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249A -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249A
KR20090048249A KR1020070114561A KR20070114561A KR20090048249A KR 20090048249 A KR20090048249 A KR 20090048249A KR 1020070114561 A KR1020070114561 A KR 1020070114561A KR 20070114561 A KR20070114561 A KR 20070114561A KR 20090048249 A KR20090048249 A KR 2009004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dial
sim
mobile
speed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625B1 (ko
Inventor
차두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25B1/ko
Priority to US12/265,168 priority patent/US8914069B2/en
Priority to EP08168683A priority patent/EP2059006A1/en
Priority to CNA2008101724397A priority patent/CN101431739A/zh
Publication of KR2009004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축다이얼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다이얼을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 SIM)카드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SIM 카드에서 상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으로 이동 단말(Mobile Equipment: ME)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국가간 로밍이나 사업자 변경시에도 기설정된 단축다이얼 기능을 새로 등록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단축다이얼, 범용 IC 카드, 가입자 식별 모듈, SIM Application Toolkit(SAT).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 BY MOBILE COUNTRY CODE/MOBILE NETWORK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단축다이얼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키를 관리하는 단축키 애플릿(Speed Dialing Applet)을 이용하여 국가간 로밍(roamming) 및 서비스 사업자 변경시에도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의 발달과 보급으로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로 인해, 그만큼 많은 수의 단말들이 증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의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중에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는 단축번호와 매핑하여 사용자가 상기 단축번호를 누르게 되면, 상기 단축번호와 매핑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통화한다.
한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 에서는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 Identity Module: 이하 "SIM" 이라 칭함)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SIM 카드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 단말에서도 SIM 카드를 장착하기만 하면 자신의 고유 전화번호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SIM 카드 사이 인터페이스는 SIM 응용 툴킷(SIM Application Toolkit: SAT)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SIM 툴킷은 애플리케이션들을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필요한 일반적인 표준 SIM 툴킷 메커니즘을 지원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상호 동작하도록 해준다.
도 1은 SIM 툴킷 메커니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SIM 응용 툴킷은 SIM 카드가 단말에 명령들을 내리도록 허가하는 기술이다. 이 명령들을 통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부터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얻을 수 있다. 실제 이동통신 단말은 마스터로써, SIM 카드는 단말의 기능 요구(function requests)에 수용하는 슬레이브로써 동작한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SIM 카드 내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먼저 단말이 SIM 툴깃으로 SIM 카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SIM 카드는 설치된 SIM 툴킷 애플리케이션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SIM 카드로부터 명령을 기다린다. 상기 SIM 카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단말이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날씨에 관한 정보 스포츠에 관한 정보, 은행 업무 등을 디스플레이하면 단말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SIM 응용 툴킷을 구동하는 명령(command)들은 3GPP TS 11.14(Specification of the SIM Application Toolkit for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 Mobile Equipment(SIM - ME) interface)에 기술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SIM 카드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명령을 사전 명령(proactive command)라 칭하고, 단말에서 SIM 카드로 전송되는 명령을 인벨로프 명령(Envelope command)으로 칭한다. 이들 각각 명령들의 조합으로써 사업자들은 특정서비스를 제공하는 SMS 메시지를 송ㆍ수신던지, 특정 서비스번호로 통화 연결을 한다던지와 같은 자신들만의 고유 서비스를 개발하여 SIM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SAT 기능의 경우 사업자가 SIM 내에 특정 서비스를 위한 SAT 기능을 구현해 놓고(built-in SAT 서비스), 일반 사용자는 폰 메뉴 상에 SAT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걸어 날씨정보, 교통정보 등을 요청하는 특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종래 기술에서 단말에서 설정된 단축다이얼 기능은 다른 단말로 교체할 시 단축다이얼을 새로 설정해야하고, 특히, 하나의 단축다이얼번호(Speed Dial Number)에는 하나의 전화번호(혹은 애플리케이션)만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로밍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사용하던 단축다이얼은 해외에서 로밍네트워크(Roaming Network)로 이동시 사용할 수 없고 필요 시에 다시 등록해야한다.
마지막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멀티모드 단말과 여러 사업자 SIM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사업자의 SDN(Service Dial Number)를 단축다이얼에 등록할 경우 특정사업자로 교체시에는 해당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다.
UICC(Universal IC Card)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단축다이얼(Speed Dialing)을 UICC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단말을 교체하거나 로밍 혹은 사업자 변경시에도 변경없이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축다이얼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다이얼을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 SIM)카드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SIM 카드에서 상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으로 이동 단말(Mobile Equipment: ME)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축다이얼을 입력하는 키패드와, 상기 단축다이얼을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 SIM)카드로 전달하는 응용툴킷과, 상기 SIM 카드에서 상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검색하는 단축다이얼 애플릿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으로 이동 단말(Mobile Equipment: ME)로 전송하는 단축다이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UICC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단축다이얼을 상기 UICC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단말을 교체하더라도 기존에 설정된 단축다이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해외에서 국가 이동시 자동으로 해당 국가에서 사용할 등록한 단축다이얼로 자동 전환이 이루어져. 별도 로밍 국가에서 단축다이얼을 등록할 필요 없다. 그리고, 하나의 단말로 두 개 사업자의 UICC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특정사업자의 SDN(Service Dialing Number)들을 단축다이얼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 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210)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장착/탈착 가능한 범용 IC 카드(Universal IC Card: 이하 "UICC"라 칭함)를 통해 개인정보관리, 공인인증서 외 금융관리, 보안관리, 정보유통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UICC(200)는 휴대 인터넷의 안전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가입자 인증 및 다양한 통신 및 금융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스마트카드다.
여기서, GSM/UMTS(204) SAT/USAT(202)는 상기 SIM/USIM(206) 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단말(200) 사이 인터페이스 제공하며, GSM/UMTS(204)는 GSM/UMTS 서비스를 위한 상기 SIM/USIM(206)과 단말(200) 사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SAT/USAT 서버(220)는 상기 UICC (201)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구현에 따라서, 상기 SAT/USAT 서버(220)는 PLMN(21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 되는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300 단계에서 단축다이얼을 설정하여 단축다이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SAT 메뉴에 진입한다. 상기 SAT를 통해 SIM 카드내에 특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2 단계에서 단축다이얼 세트업을 위한 "Setup Speed Dial" 부메뉴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4 단계에서 "Setup Speed Dial"의 부메뉴 "Primary Speed Dial" → "Add to Speed Dial" 선택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6 단계에서 폰북(Phonebook) 혹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Application List)로부터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단축다이얼에 저장시킨다.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전화번호를 키패드로 입력하여 단축다이얼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폰북 혹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있는 010-9530-8216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단축다이얼 3에 저장시켜 단축다이얼을 추가하였다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8 단계에서 대기화면에서 해당 단축다이얼을 길게 누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기화면에서 단축다이얼 3을 길게 누렀다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0 단계에서 단축다이얼 번호를 UICC(SIM/USIM/etc)로 전달된다. 상기 UICC는 상기 단말 내부에 장착/탈착이 가능하며,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 USIM(Universial Subscriber Identify Moduie) 카드 등을 말한다.
이후, 상기 UICC는 312 단계에서 단축다이얼 모드(Speed Dial Mode)를 확인 한 후, 314 단계에서 해당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실제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찾는다. 여기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단말이 어떤 국가에서 어떤 사업자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현재 단말이 어떤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이하 "MCC"라 칭함)로 설정되어있는지 그리고, 어떤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이하 "MNC"라 칭함)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MCC와 MNC 값을 고려하여 단축다이얼을 검색한 후 해당 전화번호를 찾는다. 이는 하나의 단축다이얼은 MCC와 MNC에 따라서 여러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7 참조).
이후, 상기 UICC는 316 단계에서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단축다이얼 3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010-9530-8216)를 찾아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단말에 알린다.
상기 SIM에 의한 호 제어는 3GPP TS 11.14에 정의되어있는 기능으로서, 해당 기능이 UICC에 동작하는(Activate) 경우, 모든 다이얼된 문자열(Dilaled string) 및 부가서비스 제어 문자열(Supplementary Service control string),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문자열들은 단말에 입력되어 호 설정/서비스 동작(Call setup/Service Operation)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UICC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UICC는 입력된 호(Call), SS(Supplementary Service) 동작, USSD 동작을 허용, 거부, 변경 후 재시도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호 요청이나 SS 동작 요청, USSD 동작 요청 등을 또 다른 Call/SS/USSD로 변경하여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8 단계에서 상기 UICC로부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예: 010-9530-8216)를 제공받아 호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사용자는 010-9530-8216으로 다이얼링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칭함)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단축다이얼 기능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도 3에서 단축다이얼 추가하여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설명은 생략했지만 단축다이얼 추가 기능 외에 단축다이얼 편집/삭제 기능, 설정된 단축다이얼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등이 더 있다. 하기 도 6에서 단축다이얼을 위한 SIM 애플릿 메뉴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로 이동시 단축다이얼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00 단계에서 로밍계약이 되어있는 사업자 네트워크가 있는 국가로 여행/출장 시, 402 단계로 진행하여 로밍 네트워크에 캠프 온(Camp on) 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4 단계에서 해당 네트워크의 MCC 값에 따라 자동으로 단축다이얼 모드를 변경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6 단계에서 변경된 MCC에 따라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로밍 후 단축다이얼 3번을 길게 누르게 되면, 홈 네트워크에서 단축다이얼 3번이 010-9530-8216으로 설정되어있으나, 로밍 네트워크에서는 변경된 MCC에 따라서 216-223-6875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변경시 단축다이얼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500 단계에서 사업자 변경시 502 단계로 진행하여, 502 단계에서 사업자 MNC 값에 따라 단축다이얼 모드를 변경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506 단계에서 변경된 MNC에 따라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업자 변경시(하나의 GSM/UMTS/WCDMA 단말기로 여러 개의 사업자 망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사업자의 SDN(Service Dialing Number)를 단축다이얼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 AT&T사업자 SIM을 사용하며 단축다이얼 1번을 Balance charge에 해당하는 SS 문자열로 설정해서 사용 중(예: 단축다이얼 1을 *111#이란 ss 문자열로 등록하여 사용 중)이고, 다른 사업자의 T-Mobile SIM에는 단축다이얼 1이 T-mobile balance charge를 사용한다(단축다이얼 1번에 *678#이라는 T-mobile 사업자의 SS로 등록된 단축다이얼을 사용). 따라서, 하나의 단축다이얼 1에 대해 사업자별로 전화번호 혹은 SS 문자열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IM 애플릿 메뉴 구성표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이 단축다이얼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SAT 메뉴를 진입하게 되면, 레벨 1의 "Setup Speed Dial", "View Speed Dail", "Status", "Help" 부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단축다이얼을 설정하기 위한 "Setup Speed Dial" 메뉴가 선택되면, 레벨 2의 "Primary Speed Dial", "Secondary Speed Dial" 부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Primary Speed Dial" 부메뉴가 선택되면 레벨 3의 "Add to Speed Dial", "Edit Speed Dial", "Delete from Speed Dial" 부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Add to Speed Dial"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제 1 단축다이얼 엔트리들에 번호를 추가할 수 있고, "Edit Speed Dial" 선택되면 등록된 제 1 단축다이얼 엔트리를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Delete from Speed Dial" 선택되면 사용자는 제 1 단축다이얼 엔트리들로부터 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 Secondary Speed Dial" 부메뉴가 선택되면, 레벨 3의 " Setup Secondary DS ", " Clear All Secondary SD " 부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 Setup Secondary DS " 선택되면, 사용자는 제 2 단축다이얼 엔트리들에 대해 추가/편집/삭제를 할 수 있다. "Clear All Secondary SD " 부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제 2 단축다이얼 엔트 리들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View Speed Dail" 메뉴가 선택되면, 레벨 2의 "Primary Speed Dial", "Secondary Speed Dial" 부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Primary Speed Dial"가 선택되면, 모든 제 1 단축다이얼 엔트리들을 디스플레이하고, "Secondary Speed Dial" 가 선택되면, 레벨 3에서 모든 제 2 단축다이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레벨 4에서 선택된 제 2 단축다이얼 엔트리들을 디스플레이한다.
"Status" 메뉴가 선택되면, 레벨 2의 Speed Dial on/off 토글(toggle)로부터 단축다이얼 기능을 on 혹은 off 시킬 수 있다.
"Help" 메뉴가 선택되면, 레벨 2에서 단축다이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사용법(Usage), FAQs, Help texts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다이얼 애플릿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국가별 혹은 사업자별로 구분하여 해당 국가 혹은 해당 사업자에 대해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축다이얼 애플릿 구조 예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제 1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단축다이얼 1을 02-723-3123로 설정하고, 한국의 제 2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단축다이얼 1을 010-3773-3342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미국의 제 1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단축다이얼 1을 213-123-4567로 설정하고, 미국의 제 2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단축다이얼 1을 070-123-4567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국가들은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로 구분되며, 상기 사업자들은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로 구분된다.
만약, 4개 국가와 각 국가에 대해 2개의 서비스 사업자들이 있다고 하면, 사용자는 국가별로 MCC1(700), MCC2(710), MCC3(720), MCC4(730)으로 단축다이얼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MCC1(700), MCC2(710), MCC3(720), MCC4(730)에 대해서 각각 사업자별로 단축다이얼을 설정할 수 있다. 1 ~ 255 번호는 단축다이얼 번 호로써, 구현에 따라서, 단축다이얼 번호 개수를 N개로 확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단말은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8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범용 IC 카드(808)로부터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을 수행한다.
메모리부(802)는 상기 제어부(8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824)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800)로 제공한다. 디스플 레이부(82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26)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고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8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812)과, 상기 코덱(812)에 접속된 스피커(816) 및 마이크(8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812)은 상기 제어부(8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8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8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800)로 제공한다.
RF 모듈(Radio Frequency unit)(820)은 안테나(8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8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8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2)는 상기 RF 모듈(820)와 상기 제어부(8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툴킷(804)는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제어신호 혹은 데이터를 상기 범용 IC 카드(UICC)(808)로 전달하거나, 상기 UICC(808)로부터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상 기 제어부(800)로 전달한다.
단축키 제어부(806)는 상기 키패드(824)로부터 단축다이얼이 입력되면 상기 범용 IC 카드(UICC)(808)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단축다이얼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UICC(808)는 단축다이얼 애플릿(809)과 상기 단축다이얼 제공부(810)를 포함한다. 상기 단축다이얼 애플릿(809)은 단축다이얼이 입력되면 단축다이얼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검색하여 상기 단축다이얼 제공부(810)로 출력한다. 상기 단축다이얼 제공부(810)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으로 상기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에 의해 결정된다(하기 도 7 참조).
상기 단축다이얼 애플릿(809)은 국가간 로밍시에 자동으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를 변경시키고, 그리고 사업자 변경시에도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를 변경시킨다. 또한, 상기 단축다이얼을 추가/삭제/편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축다이얼은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SIM 툴킷 메커니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로 이동시 단축다이얼을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변경시 단축다이얼을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IM 애플릿 메뉴 구성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다이얼 애플릿 구조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도.

Claims (24)

  1.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축다이얼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다이얼을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 SIM)카드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SIM 카드에서 상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으로 이동 단말(Mobile Equipment: ME)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국가간 로밍시에 자동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사업자 변경시에 자동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을 SS 문자열(Supplementary Service String)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을 추가/삭제/편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의 추가/삭제/편집은 상기 SIM 카드에서 구동되는 단축다이얼 애플릿(applet)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IM 카드와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SIM Application Toolkit(SAT)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IM 카드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축다이얼은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 단축다이얼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축다이얼을 입력하는 키패드와,
    상기 단축다이얼을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 SIM)카드로 전달하는 응용툴킷과,
    상기 SIM 카드에서 상기 단축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dialing number)를 검색하는 단축다이얼 애플릿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SIM에 의한 호 제어(Call Control by SIM) 메커니즘으로 이동 단말(Mobile Equipment: ME)로 전송하는 단축다이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SIM 카드로부터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애플릿은 단축다이얼 모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국가간 로밍시에 자동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 모드는 사업자 변경시에 자동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을 SS 문자열(Supplementary Service String)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을 추가/삭제/편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다이얼의 추가/삭제/편집은 상기 SIM 카드에서 구동되는 단축다이얼 애플릿(applet)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IC 카드와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SIM Application Toolkit(SAT)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SIM 카드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축다이얼은 국가고유번호(Mobile Country Code: MCC), 네트워크고유번호(Mobile Network Code: MNC)에 따라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114561A 2007-11-09 2007-11-09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5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61A KR101456625B1 (ko) 2007-11-09 2007-11-09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2/265,168 US8914069B2 (en) 2007-11-09 2008-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ing by mobile country code/mobile network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8168683A EP2059006A1 (en) 2007-11-09 2008-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ing by mobile country code/mobile network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A2008101724397A CN101431739A (zh) 2007-11-09 2008-11-10 在移动通信系统中快速拨号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61A KR101456625B1 (ko) 2007-11-09 2007-11-09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249A true KR20090048249A (ko) 2009-05-13
KR101456625B1 KR101456625B1 (ko) 2014-11-04

Family

ID=4032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561A KR101456625B1 (ko) 2007-11-09 2007-11-09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14069B2 (ko)
EP (1) EP2059006A1 (ko)
KR (1) KR101456625B1 (ko)
CN (1) CN1014317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19A (ko) * 2021-10-22 2023-05-03 코나아이 (주) 스미싱 전화 발신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2504B2 (en) * 2004-12-30 2011-03-22 Telepo Ab Alternative routing
KR101467365B1 (ko) * 2007-12-28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심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US8744454B2 (en) * 2009-09-18 2014-06-03 Cellco Partnership Enabling an assisted dialing on a mobile device
DE102009050244A1 (de) * 2009-10-21 2011-05-05 Vodafone Holding Gmbh Verfahren und Endgerät zum Ausführen einer Applikation in dem Endgerät
US8204499B2 (en) * 2009-12-11 2012-06-19 Cellco Partnership Determining mobile station operating country to enable system selection or other location based device features without network assistance
HUP1000491A2 (en) * 2010-09-09 2012-06-28 Zoltan Kuthi Device for creating individual signals, and method for sending commands based on individual identification stored in the device
US8249549B1 (en) * 2010-09-23 2012-08-21 Cellco Partnership Automating emergency calls globally
US8315613B1 (en) * 2010-09-23 2012-11-20 Cellco Partnership Assisting a user to store and place a call back to received international number
CN102802284A (zh) * 2011-05-23 2012-11-28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手机及其选择用户识别卡的方法
US8605889B2 (en) * 2011-11-18 2013-12-10 Edward D. REGA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characters and routing calls using expanded dual-tone multi-frequency (DTMF) encoding scheme
US8983447B2 (en) * 2012-08-14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ynamic HPLMN configuration
CN104253905B (zh) * 2014-09-24 2017-09-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呼叫建立方法及装置
CN105188040B (zh) * 2015-08-04 2021-06-0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通讯终端及其获取语音信箱号码的方法
EP3429240A1 (en) 2016-03-31 2019-01-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ll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1824B (en) * 1997-02-21 2001-12-12 Nokia Mobile Phones Ltd Phone number database for a phone
KR100269767B1 (ko) * 1998-02-11 2000-10-16 서평원 전화기의 단축다이얼링 방법
WO2000005858A1 (en) 1998-07-24 2000-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mart speed dialing for a terminal subscribing to a private network
JP3283848B2 (ja) * 1999-04-20 2002-05-20 エヌイーシーモバイリング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許可方法
JP2000316047A (ja) 1999-04-30 2000-11-14 Nec Corp 電話装置
US20040204117A1 (en) * 2002-03-28 2004-10-14 Comverse, Ltd. Roamers' friendly phone book - method and device
US20050107112A1 (en) * 2003-11-17 2005-05-19 Douglas Deeds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a call-screening list to screen calls placed to a communication station
WO2005117524A2 (en) * 2004-06-02 2005-12-15 Mobilemax Inc. System for optimizing cellular telephone call placement with minimal user overhead
US20080261657A1 (en) * 2004-12-21 2008-10-23 Mobilmax, Inc. Plug-In Device for Enabling Mobile Telephone to Execute Applications
KR100771448B1 (ko) * 2005-06-15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한 단축 다이얼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단축다이얼 방법
WO2007036760A1 (en) 2005-09-28 2007-04-05 Nokia Corporation Speed di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from a remote service
US7917136B2 (en) * 2005-12-14 2011-03-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formation of a call connec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a service center identified by a short dialing code
US20080107253A1 (en) * 2006-11-07 2008-05-08 Mediatek India Technology Pv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speed d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19A (ko) * 2021-10-22 2023-05-03 코나아이 (주) 스미싱 전화 발신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1739A (zh) 2009-05-13
EP2059006A1 (en) 2009-05-13
US20090124291A1 (en) 2009-05-14
KR101456625B1 (ko) 2014-11-04
US8914069B2 (en)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25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국가별/사업자별로 구분되는단축다이얼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65341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US795772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KR101604766B1 (ko) 듀얼 sim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604770B1 (ko) 듀얼 sim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JP2002345046A (ja) 携帯電話の複数のsimカードを切り換える方法とその装置
CN110730484B (zh) 一种双卡4g多模移动终端及其实现方法
KR20100074596A (ko)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툴킷 메뉴 제공 방법
KR2009007207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심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CN112673659A (zh) 用于在esim中的多个简档之间自动切换的方法和电子设备
KR1013923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83141B1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438352B (zh) 一种拨号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2291043A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KR20100093701A (ko)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통화 중 대기음 제공 방법
KR100594446B1 (ko)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71448B1 (ko) 개선한 단축 다이얼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단축다이얼 방법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KR100650688B1 (ko) 자동 패킷다운로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241776B1 (ko) 휴대폰에서 자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CN101674555A (zh) 一种手机提供快捷国际漫游回拨的系统及方法
KR20060007283A (ko)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20050049909A (ko) 로밍 서비스 방법
CA2498584A1 (en) Phone number replace cod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