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416A -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 Google Patents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416A
KR20090048416A KR1020090029132A KR20090029132A KR20090048416A KR 20090048416 A KR20090048416 A KR 20090048416A KR 1020090029132 A KR1020090029132 A KR 1020090029132A KR 20090029132 A KR20090029132 A KR 20090029132A KR 20090048416 A KR20090048416 A KR 20090048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tus
luminous
pigment
fragranc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권수
Original Assignee
신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권수 filed Critical 신권수
Priority to KR102009002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416A/ko
Publication of KR2009004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97Dye preparations of special physical nature; Tablets, films, extrusion, microcapsules, sheets, pads, bags with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 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색상에 야광 또는 축광처리한 후 향기를 부여하여 기존에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서 맡을 수 없었던 새로운 후각적인 가치와 어두운 곳에서의 야광의 아름다움을 쉽게 감상할 수 있는 시각적인 가치를 더함으로써 상품의 부가가치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인장과 다육식물의 긴 생명력으로 오랜 기간 동안 향기와 야광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고, 누구나가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안료와 야광안료를 혼합한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택된 향기안료와 축광안료의 착색을 위한 알코올 및 투명접착용액을 준비하는 혼합액 재료 준비단계와 적정한 혼합비율로 상기 안료들을 알코올에 용해시켜 착색액을 만드는 혼합액 제조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분무기를 통하여 스프레이 식으로 적절하게 착색되도록 선인장 및 다육식물에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및 선인장 및 다육식물에 착색한 혼합액의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야광, 축광, 선인장, 야광 선인장, 야광 다육식물, 다육식물, 향기

Description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With the method which makes the nightglow cactus and the nightglowe succulent plant depends hereupon and the nightglow cactus which comes to make or the nightglowe succulent plant}
본 발명은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향기나는 야광 선인장 또는 야광 다육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자연상태 그대로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야광과 향기를 내도록 처리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후각적인 향기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부가가치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인장과 다육식물의 긴 생명력으로 오랜 기간 동안 향기와 야광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고, 누구나가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안료와 야광안료를 혼합한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모양과 색깔을 가진 여러 가지 분재가 종류별로 많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그중 분재의 종류 중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많은 종이 개발, 발견되어 왔으며 비교적 저렴하고 오래 산다는 장점으로 구매고객층의 높은 수요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선인장 접목을 통한 새로운 색깔과, 모양, 형태의 품종을 개발하여 구매고객의 제한된 선택과 수요를 창출하였다. 그러나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발견하거나 품종을 개발하여 기존의 자연 그대로의 변화없는 자체 색상과 향기가 없는 단점이 있어 다양한 시각적인 변화효과 및 향기의 후각적인 효과를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다소 식상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뿌리를 통한 야광액과 향기 액의 흡수를 위한 노력을 기울인 바 있으며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체적의 80%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음으로 몸체에 주사기를 통하여 야광액 또는 향기 액을 주입하는 시도를 하였다.
그런데 뿌리 흡수를 통한 야광효과와 향기효과를 기대한 경우 뿌리를 통한 야광액 및 향기 액의 흡수가 전혀 불가능하였으며 몸체의 주사기를 통한 인공 주입을 했을 경우 주입한 부위만 야광과 향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점차 주사기를 꽂은 부위를 포함 주변몸체들이 병들기 시작하여 자연상태의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보다 수명이 상대적으로 단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향기와 야광의 효과를 위하여 향기안료와 야광안료를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직접 붓으로 착색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향기안료와 야광안료가 쉽게 몸체에 착색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착색이 되었어도 몸체의 표피가 누렇게 뜨는 병든 현상이 발생하거나 고르게 착색이 안 되어 외관상 좋지않은 형태를 보였으며 안 료의 층이 두꺼울수록 안료가 마른 후 떼어져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여 원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서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야광의 효과를 내면서도 수명에 영향을 주지않는 야광 선인장 또는 야광 다육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향기와 야광의 효과를 내기 위한 향기안료와 야광안료 및 이 안료들을 혼합하기 위한 투명접착용액과 접착용액를 중화시키기 위한 알코올의 혼합액 재료 준비단계:
소정의 혼합비로 준비된 상기 안료들에 투명접착용액과 알코올을 휘저어 섞어 용해시킨 혼합액을 만드는 혼합액 제조단계:
상기 혼합액을 분무기에 넣어 상기 혼합액을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표면에 스프레이 식으로 직접 분사하는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 분사단계 후 혼합액을 건조하는 혼합액 건조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혼합비는 향기안료 100g과 야광(축광)안료 130g 또는 150g를 혼합한 중량의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을 50% 비율로 혼합하고 그 결과혼합액에 알코올 1리터 또는 1.5리터가 소요되는 혼합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무기의 스프레이의 노즐은 1.0mm내지 0.1mm 인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분무기를 통한 착색에 따른 혼합물의 착색두께는 0.1mm~0.3mm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단계의 건조시간은 자연건조일 경우 6시간 이상일 수도 있으며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건조한다면 3분 이내 건조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자연상태 그대로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야광효과와 향기를 내도록 처리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후각적인 향기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부가가치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인장과 다육식물의 긴 생명력으로 오랜 기간 동안 향기와 야광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고, 누구나가 손쉽게 향기안료와 야광안료를 혼합한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에 의해 야광 선인장 또는 야광 다육식물을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착색방법의 단계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착색방법을 이용하여 착색된 선인장의 어두운 곳에서의 야광 선인장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향기나는 야광안료혼합물을 분무기 또는 수중펌프가 장착된 통에 채운 후, 수중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향기나는 야광안료혼합물 내의 축광안료 성분과 향기안료 및 알코올에 용해된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 성분이 섞이 도록 하면서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표면에 착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광 안료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축광안료의 주성분은 인광성황화 아연(ZnS:Cu)이며 기타 다양한 성분으로 축광안료를 개발하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이미 사회 전반에 걸쳐 야광 표지 스윗치· 콘센트· 휴대용전등· 암실 용품· 계단미끄럼방지부· 난간· 건목· 타일· 마루의 면· 벽면 표시· 기타의 표시에 주로 쓰이고 있다. 이런 축광안료를 이용한 축광잉크, 축광페이트, 축광코팅제등 축광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극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런 축광안료는 자체적인 색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너무 많은 함유량을 150g 보다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색되는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자연 그대로의 색깔이 탁하게 보이는 현상이 있으며, 축광안료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100g보다 더 적으면 축광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향기 안료는 사회 전반의 모든 분야에 쓰이고 있으며 현재 향의 성분을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여러 가지의 향을 2-3㎛의 크기로 만들어 판매하고 있으며 향의 보존 기간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비비거나 충격에 의하여 캡슐 내부의 향이 발사하는 형태로 다양한 향기를 개발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축광안료 및 향기안료는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표면에 쉽게 접착되지 않으므로, 축광/향기 안료를 몸체 표면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는 축광/향기 안료를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몸체 표면에 착색시키는 문제는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다 만,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은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몸체 표면에 있는 기공을 막을 경향이 있기에 그 함유량은 엄격하게 한정되어야 한다. 우레탄수지 투명접착용액의 비율이 높을 경우 몸체 표면의 기공이 너무 많이 막히기 때문에 단기간(3개월 내)에 죽는 경향을 보이게 되며, 반면에 투명접착용액의 비율이 낮으면 축광/향기 안료의 착색이 불량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광안료와 향기안료를 포함한 혼합액을 착색하는 방법은, 혼합액조성물을 내부에 수중펌프가 장착된 통에 채운 후, 수중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향기나는 야광혼합액의 축광안료와 향기안료가 알코올과 섞이면서 접착용액을 중화시킨 후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표면에 착색되면서 축광안료와 향기안료 및 투명접착용액이 착색된 후 알코올은 대기중으로 증발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수중펌프에 의해 혼합액이 계속적으로 휘저어 지게 도며, 이러한 동작에 따라 서로 분리되어 공존하고 있는 축광안료 및 향기안료, 접착용액이 알코올과 서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이렇게 혼합된 상태에서 스프레이로 분사되므로, 축광안료와 향기안료가 비교적 균일하게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몸체 표면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가능한 얇은 층(0.1mm~0.3mm)으로 착색되도록 하여 빠른 시간 안에 알코올성분이 날아가 착색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분사 노즐의 직경은 1.0mm 내지 0.1mm 인것이 적당하다. 1.0mm이상인 경우 혼합액의 방울의 크기가 커져 말리는 과정이나 착색 층의 두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0.1mm이하인 경우 착색에 많은 시간이 걸려 착색이 힘들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에서는 선인장을 이용하여 선인장의 표면을 향기나는 야광혼합물로 착색한 예를 도 2에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선인장을 제외한 다육식물의 몸체가 되어도 좋으며 실제로 야광 선인장은 자연 상태에서는 볼 수 없는 선인장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착색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액 재료 준비단계(A1), 혼합액 제조단계(A2),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A3), 혼합액 건조단계(A4)의 단계를 거친다. 각 단계에 대해 부연한다.
혼합액 재료 준비단계(A1)는, 도 2와 같이 선인장의 표면에 착색을 하기 위해,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필요한 재료에는 선택된 색상을 갖는 안료와 안료를 착색시키는 접착용액 및 접착용액을 중화시키면서 착색 후 증발하는 알코올이 포함된다. 만약 도 2와 같은 경우, 축광안료는 노란색 야광(휘도가 가장 높음) 빛을 내는 옐로우 그린 축광안료가 되며 향기안료로는 봄 향기가 나는 아카시아향 안료가 된다.
축광안료에는 물에 잘 녹지않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착색액을 표면에 착색하더라도 표면에 물이 가해지면, 즉 비 또는 수분이 가해질 경우 물과 함께 흘러내리지 않으며 향기안료 또한 물에 잘 녹지 않기에 사용이 좋다. 결국, 도 2에서 선택된 안료는 아카시아향기안료와 노랑야광빛을 내는 옐로우그린 축광안료 인 것이다. 다만, 축광안료와 향기안료를 그대로 표면에 뿌리기에는 곤란하기 때문에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과 접착용액을 중화 및 용해시키는 수단으로 알코올이 사용된다.
즉,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은 알코올 또는 신나성분 등에 용해 및 중화가 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알코올을 선택할 경우, 알코올이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을 착색방법에 맞게 적당하게 녹여 향기안료와 야광안료가 섞인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표면에 뿌리면 표면에 착색액이 닿는 순간 알코올은 증발하고, 원하는 향기와 야광안료만 표면에 착색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좋다.
특히, 이러한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용액은 물에는 녹지않고 알코올, 신나 등의 기름에만 녹기 때문에 선인장의 표면에 물이 묻는다 하더라도 녹지않으며, 손으로 만지더라도 손에 묻어나지 않는다.
안료와 투명접착용액을 준비함에 있어, 축광안료 130g과 향기안료 100g의 중량에 50%인 115g의 투명접착용액이 소요될 수 있으며 분사 및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알코올이 1l~1.5l가 소요되는 것이 좋다.
만약, 바람직한 상기 비율보다 투명접착용액이 많으면 축광안료 및 향기안료의 침전이 일어나 분사기로 분사하기가 곤란하며, 표면에 과잉 착상으로 인해 오히려 손에 묻어나거나 뭉쳐서 떨어지는 우려가 있다.
반대로 바람직한 상기 비율보다 축광안료의 량이 많아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혼합액 제조단계(A2)는 상기의 혼합비, 즉 향기안료 100g과 축광안료130g 및 이들 중량의 50%인 115g의 투명접착용액당 알코올 1l~15l 비율로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혼합시 별도의 혼합 탱크가 이용되어도 좋다.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A3)는 상기의 비율대로 혼합한 혼합액을 소정의 분무기를 이용하여 직접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표면에 뿌리는 단계이다. 이때의 분무기로는 컴프레샤에 연결된 스프레이 건 과 에어브러쉬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즉, 혼합액 제조단계(A2)를 통해 제조된 혼합액을 컴프레샤에 연결된 스프레이 건과 에어 브러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담고, 컴프레샤 공기압을 올린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과 에어 브러시를 통하여 혼합액을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에 뿌린다. 그러면, 혼합액이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표면에 닿는 순간, 알코올은 증발하고 알코올 속에 있던 향기안료와 축광안료가 표면에 착색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혼합액 건조단계(A4)는 자연적인 건조로 건조될 수 있으며 더욱 빠른 시간을 요한다면 드라이기를 이용해서 빠르게 건조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선인장 및 다육식물이 표면에 단순히 도포 또는 착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꽃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발광색깔이 다른 야광안료를 달리하여 착색부위별 또는 개별적인 자유로운 색상 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향기안료를 통하여 여러 가지의 향기를 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기존 선인장 및 다육식물에서 볼 수 없었던 향기와 야광안료를 착색하여 미적으로나 향기로나 상품의 부가가치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더불어 조건과 환경에 무관하게 누구나가 쉽고 간편하게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착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지금의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는 농가에 소득증대와 매출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축광안료 및 향기안료를 포함한 향기나는 야광혼합액을 사용하여 위에 따른 착색방법으로 만들어진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은, 낮에는 축광안료가 보이지 않으며 향기안료에 의해 향기가 나면서 자연 그대로의 색을 감상할 수 있으며 밤과 같은 주위가 어두운 곳에서는 축광안료가 빛을 발하게 되므로,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하는 야광 선인장 및 야광 다육식물을 향기와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선인장의 표면을 실험적으로 축광 착색하기 위해, 향기안료, 축광안료, 알코올, 우레탄 수지 투명 접착 용액를 준비하였다.
2. 축광안료로서, 어두운 곳에 노란색의 빛을 발하는 옐로우그린축광안료를 선택하였으며 봄의 향기를 물씬 느끼도록 아카시아향기안료를 선택하였다.
3. 준비된 재료들을 혼합 탱크 내에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비는 향기안료 100g과 야광(축광)안료 130g 또는 150g를 혼합한 중량의 우레탄수지 투명접착용액을 50%비율로 혼합하고 그 결과혼합액에 알코올 1L~1.5L를 첨가하여 최종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혼합시 혼합용 교반기를 사용하였다.
4. 얻어진 혼합액을 작은 수중펌프가 설치된 통을 가진 스프레이 건에 일정량 넣었다.
5. 스프레이 건을 컴프레샤에 연결하고, 컴프레샤를 켜어 대략 30kg/㎠ 정도의 공기압이 되도록 하였으며, 염색액이 담긴 통 내의 수중 펌프를 가동시키면서, 스프레이 건의 분사구를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표면에 대고 분사하여 착색시켰다.
6. 착색 후 , 상온에서 일정시간 건조하였으며 건조 시 알코올은 증발하고, 원하는 아카시아향기안료 및 축광안료가 표면에 착색되었다.
<비교예1>
혼합안료(향기안료+축광안료)의 중량 100에 대하여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 용액 중량이 10%의 비율로 혼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된 아카시아 향이 나는 노랑야광색을 발광하는 야광 선인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혼합안료(향기안료+축광안료)의 중량 100에 대하여 우레탄 수지 투명접착 용액 중량이 100%의 비율로 혼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된 아카시아 향이 나는 노랑야광색을 발광하는 야광 선인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축광안료를 40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된 아카시아 향이 나는 노랑야광색을 발광하는 야광 선인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4>
축광안료를 180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된 아카시아 향이 나는 노랑야광색을 발광하는 야광 선인장을 제조하였다.
<착색 및 외관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1~4)에 의해 제조된 아카시아 향이 나는 노랑야광색 을 발광하는 야광 선인장의 착색상태와 외관을 평가하여 본 결과, 실시예는 장기 보존상태(1년이상)를 보였고 및 낮의 자연그대로의 색상과 어두운 곳에서의 야광 상태가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나, 비교예1은 축광안료의 부착상태가 불량하여 야광발광시 희미하여 보였고, 비교예2는 축광처리된 선인장의 표면이 일찍(3개월이내) 병들기 시작하였다. 비교예3은 축광안료가 너무 적어 야광현상이 불량하였으며, 비교예4의 경우 야광안료가 너무 많이 부착되어, 축광착색된 선인장의 표면이 일찍 병들기 시작할 뿐만 아니라 착색된 형태가 불량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자세히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착색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색방법을 이용하여 착색된 선인장의 야간의 야광효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Claims (2)

  1. 향기나는 야광선인장 또는 야광다육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향기와 야광의 효과를 내기위한 향기안료와 야광안료 및 이 안료들을 혼합하기 위한 투명접착용액과 접착제를 중화시키기 위한 알코올의 혼합액 재료 준비단계:
    소정의 혼합비로 준비된 상기 안료들에 투명접착용액과 알코올을 휘저어 섞어 용해시킨 혼합액을 만드는 혼합액 제조단계:
    상기 혼합액을 분무기에 넣어 상기 혼합액을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의 표면에 스프레이식으로 직접 분사하는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 분사단계 후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혼합액 건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혼합비는 향기안료 100g과 야광(축광)안료 130g 또는 150g를 혼합한 중량의 우레탄수지 투명접착용액을 50%비율로 혼합하고 그 결과혼합액에 알콜1리터 또는 1.5리터가 소요되는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착색방법.
  2. 제1항의 착색방법에 의해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KR1020090029132A 2009-04-03 2009-04-03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KR20090048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32A KR20090048416A (ko) 2009-04-03 2009-04-03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32A KR20090048416A (ko) 2009-04-03 2009-04-03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416A true KR20090048416A (ko) 2009-05-13

Family

ID=4085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32A KR20090048416A (ko) 2009-04-03 2009-04-03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4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2422A1 (en) * 2020-01-09 2021-07-15 Compass Minerals Usa Inc. Wavelength spectrum enhancement for plant photosynthe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2422A1 (en) * 2020-01-09 2021-07-15 Compass Minerals Usa Inc. Wavelength spectrum enhancement for plant photosynthe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251B1 (ko) 식물의 꽃잎 염색용 조성물 및 그 염색방법과 이에 의해 염색된 꽃잎을 구비한 식물
US8667728B2 (en) Fishing lure
KR100840690B1 (ko) 온도/광량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꽃을 제조하는 방법
US20150329505A1 (en) A fluorescent composition for use in marking objects, such as flowers
US20090286014A1 (en) Photoluminescent composition and method
KR100799265B1 (ko) 식물의 꽃잎용 안료 조성물 및 그 염색 방법과 이에 의해 염색된 식물의 꽃잎을 구비한 식물
KR20090048416A (ko) 선인장용 또는 다육식물용 향기나는 야광안료조성물 및 그 착색방법과 이에 의해 착색된 선인장 또는 다육식물
US6566416B2 (en) Fragrant thermoplastic snow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7043859A2 (en) Luminescent green using a dye, ink or paint and luminous pigment
KR101011909B1 (ko) 보존기간이 길며 온도/광량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야광꽃을제조하는 방법
KR100982134B1 (ko) 식물의 꽃잎 분사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꽃잎 코팅방법과 이에 의해 코팅된 식물의 꽃잎
US6748693B1 (en) Phosphorescent live bait
JP2002360126A (ja) カラー蓄光塗料を使用した疑似餌及び疑似餌収納ケース
KR101199867B1 (ko) 온도/광량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메세지가 나타나는 꽃을 제조하는 방법
CN101933444A (zh) 变色的鲜花花卉
WO2002051271A1 (en) Artificial plant and method of using it
US20220325114A1 (en) System and Coloring Product for Landscaping Materials
JPH1136121A (ja) 湿式芳香剤
JP5946006B1 (ja) 発光水性ネイルトップコート
CN105385218A (zh) 避免被仿制的服装标签加工方法
JP6207860B2 (ja) 薬剤揮散用繊維構造体
KR101670977B1 (ko) 꽃 색상연출용 코팅조성물
CN106723725A (zh) 一种荧光人造水晶钻石及其制造方法
JP2024006172A (ja) アートフラワーおよびアートフラワーセット
KR19980040084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포함된 염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