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700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700A
KR20090048700A KR1020070114690A KR20070114690A KR20090048700A KR 20090048700 A KR20090048700 A KR 20090048700A KR 1020070114690 A KR1020070114690 A KR 1020070114690A KR 20070114690 A KR20070114690 A KR 20070114690A KR 20090048700 A KR20090048700 A KR 2009004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earch word
server
processing apparatu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519B1 (ko
Inventor
고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19B1/ko
Priority to US12/266,994 priority patent/US20090125941A1/en
Priority to EP08168663A priority patent/EP2059021A1/en
Publication of KR2009004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서버와 통신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가정보가 포함된 영상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기능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컨텐츠의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어,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보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처리장치는 DVD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표시하거나,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이때, 방송국은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부가정보(예컨대, 제목, 줄거리, 주제, 채널정보 등)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영상처리장치는 수신된 영상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장치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뿐 아니라,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원하는 정보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영상처리장치에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검색어를 입력해야 하 나,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문자의 입력이 불편하여 검색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즉,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리모트 콘트롤러는 하나의 버튼에 복수개의 문자값들이 설정되므로,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려면 버튼을 여러 번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검색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문자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버와 통신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가정보가 포함된 영상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기능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컨텐츠의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각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빈도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각 검색어가 해당되는 카테고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색어를 선택받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검색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부가정보가 포함된 영상컨텐츠가 수신되는 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컨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부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리스트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UI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각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빈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를 수신된 상기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한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UI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각 검색어가 해당되는 카테고리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를 수신된 상기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정렬된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UI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색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검색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전송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어,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시청중인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어를 제공받으므로,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검색어를 제공받을 확률이 높아질 수 있어,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하지 않고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어 중 검색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가 먼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거나, 사용자가 검색어 중 일부 문자를 입력하여,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개의 검색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쉽게 원하는 검색어를 찾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제공된다.
[제1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수신부(101)와, 통신부(103)와, 처리부(105)와, 디스플레이부(107)와, 사용자입력부(111)와, UI 발생부(109)와,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처리장치(100)는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정보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수신부(101)는 부가정보가 포함된 영상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영상컨텐츠를 수신하는 튜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로, 영상컨텐츠의 내용, 주제, 제목, 장르, 프로그램 명, 채널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튜너부(미도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튜너와, 튜닝된 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 및 디코더, 먹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어부(113)로부터의 튜닝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게 된다. 튜 닝된 채널의 방송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각종 데이터는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수신된다.
예컨대, 디지털 방송신호의 경우, 디모듈레이터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VSB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튜너부(미도시)는 아날로그 튜너 및 디지털 튜너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방송신호와 디지털 방송신호 모두를 수신할 수 있는 멀티 튜너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03)는 후술할 제어부(113)의 제어에 의해 서버(200)와 통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전송한다. 즉, 통신부(10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서버(200)에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검색결과를 수신한다. 통신부(103)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랜, 모뎀 등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서버(200)는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영상처리장치(100)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타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검색된 검색어를 수집한다. 수집한 검색어는 검색빈도의 순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부가정보가 수신되면, 수집한 검색어 중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어를 영상처리장치(100)에 전송한다.
처리부(105)는 수신부(101)를 통해 수신된 영상컨텐츠를 제어부(113)의 제어에 의해 처리하고, 디스플레이부(107)가 이미지로 표시 가능한 포맷, 예컨대, 디지털 RGB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07)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 부(105)는 영상컨텐츠에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부가정보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05)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format)에 대응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되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팅 기능, 디지털 디코딩 기능과,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및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07)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을 조절하는 스케일링 기능 및 소정의 포맷 변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7)는 처리부(105)로부터 처리된 영상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 될 수 있으며,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입력부(111)는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 등을 구비하며, 리모콘 또는 영상처리장치(100)의 케이싱에 마련된 메뉴 키와,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입력부(111)는 채널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번호키 및 방향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검색키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외의 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입력부(111)의 각 번호키에는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문자값이 할당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11)를 이용하여 "왈 츠"라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6-0-*-#-0-3-8-*의 순으로 번호키를 선택한다.
UI 발생부(109)는 제어부(113)의 제어에 의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정렬하여 리스트를 생성한다. UI 발생부(109)는 OSD 생성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컨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105)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생성된 리스트는 디스플레이부(107)의 일부 영역에 출력된다.
제어부(113)는 검색기능의 선택 시, 서버(200)와 통신하여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한다. 제어부(113)는 CPU, 마이컴 등의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3)는 수신부(101)를 통해 영상컨텐츠가 수신되면, 처리부(105)가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7)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영상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는 분류되어 부가정보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된다. 처리된 부가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7)의 일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13)는 사용자입력부(111)에 마련된 검색키를 통해 검색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컨텐츠의 부가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03)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타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수집한 검색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부가정보가 전송되면,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영상처리장치(100)에 전송한다.
제어부(113)는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가 수신되면, 수신된 검색어를 정렬하여 리스트로 생성하도록 UI 발생부(109)를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색기능이 선택되면, UI 발생부(109)는 입력창(a)과 리스트창(l)을 포함하는 메뉴창(m)을 생성한다.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모짜르트', '잘츠부르츠' 등의 검색어는 리스트창(l)에 리스트로 표시된다. 검색어가 리스트창(l)에 모두 표시되지 않은 경우, 스크롤 가능도록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11)에 마련된 키를 이용하여 리스트창(l)에 표시된 리스트 중 검색을 원하는 검색어를 탐색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검색어를 선택한다. 이때, 입력창(a)을 통해서 사용자가 검색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13)는 사용자입력부(111)를 통해 리스트로 표시된 검색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검색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에, 검색어를 전송받은 서버(200)가 영상처리장치(100)에 검색결과, 즉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113)는 서버(200)로부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07)에 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어와, 각 검색어의 검색빈도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검색어를 정렬한다. 동일한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다면, 동일한 정보를 검색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타 영상처리장치(100)에서 검색빈도가 높은 검색어를 리스트의 상위에 표시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와 통신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컨텐츠를 수신하고(S1), 수신된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표시한다(S3).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기능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되면(S5), 제어부(113)는 영상컨텐츠의 부가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7).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타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수집한 검색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서버(200)로부터 부가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가 수신되면(S9), 수신된 검색어를 정렬하여 리스트로 생성하도록 UI 발생부(109)를 제어한다(S11).
여기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각 검색어는 검색빈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수신된 검색어를 검색빈도에 기초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UI 발생부(109)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입력부(111)로부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색어가 선택되면(S13), 제어부(113)는 선택된 검색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15). 서버(200)로부터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가 전송되면, 이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처리부(105)를 제어한다(S17).
이를 통해, 검색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되는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 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어,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청중인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어를 제공받으므로,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검색어를 제공받을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검색어 중 검색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가 먼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검색어 및 각 검색어가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함께 수신한다.
제어부(113)는 검색어와, 각 검색어가 포함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되면, 리스트가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되록 UI 발생부(109)를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스트창(l)에 '인물', '사진' 등의 카테고리(c)가 포함된다. 만약, 카테고리(c)에서 인물을 선택하면, 인물 카테고리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검색어 중 인물 카테고리로 분류된 '모짜르트', '베토벤'이 표시된다. 이때, 각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검색어는 검색빈도의 순으로 정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가 포함된 카테고리를 선택함으로써, 좀 더 쉽게 원하는 검색어를 찾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3)는 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어 중 사용자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포함된 검색어만 리스트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검색어 '모짜르트', '잘츠부르크', '바흐', '베토벤', '중세음악'이 정렬되어 리스트로 표시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11)를 통해 입력창(a)에 'ㅂ'을 입력하면, 'ㅂ'으로 시작하는 검색어인 '바흐', '베토벤' 만 리스트창(l)에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어 중 일부 문자를 입력하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복수개의 검색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빠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가 정렬된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가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정렬된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가 정렬된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의 일부 단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단어와 대응되는 검색어가 정렬된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상처리장치 101 : 수신부
103 : 통신부 105 : 처리부
107 : 디스플레이부 109 : UI 발생부
111 : 사용자입력부 113 : 제어부
200 : 서버

Claims (11)

  1. 서버와 통신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가정보가 포함된 영상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기능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컨텐츠의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각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빈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각 검색어가 해당되는 카테고리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색어를 선택받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검색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부가정보가 포함된 영상컨텐츠가 수신되는 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컨텐츠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부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를 리스트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UI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각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빈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빈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를 정렬한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UI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각 검색어가 해당되는 카테고리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를 정렬한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상기 UI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색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검색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전송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20070114690A 2007-11-12 2007-11-12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690A KR101361519B1 (ko) 2007-11-12 2007-11-12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266,994 US20090125941A1 (en) 2007-11-12 2008-11-07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8168663A EP2059021A1 (en) 2007-11-12 2008-11-07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capability to search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690A KR101361519B1 (ko) 2007-11-12 2007-11-12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00A true KR20090048700A (ko) 2009-05-15
KR101361519B1 KR101361519B1 (ko) 2014-02-10

Family

ID=4041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690A KR101361519B1 (ko) 2007-11-12 2007-11-12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25941A1 (ko)
EP (1) EP2059021A1 (ko)
KR (1) KR101361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933A (ko) * 2015-04-01 201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28918A (ko) * 2020-03-06 202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8531B (zh) * 2010-06-30 2012-07-0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电子节目指南的处理方法、处理装置和数字电视处理机
KR20120062982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컨텐츠 검색방법
KR20140131166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0324B2 (en) * 2000-11-06 2010-03-16 Evryx Technologies, Inc. Use of image-derived information as search criteria for internet and other search engines
US20020083464A1 (en) * 2000-11-07 2002-06-27 Mai-Ian Tomsen System and method for unprompted, context-sensitive querying during a televison broadcast
KR100444995B1 (ko) * 2002-01-09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JP3627715B2 (ja) * 2002-03-27 2005-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3646707B2 (ja) * 2002-04-12 2005-05-11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の取得装置および取得方法
KR100468171B1 (ko) * 2002-12-13 200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정보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94139A1 (en) * 2003-03-27 2004-09-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nteractive on-scree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display, method and system
JP5059282B2 (ja) 2003-10-14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ユーザ端末装置,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US7412435B2 (en) * 2004-01-06 2008-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and information retrieval support apparatus
US7974962B2 (en) * 2005-01-06 2011-07-05 Aptiv Digital, Inc. Search engine for a video recorder
KR100807745B1 (ko) * 2006-03-23 2008-02-28 (주)비욘위즈 Epg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80114591A1 (en) * 2006-11-14 2008-05-15 Robert Vernon Williams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ext messaging using a wireless mobile device
US20080244668A1 (en) * 2007-03-28 2008-10-02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apparatus for searching media st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933A (ko) * 2015-04-01 201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012754B2 (en) 2015-04-01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8918A (ko) * 2020-03-06 202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5941A1 (en) 2009-05-14
EP2059021A1 (en) 2009-05-13
KR101361519B1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021B2 (e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method
EP1795996A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menu displaying method
KR10166198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73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201000952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EP1898643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data applications for all channels and video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20100128962A (ko)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KR101361519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026570B1 (en) Broadcast receiver and user input device having item match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2738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이의 영상처리방법
KR20110065935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8962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EP1791353A1 (en)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broadcasting receiver
US20070146331A1 (en)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 system
KR20070039831A (ko) 방송수신장치 및 채널탐색방법
KR20090098247A (ko)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04304691A (ja)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579871B1 (ko)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 표시 기능과 그를 이용한 방송 예약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방법
JP2008300932A (ja) 放送受信機
JP2002033969A (ja) 放送チャンネル選択装置
EP2211539A2 (en) Method For Displaying a Widget and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KR20050022707A (ko) 입력장치의 핫키를 이용하여 설정된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장르 별로 해당하는 epg 정보를 검색하여디스플레이하는 epg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JP200911164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1114682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デジタル放送表示装置
JP2005151215A (ja) テレビ番組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