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30A - Sorting machine with roller - Google Patents

Sorting machine with 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30A
KR20090047430A KR1020090033874A KR20090033874A KR20090047430A KR 20090047430 A KR20090047430 A KR 20090047430A KR 1020090033874 A KR1020090033874 A KR 1020090033874A KR 20090033874 A KR20090033874 A KR 20090033874A KR 20090047430 A KR20090047430 A KR 20090047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roller
pair
rolle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46877B1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9003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87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8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롤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의 롤러를 사용하여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며, 고정되어있는 구동부로부터 간격조절 되기위하여 이동하고있는 상기 회전롤러간에 구동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이 원활히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ng roller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ing roller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the sorted articles by size using rollers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ng roller sorting device for smooth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between the rotating rollers which are moved to be adjusted from the fixed driv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어류, 패류, 농산물 등의 선별물품을 빠르고 신속하게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으며, 롤러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선별물품의 크기를 정확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products such as fish, shellfish and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sorted by size quickly and quickly,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rollers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size of the sorting articles can be accurately separated.

선별장치(1000)는 프레임(10), 선별부(20), 구동부(30), 투입부(40), 간격조절부(50), 물분사부(60), 경사조절부(70), 배출부(80) The sort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frame 10, a sorting unit 20, a driving unit 30, an input unit 40, a gap adjusting unit 50, a water spraying unit 60,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70, and an outlet unit. (80)

Description

롤러 선별장치{SORTING MACHINE WITH ROLLER}Roller sorting equipment {SORTING MACHINE WITH ROLLER}

수산물의 선별, 농산물의 선별 분야Selection of Seafood, Sel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대한민국 특허 제 10-064207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42077

본 발명은 회전롤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의 롤러를 사용하여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ng roller sor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ing roller sorting device for sorting the sorted article by size using a roller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이러한 선별장치의 일 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42077호 가 있는데, 이 선행기술에서는 구동모터가 회전 하고있는 선별롤러의 일측단에 커플링(coupling)을 매개체로서 일체형으로 고정결합된 채 직접 설치되어 선별롤러를 직접 회전 시키거나, 상기 선별롤러중 어느 하나의 선별롤러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선별롤러들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있다.An example of such a sorting device is Korean Patent No. 10-0642077, which is filed and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this prior art, a coupling medium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sorting roller on which a driving motor is rotating. As a direct integrally fixedly coupled as a direct rotation of the sorting roller, or install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sorting roller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integrally rotating a plurality of the sorting roller.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모든 로라들 일측단 에 모터가 직접 붙어 있어야만 하는데, 일정한 지지점이 없이 허공에 떠있게 마련인 모터에 있어서,In this prior art, a motor must be directly attached to one end of all the rollers, and in a motor that is floated in the air without a certain support point,

적정한 용량의 모터를 취부하려면 모터의 무게가 과다하여 하부로 처지려고 하므로서 상기 선별롤러 와의 직진성 유지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산업상 이용할 수 없는 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In order to install a motor of the proper capacity, the weight of the motor is excessive, so that it may sag to the lower side, and serious problems may occur in maintaining the straightness with the sorting roller.

초소형 모터를 취부 한다면 원하는 토르크(torque)를 얻지 못할뿐만 아니라 초소형 모터는 제품의 구성이 단순하여 물기, 습기에 취약하여져서 모터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 될 것이다.If a small motor is installed, not only the desired torque can be obtained, but also the small motor will be vulnerable to moisture and moisture due to its simple configuration, which will cause problems in the durability of the motor.

또한,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선별롤러들을 일체로 회전시키 려면, 다수개의 풀리와 다수개의 벨트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다수층을 형성 하여야하며, 동력을 전달받은 풀리가 또다른 풀리에게 또다시 동력을 전달해야 하는 구조인 관계로 풀리의 갯수가 너무 많아지게되고, 풀리를 지지하는 샤프트의 길이가 과다해지는등 기계장치가 복잡하고, 작은 풀리와 작은 벨트를 사용하게 되면 동력전달장치 전체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져 기계를 장시간 운전하기에는 불충분한 내구성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rotate the plurality of the sorting rollers integrally, a plurality of layers should be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plurality of pulleys and the plurality of belts from overlapping each other, and the pulley, which is powered, is transferred to another pulley. Because of the structure that needs to transfer power again, the number of pulleys becomes too large, the length of the shaft supporting the pulley becomes too complicated, and when the small pulley and the small belt are used, the entire power transmission system Due to its structural weakness, there was a problem of insufficient durability to operate the machin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 선별롤러들과 이격된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구동부장착판과;A drive unit mounting plate fixed to th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rollers;

상기 구동부장착판에 고정배치 되어있는 구동풀리지지용 베어링하우징과;A bearing housing for driving pulleys fixedly disposed on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상기 선별롤러들을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구동풀리와;A driving pulley for rotating the sorting rollers;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구동풀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게 하기위한 베어링하우징 샤프트와;A bearing housing shaft for integrally coupling the bearing housing and the driving pulley;

상기 베어링하우징 샤프트와 상기 선별롤러를 연계하여 결합시키되,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베어링하우징 샤프트와 간격을 조절 하기위해 이동 해야하는 상기 선별롤러와의 축간 거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플라인 축(Spline Shaft) 이 구비된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와;Coupling the bearing housing shaft and the sorting roller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o cope with a change in the interaxial distance from the sorting roller to be moved to adjust a gap with the bearing housing shaft being fixedly arranged; A universal joint provided with a spline shaft;

상기 구동부장착판의 일 측에 고정배치 되어있는 구동모터와;A driving motor fixedly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추므로서,With a structure including a; drive bel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to the drive pulley,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풀리와, 베어링하우징들은 상기 구동부장착판에 고정된채 운전되지만, 상기 선별부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는 평행이동 하며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driving motor, the driving pulley and the bearing housings are driven while being fixed to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but the pair of sorting rollers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moves in parallel and the gap between the sorting rollers is easily adjus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벨트를 한 개만 사용하되, 양면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므로서,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one drive belt, by using a double-sided timing belt,

한 대의 구동모터로 복수 개의 구동풀리 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하고,It is possible to rotate a plurality of drive pulleys with one drive motor,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는 인접한 원주면이 지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air of sorting roller is to provide a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ed in a direction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는 선별롤러 들과는 별개로 독립되어 고정배치된 구동부를 통하여 강력하고, 튼튼하며, 안정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해지며, 또한 한 개의 구동모터와 한 개의 구동벨트로서 다수개의 선별롤러 들을 한번에 운전할 수 있게되어, 운전 및, 보수유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며,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ive a plurality of sorting rollers at the same time as one driving motor and one driving belt through a powerful, robust and stable power transmission through a fixedly arranged driving unit independently from the rotating sorting rollers.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maintenance is effective,

한 쌍의 선별로라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선별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기계장치가 단순화 되는 효과가 있다. A pair of sorting rollers can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sorting unit can be increased while the mechanical device is simplifi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롤러 선별장치(이하, '선별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10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r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별장치(1000)는 프레임(10), 선별부(20), 구동부(30), 투입부(40), 간격조절부(50), 물분사부(60), 경사조절부(70), 배출부(80) 등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ort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frame 10, a sorting unit 20, a driving unit 30, an input unit 40, a gap adjusting unit 50, a water spraying unit 60, and an inclination. The adjusting unit 70, the discharge unit 80 and the like.

이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Briefly describing this configuration,

선별부(20)는 적어도 한 쌍의 선별롤러(21)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선별부(20)는 상기 프레임(10)내에 놓여져있다.The sorting section 2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pair of sorting rollers 21, which sorting section 20 is placed in the frame 10.

상기 선별롤러(21)들은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물 분사부(60)에 의해 원주면에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21)들 상단에 투입부(40)를 통하여 투입된 선별물품은 자연스럽게 아래쪽(배출구) 배출부(80) 방향으로 진행하게되며, 상기 선별롤러(21)의 기울기는 경사조절부(70)에 의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The sorting rollers 21 are rotated while being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t the same time, since a water film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y the water spraying unit 60, the sorting rollers 21 are placed on top of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The sorted article introduced through the portion 40 naturally proceeds toward the downward (outlet) outlet 80, and the inclination of the sorting roller 21 can be freely adjusted by the inclination adjusting unit 70.

이때, 상기 선별부(20)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층에 위치한 선별롤러(21)의 하단 끝이 하층에 위치한 선별롤러(21)의 하단 끝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먼곳에 위치하게되며, 상층에 위치한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21)들 사이의 간격이 하층에 위치한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21)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배치되며, 이러한 상기 다층의 선별부(20)는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orting unit 2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the lower end of the sorting roller 21 located in the upper layer is located fa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lower end of the sorting roller 21 located in the lower layer,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located in the upper layer is greater tha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located in the lower layer, the multi-layer sorting unit 20 is horizontal It can be installed in plural.

또한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21)들 사이의 간격은 간격조절부(50)에 의해서 벌려진 선별롤러(21)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 선별롤러(21)들은 구동부(30)에 의해서 동력전달이 되어 회전 구동한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may be adjusted by the gap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is opened by the gap adjusting unit 50, these sorting rollers 21 are driven by the drive unit 30 Drives rotation by power transmission.

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자면,To explain this configuration in detail,

상기 프레임(10)은 선별장치(10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선별부와 구동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11), 케이스(11)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지지대(12), 선별장치(1000)의 용이한 이동을 위한 바퀴(13)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1)와 지지대(12)는 바닥힌지(14)에 의하여 연결되어 경사조절을 위한 회동축으로 사용된다.The frame 10 constitutes an external shape of the sorting apparatus 1000, and includes a case 11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orting unit and a driving unit, and a support 12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ase 11. ), Made of a wheel 13 for easy movement of the sorting device 1000, the case 11 and the support 12 is connected by the bottom hinge 14 is used as a rotating shaft for tilt adjustment.

케이스(11)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서강으로 제작되는데, 외부에서 내부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케이스(11)의 측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11 is generally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sp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11 to facilitate the internal cleaning at the same time to easily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side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선별부(20)와 구동부(30), 간격조절부(50)등이 배치되므로 충격이나 진동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물로 제작되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선(도면 미도시)이나 물 공급관(도면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Since the sorting unit 20,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pace adjusting unit 50 are disposed inside the case 11, the power supply line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is made of a rigid structure to withstand shock or vibration. Not shown) or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may be installed.

선별부(20)는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한 쌍의 선별롤러(21)로 이루어진다. 선별롤러(21)는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구동부(30)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sorting unit 20 is composed of a pair of sorting rollers 21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tate parallel to each other. The sorting roller 21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driving unit 30.

선별롤러(21)는 한 쌍의 선별롤러(21) 사이에 끼인 선별물품을 지면에 대하 여 반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 즉 한 쌍의 선별롤러(21)에서 서로 근접하는 원주면이 위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만약 근접하는 원주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지면을 향하여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크기가 큰 선별물품도 선별롤러(21) 사이로 끼어들게 되어 선별물품이 훼손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선별물품이 선별롤러(21)의 위쪽으로 움직이려는 힘을 받아 선별롤러(21)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뜬 상태가 되므로, 선별물품이 선별롤러(21) 사이에 끼어서 손상되는 일이 없어지며, 선별롤러(21) 위에서 약간 뜬 상태에서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므로 신속한 이동과 선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선별롤러(21)를 이용하여 선별을 하는 경우 선별물품을 2종류(대/소)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The sorting roller 21 pushes the sorted articl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round, that is,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face upwards. Direction of rotation. If the adjacent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liding direction toward the ground), the large sorted article is also interrupted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and the sorted article is damaged. However, when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orting article is slightly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21 by the force to move upward of the sorting roller 21, and thus the sorting article is caught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and damaged. It is eliminated, and the slide down along the inclined state in the state slightly floating on the sorting roller 21 can be made to move quickly and sorting at the same time. Therefore, when sorting by using a pair of sorting roller 21, the sorted article can be divided into two (large / small).

이와 같이 한 쌍의 선별롤러(21)가 가장 기본적인 선별단위를 구성하지만, 선별물품을 3종(대/중/소)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선별롤러(21)를 2층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2층으로 선별롤러(21)를 구성하는 경우, 위층에 있는 선별롤러(21) 사이의 간격이 아래층에 있는 선별롤러(21) 사이의 간격보다 더 커야 한다. 그러면 가장 큰 선별물품이 위층 선별롤러(21)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끝에서 떨어지고, 두번째로 큰 선별물품은 아래층 선별롤러(21)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가장 작은 선별물품은 아래층 선별롤러(21) 사이로 떨어져 밑 부분에서 모이게 된다. 이때 첫번째와 두번째 선별물품을 구별하여 낙하 시키기 위하여 위층 선별롤러(21)의 아랫방향 끝부분이 아래층 선별롤러(21)의 아랫방향 끝부분보다 투입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더 먼 곳에 위치하게 선별롤러(21)를 배 치한다. 다시 말해서 가장 큰 선별물품이 가장 먼 곳에 떨어지게 하고, 가장 작은 선별물품이 가장 가까운 곳에 떨어지게 하여 크기별로 선별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constitute the most basic sorting unit, in order to classify the sorted products into three types (large / medium / small),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should be composed of two layers. . When configuring the sorting roller 21 in two layers, the interval between the sorting roller 21 in the upper layer should be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sorting roller 21 in the lower layer. Then, the largest sorting article slides along the surface of the upper sorting roller 21 and falls off at the end, and the second largest sorting article slides along the surface of the lower sorting roller 21. And the smallest sorted article is collected between the bottom sorting roller 21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upper sorting roller 21 is located farther horizontally from the feeder than the lower end of the lower sorting roller 21 in order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orting articles. 21). In other words, the largest sorted items fall farthest, and the smallest sorted goods fall closest so that sorting by size is possible.

도 2는 선별장치(1000)에서 선별물품을 선별하는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선별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대표적인 선별물품인 어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sorting a sorted article in the sorting apparatus 1000,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orting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taking the fish 100 as a representative sorted article as an example.

도 2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입부(40)를 통해 투입된 어류(100)는 선별부의 선별롤러(21) 사이로 떨어진다. 어류(100)가 떨어지는 곳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선별롤러(21)의 상단 끝부분이므로, 어류(100)는 선별롤러(21)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fish 100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40 falls between the sorting roller 21 of the selection unit. Where the fish 100 falls is the upper end of the sorting roller 2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sh 100 slides down along the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21.

물분사부는 선별롤러(21)의 표면에 물을 뿌려줌으로써 어류(100)가 어체 손상이 없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The water spray unit sprays water on the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21 so that the fish 100 can slide down smoothly without damaging the fish.

한 쌍의 선별롤러(2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만약 선별롤러(21)가 회전하지 않고 있다면 어류(100)가 잘 이동하지 못하고 한 곳에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선별롤러(21)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어류(100)를 조금씩 밀어 올리면 어류(100)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 pair of sorting roller 2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f the sorting roller 21 is not rotating, the fish 100 may not be able to move well can be stagnant. Therefore, when the sorting roller 21 rotates at high speed and pushes up the fish 100 little by little, the fish 100 can move more smoothly.

선별롤러(21)는 어류(100)를 위쪽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즉, 한 쌍의 선별롤러(21)의 인접한 원주면이 지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선별롤러(21) 사이에 끼인 어류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이 아닌 지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다. 만약 어류(1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선별롤러(21)를 회전시킨다면 어류(100)가 선별롤러(21) 사이에 끼어들면서 손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선별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선별롤러(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어류(100)를 약간씩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어류(100)가 선별롤러(21)의 표면으로부터 미세하게 떠있는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The sorting roller 21 should rotate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fish 100 upward. That is, the adjacent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should be in a direction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fish caught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should be able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und, no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ground. If the fish 100 rotates the sorting roller 21 so that the fish 100 moves downward, the fish 100 may be damaged while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thereby preventing its function as a sorter. Therefore, as the sorting roller 2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sh 100 is slightly pushed upwards, and the fish 100 slides downward while being finely flo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21. Is to com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에 위치한 선별롤러(21a)와 중간층에 위치한 선별롤러(21b)는 이격된 간격이 다르다. 즉 상층 선별롤러(21a) 사이의 간격이 중간층 선별롤러(21b)의 간격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층 선별롤러(21a)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진 어류(100)는 상층 선별롤러(21a) 사이로 떨어지지 못하고 미끄러져 내려와서 하단 끝부분에서 떨어진다. 그리고 상층 선별롤러(21a)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진 어류(100)는 상층 선별롤러(21a) 사이로 떨어져서 중간층 선별롤러(21b)의 표면으로 떨어진다. 떨어진 어류(100)의 두께가 중간층 선별롤러(21b)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경우에는 중간층 선별롤러(21b) 사이로 떨어지지 못하고 미끄러져 하단 끝부분에서 떨어지며, 두께가 작을 경우에는 중간층 선별롤러(21b) 사이로 떨어져서 하층 선별롤러(21c)에 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sorting roller 21a located in the upper layer and the sorting roller 21b located in the middle laye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upper layer sorting roller 21a is larg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the middle layer sorting roller 21b. Therefore, the fish 100 having a thicknes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orting rollers 21a does not fall between the upper sorting rollers 21a and slides down to fall from the lower end. And the fish 100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upper sorting roller 21a is dropped between the upper sorting roller 21a and falls to the surface of the middle sorting roller 21b. If the thickness of the fish 10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middle layer sorting roller 21b, the fish fall off between the middle layer sorting roller 21b and slip off the lower end, and when the thickness is small, the middle layer sorting roller 21b. It falls in between and falls to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상층 선별롤러(21a)와 중간층 선별롤러(21b) 사이를 통과한 작은 어류(100)는 하층 선별롤러(21c)에 도달한 다음 하층 선별롤러(21c)들이 형성 하고있는 로라간의 간격보다 더욱 작은 어류(100)들은 하층 선별롤러(21c)의 하단으로 낙하하여 구별되며, 하층 선별롤러(21c)들이 형성 하고있는 로라간의 간격보다 더욱 큰 어류(100)들은 하층 선별롤러(21c)의 사이로 떨어지지 못하고 미끄러져 내려와서 하단 끝부분에서 떨어진다. The small fish 100 passing between the upper sorting roller 21a and the middle sorting roller 21b reaches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and then has a smaller fish than the gap between the rollers formed by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100) are distinguished by falling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fish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ollers formed by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does not fall between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slipping. It comes down and falls off the bottom end.

따라서 세개 층으로 이루어진 선별용 선별롤러(21)를 이용하여 어류(100)를 네 단계(대/중1/중2/소)로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ish 100 can be sorted in four stages (large / medium 1 / medium 2 / small) using the three-layered sorting roller 21.

어류(100)를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하기 위하여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어류(100)를 낙하 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선별롤러(21)의 하단 끝부분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한다. 즉, 상층 선별롤러(21a)의 하단 끝부분이 중간층 선별롤러(21b)의 하단 끝부분보다 더 먼 곳에 위치하게 하고, 중간층 선별롤러(21b)의 하단 끝부분이 하층 선별롤러(21c)의 하단 끝부분보다 더 먼 곳에 위치하게한다. In order to easily sort the fish 100 by size, it is necessary to drop the fish 100 at different positions.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s of the lower ends of the sorting roller 2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sorting roller 21a is located fart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orting roller 21b,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orting roller 21b is the lower end of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Place it farther than the end.

여기서 더 먼 곳이라는 의미는 어류(100)가 투입되는 투입부(40)의 수직 하단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선별롤러(21)의 끝부분이 위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큰 두께를 가진 어류(100)가 투입부(4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더 먼 곳까지 진행하여 떨어지고, 좀 더 작은 두께를 가진 어류(100)는 가까운 곳에 떨어지게 되므로 크기별로 정확한 선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farther here means that the end of the sorting roller 21 should be located fa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vertical lower end of the input portion 40 to which the fish 100 is introduced. By doing so, the fish 100 having a larger thickness falls fu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put portion 40 and falls away, and the fish 100 having a smaller thickness falls close to each other, thereby making accurate selection by size. will be.

만약 선별롤러(21)를 네 개층 또는 다섯 개층으로 설치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선별롤러(21)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지게 한다면 훨씬 더 많은 종류의 크기로 어류(100)를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제일 위층에 있는 선별롤러(21)의 하단 끝부분이 투입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sorting roller 21 is installed in four or five layers and the gap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e fish 100 may be sorted to a much larger size. In this case as well,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sorting roller 21 on the uppermost floor is located farthe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eeding part.

선별롤러(21)의 위에는 가이드판(22)이 설치된다.The guide plate 22 is provided on the sorting roller 21.

본 발명에서는 선별롤러(21)의 위에 가이드판(22)이 설치되는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선별물품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22)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guide plate 22 is installed on the sorting roller 21, but the guide plate 22 may not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type and nature of the sorting article.

가이드판(22)은 어류(100)가 한 쌍의 선별롤러(21) 사이로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어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plate 22 serves to guide the fish so that the fish 100 can accurately enter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한꺼번에 많은 양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선별부(20)가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선별롤러(21)를 수평방향으로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sort a large amount at once, a plurality of sorting units 20 should be installed in parallel. That is,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the pair of sorting roller 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한편, 구동부(30)는 선별롤러(21)를 회전시켜 어류(100)가 선별롤러(21) 표면을 따라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30 rotates the sorting roller 21 so that the fish 100 can smoothly slide along the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21.

상기 구동부(30)는The drive unit 30

상기 선별롤러(21)들과 이격된채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어있는 구동부장착판(31)과;A driving unit mounting plate 31 fixed to the frame 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rollers 21;

상기 구동부장착판(31)에 고정배치 되어있는 구동풀리지지용 베어링하우징(32)과;A drive housing 32 for driving pulleys fixedly disposed on the drive unit mounting plate 31;

상기 선별롤러(21)들을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구동풀리(33)와;A driving pulley (33) for rotating the sorting rollers (21);

상기 베어링하우징(32)과 구동풀리(33)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게 하기위한 베어링하우징 샤프트(34)와;A bearing housing shaft 34 for integrally coupling the bearing housing 32 and the driving pulley 33;

상기 베어링하우징 샤프트(34)와 상기 선별롤러(21)를 연계하여 결합시키되,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베어링하우징 샤프트(34)와 간격을 조절 하기위해 이동 해야하는 상기 선별롤러(21)와의 축간 거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플라인 축(Spline Shaft) 이 구비된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35) 와;The bearing housing shaft 34 and the sorting roller 21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haft and the sorting roller 21 to be moved to adjust the gap with the bearing housing shaft 34 is fixedly arranged. To correspond; A universal joint 35 having a spline shaft;

상기 구동부장착판(31)의 일 측에 고정배치 되어있는 구동모터(36)와;A driving motor 36 fixedly arrang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31;

상기 구동모터(36)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구동풀리(33)에 전달하는 구동벨트(37);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추므로서, 상기 구동모터(36)와, 구동풀리(33)와, 베어링하우징(32)들은 상기 구동부장착(31)판에 고정된채 운전되지만, 상기 선별부(20)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21)는 평행이동 하며 선별롤러(21) 사이의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바람직한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With a structure including; the drive motor 36, the drive pulley 33 and the bearing,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drive belt 37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36 to the drive pulley 33 The housings 32 are oper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31, but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20 move in parallel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is easy. It is to have a desirable structure to be adjusted.

또한, 도 6 및, 도 7,8,9에서 보여지듯,6 and 7, 7, 8 and 9,

상기 구동모터(36)와, 모든 구동풀리(33)들과, 아이들풀리(38)와, 모든 베어링하우징(32)들은 상기 구동부장착(31)판에 일체형으로서 고정 결합 되어있기 때문에 한 대의 구동모터(36)와, 한개의 구동벨트(37)에 의해서 모든 구동풀리(33)를 동시에 운전 시킬수 있으며, 상기 구동풀리(33)들중 상층 선별롤러(21a)를 회전시킬 상층 구동풀리(33a) 와, 상기 구동풀리(33)들중 하층 선별롤러(21c)를 회전시킬 하층 구동풀리(33c)는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구동풀리(33)들중 중간층 선별롤러(21b)를 회전시킬 중간층 구동풀리(33b)는 상기 구동모터(36)와 상기 아이들풀리(38)에 대하여 더욱 먼 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상기 한개의 구동벨트(37)로 모든 구동풀리(33)들과 아이들풀리(38)를 동시에 회전 시키되, 상기 한개의 구 동벨트(37)를 양면 타이밍벨트로 사용케 한다면 상기 선별부(20)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21)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한 개의 구동벨트(37)를 양면 타이밍벨트로 사용하므로서, The drive motor 36, all the drive pulleys 33, the idle pulleys 38, and all the bearing housings 32 are fixedly coupled to the drive unit mounting plate 31 as a single drive motor. 36 and one driving belt 37 can drive all the driving pulleys 33 simultaneously, and among the driving pulleys 33, the upper driving pulley 33a to rotate the upper sorting roller 21a and The lower drive pulley 33c to rotate the lower sorting roller 21c of the drive pulleys 33 i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middle sorting roller 21b of the drive pulleys 33 may be rotated. The intermediate layer drive pulley 33b is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drive motor 36 and the idle pulley 38 so that all the drive pulleys 33 and idle pulleys 38 are driven by the one drive belt 37. Rotate at the same time, but using the one drive belt 37 as a double-sided timing belt If sorting roller 21 of the pair are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20 which will be able to rotate at the same time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by using the one driving belt 37 as a double-sided timing belt,

한 대의 구동모터(36)로 복수 개의 구동풀리(33) 들을 회전시키되,Rotate a plurality of drive pulleys 33 with one drive motor 36,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21)는 인접한 원주면이 지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며,The pair of sorting roller 21 is to be a preferred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acent circumferential surface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또한 상기 선별부(20)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21)들은 간격조절을 위해 운전중에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20 will be a preferred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oved during operation for adjusting the interval.

도 7은 다층의 선별부(20)가 하나의 구동모터(36)로 동시 회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7 is a view showing that the multiple selection unit 20 is rotated simultaneously with one drive motor 36,

도 8은 상기 다층의 선별부(20)가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다층의 선별부(20)마다 복수 개의 구동모터(36)로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when a plurality of multi-layer sorting units 20 ar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the multi-layer sorting units 20 is driven by a plurality of drive motors 36.

도 9는 상기 다층의 선별부(20)가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다층의 선별부(20) 모두를 한 대의 구동모터(36)와 한 개의 구동벨트(37)만으로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9 illustrates that when the plurality of multi-layer sorting units 20 ar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l of the multi-layer sorting units 20 are driven by only one driving motor 36 and one driving belt 37. It is a figure.

본 발명에서는 구동벨트(37)의 구성을 타이밍벨트 혹은 양면 타이밍벨트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belt 37 is described as a timing belt or a double-sided timing bel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구동벨트는 The drive belt is

타이밍벨트, 평벨트, 브이 벨트(V-Belt), 라운드 벨트(Round-Belt) 또는 체 인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동력전달방법이라면 어떤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할것이다.Timing belt, flat belt, V belt (V-Belt), round belt (Round-Belt) or any one of the chain can be used, in addition to any power transmission method that satisfi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omething to do.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구동모터(36)는, 전동모터, 혹은 유압모터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36 in this invention may use either an electric motor or a hydraulic moto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21)를 회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구동부장착판(31)과 유니버셜조인트(35)등을 사용하는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선별롤러(21)의 일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선별롤러를 직접 회전시키는 구동 유압모터로서 구동부가 이루어진다 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31 and the universal joint 35 and the like are used in the method of rotating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but one side end of the sorting rollers 21 is used. Even if the driving unit is formed as a driving hydraulic motor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irect rotation of the sorting roller will be able to satisf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및, 도 5는 선별롤러(21)와 간격조절부(50)와, 구동부(30)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4을 참조하여 간격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한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sorting roller 21, the gap adjusting unit 50, and the driving unit 30, and the operation of the gap adjust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선별부(20)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21)는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데, 선별롤러(21)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선별되는 어류(100)의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선별롤러(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크기의 어류(100)에 대한 선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20 rotate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ize of the fish 100 sort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is determined. Therefor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orting roller 21 can be adjusted is to be selected for the fish 100 of various sizes.

간격조절부(50)는 한 쌍의 선별롤러(21)의 양단에 고정되는 두 쌍의 베어링 하우징(51)을 포함한다. 베어링 하우징(51)에는 선별롤러(2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 또는 부시(bush)가 구비된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51)에는 선별롤러(21)의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공(52)이 형성되는데, 관통공(52)의 내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The gap adjusting unit 50 includes two pairs of bearing housings 51 fix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The bearing housing 51 is provided with a bearing or a bush so that the sorting roller 21 can rotate freely. In addition, a through hole 52 is formed in the bearing housing 5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orting roller 21, and an internal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52.

샤프트(53)는 관통공(5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데, 샤프트(53) 표면의 특정 위치에는 관통공(52)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54a)(54b)가 형성된다. The shaft 53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52. Male threads 54a and 54b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52 are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shaft 53.

선별부(20)에는 한 쌍의 선별롤러(21)가 기본적으로 포함되므로, 하나의 선별롤러(21) 양단에 두 개의 베어링 하우징(51)이 설치된다면 한 쌍의 선별롤러(21)에는 총 네 개의 베어링 하우징(51)이 설치될 것이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선별롤러(21-1)의 상단측(어류가 투입되는 곳)에 제1베어링 하우징(51a), 하단측(어류가 배출되는 곳)에 제2베어링 하우징(51b), 제2선별롤러(21-2)의 상단측에 제3베어링 하우징(51c), 하단측에 제4베어링 하우징(51d)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베어링 하우징(51a)과 제3베어링 하우징(51c)은 선별부의 입구측(경사면의 위쪽)에, 제2베어링 하우징(51b)과 제4베어링 하우징(51d)은 선별부의 출구측(경사면의 아래쪽)에 위치한다.Since the sorting unit 20 basically includes a pair of sorting rollers 21, if two bearing housings 51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one sorting roller 21, a pair of sorting rollers 21 is provided in total. Two bearing housings 51 will be installed. In detail, the first bearing housing 51a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side (where the fish is introduced) of the first sorting roller 21-1, and the second bearing housing 51b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where the fish is discharged). The third bearing housing 51c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second sorting roller 21-2, and the fourth bearing housing 51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side. Therefore, the first bearing housing 51a and the third bearing housing 51c are on the inlet sid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orting part, and the second bearing housing 51b and the fourth bearing housing 51d are on the outlet side (sloped surface) of the sorting par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네 개의 베어링 하우징(51)의 관통공(52)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베어링 하우징(51a) 및 제2베어링 하우징(51b)에 형성된 암나사의 회전방향과, 제3베어링 하우징(51c) 및 제4베어링 하우징(51d)에 형성된 암나사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관통공(52)을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53)가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하나의 샤프트(53)에 설치된 두 개의 베어링 하우징(5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52 of the four bearing housings 51,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emale thread formed in the first bearing housing 51a and the second bearing housing 51b, and the third bearing housing 51c.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female threads formed in the fourth bearing housing 51d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shaft 53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52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two bearing housings 51 installed in one shaft 53 move in opposite directions.

한 쌍의 샤프트(53) 중에서 제1샤프트(53-1)는 선별부의 입구측에 위치한 베 어링 하우징(51a, 51c)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2샤프트(53-2)는 선별부의 출구측에 위치한 베어링 하우징(51b, 51d)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Of the pair of shafts 53, the first shaft 53-1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bearing housings 51a and 51c loc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sorting section, and the second shaft 53-2 is the outlet side of the sorting section.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bearing housing (51b, 51d) located in.

한편 샤프트(53)의 표면에 형성된 수나사(54a)는 베어링 하우징(51)의 관통공(52)에 형성된 암나사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샤프트(53)가 회전하게 되면, 베어링 하우징(51)이 샤프트(5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le screw 54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aft 53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emale screw formed in the through hole 52 of the bearing housing 51. Therefore, when the shaft 53 is rotated, the bearing housing 51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3.

한 쌍의 샤프트(5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회전손잡이(55)가 설치되어 샤프트(5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하나의 샤프트(53)와 나머지 샤프트(53)는 동기화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샤프트(53)를 회전시킬 경우 나머지 샤프트(53)도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One end of one of the pair of shafts 53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55 to rotate the shaft 53. And one shaft 53 and the other shaft 53 is connected by the synchronization device, when rotating one shaft 53, the other shaft 53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여기에서, 제1베어링 하우징(51a) 및 제2베어링 하우징(51b)의 관통구 내부에 암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이에 대응하는 샤프트(54x)에도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지 않게되면 관통공(52)을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53)가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하나의 샤프트(53)에 설치된 두 개의 베어링 하우징(51)은 서로 간격조절은 가능하되, 3베어링 하우징(51c) 및 제4베어링 하우징(51d)만이 움직이는 대등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hrough holes 52 are not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s of the first bearing housing 51 a and the second bearing housing 51 b, and no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haft 54x. When the shaft 53 installed through the shaft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two bearing housings 51 installed on one shaft 53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the three-bearing housing 51c and the fourth bearing Only the housing 51d would be able to achieve comparable results.

간격조절부의 동기화장치로는 풀리(56)와 동기화벨(57)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웜기어(도면 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ynchronization device of the gap adjusting unit may use a pulley 56 and a synchronization bell 57, or a worm gear (not shown) may be used.

풀리(5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샤프트(53)의 일단에 샤프트 풀리(56)를 하나씩 설치하고, 동기화벨트(57)를 이용하여 두 개의 샤프트 풀리(56)를 서로 연결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pulley 56, one shaft pulley 56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wo shafts 53, and the two shaft pulleys 5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synchronization belt 57.

웜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샤프트(53)의 일단에 웜휠을 하나씩 설치하고, 두 개의 웜휠을 연결하는 웜을 설치하여 동기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worm gear, one worm wheel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wo shafts 53 and a worm connecting two worm wheels may be installed to generate synchronous rotation.

물분사부(60)는 선별롤러(21)에 물을 분사하여 어류(100)가 선별롤러(21) 표면을 잘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The water spray unit 60 sprays water onto the sorting roller 21 so that the fish 100 slides down the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21.

한편, 경사조절부(70)는 선별부에 포함된 선별롤러(2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선별롤러(21)의 기울기에 따라 어류(100)의 이동속도나 선별 정확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한 경사각도를 찾을 필요가 있다. 실제로 선별장치(1000)를 작동시킨 결과, 어류(고등어, 멸치, 새우 등)의 선별에서는 15° 내지 20° 정도의 각도가 가장 적당하지만, 패각류(조개, 전복, 굴 등)와 같이 외부가 딱딱한 경우에는 10° 내지 15°정도의 각도가 적당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70 is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orting roller 21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since the moving speed or sorting accuracy of the fish 100 may vary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orting roller 21,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ost desirable angle of inclination. As a result of operating the sorting device 1000, the angle of 15 ° to 20 ° is most suitable for sorting fish (mackerel, anchovies, shrimp, etc.) If it is hard, an angle of about 10 ° to 15 ° may be appropriate.

이러한 구성은 자동차나 기계장치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잭(Jack)과 유사한 것으로서, 핸들을 돌려서 리드스크류 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힌지축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상부암과 하부암을 절첩시키게 되고, 따라서 받침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선별부의 경사각도를 변경시키게 되는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configuration is similar to a jack used to lift an automobile or a mechanical device, and when the lead screw is rotated by rotating the handle, the pair of hinge shafts fold up or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arms are folded. Therefore, since the pedestal moves up and down, the general structure of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orting unit is omitted.

프레임(10)의 일측 하단부에는 바닥힌지(1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경사조 절부(70)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도록 조절되면 바닥힌지(14)를 중심으로 프레임(10)이 회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선별부(20)의 기울기가 변동되는 것이다.A bottom hinge 14 is installed at one lower end of the frame 10 so that the frame 10 is rotated around the bottom hinge 14 when the inclined nail cutting portion 70 is adjusted to go up or down. The inclination of the sorting unit 20 is changed.

한편, 선별롤러(21)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선별롤러(21)의 수평 이동거리를 표시해주는 위치표시기(도면 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위치표시기는 샤프트(53)와 베어링 하우징(51)에 형성된 나사의 피치와 간격조절부(50) 회전손잡이(55)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선별롤러(21)가 실제 이동한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curat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orting rollers 21 may be added a position indicator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horizontal moving distance of the sorting rollers 21. The position indicator accurately calculates the distance actually moved by the sorting roller 21 in consideration of the pitch of the screws formed on the shaft 53 and the bearing housing 51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knob 55 of the gap adjusting part 50. Displa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권리가 미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rights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easily modified.

본 발명에서는 선별부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두 개의 선별롤러(2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21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has been described a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but when the two sorting rollers 21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similar effects can be obtained.

종래의 선별장치에서는 로라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선별물품이 한 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생겼으며, 이로 인하여 선별효율이 낮아졌다.In the conventional sorting apparatus, since the Laura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the sorting article is moved in one direction, thereby lowering the sorting efficiency.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선별롤러(21)를 구비하고, 선별롤러(21)의 윗부분에 가이드판(22)을 설치하면, 선별물품이 한 쪽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장치로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rting rollers 21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installing the guide plate 2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rting roller 21, to prevent the sorting article is oriented in one direction Because it can be used as a sorting device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선별장치에서 선별물품을 선별하는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for sorting the sorting article in the sorting device.

도 3은 선별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lection unit;

도 4는 구동부와 선별롤러와 간격조절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rive unit and the sorting roller and the gap adjusting unit.

도 5는 간격조절부의 샤프트에 일부 수나사의 구성을 생략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mission of the configuration of some male screw on the shaft of the gap adjusting portion.

도 6은 본 발명의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구동부중 구동벨트와 구동풀리와 구동모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rive belt,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 motor of the drive unit.

도 8은 구동부가 선별부가 복수개 배열된 것을 나나낸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driving unit is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selection unit.

도 9는 복수개의 선별롤러를 1대의 구동모터와 1개의 구동벨트로 운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riving of a plurality of sorting rollers with one drive motor and one drive belt;

Claims (11)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채 회전하는 한 쌍의 원통형 선별롤러를 기본단위로하여 구성되며,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굵기의 선별물품은 상기 선별롤러 사이로 떨어지며, 상기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큰 굵기의 선별물품은 경사진 채 회전하고 있는 선별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하단 끝까지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선별부와;It consists of a pair of cylindrical sorting rollers that rotate while being spaced by a certain distance in parallel with the rotating shaft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s a basic unit, and is a sorting product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orting rollers. Is separated between the sorting rollers, the sorting article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orting rollers are moved to the lower e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orting roller is inclined to be discharged after sorting by sorting the sorted articles by size Wow; 상기 선별부에 포함된 선별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orting roller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프레임과;A fram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sorting unit; 상기 선별부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를 평행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And a gap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s by moving the pair of sorting rollers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in parallel. 상기 구동부는The driving unit 상기 선별롤러들과 이격된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구동부장착판과;A drive unit mounting plate fixed to th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rollers; 상기 구동부장착판에 고정배치 되어있는 구동풀리지지용 베어링하우징과;A bearing housing for driving pulleys fixedly disposed on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상기 선별롤러들을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구동풀리와;A driving pulley for rotating the sorting rollers;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구동풀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게 하기위한 베어링하우징 샤프트와;A bearing housing shaft for integrally coupling the bearing housing and the driving pulley; 상기 베어링하우징 샤프트와 상기 선별롤러를 연계하여 결합시키되,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베어링하우징 샤프트와 간격을 조절 하기위해 이동 해야하는 상 기 선별롤러와의 축간 거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플라인 축(Spline Shaft) 이 구비된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와;Coupling the bearing housing shaft and the sorting roller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for coping with a distance between the shafts of the sorting roller to be moved to adjust a gap with the fixed bearing housing shaft; A universal joint provided with a spline shaft; 상기 구동부장착판의 일 측에 고정배치 되어있는 구동모터와;A driving motor fixedly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추므로서,With a structure including a; drive bel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to the drive pulley,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풀리와, 베어링하우징들은 상기 구동부장착판에 고정된채 운전되지만, 상기 선별부에 포함된 한 쌍의 선별롤러는 평행이동 하며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The driving motor, the driving pulley and the bearing housings are driven while being fixed to the driving unit mounting plate, but the pair of sorting rollers included in the sorting unit moves in parallel and the gap between the sorting rollers is easily adjusted.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벨트는 The drive belt is 타이밍벨트, 평벨트, 브이 벨트(V-Belt), 라운드 벨트(Round-Belt) 또는 체인중 어느 하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timing belt, flat belt, V-belt, round belt (Belt) or cha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모터는 The drive motor is 전동모터, 유압모터중 어느 하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electric motor, hydraulic mo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는The driving unit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의 일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선별롤러를 직접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And a pair of driving hydraulic motors respective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air of sorting rollers to directly rotate the sorting rolle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격조절부는The gap adjusting unit 상기 선별롤러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또는 부시(bush)에 의하여 각각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선별롤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두 쌍의 베어링 하우징과;Both ends of the sorting rollers are rotatably fixed by bearings or bushes, respectively,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orting rollers, and two inner threads are formed on inner walls of the through holes. A pair of bearing housings; 표면의 특정위치에는 상기 관통공 내벽의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샤프트와;A pair of shafts formed with male threads corresponding to female threads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surface;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며,And a rotation knob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air of shafts to rotate the shaft. 상기 샤프트는 인접한 두개의 베어링 하우징의 관통공에 삽입되며,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wo adjacent bearing housings, 상기 샤프트의 수나사는 상기 관통공의 암나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도록 하되,The male screw of the shaft is to be installed to engage the female screw of the through hole, 하나의 선별롤러 양단에 위치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의 관통공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는 나머지 선별롤러 양단에 위치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의 관통공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와 반대되는 회전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of the pair of bearing housings located at both ends of one sorting roller is formed so as to have a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of the pair of bearing housings located at the both ends of one sorting roller.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The bearing housing 하나의 선별롤러 양단에 위치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의 관통공 내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샤프트에도 수나사가 형성되지만,Fe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of the pair of bearing housings located at both ends of one sorting roller, and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haft. 나머지 선별롤러 양단에 위치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의 관통공 내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대응하는 샤프트에도 수나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서, Since no intern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of the pair of bearing housing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remaining sorting roller, and no external thread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haft.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때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가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조절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한 쪽의 선별롤러는 고정 되어있고, 나머지 한 쪽의 선별롤러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When the shaft is rotated, the pair of sorting rollers are not spaced apart so as to be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sorting roller is fixed, and the other one of the sorting rollers is rotated. Roller sor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장착판에는 상기 선별롤러(한 쌍의 선별롤러)를 직접 구동시키게 하기위한 복수 개의 구동풀리지지용 베어링하우징과 한 개 이상의 아이들풀리지지용 베어링하우징을 구비 하므로서 한 대의 구동모터와, 한 개의 구동벨트로 복수 개의 구동풀리 들을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The drive unit moun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housings for driving the sorting rollers (a pair of sorting rollers) and at least one bearing housing for idle pulleys, one drive motor and one drive belt.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a plurality of drive pulley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한 개의 구동벨트를 양면 타이밍벨트로 사용하므로서, By using the one drive belt as a double-sided timing belt, 한 대의 구동모터로 복수 개의 구동풀리 들을 회전시키되,Rotate a plurality of drive pulleys with one drive motor, 상기 한 쌍의 선별롤러는 인접한 원주면이 지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The pair of sorting roller is a rotating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ed in a direction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별부는 다층으로 형성되며,The sorting portion is formed in a multilayer, 상층에 위치한 선별롤러의 하단 끝이 하층에 위히한 선별롤러의 하단 끝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먼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A 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sorting roller located on the upper floor is located fa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lower end of the sorting roller located on the lower floo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층에 위치한 한 쌍의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이 하층에 위치한 한 쌍의 선별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Rotary roller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 located in the upper layer is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orting roller located in the lower lay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다층의 선별부가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 선별장치.Rotary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orting portion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1020090033874A 2009-04-17 2009-04-17 Sorting machine with roller KR100946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74A KR100946877B1 (en) 2009-04-17 2009-04-17 Sorting machine with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74A KR100946877B1 (en) 2009-04-17 2009-04-17 Sorting machine with 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30A true KR20090047430A (en) 2009-05-12
KR100946877B1 KR100946877B1 (en) 2010-03-09

Family

ID=4085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74A KR100946877B1 (en) 2009-04-17 2009-04-17 Sorting machine with 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877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8386A (en) * 2016-03-22 2016-06-01 惠州市德赛自动化技术有限公司 Separation equipment
WO2017043939A1 (en) * 2015-09-10 2017-03-16 하용간 Ring roller mill having screen selecting device
CN107716318A (en) * 2017-11-23 2018-02-23 常俊红 A kind of material separator device people's system
CN109277870A (en) * 2018-09-03 2019-01-29 合肥银泉铸造有限责任公司 A kind of gear machining lathe output device
CN114146951A (en) * 2021-10-15 2022-03-08 安徽磨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Integrated intelligent rice vending machine with color selection function
CN114589121A (en) * 2022-03-21 2022-06-07 安徽农业大学 Small-size agricultural product sorting unit based on computer vision image processing
KR102437134B1 (en) * 2021-11-17 2022-08-29 장해욱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 size separator
KR20230097511A (en) 2021-12-24 2023-07-03 조희룡 The classification apparatus by size of fish in breeding water
CN117102024A (en) * 2023-10-18 2023-11-24 山西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Sand and stone separator for civil enginee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10B1 (en) 2016-05-31 2018-05-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ple-stage apparatus for sorting sea squirts and sorting method of sea squirt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77B1 (en) * 2006-01-06 2006-11-13 김윤호 Sorting machine with rotating roller
KR100838259B1 (en) 2008-02-05 2008-06-1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Sorter for vibrating aggregat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939A1 (en) * 2015-09-10 2017-03-16 하용간 Ring roller mill having screen selecting device
CN105618386A (en) * 2016-03-22 2016-06-01 惠州市德赛自动化技术有限公司 Separation equipment
CN107716318A (en) * 2017-11-23 2018-02-23 常俊红 A kind of material separator device people's system
CN107716318B (en) * 2017-11-23 2020-10-13 义乌飞思科技有限公司 Material sorting robot system
CN109277870A (en) * 2018-09-03 2019-01-29 合肥银泉铸造有限责任公司 A kind of gear machining lathe output device
CN114146951A (en) * 2021-10-15 2022-03-08 安徽磨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Integrated intelligent rice vending machine with color selection function
CN114146951B (en) * 2021-10-15 2023-12-22 安徽磨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Integrated intelligent rice vending machine with color selection function
KR102437134B1 (en) * 2021-11-17 2022-08-29 장해욱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 size separator
KR20230097511A (en) 2021-12-24 2023-07-03 조희룡 The classification apparatus by size of fish in breeding water
CN114589121A (en) * 2022-03-21 2022-06-07 安徽农业大学 Small-size agricultural product sorting unit based on computer vision image processing
CN117102024A (en) * 2023-10-18 2023-11-24 山西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Sand and stone separator for civil engineering
CN117102024B (en) * 2023-10-18 2023-12-22 山西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Sand and stone separator for civil engine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877B1 (en)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877B1 (en) Sorting machine with roller
KR100642077B1 (en) Sorting machine with rotating roller
US8720698B2 (en) Seafood grading apparatus
KR20150131739A (en) Divertor for Transferring Conveyor
AU2007302032A1 (en) Conveyor
US20160107841A1 (en) Linear Wave Motion Conveyor
JP2014152025A (en) Turnaround device for material to be conveyed
JP2010163222A (en) Screw supply device
JP2014152024A (en) Direction-changing device for conveyance object
KR102197320B1 (en) Sorting machinery with sorting roller spacing device
KR101082596B1 (en) cutting apparatus for rice cake
JP5224577B2 (en) Transfer equipment
KR20120139405A (en) Apparatus transferring cable
JP2006312539A5 (en)
RU2402474C2 (en) Supporting device
KR101662619B1 (en) The lift roller grader
JP4002582B2 (en) Telescopic transfer device and food transfer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60091088A (en) Grader for shrimps
KR20160001527A (en) Belt conveyor inclduing a belt cleaner
KR101437610B1 (en) Conveyor having many lines
KR200474829Y1 (en) Sensor conveyor
CN220072649U (en) Novel flat plate conveyor
CN219069327U (en) Vibration screening device for shrimp processing
KR20150144919A (en) Ball array transfer apparatus having rotation supporting unit
CN212100510U (en) Prevent feed mechanism that work piece dropp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