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918A -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918A
KR20200028918A KR1020200028470A KR20200028470A KR20200028918A KR 20200028918 A KR20200028918 A KR 20200028918A KR 1020200028470 A KR1020200028470 A KR 1020200028470A KR 20200028470 A KR20200028470 A KR 20200028470A KR 20200028918 A KR20200028918 A KR 2020002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nformation
video content
display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813B1 (ko
Inventor
오석재
송성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8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 정보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a sear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추천 및 교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TV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특히, TV의 경우, 최근에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인터넷 서비스까지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TV를 통해 많은 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까지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채널들을 통해 방영되는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는 최신 유행을 선도하는 제품들이나, 유명 장소들이 수시로 나오게 된다.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접하는 제품이나, 장소들에 대하여 궁금할 경우, 인터넷 등을 통해 직접 검색하거나 주위 사람들에게 문의하여야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하지만, 방영중인 프로그램에서 스쳐 지나가는 제품이나, 장소들의 외형을 정확하게 기억하여, 검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검색기능은 영상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유사 집단과 관련한 검색어, 질의어 추천 및 검색어 교정 기술 등이 존재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검색 기능이 제한적이며 불편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정보 및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유사 집단의 검색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재생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상기 캡쳐된 화면을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및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검색어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 수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및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서버 및 외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재생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상기 캡쳐된 화면을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및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추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 수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및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능 실행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외부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서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컨텐츠 정보 및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유사 집단의 검색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능 실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능 실행 중,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검색어 list 또는 수정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능 실행 중, 외부서버가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 및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을 이용한 VOD, DVD의 Ondemand Servi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을 위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서버(200), DB(기타 외부서버, 250) 및 외부기기(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 IPTV(Internet Protocol 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액자,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300) 역시 휴대폰, PDA, MP3,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기능을 실행할 경우,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서버(200)는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색 시스템에 별도의 외부서버(250)가 구비된 경우, 별도의 기타 외부서버(2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동일한 영상 컨텐츠의 타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외부서버(2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외부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외부서버(250)로부터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 영상 컨텐츠 정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의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 후, 외부서버(250)는 추출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하, 통신부(210)에 관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영상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List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현재 상영중인 영상 컨텐츠와 관련한 추천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한 오타 등을 수정한 수정된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UI('검색'기능을 이용하시겠습니까?(4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YES'(410)를 선택 입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실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부(220)는 검색기능이 현재 실행 중임을 알리기 위한 UI(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검색기능 실행 중' UI)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23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현재 방영 중인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기기(300) 연동할 경우, 제어부(230)는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및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230)는 EPG(Elecr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상기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하고, 캡쳐된 화면을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정보, 캡쳐된 화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기능 실행 중,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기능 실행 중,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외부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을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23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검색어 List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컨텐츠 정보 및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유사 집단의 검색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나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310), 영상 처리부(320), 디스플레이부(330), 오디고 출력부(340), 통신부(350), 저장부(360), 입력부(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영상 수신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각종 구성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310)는 외부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부(3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어, DVD, 셋탑박스 등)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80)는 영상 처리부(320)에 의해 캡쳐된 화면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서버(200) 및 별도의 외부서버(25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32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33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30)는 사용자 입력이 예상되는 추천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수정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출력부(34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5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통신부(35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고, 외부서버(2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36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6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태블릿 PC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동정보, EPG (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 및 영상 처리부(320)에서 캡쳐된 화면을 저장한다. 저장부(36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3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370)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부, 모션 인식부.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383), 영상 처리부(320), 제어부(380)는 통합되어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래픽 처리부(383), 영상 처리부(320)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영상 처리부(320) 및 제어부(380)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조합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저장부(3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381), ROM(382), 그래픽 처리부(383), 메인 CPU(3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85-1 ~ 385-n) 및 버스(386)를 포함한다. 이때, RAM(381), ROM(382), 그래픽 처리부(383), 메인 CPU(3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85-1 ~ 385-n) 등은 버스(38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38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38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7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7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38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37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3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384)는 저장부(3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384)는 저장부(3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85-1 내지 3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2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50)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80)는 수신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30)에 '검색 기능을 이용하시겠습니까?'(400)라는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Yes(410)를 선택 입력할 경우,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술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 영상 컨텐츠의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EPG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를 제공하는 정보로서, 화면상에 채널,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 시간, 장르, 프로그램의 상세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말한다. 또한,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하고, 캡쳐된 화면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8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420)을 캡쳐(Capture)하고, 캡쳐된 화면(420)을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상술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의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외부서버(250)를 구비된 경우, 별도의 외부서버(25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동일한 영상 컨텐츠의 타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기능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EPG정보, 영상 컨텐츠의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한 후, 외부서버(2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및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기능 실행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500),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만을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 정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서버(200)는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 등)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80)는 수신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추천 검색어 List인 ① 전자현 야상, ② 전지현 립스틱, ③ 전지현 남편..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기능 실행 중,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한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38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 수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기능 실행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전지현 립스틱'과 관련한 검색어를 '전지현 립스톡'(530)으로 잘못 입력(500)한 경우를 가정한다. 제어부(380)는 입력된 검색어(530,전지현 립스톡)와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 정보(EPG정보, 메타 데이터 및 캡쳐된 화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530,전지현 립스톡)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560)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전지현 립스톡'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전지현 립스톡'(510)과 관련하여 수정된 검색어인 '전지현 립스틱'(57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정 검색어 List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잘못 입력한 경우 수정된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검색어를 정확히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 외부서버(200)가 직접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의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들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기능 실행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600),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만을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 정보(610) 및 영상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새어(미도시),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6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추출(630)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서버(200)는 추출된 관련 검색어 기록(① 전자현 야상, ② 전지현 립스틱, ③ 전지현 남편..)를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 기능 실행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전지현 립스틱'과 관련한 검색어를 '전지현 립스톡'(605)으로 잘못 입력(600)한 경우, 제어부(380)는 입력된 검색어(605,전지현 립스톡)와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 정보(680, EPG정보 및 캡쳐된 화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650, 전지현 립스톡)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660)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670)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추출(690)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200)는 추출된 검색 기록 (① 전자현 야상, ② 전지현 립스틱, ③ 전지현 남편..)를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정보(추출된 검색 기록-① 전자현 야상, ② 전지현 립스틱, ③ 전지현 남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추천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기기(300)와 연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수신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외부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검색어와 관련하여, 추천 검색어 List인 ① 전자현 야상, ② 전지현 립스틱, ③ 전지현 남편..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한 후, 추천 검색어 List를 다시 외부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300)는 디스플레이부(700)에 추천 검색어 List(7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색어 List만을 외부기기(300)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정보를 외부기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색 시스템의 구성에 외부기기(30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기기(3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도로 외부서버(200, 250)가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서버(200, 25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을 이용한 VOD, DVD의 Ondemand Servi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기능 및 ondemand service 실행 중,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한 방송 프로그램 검색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380)는 입력된 검색어를 외부서버(25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하고 외부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 기타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사용자가 '전지횬이 출연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해줘'(810)라고 잘못 입력한 경우를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서버(200)는 수신된 잘못 입력된 검색어(810),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에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전지횬' 검색어와 관련성이 높은 '전지현'이 출연하는 추천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38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전지횬...(중략)'관련된 수정 검색어 List(① 전지현 방송 프로그램 추천, 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추천 영상 정보(810) List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에에서는, 외부서버(200)가 수신된 EPG정보 등을 이용하여 '전지현'(수정된 검색어 전지현)이 출연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외부서버(200)는 EPG 정보뿐만 아니라, VOD 서비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또 다른 외부장치(예를 들어, DVD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 의도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사용자가 '전지현(출연자 이름)이 출연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해줘'라고 입력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EPG 정보뿐만 아니라, VOD 서비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또 다른 외부장치(예를 들어, DVD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전지현'(출연자 이름)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서비스 별로 검색된 컨텐츠를 구분하여 추천 영상 정보 List(930,9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현'(출연자 이름)이 출연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EPG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DVD 플레이어로부터 검색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PG 정보로부터 검색된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추천 영상 정보 List(930)와 DVD 플레이어로부터 검색된 DVD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영상 정보 List(940)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수정하여 수정 검색어 List를 디스플레이한 후, 수정된 검색어와 관련된 추천 방송 프로그램 List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추천 검색어 List 및 이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 List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기능 및 ondemand service 실행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8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정보, 캡쳐된 화면 및 메타 데이터 등)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고,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기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 등을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 및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추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38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추천 검색어 List(9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추천 검색어 List (920)중 하나를 선택 입력할 경우, 제어부(380)는 선택된 검색어와 관련된 추천 방송 프로그램 List(도 8b 및 도 9b 참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음성 입력부, 터치 스크린,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10). 그리고, 검색 기능이 실행된 경우(S10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30). 이때,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 및 영상 컨텐츠의 캡쳐(Capture)된 화면일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40). 구체적으로,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수신된 경우, 외부 서버는(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의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05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가능한 추천 검색어 List(5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였지만, 도 5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 잘못 입력한 경우(53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정 검색어 List(540)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기능을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10).
그 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기기(200)의 연동을 원할 경우, 외부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연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920)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기기(200)와의 연동을 승인(S1030)한 후, 연동 승인 메시지를 외부기기(200)로 전송(S1035)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기능이 수행(S1040)된 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50). 이때,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 및 영상 컨텐츠의 캡쳐(Capture)된 화면일 수 있다.
그 후, 외부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S106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수신된 경우,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및 캡쳐된 화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및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검색어가 수신되는 않은 경우, 외부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영상 컨텐츠에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서버(200)는 추출된 시청자들의 검색기록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070).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98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외부기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S1090).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안 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200 : 외부서버
210 : 통신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제어부           250 : 기타 외부 서버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 수정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EPG (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재생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상기 캡쳐된 화면을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및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검색어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상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검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들의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 수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기능이 수행된 경우, EPG (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재생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상기 캡쳐된 화면을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및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검색어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검색어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어 방법.
  13. 검색 기능 실행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검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외부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기기와 연동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검색 기능 실행 시스템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시청자의 검색어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 기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기능 실행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200028470A 2020-03-06 2020-03-06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0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470A KR102204813B1 (ko) 2020-03-06 2020-03-06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470A KR102204813B1 (ko) 2020-03-06 2020-03-06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022A Division KR102088443B1 (ko) 2015-04-01 2015-04-01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918A true KR20200028918A (ko) 2020-03-17
KR102204813B1 KR102204813B1 (ko) 2021-01-19

Family

ID=7000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470A KR102204813B1 (ko) 2020-03-06 2020-03-06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8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700A (ko) * 2007-11-12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1620A (ko) * 2008-12-19 2010-06-29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 방송 중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44770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휴대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700A (ko) * 2007-11-12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1620A (ko) * 2008-12-19 2010-06-29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 방송 중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44770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휴대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813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969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mage searching
CA2529969C (en) Searchin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KR101911803B1 (ko)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89362A1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US201902204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88443B1 (ko)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34746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EP343885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4811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704021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220870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public information
CN113542899A (zh) 信息展示方法、显示设备、服务器
KR102204813B1 (ko)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542900B (zh) 媒资信息展示方法及显示设备
WO2014043987A1 (zh) 一种信息的传送方法、装置及系统
US20200221179A1 (en)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ation lis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0576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bookmarked content
US12010373B2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US2021034501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20309095A1 (en) Display device
JP2013207728A (ja) 番組情報処理装置、番組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