터의 영상신호는 제2스플리터(620)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 반대도 동일 원리가 적용된다.
또한, 스위칭 회로(10)는 영상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증폭기(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스위칭유닛(400)은 스위칭 IC 등으로 마련된 제1출력스위칭부(410) 및 제2출력스위칭부(4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출력스위칭부(410, 420)에는 제1스플리터(610) 및 제2스플리터(620)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전달되며, 이를 스위칭하여 제1출력포트(810) 및 제2출력포트(820)로 출력한다.
제1출력스위칭부(410)에는 제1스플리터(610) 및 제2스플리터(620)로부터 각각 분기된 두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씩을 포함하는 한 쌍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며, 제2출력스위칭부(420)에는 나머지 한 쌍의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제1 및 제2출력스위칭부(410, 420) 각각은 입력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제1 및 제2출력포트(810, 820)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한다. 제1 및 제2출력스위칭부(410, 42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회로(10)로부터 분배 출력된, 즉 제1출력포트(810) 및 제2출력포트(820)로부터 각각 출력된 두 영상신호를 복수의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 스플레이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설명한 스위칭 회로(10)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스위칭 회로(10)로부터 전달된 두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하는 메인신호처리부(30) 및 서브신호처리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출력포트(81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제2출력포트(82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2영상신호라고 한다.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는 제1입력포트(110) 및 제2입력포트(120)로부터 입력된 복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가 스위칭 회로(10)에 의해 선택되어, 이 선택된 영상신호가 분배됨으로써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는 PIP 기능, 즉 한 화면을 메인화면(21) 및 서브화면(23)으로 구분하고, 메인화면(21) 및 서브화면(23) 각각에 각기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화면(21)은 디스플레이부(20)가 표시하는 한 화면의 전체 영역에 구현된 화면이며, 서브화면은 메인화면(21)의 일부 영역에 팝업(pop-up) 형태로 구현된 화면을 지칭한다.
메인신호처리부(30)는 스위칭 회로(10)로부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메인화면(21)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서브신호처리부(40)는 스위칭 회로(10)로부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서브화면(23)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한다. 메인신호처리부(30) 및 서브신호처리부(40)가 각각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스위칭 회로(10)로부터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입력포트(110) 및 제2입력포트(120) 각각에는 상이한 영상신호가 수신된다. 여기서 제1입력포트(110)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만을 전달하고 제2입력포트(120)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예를 들면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각 라인스위칭유닛(310, 320)에 인가한다(S100).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은 영상신호 전달을 허용하며, 제2라인스위칭유닛(320)은 차단한다(S110). 자세하게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제1메인스위칭소자(311)를 턴온시키며 제1분기스위칭소자(315)를 턴오프시킨다. 그리고 인버터(520)에 의해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로우레벨로 전환되며, 이에 제2메인스위칭소자(321)는 턴오프되며 제2분기스위칭소자(325)는 턴온된다. 이로써 제1전송라인(210)을 통한 영상신호는 전달되며, 제2전송라인(220)을 통한 영상신호는 제2분기라인(323)을 따라서 접지로 흐른다.
제어부(500)는 선택된 영상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출력스위칭유닛(40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S120). 이는 영상신호의 선택 시 바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는 제1전송라인(210)을 따라서 제1스플리터(610)로 전달되며, 제1스플리터(610)에 의해 제1영상신호 및 제2 영상신호로 분배되어 출력된다. 출력된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는 제1출력스위칭부(410) 및 제2출력스위칭부(420) 각각에 전달되며, 제1출력스위칭부(410) 및 제2출력스위칭부(420)는 제어부(500)에 의한 스위칭이 조정된 상태이므로,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는 각각 제1출력포트(810) 및 제2출력포트(820)로 출력된다(S130).
메인신호처리부(30)는 출력된 제1영상신호를 영상으로 처리하며, 서브신호처리부(40)는 출력된 제2영상신호를 영상으로 처리한다(S140). 그리고 메인신호처리부(30)로부터 처리된 영상은 메인화면(21)에 표시되며, 서브신호처리부(40)로부터 처리된 영상은 서브화면(23)에 표시된다(S15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신호를 출력스위칭유닛(400)에 전달하기 위한 각 전송라인(210, 220)에 라인스위칭유닛(310, 320)을 설치하여 영상신호의 전달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선택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여타 영상신호 사이의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절연되어 출력된 영상신호를 분배하고, 이 분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PIP 기능을 구현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0)에서 각각 메인화면(21) 및 서브화면(23)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가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310, 320)에 대해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구성 및 선택된 영상신호를 분배하는 구성이 제1실시예와 상이한 예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칭 회로(10)는 제어부(500)가 제1라인스위칭유닛(310) 및 제2라인스위칭유닛(320) 각각에 독자적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이를 위해 제어부(500)로부터 각 라인스위칭유닛(310, 320)에 접속된 제1제어라인(530) 및 제2제어라인(540)을 가진다.
제1입력포트(110)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전달되도록 제1라인스위칭유닛(310)에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제1제어라인(530)을 통해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제2제어라인(540)을 통해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반면 제1제어라인(530)에 로우레벨의 제어신호, 제2제어라인(540)에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2입력포트(120)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전달된다.
제1전송라인(210) 및 제2전송라인(220)의 후단은 제1실시예의 경우처럼 분기하지 않고 하나의 출력스위칭유닛(430)에 접속된다. 이 출력스위칭유닛(430)은 각 전송라인(210, 2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영상신호가 수신되는가의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제어부(500)에 의해 스위칭된다.
출력스위칭유닛(4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스플리터(630)로 전달되며, 스플리터(630)는 이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각각 제1출력포트(810) 및 제2출력포트(820)로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그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칭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칭 회로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전달 및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칭 회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스위칭 회로
20 : 디스플레이부 30 : 메인신호처리부
40 : 서브신호처리부 110, 120 : 입력포트
210, 220 : 전송라인 310, 320 : 라인스위칭유닛
311, 321 : 메인스위칭소자 313, 323 : 분기라인
315, 325 : 분기스위칭소자 400 : 출력스위칭유닛
410, 420 : 출력스위칭부 500 : 제어부
510 : 제어신호라인 520 : 인버터
610, 620 : 스플리터 810, 820 : 출력포트

Claims (13)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과;
    상기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스위칭유닛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상기 라인스위칭유닛 및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라인스위칭유닛은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에 전달하는 하나의 전송라인에 설치된 메인스위칭소자와;
    상기 전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그 단부가 접지된 분기라인에 설치되며, 턴온 및 턴오프의 동작상태가 상기 메인스위칭소자와 상반되는 분기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칭소자는 상기 전송라인 상에 복수로 직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전송라인으로부터 복수 개가 병렬적으로 분기하여 접지되고, 각각의 상기 분기라인마다 상기 분기스위칭소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라인은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은 상기 각각의 전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은 상기 영상신호를 각기 출력하는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스위칭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여 상기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로 각각 전달하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한 화면을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인화면 및 상기 서브화면에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게 하는 메인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서브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게 하는 서브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 복수의 라인스위칭유닛 중 어느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이 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가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출력스위칭유닛이 상기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은,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에 전달하는 하나의 전송라인에 설치된 메인스위칭소자와;
    상기 전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그 단부가 접지된 분기라인에 설치되며, 턴온 및 턴오프의 논리적 동작상태가 상기 메인스위칭소자와 상반되는 분기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스위칭유닛의 영상신호 전달 단계는, 상기 메인스위칭소자 및 상기 분기스위칭소자의 논리적 동작상태를 전환시켜 각각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 및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화면을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인화면 및 상기 서브화면에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의 영상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하나의 라인스위칭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인화면에, 상기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서브화면에 각각 영상으로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은 상기 영상신호를 각기 출력하는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상기 제1출력스위칭부 및 제2출력스위칭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스위칭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115308A 2007-11-13 200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308A KR20090049183A (ko) 2007-11-13 200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64,256 US20090121975A1 (en) 2007-11-13 2008-06-3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8166871A EP2061237B1 (en) 2007-11-13 2008-10-1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308A KR20090049183A (ko) 2007-11-13 200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183A true KR20090049183A (ko) 2009-05-18

Family

ID=4037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308A KR20090049183A (ko) 2007-11-13 2007-11-1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21975A1 (ko)
EP (1) EP2061237B1 (ko)
KR (1) KR200900491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74B1 (ko) * 2014-04-21 2015-03-11 주식회사 옵티멀 영상 신호 스위칭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810A (en) * 1983-05-03 1985-06-04 Rca Corporation Video source selector
JPH03190384A (ja) * 1989-12-19 1991-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信号切り換え回路
JPH04259173A (ja) * 1991-02-13 1992-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デオ入力切換回路
GB2307122A (en) * 1995-11-09 1997-05-14 Thomson Multimedia Sa Video switch with reduced crosstalk
US6473135B1 (en) * 2000-02-16 2002-10-29 Sony Corporation Signal input selector for television set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CN1221125C (zh) * 2000-05-01 2005-09-28 汤姆森许可公司 亮度信号选择器中的串音衰减
US7250804B2 (en) * 2002-12-17 2007-07-31 M/A -Com, Inc. Series/shunt switch and method of control
US7133051B2 (en) * 2003-09-19 2006-11-07 Microsoft Corporation Full scale video with overlai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caled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74B1 (ko) * 2014-04-21 2015-03-11 주식회사 옵티멀 영상 신호 스위칭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1237A2 (en) 2009-05-20
US20090121975A1 (en) 2009-05-14
EP2061237B1 (en) 2012-09-12
EP2061237A3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5777B2 (en) Video switching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part of a first video component from a first video source and second video component to a target video destination
KR100373198B1 (ko) 텔레비젼수상기용인터페이스시스템
US6449018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JP2007110761A (ja) アンテナ切換え装置
CN107682667B (zh) 视频处理器及多信号源预监方法
KR2009004918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45875A1 (en) Adaptive tuner
KR101498667B1 (ko) 매트릭스를 이용하는 영상 신호 처리 시스템
CN103533425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00066824A (ko) 원보드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WO2013077203A1 (ja) 映像出力装置、表示装置
KR101498674B1 (ko) 영상 신호 스위칭 장치 및 시스템
JPH0678228A (ja) アンテナ切換器
US20030043015A1 (en) Matrix switcher with three-dimensional orient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CN103002346A (zh) 视频处理装置、电视设备和视频处理方法
US11545113B1 (en) Display control integrated circuit applicable to performing multi-display processing in display device
WO2004017630A1 (en) Apparatus for divid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JPWO2010109598A1 (ja) 映像表示装置
KR10053667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출력 전환 장치
JP2980354B2 (ja) 映像処理装置
KR0134333B1 (ko)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KR100920464B1 (ko) 동기형 원거리 동일 화면 표시 장치
CN117041457A (zh) 具有图像叠加功能的高清多媒体接口电路和图像叠加方法
US8681273B1 (en) Self configuring distribution amplifier for digital video signals
WO2018179287A1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