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696A -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696A
KR20090046696A KR1020080107597A KR20080107597A KR20090046696A KR 20090046696 A KR20090046696 A KR 20090046696A KR 1020080107597 A KR1020080107597 A KR 1020080107597A KR 20080107597 A KR20080107597 A KR 20080107597A KR 20090046696 A KR20090046696 A KR 2009004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mapped
resource
matrix
multiple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791B1 (ko
Inventor
김기환
이대원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65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61122A2/en
Priority to US12/740,989 priority patent/US8885576B2/en
Publication of KR2009004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696A/ko
Priority to US14/504,223 priority patent/US97940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스트림과 2가지 종류의 제어정보 스트림을 다중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 방법은,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제1 제어정보를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하는 단계, 및 위의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제1 제어정보는, 위의 행렬을 첫 번째 행(row)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매핑되며,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된다.
다중화, 매핑, 제어정보, RS(reference signal)

Description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METHOD FOR MULTIPLEX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 시퀀스(data and control sequence)를 다중화(multiplexing)하여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매핑(mapp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AC 계층(media access control layer)으로부터 물리 계층(physical layer)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시퀀스는, 부호화된(encoded) 후 무선 전송 링크(radio transmission link)를 통해 전송 및 제어 서비스(transport and control service)를 제공한다. 채널 코딩 방식(channel coding scheme)은, 오류 검출(error detection),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비율 정합(rate matching), 인터리빙(interleaving), 그리고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 정보 또는 제어정보를 물리 채널에 매핑하는 프로세스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3GPP에 있어서, 업링크 전송 채널 중 UL-SCH 및 RACH는 각각 물리 채널 중 PUSCH 및 PRACH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제어 채널 정보 중 UCI는 PUCCH 및/또는 PUSCH에 매핑될 수 있다. UL-SCH등의 채널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 또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계산, 코드 블록 분할, 채널 코딩, 비율 정합, 및 코드 블록 연접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 및/또는 제어정보에 대한 처리과정(process)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매 전송 시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마다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의 형태를 갖는 데이터가 최대 하나 입력된다. 이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은 다음과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우선, CRC 부가부(CRC attachment block)에서, 전송 블록의 형태를 갖는 데이터에 CRC가 부가된다. 코드 블록 분할부(code block segmentation block)에서는, CRC 부가된 데이터가 1개 이상의 코드 블록(code block)으로 분할된다. 채널 코딩부(channel coding block)에서는, 분할된 각각의 코드 블록의 코드 블록 데이터 스트림(code block data stream)에 대하여 채널 코딩(channel coding)이 수행된다. 비율 정합부(rate matching block)에서는, 각각의 채널 코딩된 데이터 스트림(channel coded data stream)에 대하여 비율 정합이 수행된다. 코드 블록 연접부(code block concatenation block)에서는, 1개 이상의 비율 정합된 데이터 스트림(rate matched data stream)이 서로 연접됨으로써, 부호화된 데이터 비트(encoded data bit)의 시퀀스를 형성한다. 한편, 별도의 채널 코딩부에서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채널 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부호화된 제어 비트(encoded control bit)의 시퀀스를 형성한다.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block)에서는, 위의 부호화된 데이터 비트의 시퀀스와 부호화된 제어 비트의 시퀀스를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비트의 시퀀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변조 등급(modulation order; Qm)에 따라서, 1개의 심볼(symbol)은 1개 이상의 비트(bit)에 의해 구성(compris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 QPSK, 16QAM, 및 64QAM에 대하여, 각각 1비트, 2비트, 4비트, 및 6비트가 1개의 심볼을 구성한다. 그리고, SC-FDMA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1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에는 1개의 심볼이 매핑되므로, 심볼 단위로 설명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송 채널 처리 과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R*C(예컨대, C=14)('R' rows; 'C' columns)의 행렬 구조를 갖는 RB(resource block)이 n개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RB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는 시간 영역에서 연속된 C개의 심볼이 배열되며, 세로 방향으로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R개의 부반송파(sub-carrier)가 배열된다. '표준 CP 구조'(표준 순환 전치 구조; normal cyclic prefix structure)에서는 14개(C=14)의 심볼이 1개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지만, 확장 CP(확장 순환 전치; extended cyclic prefix) 구조에서는 12개(C=12)의 심볼이 1개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는 '표준 CP 구조'를 가정한 것이다. 만일 '확장 CP 구조'를 갖는다면 도 2는 C=12인 행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1개의 RB에 대하여 '심볼의 개수'* '부반송파의 개수' = C*R = M개의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즉, 1개의 RB 당 M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에 M개의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그런데, M개의 자원 요소에는(to the M number of resource elements), 데이터 심볼과 제어 심볼이 다중화되어 생성된 다중화된 심볼뿐만 아니라, RS(Reference Signal) 심볼 및/또는 SRS(Sounding RS)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K개의 RS(Reference Signal) 심 볼 및/또는 SRS(Sounding RS) 심볼이 매핑되는 경우에는, M-K개의 다중화된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도 2에서 다중화된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변조 등급을 고려하여 변조 심볼(modulation symbol) 단위로 데이터 채널에 매핑된다. 첫번째 RB의 좌상 위치(left-top position)부터 오른쪽으로 매핑이 진행되며, 하나의 부반송파에 대한 매핑이 끝나면 그 다음 부반송파에 대하여 매핑된다. 각 부반송파 내에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이 진행된다. 데이터 정보 중 제어정보가 매핑될 위치에 제어정보를 삽입 또는 비율 정합(rate matching)하는 방식으로 다중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정보를 펑쳐링(puncturing)하는 방식으로 다중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데이터 채널에 매핑될 때, 제어정보는 고속 이동 환경에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RS(reference signal)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매핑되고, 데이터는 제어정보 및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는 SC-FDMA 심볼을 피하여, 즉, 그 SC-FDMA 심볼의 위치에 있는 RE를 피하여 매핑된다.
그런데, 도 2의 방법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제어정보가 매핑될 때에, 각각의 제어정보에 대한 위치를 정할 수 없다. 또한, 제어정보의 길이와 변조 등급을 고려하여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의 양을 계산하여 데이터와 다중화를 할 때, 예를 들어 제어정보 1이 RS에 가까운 RE에 매핑되고, 제어정보 2가 RS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RE에 매핑되면, 두 제어정보 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정보 2가 제어정보 1에 비하여 높은 성능조건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2의 성능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 어정보 1이 데이터와 비율 정합 방식으로 다중화되고, 제어정보 2는 데이터를 펑쳐링하는 방식으로 다중화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2에 의하여 먼저 입력되는 코드 블록(code blocks)의 데이터는, 나중에 입력되는 코드 블록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RS에 가까운 RE에 매핑될 수 없게 된다. 즉, 특정 RB에 제어정보 2가 집중되어 매핑될 수 있다. RS에 가까운 RE에 매핑될수록 좋은 전송 성능을 보인다. 그런데, 동일한 전송환경에서 각각의 코드 블록에 대해 서로 다른 오류율이 발생한다면, 전송 시스템의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형상시키기 위해, 제어정보의 유무 및 종류를 고려한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및 복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는 방법은,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제1 제어정보를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하는 단계, 및 위의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위의 제1 제어정보는, 위의 행렬을 첫 번째 행(row)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매핑되며,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행렬의 각각의 행에 매핑되는 위의 제1 제어정보의 심볼은 위의 각각의 행 내에서, 위의 행렬의 요소 중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가장 오른쪽의 요소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의해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제1 제어정보의 심볼의 개수는, 위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SC-FDMA 심볼 중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지 않는 SC-FDMA 심볼의 개수 의 배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제2 제어정보의 심볼의 개수는, 위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모든 부반송파 중 위의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의 개수의 배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제2 제어정보는 위의 행렬 상에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제2 제어정보는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자원 블록의 각 부반송파 내에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하나의 집합을 단위로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위의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위의 자원 블록 중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위의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위의 자원 블록 중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 및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으로 1개의 자원 요소만큼 떨어진 자원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및 복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는 방법은,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및 위의 행렬 상에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위의 제1 제어정보 및 위의 제2 제어정보는,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되며, 위의 제1 제어정보의 개수 및 위의 제2 제어정보의 개수는 각각, 위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SC-FDMA 심볼 중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지 않는 SC-FDMA 심볼의 개수의 배수이며, 위의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 및 위의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의 합은, 위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행렬의 각각의 행에 매핑되는 위의 제1 제어정보의 심볼은, 위의 각각의 행 내에서, 위의 행렬의 요소 중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가장 오른쪽의 요소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의해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행렬의 각각의 행에 매핑되는 위의 제2 제어정보의 심볼은, 위의 각각의 행 내에서, 위의 행렬의 요소 중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가장 오른쪽의 요소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의해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및 복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는 방법은,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위의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및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위의 제1 제어정보 및 위의 제2 제어정보는, 각각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자원 블록의 각 부반송파 내에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하나의 집합을 단위로 매핑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위의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위의 자원 블록 중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위의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위의 자원 블록 중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 및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으로 1개의 자원 요소만큼 떨어진 자원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는, 무선 제1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다중화하는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nit) 및 위의 데이터-제어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및 제2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한 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생성부를 포함하며, 위의 행렬 생성부는, (a)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위의 제1 제어정보를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하고, (b) 위의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위의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도록 되어 있고, 위의 제1 제어정보는, 위의 행렬을 첫 번째 행(row)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매핑되며,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는, 제1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다중화하는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nit); 및 위의 데이터-제어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및 제2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한 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생성부를 포함하며, 위의 행렬 생성부는, (a)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위의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고, (b)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도록 되어 있으며, 위의 제1 제어정보 및 위의 제2 제어정보는,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되며, 위의 제1 제어정보의 개수 및 위의 제2 제어정보의 개수는 각각, 위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SC-FDMA 심볼 중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지 않는 SC-FDMA 심볼의 개수의 배수이며, 위의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 및 위의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의 합은, 위의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는, 제1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다중화하는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nit); 및 위의 데이터-제어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및 제2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한 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생성부를 포함하며, 위의 행렬 생성부는, (a)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위의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위의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며, (b) 위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위의 제2 제 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도록 되어 있으며, 위의 제1 제어정보 및 위의 제2 제어정보는, 각각 위의 행렬 상에, 위의 자원 블록의 각 부반송파 내에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하나의 집합을 단위로 매핑된다.
본 발명에 의해,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다중화하여 매핑함에 있어서, 제어정보의 유무 및 종류가 고려된 일정한 다중화 및 매핑 규칙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module)" 및 "부(part)"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블록도 상의 구성요소 각각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 칩으로 나뉘어져 구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하드웨어칩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3GPP의 전송 채널, 특히 UL-SCH에 대한 전송 채널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여러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임의로 분류할 수 있고, 또는 제어정보의 '중요도(importance)'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요도(importance)'는 어떤 타입의 제어정보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에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제어정보가 존재할 때에,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다중화 방식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더 중요한 타입의 제어정보는 덜 중요한 타입의 제어정보에 의해 덮여 쓰여지지 않는(not overwritten) 방식으로 다중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정보 1은, 예컨대 채널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인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와 프리코딩(pre-coding)에 사용되는 코드북(codebook)의 인덱스 정보인 PMI(Precoding Matrix Index)의 조합인 CQI/PMI일 수 있다. 이 제어정보 1은 비율 정합에 의해 데이터 정보와 다중화될 수 있다(control information 1 may rate-match with data information for multiplexing). 본 발명에서 제어정보 2는, 예컨대 HARQ 응답인 ACK/NACK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일 수 있다. 이 제어정보 2는, 데이터 정보 또는 제어정보 1을 펑쳐링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control information 2 may puncture data information or control information 1 for multiplexing).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여러 실시예들은, 자원 요소들로 구성된 집합(a set of resource elements) 상의 주파수 축 및 시간 축에 대해서 상하좌우 반대 구조로 변형되고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심볼은 SC-FDMA 심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펑쳐링' 이라는 용어는, 여러 개의 비트(또는 심볼)로 이루어지는 시퀀스로부터 특정 비트(또는 심볼)을 제거하고, 이 시퀀스에 새로운 비트(또는 심볼)을 삽입하는 처리를 지칭한다. 즉, 정보의 일부를 다른 정보로 대체(replace)하는 것으로써, 데이터 정보 또는 제어정보가 다중화될 때, 펑쳐링하는 정보(puncturing information)가 펑쳐링되는 정보(punctured information)의 비트(또는 심볼)을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펑쳐링 방법(puncturing scheme)을 사용할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를 삽입하고도 전체 비트(또는 심볼)의 길이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펑쳐링되는 정보의 부호화율(code rate)은 펑쳐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 '비율 정합(rate matching)'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정보의 부호화율을 조절(adjust)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정보 또는 제어정보가 다중화될 때, 각 정보의 위치가 변경될 수는 있어도 정보의 내용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여기서, 제어정보 1과 데이터 정보가 서로 '비율 정합'된다는 것은, 비율 정합되는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합한 양(amount)이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송되어야 하는 제어정보 1의 양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1과 비율 정합되는 데이터 정보의 양은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를 다중화할 때에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다중화하는 규칙은 제어정보의 양과 종류, 유무에 의해 변경되지 않아야 한다. 둘째, 제어정보가 비율 정합에 의해 데이터와 다중화되거나, 또는 제어정보가 데이터 및/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정보를 펑쳐링하는 경우에 순환 버퍼(circular buffer)의 다른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이 없어야 한다. 셋째, 다음(next) 잉여 버전(redundancy version)에 대한 순환 버퍼의 시작 시점은 제어정보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넷째,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전송방식에 있어서 HARQ 버퍼 변조(buffer corruption)를 회피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중화된 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매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종류의 제어정보는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RS에 가까운 자원 요소에 매핑되어야 한다. 또한, 제어정보가 데이터를 펑쳐링하면 데이터의 부호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제어정보는 전체 RB 및 RE에 걸쳐 최대한 균등하게 분산되어야 한다. 또한, 제어정보를 하나의 RB 내에서 최대한 균등하게 분산시켜, 연속적인 데이터에 영향을 덜 미쳐야 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 3 내지 도 11에 의한 실시예는 표준 CP의 구성을 전제로 한 것이며, 설명을 위하여, 하나의 RB는 R*C=M 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C'는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심볼 구간(symbol period)'의 개수 를 나타내며, 'R'은 하나의 RB에서 가상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되는 R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의 개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심볼 구간(symbol period)'은 하나의 심볼이 존재하는 시 구간(time period)을 의미하며, 따라서 하나의 심볼 구간의 길이는 하나의 심볼의 길이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RB는, 그 RB를 구성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C)만큼의 열(column) 및 그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R)만큼의 행(row)으로 구성되는 행렬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RB를 2차원 평면 상에 포함할 때에, RB의 각 구성 요소인 RE(resource element)는, 이 행렬의 각 원소에 대응될 수 있다. 이 행렬은, RB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통, RB의 SC-FDMA 심볼들 중 2개의 SC-FDMA 심볼에 대해서는 RS가 고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므로, RB에 대응되는 행렬은 R*C 행렬이 아닌, R*(C-2) 행렬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4 내지 도 11에 사용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RS(reference signal)는 서로 인접하지 않는 'RS 심볼 구간(0)' 및 'RS 심볼 구간(1)'로 구성되는 'RS 심볼 구간(RS symbol interval)' 에 매핑된다. 여기서, 'RS 심볼 구간(0)' 및 'RS 심볼 구간(1)'은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RS 심볼 구간'에서 정의되는 'RS 심볼 구간 영역'을 설명한다. 'RS 심볼 구간 영역'은 RS 심볼 구간에 위치한 2*R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RS 심볼 구간 영역'은 다시 'RS 심볼 구간 영역(0)' 및 'RS 심볼 구간 영역(1)'으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RS 심볼 구간 영역(0)' 및 'RS 심볼 구간 영역(1)'은 각각 주파수 방향으로 R개의 자원 요소를 갖는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제1 심볼 구간'은 RS 심볼 구간에서 0개의 심볼 구간만큼 이격되어 있는 4개의 심볼 구간으로 정의 된다. '제1 심볼 구간 영역'은 제1 심볼 구간에 위치한 4*R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제1 심볼 구간 영역'은 '제1 심볼 구간 영역(0)', '제1 심볼 구간 영역(1)', '제1 심볼 구간 영역(2)', 및 '제1 심볼 구간 영역(3)'으로 다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제2 심볼 구간'은 RS 심볼 구간에서 1개의 심볼 구간만큼 이격되어 있는 4개의 심볼 구간으로 정의된다. '제2 심볼 구간 영역'은 제2 심볼 구간에 위치한 4*R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제2 심볼 구간 영역'은 '제2 심볼 구간 영역(0)', '제2 심볼 구간 영역(1)', '제2 심볼 구간 영역(2)', 및 '제2 심볼 구간 영역(3)'으로 다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RS 심볼 구간이, 반드시 네번째 및 열한번째 심볼 구간에 위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자원 요소들의 집합은 표준 CP의 구성(the configuration of Normal CP(cyclic prefix))을 전제로 한 것이지만, 12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확장 CP의 구성(the configuration of extended CP)을 전제 로 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RE 단위로(in a unit of a RE) 제어정보를 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어정보는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제2 심볼 구간, 또는 그 밖의 다른 가능한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매핑이 허용될 수 있다. RE 단위로 제어정보를 분산하기 위해서는, 다중화를 하기 위한 제어정보의 양 및 전체 RB에 대하여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양 사이의 비율값 또는 차이값을 계산한다. 그 다음, 계산된 비율값 또는 차이값을 기초로, 제어정보를 비율 정합하거나 또는 펑쳐링을 한다. 즉,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위치는 위에서 구한 두 값의 비율 또는 차이를 기초로 결정된다. 따라서, 제어정보는, 전송 채널에서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구간을 고려하여, 데이터와 다중화된다. 그리고, 전송채널에 다중화된 정보를 순서대로 매핑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정보가 전체 RB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게 위치한다. 또한, 각 RB 단위로 매핑되는 RE의 각 RB 내에서의 위치는, RB 별로 달라질 수 있다.
매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중화된 정보는, 첫번째 RB의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로부터 시작하여, SC-FDMA 심볼의 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으로 매핑된다. 그리고, 하나의 부반송파 내의 SC-FDMA 심볼에 대한 매핑이 끝나면, 그 다음 부반송파에 순차적으로 이어서 매핑한다. 이때, 매핑 하는 순서를 정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또는 역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거슬러) 또는 임의의 순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될 수 있다. 다중화를 위한 제어정보의 양이 전송채널 중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양보다 클 경우에는,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영역을 RS에 가까운 심볼까지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가 상술한 제1 심볼 구간에만 매핑이 허용되더라도, 제어정보의 양이 제1 심볼 구간의 RE의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심볼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도 매핑될 수 있다. 또한, 확장된 영역 및 확장된 양을 고려하여 상술한 다중화/매핑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데이터, 제어정보, RE는 심볼 단위로 설명된 것이다. 각 심볼이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변조 등급을 고려하여야 한다. 표 1은 위의 방법으로 제어정보가 비율 정합되는 경우 중 하나를 나타낸다.
[표 1]
xi = no_re;
e = xi;
ep = xi;
em = xi - no_ci;
m = 1;
do
{
e = e - em;
if (e <= 0)
{
insert data;
e = e + ep;
}
else
{
insert control information;
}
m++;
} while (m <= xi)
표 1에서 'no_re'는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양을 나타내고, 'no_ci' 는 제어정보의 양을 나타낸다. 'e', 'ep', 'em', 'm'은,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양 및 제어정보의 양을 기초로 비율 정합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이다. 즉, 위의 알고리즘은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양만큼 반복되며, 이 알고리즘에 의해 비율 정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사이에 제어정보를 분산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하여, 표 1의 'no_re'를 제1 제어정보의 양을 설정하고, 'no_ci' 를 제2 제어정보의 양으 로 설정하고, 그리고 'insert data'와 'insert control information'이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정보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표 1은 심볼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어정보와 RE의 관계를 변조 등급을 고려하여 연산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부반송파의 RE 집합의 단위'로('in a unit of a group of REs within a subcarrier' that can be allocated for control information) 제어정보를 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부반송파의 RE 집합의 단위'는, 하나의 전송단위의(of a transmission unit) 하나의 부반송파에 포함되는 여러 개의 RE 중에서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하나의 부반송파 내에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가 N개라면, N개를 하나의 단위로 삼아 분산하여 매핑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심볼 구간에만 매핑이 허용될 경우, 부반송파 당 4개의 RE(N=4)에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도 5). 또 다른 예로,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및 제2 심볼 구간에 모두 매핑이 허용될 경우에는, 부반송파 당 8개의 RE(N=8)에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때, 제어정보의 양을 N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 아니라면, 즉, 모듈로 N 연산(modulo N operation)의 결과값이 0이 아니라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는 마지막 부반송파의 SC-FDMA 심볼에 매핑된다.
'부반송파의 RE 집합의 단위'로 제어정보를 분산하기 위해서는, 다중화를 하 기 위한 제어정보의 양(n1)과 전체 RB에 대하여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양(n2)을, 부반송파의 SC-FDMA 심볼 중에서 제어정보가 위치할 수 있는 RE의 양으로 나눌 수 있다. 그 다음, 이 나눈 값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두 값(n1 및 n2)의 비율값 또는 차이값을 구한 후, 이 비율값 또는 차이값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비율 정합 또는 펑쳐링한다. 다른 말로,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구간은, 위의 비율값 또는 차이값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정보는, 전송 채널의 제어정보가 위치할 수 있는 구간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특정 위치 사이에 다중화가 된다. 그리고, 다중화된 정보를 전송채널에 순서대로 매핑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제어정보가 전체 RB에 대하여 부반송파 단위로(in a unit of subcarrier) 분산되어 매핑된다. 또한, RB 단위로 매핑되는 RE의 각 RB 내에서의 위치는, RB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매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중화된 정보는, 첫번째 RB의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로부터 시작하여, SC-FDMA 심볼의 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으로 매핑된다. 그리고, 하나의 부반송파 내의 SC-FDMA 심볼에 대한 매핑이 끝나면, 그 다음 부반송파에 순차적으로 이어서 매핑한다. 이때, 매핑하는 순서를 정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또는 역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거슬러) 또는 임의의 순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될 수 있다. 다중화를 위한 제어정보의 양이 전송채널 중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양보다 클 경우에는,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영역을 RS에 가까운 심볼까지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가 상술한 제1 심볼 구간에만 매핑이 허용되더라 도, 제어정보의 양이 제1 심볼 구간의 RE의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심볼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도 매핑될 수 있다. 또한, 확장된 영역 및 확장된 양을 고려하여 상술한 다중화/매핑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데이터, 제어정보, RE는 심볼 단위로 설명된 것이다. 각 심볼이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변조 등급을 고려하여야 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어정보 1의 양과 제어정보 2의 양의 합이 전송 가능한 RE의 양보다 많을 경우, 각 제어정보의 양을 SC-FDMA 심볼의 수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 되도록, 하나의 RB에 매핑되는 제어정보의 양을 재설정하는 방법이다. 제어정보 1의 양을 SC-FDMA 심볼의 수로 나눈 결과값을 올림/내림/반올림함으로써, {(제어정보 1의 양) = (부반송파의 개수(n1)) * (SC-FDMA 심볼의 개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2의 양을 SC-FDMA 심볼의 수로 나누어 올림/내림/반올림함으로써, {(제어정보 2의 양)=(부반송파의 개수(n2)) * (SC-FDMA 심볼의 개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n1+n2는 1개의 RB 내의 모든 부반송파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두 제어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올림/내림/반올림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 1이 제어정보 2보다 중요한 경우, 제어정보 1에 대하여는 올림을 해주고, 제어정보 2에 대하여는 내림을 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비 율 정합 방식, 특정 비트를 반복하는 방식, 또는 부호화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여 제어정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조절된 두 제어정보의 양이 전송 가능한 RE의 양보다 많을 경우에는, 중요도에 따라, {(제어정보 1의 양)=(전송 가능한 RE의 양)-(제어정보 2의 양)}의 관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반대로 {(제어정보 2의 양)=(전송 가능한 RE의 양)-(제어정보 1의 양)}의 관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어정보 1의 개수는 Nci1로 나타내고, 제어정보 2의 개수는 Nci2로 나타내고, SC-FDMA 심볼의 개수는 NSC_sym로 나타내고, 제어정보 1이 차지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는 Nsc_ci1로 나타내고, 전체 부반송파 개수를 Nsc로 나타낸다.
도 7은 제어정보 1의 개수(Nci1)를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나머지 값이 n(≠0)인 경우에, (NSC_sym - n)개의 RE를 더미(dummy) 정보 또는 데이터로 채움으로써, 제어정보 1의 개수를 재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정보 1이 차지하는 부반송파의 개수(Nsc_ci1)는, 제어정보 1의 개수(Nci1)를 SC- 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이 된다. 이때, 첫번째 RB의 첫번째 RE로부터 시작하여 SC-FDMA 심볼의 방향으로 매핑이 진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제어정보의 개수를 재조정한다는 의미는, 더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또는 제어정보의 일부를 복사하여 덧붙임으로써 제어정보의 길이를 늘이거나, 또는 제어정보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제어정보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정보 2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매핑할 수 있다. 우선,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Nsc)에서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n)을 뺀다. 그 다음, 제어정보 2의 양(Nci2)을 이 결과값으로 나누면,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산출된 값에 따라,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제어정보 2를 순차적이거나 분산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2의 양은, 제어정보 2의 양(Nci2)을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으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의 배수가 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정보 2에 더미 정보 또는 기타 복제된 정보가 추가되거나, 제어정보 2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제어정보 2의 개수는, (부반송파 * 제어정보 2를 포함할 수 있는 SC-FDMA 심볼의 수)로 나누었을 때에 나머지가 0이 되는 RE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우선,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NSC)에서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 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n)을 뺌으로써, 제어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는 부반송파의 개수(NSC-n)을 구한다. 이 값 'NSC-n'은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이 된다. 그 다음,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제어정보 2를 순차적이거나 분산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 2는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및/또는 제2 심볼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2의 양은 'NSC-n'의 배수가 되도록 재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NSC=12, n=7, NSC-n=5, Nci2=(NSC-n)*8=40이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정보 1은 첫번째 RB의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로부터 시작하여, SC-FDMA 심볼의 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으로 매핑된다. 그리고, 하나의 부반송파 내의 SC-FDMA 심볼에 대한 매핑이 끝나면, 그 다음 부반송파에 순차적으로 이어서 매핑한다. 이때, 매핑하는 순서를 정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또는 역방향(즉, 시간의 흐름에 거슬러) 또는 임의의 순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정보 2의 양은 도 7의 방법과 비슷 하게 결정된다. 즉, 제어정보 2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매핑될 수 있다. 우선,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Nsc)에서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m)을 뺀다. 그 다음, 제어정보 2의 양(Nci2)을 이 결과값(m)으로 나누면,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산출된 값에 따라,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제어정보 2를 순차적이거나 분산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2의 양은, 제어정보 2의 양(Nci2)을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으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의 배수가 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정보 2에 더미 정보 또는 기타 복제된 정보가 추가되거나, 제어정보 2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제어정보 2의 개수는, (부반송파 * 제어정보 2를 포함할 수 있는 SC-FDMA 심볼의 수)로 나누었을 때에 나머지가 0이 되는 RE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우선,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NSC)에서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n)을 뺌으로써, 제어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는 부반송파의 개수(NSC-n)을 구한다. 이 값 'NSC-n'은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이 된다. 그 다음,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제어정보 2를 순차적이거나 분산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 2는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및/또는 제2 심볼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2의 양은 'NSC-n'의 배수로 재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NSC=12, n=7, NSC-n=5, Nci2=(NSC- n)*8=40이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정보 1의 개수는,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 제어정보 1을 포함할 수 있는 SC-FDMA 심볼의 수)로 나누었을 때에 나머지가 0이 되는 RE의 개수로 재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어정보 1의 양은,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1의 양으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의 배수가 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정보 1에 더미 정보 또는 기타 복제된 정보가 추가되거나, 제어정보 1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1은, 제어정보 1을 포함할 수 있는 SC-FDMA 심볼 내에서 순차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제어정보 2의 개수는, 제어정보 1의 개수와 제어정보 2의 양(Nci2)을 고려하여, 제어정보 2의 양(Nci2)을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으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의 배수가 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정보 2에 더미 정보 또는 기타 복제된 정보가 추가되거나, 제어정보 2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제어정보 2의 개수는, (부반송파 * 제어정보 2를 포함할 수 있는 SC- FDMA 심볼의 수)로 나누었을 때에 나머지가 0이 되는 RE의 개수로 재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2는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SC-FDMA 심볼 내에서 제어정보 1의 위치를 피하여 순차적이거나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NSC)에서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n)에 의해 제어정보 1이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n)를 결정한다. 그 다음, 이 값 'n'은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1의 양이 된다. 그 다음,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제어정보 1을 순차적이거나 분산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 2는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및/또는 제2 심볼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1의 양은 'n'의 배수로 재설정 될 수 있다.
또한,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NSC)에서 제어정보 1의 양(Nci1)을 SC-FDMA 심볼의 개수(NSC_sym)로 나눈 값을 올림한 값(n)을 뺌으로써, 제어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는 부반송파의 개수(NSC-n)을 구한다. 이 값 'NSC-n'은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이 된다. 그 다음,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에 제어정보 2를 순차적이거나 분산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 2는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및/또는 제2 심볼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2의 양은 'NSC-n'의 배수로 재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NSC=12, n=7, NSC-n=5, Nci1=n*8=56, Nci2=(NSC-n)*8=40이다.
<실시예 7>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정보 1은 시간축(SC-FDMA 심볼) 방향으로 순서대로 매핑된다. 그리고,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 중 제어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는 SC-FDMA 심볼의 개수와 위치를 결정하여, 제어정보 2를 결정된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위치의 RE에 분산하여 매핑할 수 있다. 제어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는 위치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심볼 구간 및/또는 제2 심볼 구간일 수 있다.
제어정보 1이 매핑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변조 등급을 고려한 제어정보 1의 심볼(symbol) 개수를 SC-FDMA 심볼의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 내림, 반올림, 또는 나눌 수 있다. 이 값을 기초로, 제어정보 1이 매핑되는 영역의 크기를, RE 단위 또는 부반송파 단위의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정보 2가 매핑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변조 등급을 고려한 제어정보 1 및 제어정보 2의 심볼(symbol) 개수를 SC-FDMA 심볼의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 내림, 반올림, 또는 나눌 수 있다. 이 값을 기초로, 제어정보 2가 매핑되는 RE의 개수 또는 부반송파의 개수로 구할 수 있다.
이때,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개수는, 대응되는 SC-FDMA 심볼에 포함된 제어정보 1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제어정보 1은 시간축 방향으로 순서대로 매핑되며, 제어 정보 2는 RS에 가까운 RE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2가 분산하여 매핑되기 때문에, 전체 코드 블록의 부호화 율(code rate)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1 및 데이터만을 다중화를 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2의 위치를 고려함이 없이, 전체 전송대역에 대하여 위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2만을 데이터와 다중화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1의 위치를 고려함이 없이, 전체 전송대역에 대하여 제어정보 2가 매핑되는 면적 및 위치를 구하기 위해 위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매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로서 제어정보 1이 매핑될 수 있는 SC-FDMA의 개수 및 위치가 결정된다. 그 다음, 이렇게 결정된 위치의 RE에 제어정보 1을 순서대로 매핑한다. 또한, RS에 가까운 SC-FDMA 심볼로서 제어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는 SC-FDMA의 개수 및 위치가 결정된다. 그 다음, 이와 같이 결정된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위치의 RE에 제어정보 2를 분산하여 매핑한다.
예를 들어, 우선 제어정보 1은 상술한 제1 심볼 구간에 매핑한다. 제어정보 1의 매핑이 종료되면, 제어정보 2를 제1 심볼 구간 중 남아있는 RE에 매핑한다. 이때, 제어정보 2가 제1 심볼 구간에 모두 매핑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남아 있는 제어정보 2를 제1 심볼 구간 이외의 영역에, 예를 들어 제2 심볼 구간에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제2 심볼 구간의 RE의 개수와 남아 있는 제어정보 2의 개수를 비교하여, 남아 있는 제어정보 2를 제2 심볼 구간에 분산하여 매핑할 수 있다.
제어정보 1이 매핑되는 면적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변조 등급을 고려한 제어정보 1의 심볼 개수를 SC-FDMA 심볼의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내림/반올림/나눔으로써, 제어정보 1이 위치할 수 있는 RE의 개수 또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2가 매핑되는 면적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변조 등급을 고려한 제어정보 1과 제어정보 2의 심볼 개수를 SC-FDMA 심볼의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내림/반올림/나눔으로써 제어정보 2가 위치할 수 있는 RE의 개수 또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제어정보 1의 범위가 SC-FDMA 심볼상(가로축)에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어정보 2의 위치를 결정할 때는 제어정보 1의 개수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SC-FDMA 심볼 당 포함될 수 있는 제어정보 2의 양 및/또는 위치는 해당 SC-FDMA 심볼에 포함된 제어정보 1의 양 및/또는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제어정보 1 및 데이터만을 다중화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2를 별도로 고려하지 않고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정보 2만 데이터와 다중화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 1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위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어정보 2가 매핑되는 면적 및 위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정보는 RS에 가까운 RE에 매핑될 수 있으며, 제어정보 2를 분산함으로써 전체 코드 블록의 부호화 율을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데이터와 제 어정보를 다중화하고 전송채널에 매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정보의 유무 및 양, 종류에 상관없이 다중화하는 규칙은 동일할 수 있고, 순환 버퍼의 다른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이 없고, 다음 잉여 버전에 대한 순환 버퍼의 시작 시점은 영향을 받지 않고, HARQ 전송 방식에서 HARQ 버퍼 변조를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제어정보가 RS 에 가까운 symbol 에 위치할 수 있고, 전체 RB에 분산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및 매핑시 제어정보의 양에 따라서 특정 RB에 제어정보가 집합하여 특정 RB의 데이터 부호화율의 변화를 전체 RB로 분산하여 코드블록에서의 오류율을 비교적 균등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표 2는 도 2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어정보가 삽입되는 방법을 3GPP TS 36.212 V8.0.0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set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1
set i, j, k to 0
set e = no_re
set ep = no_re
set em = no_re - no_ci
for k=0 to H-1
if k mod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2
or 3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3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4
e = e - em
if (e <= 0)
gk = fi
e = e + ep
i++
k++
else
gk = qj
j++
k++
end if
else
gk = fi
i++
k++
end if
end for
여기서, f1, f2, f3, ..., fG-1은 입력을 나타낸다. G는 제어정보의 양이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g0, g1, g2, ..., gH-1 은 출력을 나타낸다. H는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양의 합을 나타낸다. q0, q1, q2, ..., qQ-1 는 제어정보를 나타낸다. Q는 제어정보의 양을 나타낸다.
표 2에 의한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전송단위에서(in a transmission unit) 하나의 부반송파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5
에 의해 주어진다. 또한, 비율 정합을 위한 변수들은 제어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RE의 양 및 제어정보의 양을 이용하여 초기화된다. 표 2의 다중화 방법에 따르면, 다중화를 위한 연산은 변수 k를 이용하여 H번 반복된다.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입력 데이터가 할당되고,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에서는 비율 정합을 통하여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가 할당된다. 제어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은 k mod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6
or 3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7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8
연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k = 2, 3, 8, 9 일 수 있고, k는 특정 숫자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심볼 단위로 표현한 것으로서 각각의 비트와 변조 등급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표 3은, 도 2에 따른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정보가 삽입되는 방법, 또는 제어정보가 데이터를 대체하는 방법을 3GPP TS 36.212 V8.0.0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표 3]
set
Figure 112008075760535-PAT00009
set i, j, k to 0
set e = no_re
set ep = no_re
set em = no_re - no_ci
for k=0 to H-1
if k mod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0
or 3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1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2
e = e - em
if (e <= 0)
gk = fi
e = e + ep
i++
k++
else
if (rate matching case)
gk = qj
j++
k++
else ; puncturing case
gk = qj
j++
k++
i++
end if
else
gk = fi
i++
k++
end if
end for
제어정보인 q는, 비율 정합될 제어정보 및 데이터를 펑쳐링할 제어정보가 균등하거나 비균등하게 다중화된 정보이다. 이때, 삽입되거나 대체할 위치에 대한 정 보를 알 수 있다고 가정한다. f1, f2, f3, ..., fG-1은 입력이고, G는 제어정보의 양이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의 양이며, g0, g1, g2, ..., gH-1은 출력이고, H는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양의 합이며, q0, q1, q2, ..., qQ-1는 제어정보이고, Q는 제어정보의 양이다. 표 3에 의한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전송단위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3
에 의해 주어진다. 또한, 비율 정합을 위한 변수들은 제어정보가 위치할 수 있는 RE의 양과 제어정보의 양을 이용하여 초기화된다. 표 3의 다중화 방법에 따르면, 다중화를 위한 연산은 변수 k를 이용하여 H번 반복된다.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입력 데이터가 할당되고,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에서는 비율 정합을 통하여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가 할당된다. 제어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은 k mod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4
or 3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5
or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6
연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k = 2, 3, 8, 9 일 수 있고, k는 특정 숫자일 수 있다. 제어정보가 비율 정합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는 데이터 사이에 삽입된다. 만일, 제어정보가 데이터를 펑쳐링하는 경우에는, 대체를 위해 삽입될 제어정보의 크기만큼(변조등급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제어정보가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심볼 단위로 표현한 것으로서 각각의 비트와 변조등급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8에 의한 방법을 3GPP TS 36.212 V8.1.0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7
는 입력 데이터,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8
는 삽입되는(비율 정합 방식) 입력 제어정보,
Figure 112008075760535-PAT00019
는 펑쳐링되는 입력 제어정보,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0
는 다중화된 출력을 나타낸다. 이때,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1
이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2
은 PUSCH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당 SC-FDMA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PUSCH를 운반하는 SC-FDMA 심볼당 변조 심볼의 개수는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3
로 설정된다. PUSCH를 전송하는 SC-FDMA 심볼 당 이용 가능한 심볼의 개수는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4
로 설정된다. (펑쳐링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들의 개수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5
(평쳐링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6
따라서, (펑쳐링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7
표 4는 평쳐링을 위한 제어정보의 펑쳐링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을 나타낸 것이다.
[표 4]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8
n1i 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SCH를 전달하는 i번째 SC-FDMA 심볼 내의 (펑쳐링을 위한) 제어정보 변조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n2i 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SCH를 전달하는 i번째 SC-FDMA 심볼 내의 (펑쳐링을 위한) 필요 제어정보 변조 위치를 나타낸다.
표준 CP(normal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위한 PUSCH를 전달하는 각각의 SC-FDMA 심볼에 매핑되는 제어용 변조심볼의 개수를 표 5 내지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5는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29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6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0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7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1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8은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2
일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9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3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0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4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1은 SRS가 존재하지 않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5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2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6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3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7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8
[표 6]
Figure 112008075760535-PAT00039
[표 7]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0
[표 8]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1
[표 9]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2
[표 10]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3
[표 11]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4
[표 12]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5
[표 13]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6
확장 CP(extended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PUSCH를 운반하는 각각의 SC-FDMA 심볼에 매핑되는 제어용 변조심볼의 개수를 표 14 내지 표 22에 나타내었다.
표 14는 SRS가 존재하지 않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7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5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8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6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49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7은 SRS가 존재하지 않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0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8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1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9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2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0은 SRS가 존재하지 않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3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1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4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2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5
일 때의 n1i 및 n2i의 값을 나타낸다.
[표 14]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6
[표 15]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7
[표 16]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8
[표 17]
Figure 112008075760535-PAT00059
[표 18]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0
[표 19]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1
[표 20]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2
[표 21]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3
[표 22]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4
제어정보와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다중화 될 수 있다.
Set i to 0
Set temp to S'
Set e to ei
for (m = 0; m <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5
; m++)
if (m < es)
for (i = 0; i <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6
; i++)
if (temp > 0)
insert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dex
temp--
else
insert data
increase data index
end if
increase output index
end for
else
e = e - em
if (e <= 0)
for (i = 0; i <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7
; i++)
if (n1[i] > 0)
puncture data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puncturing) index
increase data index
n1[i]--
else
insert data
increase data index
end if
increase output index
end for
e = e + ep
else
for (i = 0; i <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8
; i++)
if (n2[i] == 1)
puncture data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puncturing) index
increase data index
n1[i]--
else
insert data
increase data index
end if
increase output index
end for
end if
end if
end for
이하 도 9에 의한 방법을 3GPP TS 36.212 V8.1.0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69
는 입력 데이터,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0
는 삽입되는(비율 정합 방식) 입력 제어정보,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1
는 펑쳐링되는 입력 제어정보,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2
는 다중화된 출력을 나타낸다. 이때,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3
이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4
은 PUSCH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당 SC-FDMA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PUSCH를 운송하는 SC-FDMA 심볼당 변조 심볼의 개수는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5
로 설정된다.
(삽입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들의 개수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6
(삽입+평쳐링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7
(펑처링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8
(펑쳐링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들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8075760535-PAT00079
표 23은 펑쳐링을 위한 제어정보가 펑처링하는 위치에 대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표 23]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0
n1i 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SCH를 전달하는 i번째 SC-FDMA 심볼 내의 (삽입을 위한) 제어정보 변조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표준 CP(normal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위한 PUSCH를 전달하는 각각의 SC-FDMA 심볼에 매핑되는 제어용 변조심볼의 개수를 표 24 내지 표 32에 나타내었다.
표 24는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1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5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2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6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3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7은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4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8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5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9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6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0은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7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1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8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2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89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24]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0
[표 25]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1
[표 26]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2
[표 27]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3
[표 28]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4
[표 29]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5
[표 30]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6
[표 31]
[표 32]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8
확장 CP(extended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위한 PUSCH를 전달하는 각각의 SC-FDMA 심볼에 매핑되는 제어용 변조심볼의 개수를 표 33 내지 표 41에 나타내었다.
표 33은 SRS가 없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099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4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0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5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1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6은 SRS가 없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2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7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3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8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4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9는 SRS가 없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5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40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6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41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7
일 때의 n1i의 값을 나타낸다.
[표 33]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8
[표 34]
Figure 112008075760535-PAT00109
[표 35]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0
[표 36]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1
[표 37]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2
[표 38]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3
[표 39]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4
[표 40]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5
[표 41]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6
n2i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SCH를 전달하는 i번째 SC-FDMA 심볼 내의 (펑쳐링을 위한) 제어정보 변조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n3i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SCH를 전달하는 i번째 SC-FDMA 심볼 내의 (펑쳐링을 위한) 제어정보 위치를 나타낸다
표준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위한 PUSCH를 전달하는 각각의 SC-FDMA 심볼에 매핑되는 제어용 변조심볼의 개수를 표 42 내지 표 50에 나타내었다.
표 42는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7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3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8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4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19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5는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0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6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1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7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2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8은 SRS가 없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3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9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4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0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표준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5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42]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6
[표 43]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7
[표 44]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8
[표 45]
Figure 112008075760535-PAT00129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0
, 이때, j = 2, 3, 8, 9
[표 46]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1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2
, 이때 j = 2, 3, 8, 9
[표 47]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3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4
, 이때 j = 1, 2, 7, 8
[표 48]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5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6
, 이때 j = 1, 2, 3, 4, 7, 8, 9, 10
[표 49]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7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8
, 이때 j = 1, 2, 3, 4, 7, 8, 9, 10
[표 50]
Figure 112008075760535-PAT00139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0
, 이때 j = 0, 1, 2, 3, 6, 7, 8, 9
확장 CP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위한 PUSCH를 전달하는 각각의 SC-FDMA 심볼에 매핑되는 제어용 변조심볼의 개수를 표 51 내지 표 59에 나타내었다.
표 51은 SRS가 없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1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2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2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3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3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4는 SRS가 없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4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5는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5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6은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6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7은 SRS가 없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7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8은 SRS가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8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9는 SRS가 첫번째 심볼에 존재하는 확장 CP 서브프레임에서,
Figure 112008075760535-PAT00149
일 때의 n2i, n3i, 및 em의 값을 나타낸다.
[표 51]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0
[표 52]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1
[표 53]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2
[표 54]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3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4
, 이때 j = 2, 3, 8, 9
[표 55]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5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6
, 이때 j = 2, 3, 7, 8
[표 56]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7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8
, 이때 j = 1, 2, 6, 7
[표 57]
Figure 112008075760535-PAT00159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0
, 이때 j = 1, 2, 3, 4, 6, 7, 8, 9
[표 58]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1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2
, 이때 j = 1, 2, 3, 4, 5, 6, 7, 8
[표 59]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3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4
, 이때 j = 0, 1, 2, 3, 5, 6, 7, 8
제어정보와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다중화될 수 있다.
Set i to 0
Set e to ei
for (m = 0; m <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5
; m++)
if (m < es)
for (i = 0; i <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6
; i++)
if (n1[i] > 0)
insert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dex
n1[i]--
else
insert data
increase data index
end if
increase output index
end for
else
e = e - em
if (e <= 0)
for (i = 0; i <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7
; i++)
if (n1[i] > 0)
insert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dex
n1[i]--
elsif (n3[i] > 0)
puncture data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puncturing) index
increase data index
n3[i]--;
else
insert data
increase data index
end if
increase output index
end for
e = e + ep
else
for (i = 0; i <
Figure 112008075760535-PAT00168
; i++)
if (n1[i] > 0)
insert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insert) index
n1[i]--
elsif (n4[i] == 1)
puncture data
increase control information (puncturing) index
increase data index
n3[i]--
else
insert data
increase data index
end if
increase output index
end for
end if
end if
end for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3GPP의 UL-SCH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위의 메모리 유닛은 위의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위의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위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기지국, 또는 기타 다른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 및/또는 제어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처리과정(process)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송 채널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4 내지 도 11에 사용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7)

  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및 복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는 방법으로서,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제1 제어정보를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정보는, 상기 행렬을 첫 번째 행(row)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매핑되며,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의 각각의 행에 매핑되는 상기 제1 제어정보의 심볼은 상기 각각의 행 내에서, 상기 행렬의 요소 중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가장 오른쪽의 요소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의해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의 심볼의 개수는, 상기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SC-FDMA 심볼 중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지 않는 SC-FDMA 심볼의 개수의 배수인, 다중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정보의 심볼의 개수는, 상기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모든 부반송파 중 상기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의 개수의 배수인, 다중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행렬 상에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자원 블록의 각 부반송파 내에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하나의 집합을 단위로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상기 자원 블록 중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인, 다중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상기 자원 블록 중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 및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으로 1개의 자원 요소만큼 떨어진 자원 요소인, 다중화 방법.
  9.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및 복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는 방법으로서,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행렬 상에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정보 및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되며,
    상기 제1 제어정보의 개수 및 상기 제2 제어정보의 개수는 각각, 상기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SC-FDMA 심볼 중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지 않는 SC-FDMA 심볼의 개수의 배수이며,
    상기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의 합은, 상기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와 동일한,
    다중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의 각각의 행에 매핑되는 상기 제1 제어정보의 심볼은, 상기 각각의 행 내에서, 상기 행렬의 요소 중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가장 오른쪽의 요소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의해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의 각각의 행에 매핑되는 상기 제2 제어정보의 심볼은, 상기 각각의 행 내에서, 상기 행렬의 요소 중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가장 오른쪽의 요소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매핑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의해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12.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및 복수의 제어정보를 다중화하는 방법으로서,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상기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상기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정보 및 상기 제2 제어정보는, 각각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자원 블록의 각 부반송파 내에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하나의 집합을 단위로 매핑되는,
    다중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상기 자원 블록 중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인, 다중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자원 요소는, 상기 자원 블록 중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와 시간 축으로 인접하는 자원 요소 및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으로 1개의 자원 요소만큼 떨어진 자원 요소인, 다중화 방법.
  15. 제1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다중화하는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nit); 및
    상기 데이터-제어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및 제2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한 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생성부
    를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로서,
    상기 행렬 생성부는,
    (a)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상기 제1 제어정보를 자원 요소 단위로 매핑하고,
    (b) 상기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상기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제어정보는, 상기 행렬을 첫 번째 행(row)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매핑되며,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되는,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
  16. 제1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다중화하는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nit); 및
    상기 데이터-제어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및 제2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한 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생성부
    를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로서,
    상기 행렬 생성부는,
    (a)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상기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고,
    (b)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어정보 및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를 덮어쓰지 않도록 매핑되며,
    상기 제1 제어정보의 개수 및 상기 제2 제어정보의 개수는 각각, 상기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SC-FDMA 심볼 중 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지 않는 SC-FDMA 심볼의 개수의 배수이며,
    상기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의 합은, 상기 자원 블록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와 동일한,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
  17. 제1 제어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다중화하는 데이터-제어 다중화부(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nit); 및
    상기 데이터-제어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시퀀스 및 제2 제어정보를 다중화하기 위한 행렬을 생성하는 행렬 생성부
    를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로서,
    상기 행렬 생성부는,
    (a) 자원 블록 중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상기 제1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상기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행렬 상에 상기 제1 제어정보를 매핑하며,
    (b)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로부터 시간 축에서 인접한 자원 요소에 상기 제2 제어정보가 매핑되도록,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제2 제어정보를 매핑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어정보 및 상기 제2 제어정보는, 각각 상기 행렬 상에, 상기 자원 블록의 각 부반송파 내에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하나의 집합을 단위로 매핑되는,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장치.
KR1020080107597A 2007-11-05 2008-10-31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KR10146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6505 WO2009061122A2 (en) 2007-11-05 2008-11-05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US12/740,989 US8885576B2 (en) 2007-11-05 2008-11-05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US14/504,223 US9794045B2 (en) 2007-11-05 2014-10-01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528707P 2007-11-05 2007-11-05
US60/985,287 2007-11-05
US98809207P 2007-11-14 2007-11-14
US60/988,092 2007-11-14
US99268707P 2007-12-05 2007-12-05
US60/992,687 2007-12-05
KR20070130442 2007-12-13
KR1020070130442 2007-12-13
KR20070140492 2007-12-28
KR1020070140492 2007-12-28
KR20080001422 2008-01-04
KR1020080001422 2008-01-04
US1983508P 2008-01-08 2008-01-08
KR1020080002268 2008-01-08
KR20080002268 2008-01-08
US61/019,835 2008-01-08
US2037308P 2008-01-10 2008-01-10
US61/020,373 2008-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696A true KR20090046696A (ko) 2009-05-11
KR101467791B1 KR101467791B1 (ko) 2014-12-03

Family

ID=4085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597A KR101467791B1 (ko) 2007-11-05 2008-10-31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85576B2 (ko)
KR (1) KR101467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16B1 (ko) * 2007-09-13 2015-06-24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KR101467791B1 (ko) * 2007-11-05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US9130712B2 (en) * 2008-02-29 2015-09-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hysical channel segmen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54983B2 (en) * 2008-03-25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he placement of rank information i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AU2010240406B2 (en) 2009-04-24 2014-08-21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US8537750B2 (en) * 2009-06-02 2013-09-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block size design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2687455B (zh) * 2010-01-08 2015-04-29 诺基亚通信公司 上行链路控制信息传输
CN102960038B (zh) * 2010-08-04 2015-10-14 日电(中国)有限公司 在单载波通信系统中的待发送信号
EP2806581B1 (en) * 2012-01-17 2016-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5058B2 (en) 2012-03-06 2015-12-15 Blackberry Limited Enhanced PHICH transmission for LTE-advanced
US9198181B2 (en) * 2012-03-19 2015-11-24 Blackberry Limited Enhanced common downlink control channels
EP2672393A1 (en) * 2012-06-04 2013-12-11 Dialog Semiconductor B.V. Circuit and methods to use an audio interface to program a device within an audio stream
US9591632B2 (en) * 2012-11-06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74097B2 (en) * 2012-12-03 2018-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port block siz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84638B1 (ko) 2013-01-11 2020-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송 지점 간 협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5144250A1 (en) 2014-03-28 2015-10-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tter and receiver devices and methods thereof
WO2019143229A1 (ko) * 2018-01-22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다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0331B1 (en) 2000-11-22 2007-01-2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urbo space-time trellis coding
US6827833B2 (en) 2001-10-15 2004-12-07 Faraday Technology Marketing Group, Llc Electrodeposition of metals in high-aspect ratio cavities using modulated reverse electric fields
JP4320446B2 (ja) 2003-07-18 2009-08-26 韓國電子通信研究院 無線携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資源割当方法及び装置
KR100684305B1 (ko) 2003-07-18 2007-0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667178B1 (ko) * 2003-12-02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및 억세스 방법
US7685495B2 (en) * 2005-05-12 2010-03-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interleaving in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27999A (ko) 2005-08-3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할당된 자원 수신 방법
KR100881967B1 (ko) * 2006-01-06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정보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7078146A1 (en) 2006-01-06 2007-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ing information in a single carrier fdma system
TW200733622A (en) 2006-01-17 2007-09-0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to a physical channel in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8031688B2 (en) * 2007-06-11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rtitioning of 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KR101467791B1 (ko) * 2007-11-05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791B1 (ko) 2014-12-03
US9794045B2 (en) 2017-10-17
US8885576B2 (en) 2014-11-11
US20150036627A1 (en) 2015-02-05
US20100254331A1 (en)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91B1 (ko) 데이터 정보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방법
CA2794666C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plink signal
US8284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042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plex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KR101430490B1 (ko)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의 다중화 방법
US8379756B2 (en)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22463B1 (ko) 상향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상향링크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203209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139584A (ko) 코드블록 분할을 실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69598B1 (ko) 업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과 단말기, 코드 심볼 개수 확정 방법과 장치
JP201316550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インターリービング方法及び装置
KR101500258B1 (ko)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WO2009061122A2 (en)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Lee et al. Heo
KR101456003B1 (ko)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의 다중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