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504A -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 comprising capsiate, dihydrocapsidate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 comprising capsiate, dihydrocapsidate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504A
KR20090046504A KR1020070112704A KR20070112704A KR20090046504A KR 20090046504 A KR20090046504 A KR 20090046504A KR 1020070112704 A KR1020070112704 A KR 1020070112704A KR 20070112704 A KR20070112704 A KR 20070112704A KR 20090046504 A KR20090046504 A KR 2009004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iate
skin
expression
cells
cap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27806B1 (en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씨에스
신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씨에스, 신동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씨에스
Priority to KR102007011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806B1/en
Publication of KR2009004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시에이트(capsiate)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ihydrocapsiate)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활성, 염증 반응 억제 및 혈관신생 억제를 통해 자외선 차단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지녀 피부 질환 및 혈관 신생에 의한 질환에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 및 혈관 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use of capsiate or dihydrocapsiat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skin diseases comprising capate, dihydrocapt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e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ffect on skin diseases and angiogenesis due to the anti-UV, anti-aging effect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inflammatory response inhibition and angiogenesis inhibition.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improving diseases caused by skin diseases and angiogenesis.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염증성 질환, 자외선 차단효과, 피부노화, 예방, 치료 Capsate, Dehydrocapsate, Inflammatory disease, UV protection, Skin aging, Prevention, Treatment

Description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 comprising capsiate, dihydrocapsidate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 comprising capsiate, dihydrocapsidate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캡시에이트(capsiate)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ihydrocapsiate)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use of capsiate or dihydrocapsiat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skin diseases comprising capate, dihydrocapt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ement.

피부질환은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의 피부에서 나타나는 모든 이상소견을 말한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자외선, 물리 화학적자극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여러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유전, 염증, 양성 및 악성 종양, 호르몬, 외상, 퇴행변성 등의 병적 변화에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피부 질환이 유발된다.Skin disease is any abnormality that occurs in the skin of animals, including humans. Since the skin covers the surface of the body,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for direct contact with various stimuli or external pathogens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physicochemical stimuli, and are affected by the body. In addition, the skin disease is caused by various causes because it is affected by pathological changes such as heredity, inflammation, benign and malignant tumors, hormones, trauma, degenerative degeneration.

피부 질환의 원인 중의 하나인 자외선(UV)은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광 중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홍반, 색소침착, 주름 및 대부분의 피부암을 유발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주도하는 것은 반응성이 큰 활성 산소이며,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결국에는 탄력 감소, 주름 생성, 각질 비후, 콜라겐 분해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광노화(Scharffetter-Kochanek et al ., Exp Gerontol, 35(3):307-316, 2000) 또는 피부암(Hurza and Pentland, J Invest Dermatol, 100:35S-41S, 1993; Brenneisen P et al ., Ann NY Acad Sci 973:31-43, 2002; Wlascheck M et al ., J Phtochem Photobiol B 63:41-51, 2001)과 같은 피부질환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주로 작용하는 효소의 생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Ultraviolet (UV), one of the causes of skin diseases, is only a fraction of the sunlight that reaches the earth, but acts as a factor causing erythema, pigmentation, wrinkles and most skin cancers. It is the reactive free radical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damage to skin cells and tissues caused by UV rays, which destroy the antioxidant defenses made up of antioxidant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eventually leading to decreased elasticity, wrinkle formation, keratin thickening and collagen breakdown. Photoaging due to symptoms such as et al ., Exp Gerontol, 35 (3): 307-316, 2000) or skin cancer (Hurza and Pentland,J Invest Dermatol, 100: 35S-41S, 1993; Brenneisen Pet al ., Ann NY Acad Sci 973: 31-43, 2002; Wlascheck met al ., J Phtochem Photobiol B 63: 41-51, 2001). In order to prevent or treat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 capable of activating the production of enzymes mainly acting on the skin as well as in vivo.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피부 상피 내에 일련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 요인들로 인해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에 의한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이 일어나 가려움, 부종, 홍반, 벗겨짐, 발열, 통증 등과 같은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염증성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oic dermatitis) 및 여드름 등이 알려져 있다. Inflammatory skin disease is a complex series of physiological factors, including enzyme activation by various inflammation mediators and immune cells, secre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fluid infiltration, cell migration, and tissue destruction due to various stimulating factors causing a series of inflammatory reactions in the skin epithelium. A disease that causes a series of clinical signs and symptoms, such as itching, swelling, erythema, peeling, fever, and pain. Inflammatory skin diseases include atopic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seborrhoic dermatitis and acne.

그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일반적으로 습진(eczema)과 같은 의미로 쓰이는데 습진 모양의 피부병변으로서 내인성 습진 또는 베니에 양진이라고도 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은 현재까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유전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라는 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보통의 습진이나 피부염과는 달리 특이한 증세와 경과를 나타내는데 소아습진의 70∼80%가 이에 해당하며 최근 들어 성인에게서도 많이 발생한다. 접촉성 피부염은 외부의 물질에 접촉함으로써 일어나는 피부의 염증이다. 급성습진과 같은 증세를 띠지만, 외부에서 작용하는 특정의 물질에 대한 반응으로서 일어나는 점이 습진과는 다른 점이다. 지루성 피부염은 머리· 이마 ·겨드랑이 등 피지의 분비가 많은 부위에 잘 발생하는 피부염이며 지루성 습진이라고도 한다. 홍반과 가느다란 인설(비듬)이 많이 생기며 20~40대에서 많이 나타난다. 보통의 습진과 달리, 체질이나 피지분비 이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환으로서 햇빛이나 온열에 민감하고, 봄과 가을에 악화하는 일이 많으며, 재발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Among them, atopic dermatitis is generally used in the same sense as eczema (eczema), eczema-like skin lesions are also referred to as endogenous eczema or Benny yangjin. The cause of atopic dermatitis has not been identified to date and is known to have a genetic tendency, and now it is persuaded that it is a kind of autoimmune disease. Unlike normal eczema or dermatitis, it shows unusual symptoms and course, and 70 to 80% of pediatric eczema corresponds to this. Contact dermatitis is an inflammation of the skin caused by contact with an external substance. It has the same symptoms as acute eczema, but differs from eczema in that it occurs as a response to certain externally acting substances. Seborrheic dermatitis is a dermatitis that occurs well in areas with high secretion of sebum, such as the head, forehead, and armpits. It is also called seborrheic eczema. A lot of erythema and slender slits (dandruff) occur and appear in many 20s and 40s. Unlike ordinary eczema, the disease is caused by constitution or sebaceous abnormalities, sensitive to sunlight or heat, often worsening in spring and autumn, and easy to recur.

현재까지는 상기와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주로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부신피질호르몬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작용이 심한 경우도 많아 염증성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Until now, antihistamines, vitamin ointments, and corticosteroids have been mainly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However, these drugs have a temporary effect and most often have severe side effects.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new substances effective for inflammatory skin diseases.

한편, 캡시에이트(capsiate)는 캡사이신(capsaicin) 유사체의 일종으로 맵지 않은 고추 품종인 CH19 Sweet에서 주로 발견되는 캡사이시노이드(capsaicinoid)의 일종이다. 캡시에이트도 캡사이신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체지방 축적억제 등 캡사이신과 동등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맵지 않은 특성을 지녀 이의 기작에 대해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성과는 얻지 못한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capsiate is a kind of capsaicin (capsaicin) is a kind of capsaicinoid (capsaicinoid) mainly found in CH19 Sweet, a spicy pepper variety. Capsate also activates capsaicin receptors and exhibits the same efficacy as capsaicin, such as body fat accumulation inhibition. Howeve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ir mechanisms due to their non-spicy characteristics, but have not yet obtained specific results.

이에 본 발명자들은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 연구하던 중 이들이 염증반응의 억제 및 혈관신생의 억제와 같은 새로운 기능을 한다는 점을 발견하여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tudying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capsate and dihydrocapsate, found that they have new functions such as inhibition of inflammatory reactions and inhibition of angiogenesis, and thus include capsate or dehydrocapsat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velop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novel uses of capsates or dihydrocapsat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a capsate, dihydrocapsate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ate, dihydrocaptate or a salt thereof.

본 발명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는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tructures of Formulas 1 and 2, respectively, and can be separated and purified from nature, used commercially, or prepared by chemical synthesis methods known in the art.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1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1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2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2

바람직하게,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는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맵지 않은 고추 품종인 CH19 Sweet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는 유기용매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may be separated and purified from nature. More preferably, it can be separated and purified from CH19 Sweet which is not spicy pepper variety. 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racted by known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hromatograph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활성 산소군에 대해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활성 산소군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감소하였고, 이에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 참조).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capsate and dehydrocaptate on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group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oxygen group generat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decreased when 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was treated, and thus the capsate and the dihydrocapsate had an antioxidant effect (Example 1 Referen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및 TPA에 의한 COX-2 발현, 자외선에 의한 MMP-1 발현, 자외선에 의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8 및 TNF-α의 발현, 자외선에 의한 신생혈관 생성 물질인 VEGF, MMP-2 및 MMP-9의 발현에 대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자외선의 조사 또는 TP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COX-2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1,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8 및 TNF-α의 발현 및 신생혈관 생성 물질인 VEGF, MMP-2 및 MMP-9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이에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 반응 및 이로 인한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참조).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of COX-2 by UV and TPA, MMP-1 expression by UV, expression of IL-6, IL-8 and TNF-α, which are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UV, The inhibitory effect of capsate or dehydrocaptate was examined on the expression of VEGF, MMP-2 and MMP-9. As a result, the capsate or dehydrocapsat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OX-2 whose expression was increased by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or TPA, MMP-1, IL-6, a pro-inflammatory cytokine by ultraviolet irradiation.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IL-8 and TNF-α and the expression of angiogenesis products, VEGF, MMP-2 and MMP-9, and the capsate or dehydrocaptate was induced by UV irradiation for inflammatory respons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formation of blood vessels (see Examples 2 to 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물모델에서 자외선에 의한 염증반응 및 피부손상, 자외선에 의한 COX-2 발현, 자외선에 의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TNF-α의 발현 및 자외선에 의한 신생혈관 생성물질인 Ki67, PECAM-1, ICAM-1, VEGF, MMP-2 및 MMP-9의 발현 및 자외선에 의한 홍반에 대해 캡시에이트의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캡시에이트가 자외선에 의한 염증반응, 피부손상 및 홍반 현상을 완화하였으며, 발현이 증가된 COX-2,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TNF-α, 신생혈관 생성물질인 Ki67, PECAM-1, ICAM-1, VEGF, MMP-2 및 MMP-9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이에 캡시에이트가 in vivo 상에서도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 반응 및 이로 인한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5 내지 실시예 9 참조).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skin damage by UV light, COX-2 expression by UV light, IL-6 and TNF-α, which are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UV light, The inhibitory effect of capsate on the expression of angiogenesis products, Ki67, PECAM-1, ICAM-1, VEGF, MMP-2 and MMP-9 and erythema by UV light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capsate mitigates the inflammatory reaction, skin damage and erythema caused by ultraviolet light, COX-2 with increased expression, IL-6 and TNF-α as pro-inflammatory cytokines, Ki67 as an angiogenesis product.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PECAM-1, ICAM-1, VEGF, MMP-2 and MMP-9, and thus the capsate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neovascularization cau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even in vivo It was found (see Examples 5 to 9).

따라서, 본 발명은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including captate, dihydrocaptate or salts thereof.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그 자체 또는 염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apate or dihydrocaptate in itself or in the form of a salt. As the salt, an acid addition salt formed by free acid is preferable. The free acid may be an organic acid or an inorganic acid. The organic acid is not limited thereto, citric acid, acetic acid, lactic acid, tartar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form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trifluoroacetic acid, benzoic acid, gluconic acid, metasulfonic acid, glycolic acid, succinic acid, 4-toluenesulfonic acid, Glutaric acid and aspartic acid. In addition, the inorganic aci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hydrochloric acid, bromic acid,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숀제 및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콜, 프로필 렌 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 알콜 및 유동 파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liquid or solid form using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Cosmetics in liquid or solid form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cosmetics, creams, lotions, baths and the like. At this time,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water, alcohols, propylene glycol, stearic acid, glycerol, cetyl alcohol, liquid paraffin,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기능성화장품 조성물(자와선 차단제, 주름개선제)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basic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s, creams, essences, cleansing foams and cleansing water, containing 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 dermatologically acceptable excipients, Pack, body oil), color cosmetic composition (foundation, lipstick, mascara, makeup base), hair product composition (shampoo, rinse, hair conditioner, hair gel),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harity blocker, wrinkle improver) and soap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The excipi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mollients, skin penetration enhancers, colorants, fragrances, emulsifiers, thickeners and solvents. In addition, fragrances, pigments, fungicid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and moisturizing ag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may include thickeners, inorganic salts, synthetic polymer materials and the lik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operties.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포함하는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 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preparing the face wash and soap containing the capate or dihydrocaps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prepared by adding capate or dihydrocaptate to the usual face wash and soap base. . When the cream is prepared,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a capate or a dehydrocaptate to a general oil-in-water (O / W) cream base. To this, fragrances, chelating agents, pigments, antioxidants, preservatives and the like, or synthetic or cloth burning materials such as proteins, minerals and vitamin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may be added.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captate or dihydrocaptate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ined in a range of 0.0001 to 50% by weight, preferably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방지 효과가 탁월하여, 자외선 자체 또는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반응으로 인한 피부 손상에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에 의한 또는 염증에 의한 다양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매우 유용하며, 항산화 효과로 인해 화장품 자체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품질을 유지하는데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and is effective in skin damage due to ultraviolet rays itself or an inflammatory reaction caused by ultraviolet rays. More specifically, it is very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various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or inflammation, and can also be very useful for maintaining the quality by preventing oxidation of the cosmetics themselves due to the antioxidant effect.

상기 피부질환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광노화, 기미, 주근깨, 잡티, 피부건조증, 피부 주름, 일광화상, 광각화증, 피부암 및 지루성각화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자외선 유해효과차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피부 염증, 급·만성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단순태선, 간찰진, 박탈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건선, 일광 피부염 및 여드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kin disease refers to a skin disease or inflammatory skin disease caused by ultraviolet rays. The skin disease caused by ultraviolet rays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photoaging, blemishes, freckles, blemishes, dry skin, skin wrinkles, sunburn, photokeratosis, skin cancer, and seborrheic keratosis. Can be. In addition, the 'inflammatory skin disease' is not limited to this, skin irritation, acute and chronic eczema, contact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chronic simple mammary glands, interrogation, deprivation dermatitis, papular urticaria, psoriasis, Sun dermatitis, acne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생혈관 생성 유도물질인 VEGF에 의해 유도되는 내피세포의 증식에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내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고, 이러한 효과가 세포독성에 의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참조).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capsate or dehydrocapsate on the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induced by VEGF, an angiogenesis inducer, was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captate and dehydrocaptate endothelial cells, and this effect was not due to cytotoxicity (see Example 10).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피세포의 증식억제의 기작을 세포 주기의 변화 및 사이클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G1기에서 S기로의 전이를 사이클린 D1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세포 주기의 진행을 저해하여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1 참조).Thu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chanism of inhibition of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was confirmed by analyzing changes in cell cycle and expression of cyclin protei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cyclin D1 in the transition from the G1 phase to the S phase, the capsate and the dihydrocaptate inhibit the progression of the cell cycle to inhibit proliferation (see Example 1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VEGF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전이 및 튜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VEGF를 처리하는 경우 화학주성 이동성 및 튜브 형성이 증가하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이들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2 참조).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e effect on VEGF-induced endothelial cell metastasis and tube form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emotactic mobility and tube formation increased when VEGF was treated, but decreased when treated with captate or dehydrocaptate (see Example 1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VEGF에 의해 유도된 내피 투과성 및 VE-캐드헤린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VE-캐드헤린의 티로신 인산화를 저해하여 VEGF에 의해 유도된 상피 투 과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3 참조).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VE-cadherin and endothelial permeability induced by VEG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apsate and dihydrocapsate inhibited VEGF-induced epithelial permeability by inhibiting tyrosine phosphorylation of VE-cadherin (see Example 1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에서는 VEGF에 의해 유도되는 내피세포의 신생혈관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되는 대동맥환의 발아, 매트리젤 플러그 내의 혈관생성, 내피세포의 형성을 억제하여 VEGF에 의해 유도되는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4 참조).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e effect on the neovascularization of endothelial cells induced by VEG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apsate and dehydrocaptate inhibited VEGF-induced neovascularization by inhibiting germination of aortic rings, angiogenesis in matrigel plugs, and endothelial cell formation. See Example 14).

따라서, 본 발명은 캡시에이트,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의 목적으로 화장품의 형태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comprising capsate, dihydrocaps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in the form of cosmetic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invention,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Example 1>  1>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세포내Intracellular 활성산소군(intracelluar ROS)에To free radicals (intracelluar ROS)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1-1> <1-1> 캡시에이트의Captain's 세포내Intracellular 활성산소군 억제 효과 Reactive Oxygen Group Inhibitory Effect

인간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독일 Cancer Research의 N. Fusenig 교수로부터 기증받음)를 60mm의 배양접시에 5 x 105 개수의 세포(100 mm의 배양접시의 경우 1 x 106 개수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HaCaT cells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donated by Professor N. Fusenig of Cancer Research, Germany) in 5 x 10 5 cells (1 x 10 for a 100 mm culture dish) 6 cells), and then incubat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or 24 hours.

배양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50 μM 농도로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하였다. 활성산소군(ROS, reactive oxygen species)을 유발하기 위하여 자외선 램프 (FSX 24 T12/UVB/HO, pansolTM USA )를 이용하여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2 시간 더 배양하였다. 여기에 DCFH-DA(2,7-dichlorofliuorescin diacetate)를 25μM의 농도로 HBSS(hank's balanceed salt solution, BioWhittaker, CAMBREX, 미국) 완충액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수세하였다.After incubation, capsiate was treated at 50 μM for 30 minutes, and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using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UV lamps (FSX 24 T12 / UVB / HO, pansol TM ) to induc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USA)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f 100 J / m 2 .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capsid was treat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pretreatment concentration, followed by further incubation for 2 hours. Here, DCFH-DA (2,7-dichlorofliuorescin diacetate) was treated with HBSS (hank's balanceed salt solution, BioWhittaker, CAMBREX, USA) for 30 minutes at a concentration of 25 μM and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이렇게 처리한 세포를 형광현미경(Carl ZEISS, 미국)을 이용하여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ROS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그룹은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무처리군 - 자외선 및 캡시에이트(capsiate) 모두 처리하지 않음; 실험군 A - 자외선은 처리하지 않고 캡시에이트(capsiate)만 처리; 대조군 - 자외선만 처리함; 실험군 B - 각각 자외선 및 캡시에이트(capsiate) 처리(이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같다).The cells thus treated were measured for UV-induced ROS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Carl ZEISS, USA),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no treatment group-neither UV nor capsiate; Experimental group A-only treated with capsiate, not UV; Control group-only UV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B—Ultraviolet and capsiate treatments respectively (the same as in Examples 1 to 3 below).

그 결과, 도 1A에서 보듯이, 자외선 조사 전 캡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B) 자외선만을 조사한 경우(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ROS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여 캡시에이트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ROS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ROS를 억제하는 효과로 볼 때 캡시에이트가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A, the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O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treating the capsate before ultraviolet irradiation (experimental group B) only the ultraviolet rays (control group), and the capsate inhibits ROS induced by ultraviolet ray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effe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apsate has an antioxidant effect in view of the effect of inhibiting ROS induced by ultraviolet rays.

<1-2> <1-2>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Dehydrocapsate 세포내Intracellular 활성산소군 억제 효과 Reactive Oxygen Group Inhibitory Effect

캡시에이트 대신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ehydrocapsi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활성산소군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Except for the use of dehydrocapsiate (dehydrocapsiate) instead of the caps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was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group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그 결과, 도 1B에서 보듯이, 자외선 조사 전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B) 자외선만을 조사한 경우(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ROS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여 캡시에이트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ROS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ROS를 억제하는 효과로 볼 때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도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B, the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treatment with dehydrocaptate prior to ultraviolet irradiation (experimental group B) and the irradiation of only ultraviolet ray (control), so that the capsate was induced by ultraviolet ray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effect of inhibiting RO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ehydrocaptate also has an antioxidant effect in view of the effect of inhibiting ROS induced by ultraviolet rays.

<< 실시예Example 2> 2>

COXCOX -2 발현의 억제 효과 확인The inhibitory effect of -2 expression

<2-1> <2-1> 캡시에이트의Captain's 자외선에 의한  By ultraviolet COXCOX -2 발현 억제 효과-2 expression inhibition effect

인간 각질 세포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COX-2 발현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60 mm의 배양접시에 5 x 105 개수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siate on COX-2 expression by UV light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were inoculated with 5 x 10 5 cells in a 60 mm culture dish, followed by fetal calf serum. (fetal bovine serum) was incubated for 24 hours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medium containing 10%.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기아상태(starvation) 만들었다.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각의 농도(10μM, 25μM, 50μM)로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COX-2를 유발하기 위하여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16시간 더 배양하였다.After culturing, starvation was made by incubating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at each concentration (10 μM, 25 μM, 50 μM) for 30 minutes,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then COX-2 was induced. Ultraviolet rays of 100 J / m 2 were irradiated.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incubated for 16 hours by treating capsiate with pretreatment concentration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이렇게 배양된 세포에서의 COX-2 발현 정도를 알기 위하여 웨스턴 블럿(western blotting)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각각의 조건으로 처리된 시험그룹의 세포를 2 mM EDTA, 137 mM NaCl, 20 mM Tris-HCl (pH 8.0), 1 mM 바나듐산 나트륨(sodium vanadate), 10 mM NaF, 1 mM PMSF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1% 트리톤 X-100, 10% 글리세롤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a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들어있는 RIPA 완충액로 용해하여 10% 아크릴아마이드 겔(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SDS-PAGE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를 나일론 멤브레인에 옮긴 후 염소 항-COX-2 항체(goat anti COX-2 antibody, santacuz, 미국)와 이차 항체인 항-염소 IgG-HRP 결합 항체(anti-goat IgG Horse Radish Peroxidase conjugation antibody, 1;10000, zymed)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를 ECL (Amersham, 미국)을 이용하여 검출한 후 영상분석기인 RAS 3000 Imaging system (FUJI film, 일본)으로 형상화하였다.In order to know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in the cultured cells,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cells of the test group treated with each condition were treated with 2 mM EDTA, 137 mM NaCl, 20 mM Tris-HCl (pH 8.0), 1 mM sodium vanadate, 10 mM NaF, and 1 mM PMSF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Protein was dissolved in RIPA buffer containing 1% Triton X-100, 10% Glycerol and a protease inhibitor cocktail and separated by SDS-PAGE electrophoresis using a 10% acrylamide gel. It was. It was transferred to a nylon membrane, followed by goat anti-COX-2 antibody (goat anti COX-2 antibody, santacuz, USA) and secondary antibody, anti-goat IgG Horse Radish Peroxidase conjugation antibody, 1; 10000, zymed) was used to isolate the desired protein. This was detected using ECL (Amersham, USA) and then imaged using an image analyzer RAS 3000 Imaging system (FUJI film, Japan).

그 결과, 도 2A에서 보듯이, 대조군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COX-2 발현이 증가하고, 이렇게 증가된 COX-2 발현이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A, in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COX-2 was increased by UV irradiation, and the increased COX-2 expression was confirmed to decreas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2-2> <2-2> COXCOX -2 발현 억제 기작 확인-2 confirm the mechanism of suppression of expression

인간 각질 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COX-2 발현을 캡시에이트(capsiate)가 억제함에 있어 어떠한 세포내 경로를 조절하여 COX-2 발현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MAPK 신호전달과정(signaling)과 전사(transcription factor) 조절인자인 NF-kB 신호전달과정(signaling)을 조사해 보았다.MAPK signaling and transcription to control which intracellular pathways inhibit COX-2 expression in capsiate inhibition of COX-2 expression induced by UV irradiation in human keratinocytes. We investigated the transcription factor NF-kB signaling.

MAPKs는 세포내 염증 반응(inflammation)이나 세포사멸(apoptosis) 및 암화(carcinogenesis) 등의 과정에 주로 관련되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손상과도 관련되어 있다(Peus D, Vasa RA, Beyerle A, Meves A, Krautmacher C, Pittelkow MR. UVB activates ERK1/2 and p38 signaling pathways via reactive oxygen species in cultured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999;112:7516). 또한 전사인자인 NF-kB도 세포 염증반응 등과 관련되어 발현되는 COX-2를 포함한 각종 세포내 인자들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Paik J, Lee JY, Hwang D. Signaling pathways for TNFa-induced COX-2 expression: mediation through MAP kinases and NFkB, and inhibition by certai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dv Exp Med Biol 2002; 507: 503-508.).MAPKs are mainly involved in the processes of intraflammation, apoptosis and carcinogenesis, as well as cell damage induced by UV irradiation (Peus D, Vasa RA, Beyerle A). , Meves A, Krautmacher C, Pittelkow MR.UVB activates ERK1 / 2 and p38 signaling pathways via reactive oxygen species in cultured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999; 112: 7516). The transcription factor NF-kB also plays a role in regulating various intracellular factors, including COX-2, which is expressed in response to cellular inflammatory responses (Paik J, Lee JY, Hwang D. Signaling pathways for TNFa-induced COX-). 2 expression:. mediation through MAP kinases and NFkB, and inhibition by certai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dv Exp Med Biol 2002; 507: 503-508.).

이에 캡시에이트(capsiate)에 의해 조절되는 COX-2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내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자외선 조사 전 캡시에이트(capsiate)를 농도별로(10μM, 25μM 및 50μM) 처리한 후 자외선 조사 30분 후 각각 토끼 항-ERK 항체, 토끼 항-p-ERK 항체, 토끼 항-p38 항체, 토끼 항-p-p38 항체, 토끼 항-JNK 항체 및 토끼 항-p-JNK 항체(cell signaling)와 2차 항체로 항-토끼 IgG-HRP 결합 항체(zymed)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웨스턴 블럿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racellular factors affecting COX-2 expression regulated by capsiate, capsiate was treated by concentration (10 μM, 25 μM and 50 μM) before UV irradiation for 30 minutes. Secondary with rabbit anti-ERK antibody, rabbit anti-p-ERK antibody, rabbit anti-p38 antibody, rabbit anti-p-p38 antibody, rabbit anti-JNK antibody and rabbit anti-p-JNK antibody (cell signaling), respectively Western blo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an anti-rabbit IgG-HRP binding antibody (zymed) was used as the antibody.

그 결과, 도 2B에서 보듯이, p38 및 JNK는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에 비해 ERK의 인산화(phosphorylation)가 캡시에이트(capsiate)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2B, p38 and JNK was confirmed that the phosphorylation of the ERK (capsilate) is suppressed by the capsitite (capsiate) compared with no change.

<2-3> <2-3> COXCOX -2 발현 억제 기작 확인-2 confirm the mechanism of suppression of expression

전사조절 인자인 NF-kB의 활성화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immunocytochmistry staining)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order to examine the activation of the transcriptional regulator NF-kB,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using HaCaT cells, which are human keratinocyte lines, in the following manner.

14 mm의 배양 슬라이드에 세포를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기아상태로 만들었다(starvation).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25μM 농도로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4시간 더 배양한 후 세포를 메탄올로 5분간 고정하고,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After inoculating the cells on a 14 mm culture slide,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starved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starvation). Thereafter, capsiate was treated at 25 μM for 30 minutes, and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irradiated with 100 J / m 2 UV.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treated with capsiate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pretreatment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followed by incubation for 4 hours, and the cells were fixed with methanol for 5 minutes.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이렇게 고정된 세포를 10% 정상 염소 혈청(normal goat serum)을 이용하여 블로킹(blocking)한 후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수세하였다. 여기에 토끼 항NF-kB 항체(santacruz, 미국)와 Alexa 488이 부착된 항-토끼 IgG 이차 항체(invitrogen, 미국)를 이용하여 NF-kB를 형광 염색한 후 hoechst(Sigma St. Louis, MO)로 대비 염색(counter staining)하였다.The fixed cells were blocked with 10% normal goat serum and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Hoechst (Sigma St. Louis, Mo.), followed by fluorescent staining of NF-kB using a rabbit anti-NF-kB antibody (santacruz, USA) and an anti-rabbit IgG secondary antibody (invitrogen, USA) attached to Alexa 488. Counter staining was performed.

그 결과, 도 2C에서 보듯이, NF-kB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활성화되어 핵내로 이동한 것에 비해 자외선 조사전 캡시에이트를 처리한 실험군 B에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 또는 캡시에이트만 처리한 실험군 A과 같이 NF-kB가 세포질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NF-kB의 핵 내 이동을 캡시에이트가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C, NF-kB was activat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moved into the nucleus, whereas in experimental group B treated with capsate before ultraviolet irradiation, only the untreated group or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no capsid was treated. As shown by A, the presence of NF-kB in the cytoplasm shows that Capsate inhibits nuclear migration of NF-kB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2-4> <2-4>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Dehydrocapsate 자외선에 의한  By ultraviolet COXCOX -2 발현 억제 효과-2 expression inhibition effect

인간 각질 세포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COX-2 발현에 대한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캡시에이트 대신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COX-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dihydrocapsate was used instead of capsate to examine the effect of dehydrocapsate on the expression of COX-2 by ultraviolet light in human keratinocytes. To determine the effect on COX-2 expression.

그 결과, 도 2D에서 보듯이, 대조군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COX-2 발현이 증가하고, 이렇게 증가된 COX-2 발현이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한 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D, in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COX-2 was increased by UV irradiation, and the increased COX-2 expression was confirmed to decreas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fter treatment with dihydrocaptate.

<2-5> <2-5> 캡시에이트의Captain's TPATPA 에 의한 On by COXCOX -2 발현 억제 효과-2 expression inhibition effect

인간 각질형성세포주(HaCaT)에서의 TP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에 의한 COX-2 발현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60 mm의 배양접시에 5 x 105 개수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siate on COX-2 expression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TPA) in human keratinocyte line (HaCaT), HaCaT cells were cultured in a 60 mm culture dish in a 5 x 10 mm dish. After inoculating 5 cells,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기아상태(starvation) 만들었다.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각의 농도(10μM, 25μM, 50μM)로 30분간 처리한 후, COX-2를 유발하기 위하여 TPA를 80u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세포를 이후 6시간 더 배양하였다.After culturing, starvation was made by incubating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Capsiate was then treated for 30 minutes at each concentration (10 μM, 25 μM, 50 μM), and then TPA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80 uM to induce COX-2. The cells so treated were then incubated for another 6 hours.

이렇게 배양된 세포에서의 COX-2 발현 정도를 알기 위하여 웨스턴 블럿(western blotting)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각각의 조건으로 처리 된 시험그룹의 세포를 2 mM EDTA, 137 mM NaCl, 20 mM Tris-HCl (pH 8.0), 1 mM 바나듐산 나트륨(sodium vanadate), 10 mM NaF, 1 mM PMSF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1% 트리톤 X-100, 10% 글리세롤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들어있는 RIPA 완충액로 용해하여 10% 아크릴아마이드 겔(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SDS-PAGE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를 나일론 멤브레인에 옮긴 후 염소 항-COX-2 항체(goat anti COX-2 antibody, santacuz, 미국)와 이차 항체인 항-염소 IgG-HRP 결합 항체(anti-goat IgG Horse Radish Peroxidase conjugation antibody, 1;10000, zymed)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를 ECL (Amersham, 미국)을 이용하여 검출한 후 영상분석기인 RAS 3000 Imaging system (FUJI film, 일본)으로 형상화하였다.In order to know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in the cultured cells,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cells of the test group treated with each condition were treated with 2 mM EDTA, 137 mM NaCl, 20 mM Tris-HCl (pH 8.0), 1 mM sodium vanadate, 10 mM NaF, and 1 mM PMSF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Proteins were dissolved in RIPA buffer containing 1% Triton X-100, 10% Glycerol and protease inhibitor cocktail and separated by SDS-PAGE electrophoresis using 10% acrylamide gel. . It was transferred to a nylon membrane, followed by goat anti-COX-2 antibody (goat anti COX-2 antibody, santacuz, USA) and secondary antibody, anti-goat IgG Horse Radish Peroxidase conjugation antibody, 1; 10000, zymed) was used to isolate the desired protein. This was detected using ECL (Amersham, USA) and then imaged using an image analyzer RAS 3000 Imaging system (FUJI film, Japan).

그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대조군에서는 TPA처리에 의해 COX-2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TPA에 의해 증가된 COX-2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 in the control group, COX-2 expression was increased by TPA treatment,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capsi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X-2 expression increased by TPA was decreased.

<< 실시예Example 3>  3>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MMPMMP -1 발현 억제 효과-1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자외선을 조사하면 피부조직에서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이 증가되고 이는 피부 노화를 매개한다. 이러한 작용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알아보 고자 HaCaT 세포 및 인간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Ultraviolet irradiation increases MMP-1, a collagen degrading enzyme in skin tissue, which mediates skin aging.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siate on this action,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HaCaT cells and human fibroblasts.

HaCaT 세포 및 인간 섬유아 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100 mm의 배양접시에 1 x 106 개수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기아상태로 만들었다(starvation).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각의 농도로(10μM ,25μM ,50μM)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을 유발하기 위하여 HaCaT 과 인간 섬유아세포에 각각 100 J/m2 와 2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48시간 더 배양하였다. HaCaT cells and human normal fibroblasts were inoculated to 1 x 10 6 cells in a 100 mm dish, followed by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medium) and incubated for 24 hours in medium.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starved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at each concentration (10 μM, 25 μM, 50 μM) for 30 minutes,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HaCaT and human were used to induce collagen degrading enzyme MMP-1. Fibroblasts were irradiated with UV at 100 J / m 2 and 200 J / m 2 ,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treated with capsiate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pretreatment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and incubated for 48 hours.

배양 후 피부노화에 영향을 주는 효소에 대한 억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피부에서 유도되는 MMP-1의 mRNA 발현정도를 RT-PCR로 알아보았다. 각 실험군의 세포에서 트리졸(trizol, 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한 후, 이를 주형으로 PCR(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을 실시하여 각 실험군의 cDNA를 제조하였다. 만들어진 각각의 cDNA를 주형으로 상용의 MMP-1 프라이머(Quiagen, 미국) 및 실시간 PCR(Roter Gene 6000 series, Corbett Reserch, Aus)을 이용하여 MMP-1의 mRNA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내 MMP-1의 mRNA 발현정도는 무처리군에 대비하여 그 발현 정도를 나타내었다.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inhibition of enzymes affecting skin aging after culture, RT-PCR was used to determine the mRNA expression of MMP-1 induced in the skin by UV irradiation. RNA was extracted from the cells of each experimental group using trizol (trizol, Invitrogen, USA), and PCR (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 was used as a template to prepare cDNA of each experimental group.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1 was measur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MP-1 primers (Quiagen, USA) and real-time PCR (Roter Gene 6000 series, Corbett Reserch, Aus) as template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1 in the cell was expressed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그 결과, 도 4에서 보듯이, 실험 결과, HaCaT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대조군) MMP-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MMP-1의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캡시에이트(capsiate)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4,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MMP-1 increased when irradiated with HaCaT cells (control). In contra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capsiate, the expression of MMP-1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capsiate.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capsiate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MMP-1, a collagen degrading enzyme increa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 실시예Example 4> 4>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UV irradiation ( propro -- inflammatoryinflammatory cytokinecytokine ) 증가에 대한 캡시에이트(Caption for increase capsiate)의capsiate)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자외선을 조사하면 피부조직에서 IL-6(interleukin-6), IL-8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등의 사이토카인이 증가되어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이러한 작용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인간 각질세포주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increases cytokines such as IL-6 (interleukin-6), IL-8, and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which mediate inflammatory respons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siate on this action, human keratinocyte lines were tested as follows.

HaCaT 세포를 100 mm의 배양접시에 1 x 106 개수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기아상태로 만들었다(starvation).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각의 농도로(10μM ,25μM ,50μM)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사이토카인(cytokine)을 유발하기 위하여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4 시간 더 배양하였다. HaCaT cells were inoculated to 1 x 10 6 cells in a 100 mm culture dish, and then 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or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starved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at each concentration (10 μM, 25 μM, 50 μM) for 30 minutes,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100 J / m 2 to induce cytokines. UV light was irradiated.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incubat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with capsiate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pretreatment concentration for 4 hours.

배양 후 염증반응에 영향을 주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억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피부에서 주로 유도되는 IL-6, IL-8 및 TNF-α의 mRNA 발현정도를 RT-PCR로 알아보았다. MRNA level of IL-6, IL-8 and TNF-α induced mainly in the skin by UV irradiation to measure the degree of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ffec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after culture Was determined by RT-PCR.

각 실험군의 세포에서 트리졸(trizol, 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한 후, 이를 주형으로 PCR(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을 실시하여 각 실험군의 cDNA를 제조하였다. 만들어진 각각의 cDNA를 주형으로 상용의 IL-6, IL-8 및 TNF-α 프라이머 및 실시간 PCR(Roter Gene 6000 series, Corbett Reserch, Aus)을 이용하여 IL-6, IL-8 그리고 TNF-α의 mRNA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정도는 무처리군에 대비하여 그 발현 정도를 나타내었다.RNA was extracted from the cells of each experimental group using trizol (trizol, Invitrogen, USA), and PCR (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 was used as a template to prepare cDNA of each experimental group. Using each of the cDNAs as a template, commercial IL-6, IL-8 and TNF-α primers and real-time PCR (Roter Gene 6000 series, Corbett Reserch, Aus) were used to determine IL-6, IL-8 and TNF-α. mRNA expression level was measur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intracellular pro-inflammatory cytokines was expressed in comparison to the untreated group.

그 결과, 도 5에서 보듯이, 실험 결과, 인간 각질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대조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8 및 TNF-α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실험군 B에서는 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IL-6, IL-8 및 TNF-α의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캡시에이트(capsiate)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IL-6, IL-8 및 TNF-α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5,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IL-8 and TNF-α when exposed to the ultraviolet keratinocytes (control). On the contrary, in experimental group B treated with capsiate, the expression of IL-6, IL-8 and TNF-α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capsiat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capsiate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IL-6, IL-8 and TNF-α increa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 실시예Example 5> 5>

자외선에 의한 혈관생성 유도 물질(UV-induced angiogenesis substances ( angiogenesisangiogenesis factorfactor ) 발현에 대한 For expression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5-1> <5-1> VEGFVEGF 발현에 대한  About manifestation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염증 반응(inflammatory response)이 일어나면 혈관이 확장되고 피부가 붉어지며(erythema), 계속된 잦은 염증반응은 암화(carcinogenesis)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암화과정 중에 가장 뚜렷히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신생혈관생성과정(angiogenesis)으로 암세포가 자라기 위한 필수적 과정이다(Fukuda R, Kelly B, Semenza G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ene expression in colon cancer cells exposed to prostaglandin E2 is mediated by hypoxia-inducible factor 1. Cancer Res 2003; 63: 23304). 또한 염증과정 중에서도 염증 세포들의 침윤(infiltration)이 일어나고 각종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세포 이전(cell migration) 또는 세포 분아(cell proliferation)가 진행되고 이와 관련하여 신생혈관 생성물질들의 분비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련의 반응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생혈관 생성물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When an inflammatory response occurs, the blood vessels dilate and the skin becomes red (erythema), and subsequent frequent inflammatory reactions lead to carcinogenes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henomena of these cancers is angiogenesis, which is an essential process for cancer cells to grow (Fukuda R, Kelly B, Semenza G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ene expression in colon cancer cells exposed to prostaglandin E2). is mediated by hypoxia-inducible factor 1. Cancer Res 2003; 63: 23304). In addition, during the inflammatory process,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occurs and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causes cell migration or cell proliferation, which leads to the release of neovascular products. do.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siate on this series of reactions, an angiogenesis product was analyzed.

우선 캡시에이트(capsiate)의 신생혈관 생성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해 대표적인 세포내 혈관생성 유도물질인 VEGF(vescular edotheilal growth factor)의 발현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억제능을 면역 염색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capsiate to inhibit angiogenesis, an immunostain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capsiate's inhibition of expression of VEGF (vescular edotheilal growth factor), which is a representative intracellular angiogenesis inducer.

VEGF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CaT 세포를 14mm의 배양 슬라이드에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기아상태로 만들었다(starvation).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25μM 농도로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 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24시간 더 배양한 후 세포를 메탄올로 5분간 고정한 후 상기 실시예 <2-3>에서와 같이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이 때, VEGF 검출을 위하여 토끼 항-VEGF IgG 항체(santacruz. USA)와 Alexa 488이 부착된 항 토끼-IgG 이차 항체(Invitrogen, 미국)를 이용하였다.To determine the effect on VEGF, HaCaT cells were seeded on 14 mm culture slides, and then 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or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starved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starvation). Thereafter, capsiate was treated at 25 μM for 30 minutes, and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irradiated with 100 J / m 2 UV.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treated with capsiate to the pretreatment concentration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followed by incubation for 24 hours, and the cells were fixed with methanol for 5 minutes.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as in Example <2-3>. At this time, a rabbit anti-VEGF IgG antibody (santacruz. USA) and an anti rabbit-IgG secondary antibody (Invitrogen, USA) attached with Alexa 488 were used for VEGF detection.

그 결과, 도 6A에서 보듯이,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에서는 VEGF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캡시에이트를 추가로 처리한 실험군 B에서는 VEGF의 발현이 감소하여 캡시에이트(capsiate)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질 내의 VEGF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A, the expression of VEGF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irradiated only with ultraviolet rays,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B further treated with capsid, the expression of VEGF was decreased so that the capsiate was induced by UV irradiation. Inhibition of expression of VEGF in the body was seen.

<5-2> <5-2> MMPMMP -2 및 -2 and MMPMMP -9에 대한 For -9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MMPs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인나아제로써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며 또한 자외선 등에 의해서 세포내에서 신생혈관이 유도 될 때 발현되어지는 대표적인 신생혈관 관련 물질이다(Mantena SK, Meeran SM, Elmets CA, Katuyar,SK. Orally administered green tea polyphenils prevent ultraviolet radiation induced skin cancer in mice through cativation of T cells and inhibition of angiogenesis in tumors. J nutr 2005: 135:2871-7).MMPs are matrix metalloproteinases that are induced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re representative of neovascularized substances expressed during the induction of neovascularization in cells by ultraviolet light (Mantena SK, Meeran SM, Elmets CA, Orally administered green tea polyphenils prevent ultraviolet radiation induced skin cancer in mice through cativation of T cells and inhibition of angiogenesis in tumors.J nutr 2005: 135: 2871-7).

이에 신생혈관형성을 유도하는 MMP-2와 MMP-9의 발현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억제능을 실시간 PCR을 이용한 mRNA 발현량과 자이모그래 피(zymorgraphy)를 이용한 단백질의 발현 및 활성 측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In this regard, the inhibition of capsiate on the expression of MMP-2 and MMP-9, which induce angiogenesis, was measured by mRNA expression using real-time PCR and protein expression and activity using zymorgraphy. I found out.

MMP의 발현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60 mm의 배양접시에 5 x 105 개의 양으로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 시간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기아상태로 만들었다(starvation).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각의 농도로(10μM, 25μM, 50μM)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하여 36시간 더 배양한 후 세포내 MMP-2와 9 의 mRNA 발현량을 상기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간 PCR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 때, MMP의 mRNA 발현정도는 무처리군에 비교하여 그 발현정도를 나타내었고 실험군은 아래와 같다.In order to determine the capsiate inhibition of MMP expression, HaCaT cells were inoculated in 5 x 10 5 doses in a 60 mm culture dish, followed by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as incubated for 24 hours. After 24 hours of culture, starvation was performed by incubating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Thereafter, capsiate was treated at each concentration (10 μM, 25 μM, 50 μM) for 30 minutes, and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irradiated with 100 J / m 2 UV.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again with phosphate buffer and treated with capsiate at the pretreatment concentration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followed by incubation for 36 hours, followed by intracellular MMP-2 and 9 mRNA. Expression levels were examined using real-time PC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At this time,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 was expressed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s as follows.

그 결과, 도 6B에서 보듯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MMP의 mRNA 발현정도를 측정해본 결과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군에 비해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B의 경우 MMP-2 와 MMP-9의 발현량 감소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캡시에이트(capsiate)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MMP-2와 9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B,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 induced by ultraviolet rays was measured. As a result, MMP-2 and MMP were treated in the case of experimental group B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nly.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9 was seen. Thus, capsiate appears to inhibit mRNA expression of MMP-2 and 9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5-3> <5-3> MMPMMP -2 및 -2 and MMPMMP -9에 대한 For -9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이와 같은 결과와 관련하여 단백질 단계에서의 발현량 감소와 그에 의한 MMP-2와 MMP-9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이모그래피(zymorgraphy)를 실시하였다.In relation to these results, zymorgraph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level reduction and the activity of MMP-2 and MMP-9 at the protein level.

HaCaT 세포를 60 mm의 배양접시에 5 x 105 개의 양으로 접종한 후,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기아상태로 만들었다(starvation). 그 후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각의 농도로(10μM, 25μM, 50μM)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3회 수세한 다음 100 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우태아 혈청이 1% 포함된 DMEM 배지에 캡시에이트(capsiate)를 전처리 농도와 같게 처리한 후 36시간 더 배양하였다. 각 세포의 배양배지를 채취하여 세포에서 배지내로 분비되어진 MMP-2와 MMP-9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시 같은 세포수에서 얻은 같은 양의 배지를 모두 동일한 양으로 농축하였으며 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4°C를 유지하였다.HaCaT cells were inoculated in 5 x 10 5 volumes in a 60 mm culture dish, and then 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or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starved for 24 hours in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Thereafter, capsiate was treated at each concentration (10 μM, 25 μM, 50 μM) for 30 minutes, and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irradiated with 100 J / m 2 UV. Immediately after UV irradiation, the cells were washed with phosphate buffer again, and treated with capsiate in the DMEM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the pretreatment concentration, followed by further incubation for 36 hours. The culture medium of each cell was harvested and the activity of MMP-2 and MMP-9 protein secreted into the medium was measured.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e same amount of medium obtained from the same cell number was all concentrated in the same amount and maintained at 4 ° C. in order not to affect the protein activity.

준비한 시료를 젤라틴(gelatin)을 함유하고, SDS가 첨가되지 않은 7.5% 아크릴아마이드 겔(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4°C에서 전기영동 한 후 리내춰링 버퍼(renaturing buffer, 50mM TrisHCl, pH 7.4, 2.5% (v/v) Triton X-100)로 30분 동안 수세한 후 37°C 항온조에서 자이모그램 인큐베이션 버퍼(zymogram incubation buffer, 50mM TrisHCl, pH 7.6, 50mM NaCl, 10mM CaCl2, 0.05% Brij35)에 넣어 둔 채 16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시킨 겔을 0.1% 코마지 염색을 실시하여 MMP-2와 MMP-9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repared samples were electrophoresed at 4 ° C using a 7.5% acrylamide gel containing gelatin and no SDS, followed by reconditioning buffer (50 mM TrisHCl, pH 7.4, 2.5). % (v / v) Triton X-100) for 30 minutes followed by zymogram incubation buffer (50 mM TrisHCl, pH 7.6, 50 mM NaCl, 10 mM CaCl 2 , 0.05% Brij35) in a 37 ° C thermostat.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at least 16 hours while being kept in the flask. The reacted gels were then stained with 0.1% corgi to measure the activity of MMP-2 and MMP-9.

그 결과, 도 6C에서 보듯이, 자외선에 노출된 세포의 배지에서 pro MMP-2와 MMP-2 그리고 MMP-9의 발현이 현격히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비해 자외선 조사 전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실험군 B의 배지에서는 pro MMP-2와 MMP-2 그리고 MMP-9의 발현 및 활성이 억제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6C,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pro MMP-2, MMP-2 and MMP-9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edium of the cell exposed to ultraviolet rays, compared with the capsiate before ultraviolet irradiation In the medium of the experimental group B treated with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pro MMP-2 and MMP-2 and MMP-9 was observed.

이러한 결과를 통해 캡시에이트(capsiate)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MMP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캡시에이트(capsiate)는 염증반응에서 유래되는 혈관생성 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se results confirm that capsiate significantly reduces the expression of MMP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Capsiate has an excellent effect on inhibiting angiogenesis derived from an inflammatory response.

<< 실시예Example 6> 6>

동물모델에서의 자외선에 대한 UV radiation in animal models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효과 effect

인간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한 시험관 세포내 실험을 동물모델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털이 없는 생쥐(hairless mouse, SKH-1)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아래과 같다: 무처리군 - 자외선은 조사하지 않고 아세톤(acetone)만 처리함; 실험군 A - 자외선은 처리하지 않고 1mM 캡시에이트(capsiate)를 아세톤에 녹여 200㎕씩 24시간마다 처리; 대조군 - 자외선과 아세톤만 처리함; 실험군 B - 각각 자외선 및 1mM 캡시에이트(capsiate)를 아세톤에 녹여 200㎕씩 24시간마다 처리(이하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실시예 6 및 7에서 같다).In order to confirm in vitro animal experiments using human keratinocyte line HaCaT cells in animal models,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hairless mouse (SKH-1). Treated only with acetone without irradiation; Experimental group A-1mM capsiate was dissolved in acetone without treatment with ultraviolet rays and treated with 200 µl every 24 hours; Control group-treated only with ultraviolet and acetone; Experimental Group B—Ultraviolet and 1 mM capsiate, respectively, was dissolved in acetone and treated with 200 μl every 24 hours (the same as in Examples 6 and 7 unless otherwise stated).

자외선 조사 1시간 전 캡시에이트(capsiate)를 생쥐의 등에 도포한 후 2.5 KJ/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후 일어날 수 있는 발진을 막기 위해 1시간 후 다시 같은 농도의 캡시에이트(capsiate)를 각 실험 생쥐에 도포하였다. 이후 캡시에이트(capsiate)는 24시간마다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는 격일로 2.5 KJ/m2 의 광량으로 4회 실시하였으며 생쥐 조직 내 변화 및 세포내 기작(signaling)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지막 조사 후 1시간 뒤 실험에 사용된 생쥐를 안락사시킨 후 생쥐의 등쪽 피부 조직을 벗겨 그 모습을 관찰한 후 피부 조직을 생검(skin biopsy)하였다.Capsiate was applied to the back of the mouse 1 hour before ultraviolet irradiation and t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f 2.5 KJ / m 2 . In order to prevent rash that may occur immediately after ultraviolet irradiation, the same concentration of capsiate was applied to each experimental mouse again after 1 hour. Capsiate was then applied every 24 hours and UV irradiation was carried out four times at a dose of 2.5 KJ / m 2 every other day. One hour after the last irradiation to investigate changes in mouse tissue and intracellular signaling. After euthanizing the mice used in the experiment, the skin tissue was biopsied after skin tissue was observed by removing the dorsal skin tissue.

그 결과, 도 7A에서 보듯이, 대조군의 생쥐(UV)의 경우 등쪽 피부는 혈관이 두꺼우며 혈액이 많이 몰려 있었으며, 상처(wound)로 인한 염증반응 또한 심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캡시에이트(capsiate)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처리한 생쥐(실험군 B, UV+CPT)의 피부조직은 이에 비해 혈관의 굵기 및 혈액의 몰림, 그리고 그 숫자도 감소되어 있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상처의 크기 및 깊이도 적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7A, in the control group mice (UV) the dorsal skin was thick blood vessels and a lot of blood, inflammatory reaction due to the wound (wound) also occurred severely. However, the skin tissues of the mice treated with UV after applying capsiate (Experimental Group B, UV + CPT) had decreased blood vessel thickness, blood swelling, and the number of the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th is less.

또한 전반적인 피부 조직내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헤마토실린-에오신(hematocylin-eosin) 염색을 실시한 결과, 도 7B에서 보듯이 무처리군의 생쥐의 경우(UV) 표피(epidermis)의 과각질화(hyperplasia)가 많이 일어난 반면 캡시에이트(capsiate)을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생쥐(실험군 B, UV+CPT)에는 현저히 표피의 과각질화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혈관 및 부종도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hematocylin-eosin stain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overall skin tissue. As shown in FIG. 7B, hyperplasia of the untreated group (UV) epidermis was observed. In contrast, the mice exposed to UV rays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Experimental Group B, UV + CP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pidermal hyperkeratosis and decreased blood vessels and edema. there was.

이러한 결과로 보아 캡시에이트(capsiate)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피부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되었다.As a result, it was thought that capsiate could effectively protect against skin damage caused by UV irradiation.

<< 실시예Example 7> 7>

동물모델에서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UV-induced in animal models COXCOX -2 발현에 대한 For -2 expression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효과 effect

<7-1> <7-1> COXCOX -2 발현에 대한 For -2 expression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효과 effect

상기에서 보듯이 캡시에이트(capsiate)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초래된 전반적인 피부의 상처로 인한 염증반응, 혈관생성 및 부종 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동물모델에서 염증반응과 관련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6에서 실험된 생쥐의 조직을 이용하여 COX-2 발현 및 세포내 신호전달과정의 변화를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하였다.As described above, it was found that capsiate inhibits inflammatory reactions, angiogenesis and edema due to the overall skin wound cau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Thu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siate associated with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animal model, changes in COX-2 expression and intracellular signaling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 using the tissues of the mice tested in Example 6. .

액체질소에 넣어 얼린 피부 조직을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곱게 간 후 RIPR 완충용액 (2 mM EDTA, 137 mM NaCl, 20 mM Tris-HCl (pH 8.0), 1 mM sodium vanadate, 10 mM NaF, 1 mM PMSF, 1% Triton X-100, 10% glycerol,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이를 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이용한 SDS-PAGE 전기영동을 하여 분리하였다. 이를 나일론 멤브레인에 옮긴 후 염소 항-COX-2 IgG 항체(santacuz, 미국) 및 2차 항체로 항-염소 IgG HRP 부착 항체(zymed)를 이용하여 COX-2 단백질을 관찰하였다. 이를 영상화하기 위해 ECL(Amersham, Piscataway, NJ)을 이용하여 검출한 후 영상분석기 (RAS 3000 Imaging system, FUJI film, 일본)로 영상화하였다. The skin tissue frozen in liquid nitrogen was finely ground using a mortar and pestle, followed by RIPR buffer (2 mM EDTA, 137 mM NaCl, 20 mM Tris-HCl (pH 8.0), 1 mM sodium vanadate, 10 mM NaF, 1 mM PMSF). Proteins were isolated using 1% Triton X-100, 10% glycerol, protease inhibitor cocktail) and then SDS-PAGE electrophoresis using acrylamide gel. It was transferred to a nylon membrane and the COX-2 protein was observed using goat anti-COX-2 IgG antibody (santacuz, USA) and anti-goat IgG HRP attached antibody (zymed) as the secondary antibody. In order to image this, it was detected using ECL (Amersham, Piscataway, NJ) and imaged using an image analyzer (RAS 3000 Imaging system, FUJI film, Japan).

그 결과, 도 8A에서 보듯이, 4회에 걸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된 COX-2가 캡시에이트(capsiate) 처리에 의해 생쥐의 피부 조직에서 현저히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8A, it was confirmed that COX-2 expressed by four times of ultraviolet irradi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kin tissue of the mouse by capsiate treatment.

<7-2> <7-2> COXCOX -2 발현에 대한 For -2 expression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효과 effect

이를 다시한번 확인하고자 생쥐 피부조직에서 다음과 같이 COX-2 발현에 대한 면역 염색을 하였다. 생쥐로부터 생검한 피부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에 24시간 고정시킨 후 다시 24시간 흐르는 물에서 수세하였다. 이 조직을 각각 70, 80, 90, 95, 100% 에탄올(ethanol)과 자일렌(xylene)에서 차례로 탈수시킨 후 녹인 파라핀(paraffin)에 담궈 조직에 파라핀이 스며들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파라핀 조직을 5㎛로 얇게 자른 후 이를 슬라이드에 고정시키고 이 슬라이드를 다시 자일렌으로부터 100, 95, 90, 80, 70% 에탄올과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파라핀 제거 및 침수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 후 10mM 염화구연산 용액(sodium citric acid buffer,0.05% Tween 20,pH 6.0)을 이용하여 에피톱 회복(epitope retrieval)과정을 거친 후 과산화수소수 (H2O2)로 세포내 과산화 효소(peroxidase)를 제거한 후 10% 정상 염소 혈청(normal goat serum)으로 1시간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블로킹한 조직을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수세한 후 10% 정상 염소 혈청에 희석한 COX-2 항체(1:100, santecruz, 미국)를 처리하고 4°C에서 16시간 이상 결합시킨 후 이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수세하였다. 이를 바이오틴이 부착된(biotinylaton) 2차 항체(DAKO code K0675; Carpinteria, DAKO)로 30분간 처리한 후 다시 3회 수세하였다. 여기에 스트렙타비딘-퍼옥시다제(Streptavidin-peroxidase, DAKO code K0675)를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으 로 다시 3회 수세하고 마지막으로 DAB-3-3 diaminobenzidine (DAB) (DAKO) 을 이용하여 발색 시켰다. 이렇게 발색된 조직을 탈수과정을 거쳐서 슬라이드에 고정한 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is, mouse skin tissues were immunostained for COX-2 expression as follows. Biopsied skin tissues from the mice were fixed in 4% paraformaldehyde for 24 hours and washed again with running water for 24 hours. The tissues were sequentially dehydrated in 70, 80, 90, 95, and 100% ethanol and xylene, and then immersed in the dissolved paraffin to infiltrate the tissue. The paraffin tissue thus cut was thinly sliced to 5 μm, fixed to the slide, and the slide was again paraffin-free and submerged using 100, 95, 90, 80, 70% ethanol and sterile distilled water from xylene. After the epitope retrieval process using 10 mM sodium chloride solution (sodium citric acid buffer, 0.05% Tween 20, pH 6.0), intracellular peroxidase (H 2 O 2 ) After removal, blocking was performed for 10 hours with 10% normal goat serum. The blocked tissue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treated with COX-2 antibody (1: 100, santecruz, USA) diluted in 10% normal goat serum, bound for at least 16 hours at 4 ° C, and then again phosphate buffered. Washed three times. This was treated with a biotinyl secondary (biotinylaton) secondary antibody (DAKO code K0675; Carpinteria, DAKO) for 30 minutes and washed again three times. After treatment with streptavidin-peroxidase (DAKO code K0675) for 30 minutes, it was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finally with DAB-3-3 diaminobenzidine (DAB) (DAKO). I developed a color. The colored tissue was fixed to the slide after dehydration and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그 결과, 도 8B에서 보듯이 자외선에 의해 COX-2가 현격히 증가되고 이 증가된 COX-2를 캡시에이트(capsiate)가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8B, it was found that COX-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ultraviolet rays, and capsiate effectively suppressed the increased COX-2.

<7-3> <7-3> COXCOX -2 발현 억제 기작 확인-2 confirm the mechanism of suppression of expression

캡시에이트(capsiate)에 의해 억제된 COX-2 발현과 관련된 세포내 기작(signaling)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 피부조직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MAPK 신호전달과 관련있는 단백질(ERK, p-ERK, p38, p-p38 및 JNK, p-JNK)에 대해 상기 실시예 <2-2>에서와 같이 웨스턴 블럿을 실시하였다.To investigate intracellular signaling associated with COX-2 expression inhibited by capsiate, proteins isolated from mouse skin tissue (ERK, p-ERK, p38) were used. , p-p38 and JNK, p-JNK) were subjected to western blot as in Example <2-2>.

그 결과, 도 8A에서 보듯이 P38 과 JNK는 아세톤만 처리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것(UV)과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UV+CPT) 사이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ERK의 경우 캡시에이트(capsiate)를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에서 인산화(phospholation)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8A, P38 and JNK could not see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UV irradiation after acetone treatment only (UV) and the UV irradiation after treatment with capsiate (UV + CPT). However, in the case of ERK, the phosphorylation (phospholation) was inhibi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rradiated with UV light after the treatment with capsiate.

이와 같은 결과에서 상기 실시예 <2-2>에서와 같이 캡시에이트(capsiate)가 ERK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COX-2 발현 및 이와 관련된 세포내 변화를 조절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From these results, as in Example <2-2>, it could be seen that capsiate regulates COX-2 expression and related intracellular changes by inhibiting phosphorylation of ERK.

<7-4>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7-4> for pro-inflammatory cytokines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염증반응시 피부조직에서 생성, 유도되는 IL-6 및 TNF-α에 대한 캡시에이트의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정도 및 캡시에이트의 억제능을 알아보았다. 이 때,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무처리군 - 자외선은 조사하지 않고 아세톤만 처리함; 실험군 A - 자외선은 처리하지 않고 1mM 캡시에이트(capsiate)를 아세톤에 녹여 200㎕ 처리; 자외선 단독 처리군 - 자외선과 아세톤만 처리함; 실험군 B - 1mM이 되도록 캡시에이트(capsiate)를 아세톤에 녹여 200㎕ 처리한 후 한시간 뒤 자외선 처리.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psate on IL-6 and TNF-α produced and induced in skin tissue during inflammatory reactions, the expression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inhibitory ability of capsate were examined as follows. At this time,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 follows: untreated group-treated only with acetone without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Experimental Group A-200 μl treatment of 1 mM capsiate in acetone without UV treatment; UV alone treatment group-treated only with UV and acetone; Experiment group B-1mM capsiate (capsiate) dissolved in acetone and 200μ treatment and after one hour UV treatment.

이를 위해 자외선 조사 전 아세톤 및 캡시에이트를 전 처리한 후 5 KJ/m2 의 자외선을 한번 조사한 후 6시간 뒤 안락사 시켜 생검한 털이 없는 생쥐를 이용한 각 생쥐조직에서 추출한 mRNA를 이용하여 RT-PCR로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조직에서의 RNA 추출을 위하여 각 생쥐조직을 생검 후 액체질소에 빠르게 얼린 후 이를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잘게 갈았다. 이를 트리졸(invitrogen, 미국)을 이용하여 생쥐 조직의 RNA를 추출한 후, 이를 주형으로 상용의 키트(reverse transcription system, Quiagen, 미국)을 이용하여 PCR(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을 실시해 각 실험군의 cDNA를 제조하였다. To this end, pretreatment with acetone and capsate before UV irradiation was carried out after 5 hours of irradiation at 5 KJ / m 2 , followed by euthanasia for 6 hours, followed by RT-PCR using mRNA extracted from each tissue of a mouse without biopsies. It was confirmed as follows. In order to extract RNA from the tissue, each mouse tissue was rapidly frozen in liquid nitrogen after biopsy and finely chopped using a mortar and pestle. RNA was extracted from mouse tissue using Trizol (invitrogen, USA), and then PCR (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 using a commercial kit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Quiagen, USA) was used as a template. CDNA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prepared.

만들어진 각각의 cDNA를 주형으로 IL-6와 TNF-α 프라이머(Quiagen, USA)를 매개로 하여 실시간 PCR (Roter Gene 6 series, Corbett Reserch, Aus)를 실시하였으며, 세포내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정도는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로 평준화(normalization)한 후 아세톤만 처리한 무처리군에 대비하여 그 발현 정도를 나타내었다.Real-time PCR (Roter Gene 6 series, Corbett Reserch, Aus) was performed using IL-6 and TNF-α primers (Quiagen, USA) as a template for each cDNA. The degree was expressed in comparison with the acetone-treated group after normalization with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그 결과, 도 8C에서 보듯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어진 IL-6와 TNF-α의 발현이 캡시에이트(capsiate)에 의해 감소되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캡시에이트(capsiate)는 자외선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유도되는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함으로써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8C it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on of IL-6 and TNF-α induced by ultraviolet light is reduced by the capsiate (capsi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psiate can effectively control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inhibiting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ultraviolet rays.

<< 실시예Example 8> 8>

털이 없는 생쥐를 이용한 동물모델에서의 Animal Models Using Hairless Mice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신생혈관유도물에In neovascularization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염증반응으로 인해 유도되는 일련의 세포내 반응 중 신생 혈관생성과 관련된 각종 세포내 발현 유도물에 대한 캡시에이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6에서의 생쥐조직을 이용하여 캡시에이트(capsiate)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생성 물질들에 관한 억제능을 살펴 보았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sate on various intracellular expression inducers related to neovascularization among a series of intracellular reactions induced by inflammatory reactions, the ultraviolet light of capsiate using mouse tissue in Example 6 was used. Inhibition of angiogenesis induced by the investigation was examined.

<8-1> <8-1> Ki67Ki67 에 대한 For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Ki67은 세포의 분아 및 증식과 관련된 물질로 염증 반응 및 암화가 진행될 때 표피 기저층(epidermis basal layer)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는 세포내 물질로 (Boland GP, Butt IS, Prasad R, et al.COX-2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n aggressive phenotype in ductal carcinoma in situ. Br J Cancer 2004;90:423429)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도 그 발현이 증가된다. 이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 염색을 아래와 같이 실시 하였다. Ki67 is a substance related to cell division and proliferation. It is an intracellular substance whose expression is increased in the epidermis basal layer during inflammatory reactions and cancers (Boland GP, Butt IS, Prasad R, et al. COX- 2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n aggressive phenotype in ductal carcinoma in situ.Br J Cancer 2004; 90: 423429).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apsiate (capsiate) on the immunostaining was carried out as follows.

생쥐의 피부로부터 생검하여 얻은 피부 조직을 OCT compound (Sakura Finetechnical Co. Ltd, 일본)에 담군 후 액체질소에서 천천히 얼렸다. 이렇게 준비된 조직을 7 ㎛로 절편한 후 슬라이드상에서 아세톤에 고정시켰다. 이 조직을 증류수와 인산 완충액으로 수세한 후 10% 정상 염소 혈청(normal goat serum)으로 1시간동안 블로킹(blocking)한 후 ki67 항체(1:100, neomarker, 미국)로 4°C에서 16시간이상 반응시켰다. 이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수세한 다음 알렉사 488(alexa 488)이 결합된 2차 항체(invitrogen, 미국)를 30분간 처리한 후 다시 3회 수세하였다. 이를 마운팅(mounting)하여 형광 현미경(Carl ZEISS, 미국)으로 관찰하였다. Skin tissue obtained by biopsy from mouse skin was immersed in OCT compound (Sakura Finetechnical Co. Ltd, Japan) and then slowly frozen in liquid nitrogen. The tissue thus prepared was sectioned to 7 μm and fixed to acetone on the slide. The tissue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phosphate buffer and then blocked with 10% normal goat serum for 1 hour, followed by ki67 antibody (1: 100, neomarker, USA) for 16 hours at 4 ° C. Reacted. The resultant was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then treated with Alexa 488-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invitrogen, USA) for 30 minutes and washed three times. It was mounted and observed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Carl ZEISS, USA).

그 결과, 도 9A에서 보듯이, 자외선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된 Ki67 발현 세포 가 캡시에이트(capsiate)의 처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9A, it was observed that Ki67 expressing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by ultraviolet ray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capsiate.

<8-2> <8-2> PECAMPECAM -1에 대한 For -1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Ki67과 더불어 신생혈관형성 인지물질의 하나인 PECAM-1(Platelet-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CD31)은 내피세포의 마커(endotherial marker)로써 신생 혈관 생성시 혈관벽을 중심으로 그 발현이 증가하는 세포내 물질이다. 따라서, PECAM-1의 발현량을 조사함으로써 신생혈관 생성과 관련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In addition to Ki67, Platelet-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CD31), an angiogenic cognitive substance, is an endothial marker, which increases its expression around the vascular wall during neovascularization. My substance is Thus, by examining the expression level of PECAM-1, the effect of capsiate associated with neovascularization can be observed.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7에서와 같이 준비된 조직의 파라핀 절편을 실시예 7과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슬라이드상 피부 조직에서 PECAM-1 항체 (1:100, BD Pharmingen, 미국)를 처리한 후 바이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DAKO code K0675; DAKO Corp., 미국)로 30분간 처리한 후 다시 3회 수세하였다. 여기에 스트렙타비딘-퍼옥시다제(DAKO code K0675, DAKO Corp., 미국)를 30분간 처리한 후 인산 완충액으로 다시 3회 수세하고 마지막으로 DAB-3-3 diaminobenzidine (DAB) (DAKO Corp., 미국)로 발색하여 PECAM-1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To investigate this, the paraffin sections of the prepared tissues as in Example 7 were subjected to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7, and then treated with PECAM-1 antibody (1: 100, BD Pharmingen, USA) on the slide skin tissue. Treatment with attached secondary antibody (DAKO code K0675; DAKO Corp., USA) for 30 minutes followed by three washes again. After treatment with streptavidin-peroxidase (DAKO code K0675, DAKO Corp., USA) for 30 minutes, washed again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finally DAB-3-3 diaminobenzidine (DAB) (DAKO Corp., Color) to confirm the expression level of PECAM-1.

그 결과, 도 9B에서 보듯이, 피부 조직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진피층(dermis)을 중심으로 혈관벽 내부에 PECAM-1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캡시에이트(capsiate)를 자외선 조사전 처리한 경우 PECAM-1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9B, the expression of PECAM-1 was increased inside the blood vessel wall around the dermis by dermal irradiation, but the capsiate was treated before UV irradi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on of is significantly reduced.

<8-3> <8-3> ICAMICAM -1에 대한 For -1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염증반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침윤(cell infiltration), 세포 이전(cell migration) 및 혈관생성 등과 관련이 있는 ICAM-1(inter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CD54)의 발현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7에서의 각 실험군의 생쥐피부조직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 블럿을 수행하였다. 이 때, ICAM-1의 발현량 조사를 위하여 마우스 항-ICAM-1 항체(mouse anti ICAM-1 antibody, santacruz, 미국) 및 HRP가 부착된 2차항체(1:10000, zymed)를 사용하였다.In Example 7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level of ICAM-1 (inter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CD54) related to cell infiltration, cell migration and angiogenesis during the inflammatory process Western blo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using the protein isolated from the mouse skin tissue of each experimental group. At this time, a mouse anti-ICAM-1 antibody (mouse anti ICAM-1 antibody, santacruz, USA) and a HRP-attached secondary antibody (1: 10000, zyme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level of ICAM-1.

그 결과, 도 9C에서 보듯이,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ICAM-1의 발현이 캡시에이트를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 B의 생쥐피부 조직에서는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9C,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ICAM-1 increased by ultraviolet light is reduced in the mouse skin tissue of experimental group B irradiated with UV light after treatment with capsid.

<8-4> <8-4> VEGFVEGF 에 대한 For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신생혈관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VEGF에 대해서 실시예 7에서의 각 실험군의 생쥐피부조직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 블럿을 수행하였다. 이 때, VEGF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VEGF 항체(santacruz. 미국) 및 HRP가 부착된 2차항체(1:10000, zymed)를 사용하였다.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using the protein isolated from the mouse skin tissue of each experimental group for VEGF,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giogenesis. At this time, VEGF antibody (santacruz. USA) and a secondary antibody (1: 10000, zymed) to which HRP was attache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VEGF.

그 결과, 도 9D에서 보듯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표피층과 진피층에 걸쳐 VEGF가 분비되었으며, 캡시에이트(capsiate) 처리 후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생쥐의 피부조직에서 VEGF의 발현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9D, VEGF was secreted over the epidermal and dermal layers by UV irradi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VEGF was reduced in the skin tissues of mice when UV irradiation was performed after capsiate treatment.

<8-5> <8-5> MMPMMP -2 및 -2 and MMPMMP -9에 대한 For -9 캡시에이트의Captain'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이와 더불어 시험관세포내 실험을 통하여 캡시에이트(capsiate)에 의한 발현량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신생혈관 형성 및 면역 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MMP-2 및 MMP-9에 대한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알아보고자 실시예 6의 털이 없는 생쥐를 이용한 각 실험군별 생쥐조직에서 mRNA를 추출하여 그 발현량을 알아보았다.In addition, the in vitro cell experiment confirmed the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by capsiat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MMP-2 and MMP-9 induced by angiogenesis and immune response in animal models. MRNA was extracted from mouse tissues of each experimental group using hairless mice.

조직에서 RNA 추출을 위하여 각 생쥐조직을 생검 후 액체질소에 빠르게 얼린 후 이를 막자 사발을 이용하여 잘게 간 후 트리졸(invitrogen, 미국)을 이용하여 생쥐 조직의 RNA를 추출하였다. 이를 주형으로 상용의 키트(reverse transcription system, Quiagen, 미국)을 이용하여 PCR(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미국)을 실시해 각 실험군의 cDNA를 제조하였다. In order to extract RNA from the tissue, each mouse tissue was rapidly frozen in liquid nitrogen after biopsy, and then chopped using a mortar and pestle, and RNA of mouse tissue was extracted using trizole (invitrogen, USA). As a template, cDNA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prepared by performing PCR (PTC-225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rch, USA) using a commercial kit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Quiagen, USA).

만들어진 각각의 cDNA를 주형으로 MMP-2와 MMP-9 프라이머(Quiagen, USA)를 매개로 하여 실시간 PCR (Roter Gene 6 series, Corbett Reserch, Aus)를 실시하였으며, MMP의 mRNA 발현정도는 GAPDH로 평준화(normalization)한 후 아세톤만 처리 한 무처리군에 대비하여 그 발현 정도를 나타내었다.Real-time PCR (Roter Gene 6 series, Corbett Reserch, Aus) was performed using MMP-2 and MMP-9 primers (Quiagen, USA) as a template for each cDNA,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MMP was leveled with GAPDH. After normalization, the expression level was shown in comparison to the acetone-treated group.

그 결과, 도 9E에서 보듯이, MMP-2와 MMP-9의 발현이 자외선의 조사시 현격히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되어진 MMP-2 및 9가 캡시에이트(capsiate)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9E, it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on of MMP-2 and MMP-9 i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MMP-2 and 9-valent capsiate treatment increased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crease.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캡시에이트(capsiate)는 염증반응을 매개로 하는 혈관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와 관련된 염증 및 항암 억제제로써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capsiate can effectively inhibit angiogenesis mediated by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furtherm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psiate is an inhibitor of inflammation and anticancer.

<< 실시예Example 9> 9>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홍반(Erythema induced by ultraviolet ( erythemaerythema )에 대한 For) 캡시에이트(capsiate)의Capsiate 효과 effect

<9-1> 홍반에 대한 <9-1> About erythema 캡시에이트의Captain's 효과 effect

피부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염증 및 세포사멸, 암화 등의 각종 세포 변화에 앞서 피부가 붉어지고 부종이 따르는 등의 홍반 현상이 일어난다(Tadashi Terui, Hachiro Tagami, Mediators of inflammation involved in UVB erythema,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3 Suppl. 1 (2000) S1S5). 이렇듯 자외선에 의한 염증반응과 함께 동반되는 홍반에 대한 캡시에이트(capsiate)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 여 털이 없는 생쥐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군을 나누어 실험하였다: 무처리군 - 자외선은 조사하지 않고 아세톤만 처리함; 실험군 A - 자외선은 처리하지 않고 1mM이 되도록 캡시에이트(capsiate)를 아세톤에 녹여 200㎕씩 24시간마다 처리; 자외선 단독 처리군 - 자외선과 아세톤만 처리함; 실험군 B - 각각 자외선 및 1mM이 되도록 캡시에이트(capsiate)를 아세톤에 녹여 200㎕씩 24시간마다 처리.W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on the skin, erythema occurs, such as reddening of the skin and swelling, followed by various cell changes such as inflammation, apoptosis and cancer (Tadashi Terui, Hachiro Tagami, Mediators of inflammation involved in UVB erythema,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3 Suppl. 1 (2000) S1S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siate on erythema accompanied by inflammatory reactions caused by ultraviolet rays, the following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using hairless mice: untreated group-only acetone without irradiation Processing; Experimental group A-Capsiate was dissolved in acetone so as to be 1 mM without UV treatment, and 200 µl treatment was performed every 24 hours; UV alone treatment group-treated only with UV and acetone; Experimental Group B-Capsiate was dissolved in acetone to be ultraviolet and 1 mM, respectively, and 200 µl was treated every 24 hours.

위와 같이 나눈 실험군에 아세톤 및 이에 희석한 캡시에이트(capsiate)를 도포하였다. 1시간 경과 후 마우스 등에 각각 지름 1.2 cm의 정사각형 부분만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제작한 거치대를 생쥐의 등에 붙인 후 각각 400, 600, 800 J/m2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48시간이 경과한 후에 홍반 정도를 측정하였다.Acetone and capsiate diluted therein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divided as above. One hour after attached to a cradle designed to only the square section of 1.2 cm diameter each mouse, etc. The UV light can be irradiated or the like of the mice 400, 600, 800, each of the J / m 2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After 48 hours, erythema was measured.

그 결과, 도 10A에서 보듯이, 자외선 조사량이 많을 수록에 따라 홍반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캡시에이트(capsiate)처리 후 자외선을 처리한 생쥐의 홍반 정도가 자외선을 조사한 생쥐의 홍반보다 그 정도가 약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A, as the amount of UV irradiation increased, the erythema was increased, and the erythema of the mice treated with UV after capsiate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ice irradiated with UV rays. The degree was weak.

<9-2> 피부 조직 변화에 대한 <9-2> Changes in Skin Tissue 캡시에이트의Captain's 효과 effect

상기 실시예 <9-1>에서 처리한 마우스의 피부내 조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2.5 KJ/m2의 자외선을 격일로 총 4번 조사한 부분에 대해서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을 실시하였다.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skin tissue of the mouse treated in Example <9-1>, hematoclin-eosin staining was performed on the portion irradiated with UV rays of 2.5 KJ / m 2 a total of four times.

그 결과, 도 10B에서 보듯이,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표피의 두께가 두꺼워 졌으나, 캡시에이트를 도포한 다음 자외선을 처리한 경우 표피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B, the thickness of the epidermis was increased when the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but the thickness of the epidermis was reduced when the UV treatment was performed after the capsate was applied.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홍반을 캡시에이트(capsiate)가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psiate can effectively inhibit skin erythema induced by UV irradiation.

<< 실시예Example 10> 10>

VEGFVEGF 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 증식의 억제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10-1> 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확인<10-1> Identification of effects on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VEGF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EC) 증식에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MTT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tate or dehydrocaptate on VEGF-induced endothelial cell (EC) proliferation.

인간 제대정맥 내피 세포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를 젤라틴이 코팅된 24 웰 플레이트에 2 x 104 세포/웰의 농도로 넣고 24시간 배양 후에 M199 배지(invitrogen, 미국)로 2회 세척한 다음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한 M199 배지에서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농도(1μM, 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30분간 전배양한 다음 10ng/ml의 VEGF(Upstate, 미국)을 넣고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alt) 용액(0.5mg/ml)을 넣고, 37℃에서 3시간동안 배양하였다. MTT 잔여량은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생성된 결정은 DMSO로 30분간 녹인 다음 5분간 잘 혼합한 뒤,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were placed in gelatin-coated 24 well plates at a concentration of 2 x 10 4 cells / well and washed twice with M199 medium (invitrogen, USA) after 24 h incubation. It was then incubated for 6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Each concentration (1 μM, 5 μM, 10 μM, 25 μM) was added to capate or dehydrocaptate for 30 minutes and then incubated for 10 hours with 10 ng / ml of VEGF (Upstate, USA).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alt) solution (0.5 mg / ml) was added thereto and incubated at 37 ° C. for 3 hours. The residual amount of MTT was carefully removed, the resulting crystals were dissolved in DMSO for 30 minutes, mixed well for 5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60 nm.

그 결과, 도 11A에서 보듯이,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의 증식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VEGF에 의한 자극없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농도를 50μM까지 높인 상태에서 HUVEC을 배양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세포가 생장한 것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억제효과는 세포독성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결과미도시).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A, it was found that the proliferation of VEGF-induced HUVECs was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capsate or dehydrocapsate.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normal growth of cells when HUVECs were cultured with the capate or dihydrocapsate concentration raised to 50 μM without VEGF-induced stimula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such capsate or dehydrocapsate was observed. Does not appear to be cytotoxic (results not shown).

<10-2> 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확인<10-2> Identification of effects on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VEGF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EC) 증식의 억제효과는 선행문헌(Lee OH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4: 743-75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3H-티미딘 인코퍼레이션 분석(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The inhibitory effect of VEGF-induced endothelial cell (EC) proliferation of capsate or dihydrocapsate is described in Lee OH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4: 743 -750) method 3 was confirmed by performing H- thymidine in corporation analysis (3 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according to according to.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HUVEC을 젤라틴이 코팅된 24 웰 플레이트에 2 x 104 세포/웰의 농도로 넣고 24시간 배양 후에 M199 배지(invitrogen, 미국)로 2회 세척한 다음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한 M199 배지에서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각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30분간 전배양한 다음 10ng/ml의 VEGF를 넣고 30시간동안 배양한 후 다시 0.5μCi/ml의 3H-티미딘을 넣고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Briefly, HUVEC was added to a gelatin-coated 24-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2 x 10 4 cells / well, washed twice with M199 medium (invitrogen, USA)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and then contained 1% fetal bovine serum. Incubated for 6 hours in one M199 medium. Pre-incubate for 30 minutes by adding 25μM captate or dehydrocaptate, and incubate for 30 hours with 10ng / ml of VEGF, and then incubate for 6 hours with 0.5μCi / ml of 3 H-thymidine. It was.

배양된 세포에서 DNA를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로 4℃에서 30분간 침전시킨 다음,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이를 0.2N NaOH/0.1% SDS(sodium dodecyl sulfate)에 용해하여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로 측정하였다.In cultured cells, DNA was precipitated with 10% trichloroacetic acid at 4 ° C. for 30 minutes and then washed twice with water. It was dissolved in 0.2N NaOH / 0.1%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d measured by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그 결과, 도 11B에서 보듯이, VEGF가 HUVEC의 DNA 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에 의해 DNA 합성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11B, it can be seen that VEGF increases the DNA synthesis of HUVEC, DNA synthesis was inhibited by the capsate or dehydrocapsate.

<< 실시예Example 11> 11>

내피세포 증식 억제 기작의 확인Confirmation 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Mechanism

<11-1> 세포 주기의 변화 분석<11-1> Cell Cycle Change Analysis

상기 실시예 10에서의 내피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어떠한 기작에 의한 것인지 알아 보기 위하여 각 세포별로 세포 주기에 따른 FACS 분석(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를 수행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the mechanism by which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was inhibited in Example 10, FACS analysi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cell.

HUVEC을 60mm 플레이트에 3 x 105 세포의 양으로 넣고 24시간 배양 후에 M199 배지(invitrogen, 미국)로 2회 세척한 다음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한 M199 배지에서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농도(1μM, 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30분간 전배양한 다음 10ng/ml의 VEGF를 넣고 20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모은 후 얼음에서 냉각한 에탄올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를 2% 우태아 혈청, 0.1% Tween20을 함유하는 인산 완충액에서 4℃, 30분의 조건으로 탈수하고, 원심분리한 다음 동일한 완충액에 다시 녹였다. RNase를 처리(37℃, 1시간)한 다음, 요오드화 프로피디움(propidium iodide)으로 염색하였다. 이를 FACS 분석기(FACScan DB PharMingen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HUVECs were placed in 60 mm plates in an amount of 3 × 10 5 cells, and then washed twice with M199 medium (invitrogen, USA) for 24 hours and then incubated for 6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Each concentration (1 μM, 5 μM, 10 μM, 25 μM) was added to pre-incubate for 30 minutes by caption or dehydrocaptate, followed by incubation for 10 hours with 10 ng / ml of VEGF. It was collected and fixed with ethanol cooled on ice. Immobilized cells were dehydrated in phosphate buffer containing 2% fetal bovine serum, 0.1% Tween20 at 4 ° C. for 30 minutes, centrifuged and re-dissolved in the same buffer. RNase was treated (37 ° C., 1 hour) and then stained with propidium iodide. This was analyzed by FACS analyzer (FACScan DB PharMingen flow cytometer).

그 결과, 도 11C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하는 경우 대조군(control)에 비해 G1기 정지상태(G1 arrest)의 HUVEC이 감소하였으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VEGF로 인한 내피세포의 G1기 정지상태가 감소하여 G1기 정지상태의 HUVEC이 다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G1기에서 S기로의 전이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C, the HUVEC of G1 arrest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when VEGF was treated, but the endothelial due to VEGF was treated when capsid or dehydrocaptate was treated. The G1 quiescent state of the cells was decreased and HUVEC of G1 quiescent state was increased agai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affects the transition from the G1 group to the S group.

<11-2> <11-2> 사이클린Cyclin D1D1 에 미치는 영향 확인Determine impact on

이러한 G1기에서 S기로의 전이는 부분적으로 사이클린 D1(cyclin D1)에 의해서 조절되므로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Since the transition from the G1 group to the S group is partially regulated by cyclin D1,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apsate or dihydrocaptate affects it.

HUVEC을 60mm 플레이트에 3 x 105 세포의 양으로 넣고 24시간 배양 후에 M199 배지(invitrogen, 미국)로 2회 세척한 다음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한 M199 배지에서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농도(1μM, 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30분간 전배양한 다음 10ng/ml의 VEGF를 넣고 1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모은 후 각각의 농도에서 얻은 단백질을 정량한 후 웨스턴 블럿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사이클린 D1, 사이클린 E, 사이클린 A의 항체를 이용하여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HUVECs were placed in 60 mm plates in an amount of 3 × 10 5 cells, and then washed twice with M199 medium (invitrogen, USA) for 24 hours and then incubated for 6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Each concentration (1 μM, 5 μM, 10 μM, 25 μM) was added to capate or dehydrocaptate for 30 minutes before incubation and 10 ng / ml of VEGF was added and incubated for 12 hours. After collecting the protein at each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and the protein level was confirmed by the antibody of cyclin D1, cyclin E, cyclin A using Western blotting.

그 결과, 도 11D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한 경우, 사이클린 D1의 발현이 단 백질 수준에서 증가하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사이클린 E 및 사이클린 A의 경우에 대해서도 VEGF를 처리한 경우 그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증가하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D, when VEGF was treated, the expression of cyclin D1 was increased at the protein level, but it was found to decreas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capsate or dihydrocapsa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yclin E and cyclin A, the expression of VEGF was increased in the protein level, but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capsate or dehydrocapsate.

따라서,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G1기에서 S기로의 전이를 사이클린 D1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서 VEGF에 의해 유도된 세포 주기의 진행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Thus, it was found that the capsate or dihydrocapsate inhibits the progression of the VEGF-induced cell cycle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cyclin D1 by the transition from the G1 phase to the S group.

<< 실시예Example 12> 12>

VEGFVEGF 에 의해 유도된 전이 및 튜브 형성의 저해Inhibition of metastasis and tube formation induced by

<12-1> <12-1> 화학주성Chemotaxis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Determine impact on mobility

HUVEC의 화학주성 이동성(chemotactic motility)에 대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트랜스웰 분석(transwell assay, Corning Costar, 미국)를 하였다(Lee OH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4; 743-750).Transwell assay (Corning Costar, US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sate or dehydrocaptate on the chemotactic motility of HUVEC (Lee OH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4; 743-750).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필터의 하부 표면을 10μg 젤라틴으로 코팅한 다음 VEGF 및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M199 배지를 하부 웰에 넣었다. HUVEC을 트립 신 처리하고 1%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M199 배지에 1 x 106 세포/ml의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각각의 농도(1μM, 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실온에서 30분간 전처리하였다. 100ml의 배지내 세포를 상부 웰에 넣고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고정하고, 헤마토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한 다음 필터의 상부 표면에 있는 이동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였다. 필터의 하부 면으로 이동한 세포를 광학 현미경(x200)으로 관찰 및 계수하여 이동성을 측정하였다.Briefl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was coated with 10 μg gelatin and then M199 medium containing VEGF and 1% fetal calf serum was placed in the lower wells. HUVECs were trypsinized and prepared to a concentration of 1 × 10 6 cells / ml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Each concentration (1 μM, 5 μM, 10 μM, 25 μM) of the captate or dehydrocaptate was pretreated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100 ml of medium cells were placed in the upper well and incubated at 37 ° C. for 4 hours. The cells were fixed, stained with hematocillin and eosin and the non-migrating cells on the top surface of the filter were removed. Cells migrated to the bottom side of the filter were observed and count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x200) to measure mobility.

그 결과 도 12A에서 보듯이, HUVEC에 VEGF를 처리하는 경우 화학주성 이동성이 증가하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2A, the chemotactic mobility increased when VEGF was treated in HUVEC, but concentration-dependently decreased when capsid or dehydrocaptate was treated.

<12-2> 튜브 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12-2> Confirmation of influence on tube formation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튜브 형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지된 문헌(Lee OH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4; 743-75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sate or dihydrocapsate on the degree of tube form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known literature (Lee OH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4; 743-750) It was performed as follows.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250μl 생장인자-감소 매트리젤(growth factor-reduced Matrigel, 10mg protein/ml)를 16mm 직경의 조직 배양 웰에 잘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중합화하였다(polymerized).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M199 배지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한 HUVEC을 트립신 처리하고, 이를 모은 다음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M199 배지에 재현탁 하였다. 각각의 농도(1μM, 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실온에서 30분간 처리한 다음 매트리젤에 1.8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넣고, VEGF(10ng/ml)을 넣었다. 20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물을 사진을 찍고(x200), 튜브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된 면적은 광학 이미지 기법(optical imaging technique, Adobe Photoshop으로 스캔 및 Image-Pro Plus(Media Cybermetics)로 계측)으로 측정하였다.Briefly, 250 μl growth factor-reduced Matrigel (10 mg protein / ml) was well mixed in a 16 mm diameter tissue culture well and polymerized at 37 ° C. for 30 minutes. HUVECs cultured for 6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were trypsinized, pooled and resuspended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bovine serum. Each concentration (1 μM, 5 μM, 10 μM, 25 μM) of capsate or dehydrocaptate was treated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placed in a matrigel at a concentration of 1.8 × 10 5 cells / well and VEGF (10 ng / ml). Put it. After 20 hours of incubation, the culture was photographed (x200), and the area covered by the tube network was measured using optical imaging techniques (scanned with Adobe Photoshop and measured with Image-Pro Plus (Media Cybermetics)). Measured.

그 결과, 도 12B 및 C에서 보듯이 HUVEC을 VEGF로 처리하는 경우 튜브와 유사한 구조가 형성이 되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이들의 형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2B and C, when HUVEC was treated with VEGF,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tube was formed, but it was found that their formation was reduced when capsid or dehydrocaptate was treated.

<< 실시예Example 13> 13>

VEGFVEGF 에 의해 유도된 Induced by VEVE -- 캐드헤린의Cadherin 인산화 및 내피세포 투과성의 저해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and endothelial cell permeability

<13-1> 내피세포 투과성의 저해 효과 확인<13-1> Confirmation of Inhibitory Effect on Endothelial Cell Permeability

VEGF에 의해 유도된 내피 투과성에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4C] 수크로스 투과성 분석([14C] sucrose permeability assay)를 수행하였다.A [14 C] sucrose permeability analysis ([14 C] sucrose permeability assay) to confirm the kaepsi benzoate or dihydro cap when eyiteuyi effect on the endothelial permeability induced by VEGF was carried out.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HUVEC을 트랜스웰 필터(Corning Costar)에 놓고, 컨플루언스(confluence) 상태에 도달하면, 1%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M199 배지에서 3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농도(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로 30분간 처리한 다음 VEGF(50ng/ml)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4C] 수크로스(0.8μCi/ml, 50μl)를 상부 구획에 넣고, 30분 경과후 하부 구획에서 확산된 방사선량을 신틸레이션 계수기(Wallac, perkinElmer)로 측정하였다.Briefly, HUVECs were placed in a transwell filter (Corning Costar), and when reached confluence, they were incubated for 3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Treated with caption or dehydrocaptate at each concentration (5 μM, 10 μM, 25 μM) for 30 minutes and then with VEGF (50 ng / ml) for 1 hour. [ 14 C] Sucrose (0.8 μCi / ml, 50 μl) was placed in the upper compartment, and after 30 minutes, the radiation dose diffused in the lower compartment was measured with a scintillation counter (Wallac, perkinElmer).

그 결과, 도 13A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한 경우 내피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였으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내피세포의 투과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A, the endothelial cell permeability was increased when VEGF was treated, but the permeability of the endothelial cells was decreased when capseate or dehydrocaptate was treated.

<13-2> <13-2> VEVE -- 캐드헤린(VE-cadherin)의Of VE-cadherin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Identify impact on expression

이러한 내피세포의 투과성의 변화가 VE-캐드헤린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막 간극의 VE-캐드헤린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in endothelial cell permeability is related to VE-cadherin, the expression level of VE-cadherin in the cell membrane gap was confirmed.

HUVEC 세포를 젤라틴-코팅 커버 슬립에 12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넣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M199 배지로 2회 세척하고 1% 우태아 혈청 이 함유된 M199 배지에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농도(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로 30분간 처리한 다음 VEGF(50ng/ml)로 30분간 처리하였다. 세포를 2% 포름알데히드로 10분간 처리하여 고정 및 침투성이 있도록 하고,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이후 0.1% Triton X-100 및 2% BSA/PBS 블로킹 용액으로 30분간 처리하였다. 이를 VE-캐드헤린(VE-cadherin) 항체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표지한 다음 인산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다시 FITC-부착 2차 항체로 실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표지하였다. 커버 슬립을 SloFade(Molecular Probes)에 마운트하여 형광 현미경(Carl Zeiss)로 관찰하였다. HUVEC cells were placed in gelatin-coated cover slips at a concentration of 12 × 10 5 cells / well and incubated for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M199 medium and incubated for 6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Treated with caption or dehydrocaptate at each concentration (5 μM, 10 μM, 25 μM) for 30 minutes and then with VEGF (50 ng / ml) for 30 minutes. Cells were treated with 2% formaldehyde for 10 minutes to allow fixation and permeability, and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It was then treated with 0.1% Triton X-100 and 2% BSA / PBS blocking solution for 30 minutes. It was labeled with VE-cadherin antibody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and then washed with phosphate buffer and again labeled with FITC-attached secondary antibody for 1 hour and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Cover slips were mounted on SloFade (Molecular Probes) and observed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Carl Zeiss).

그 결과, 도 13B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한 경우 세포 간극(cell-cell junction)에 존재하는 VE-캐드헤린의 세포접착 기능이 크게 감소하여 내피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세포들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으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전처리 해주는 경우 다시 세포접착 기능이 원래대로 돌아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B, when VEGF is treated, the cell adhesion function of VE-cadherin present in the cell-cell junction is great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endothelial permeability and causing cell migration. However, when pretreatment with capsate or dihydrocaps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adhesion function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13-3> <13-3> VEVE -- 캐드헤린의Cadherin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확인 Identify the effect on phosphorylation

VEGF가 VE-캐드헤린의 티로신 인산화를 유도하고, 이는 세포간 접촉을 느슨하게 하여 내피세포간 투과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Esser S. et al., 1998, J. Cell Sci., 111: 1853-1865) VE-cadherin 티로신 인산화 저해 여부를 확인하였다. Since VEGF induces tyrosine phosphorylation of VE-cadherin, it is known to loosen intercellular contacts and regulate endothelial permeability (Esser S. et al., 1998, J. Cell Sci., 111: 1853-1865). Inhibition of VE-cadherin tyrosine phosphorylation was confirmed.

HUVEC을 60mm 플레이트에 3.5 x 105 세포의 양으로 넣고 24시간 배양 후에 M199 배지(invitrogen, 미국)로 2회 세척한 다음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한 M199 배지에서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농도(5μM, 10μM, 25μM)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첨가하여 30분간 전배양한 다음 50ng/ml의 VEGF를 넣고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모은 후 각각의 농도에서 얻은 단백질을 정량한 후 웨스턴 블러팅을 이용하여 VE-캐드헤린 항체를 이용하여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HUVECs were placed in 60 mm plates in an amount of 3.5 × 10 5 cells, and then washed twice with M199 medium (invitrogen, USA) for 24 hours, and then incubated for 6 hours in M199 medium containing 1% fetal calf serum. Each concentration (5 μM, 10 μM, 25 μM) was added to capate or dehydrocaptate for 30 minutes before incubation, and 50 ng / ml of VEGF was added and incubated for 6 hours. After pooling, the proteins obtained at the respective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and then protein levels were confirmed using VE-cadherin antibodies using Western blotting.

그 결과 도 13C와 D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한 경우 VE-캐드헤린의 인산화가 유도되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이들의 인산화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13C and D, the treatment of VEGF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VE-cadherin, it can be seen that when phosphorus or dihydrocaptate treatment their phosphorylation decreas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VE-캐드헤린의 티로신 인산화를 저해하여, VEGF에 의해 유도된 투과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Summarizing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apsate or the dihydrocaptate inhibited the tyrosine phosphorylation of VE-cadherin, thereby inhibiting the permeability induced by VEGF.

<< 실시예Example 14> 14>

VEGFVEGF 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 생성의 저해Inhibition of Angiogenesis Induced by

<14-1> 신생혈관 생성에 미치는 영향의 확인<14-1> Identification of effects on neovascularization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되는 신생혈관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VEGF를 처리하였을 때, 대동맥환(aortic ring)으로부터의 발아(sprouting) 정도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When VEGF was tre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psate or dehydrocaptate on VEGF-induced neovascularization, the degree of spouting from the aortic ring was confirmed as follows.

동맥을 스프라그 돌리 랫트(6 내지 8주령, Sprague Dawley rat)에서 적출한 다음 대동맥환을 준비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120μl의 매트리젤로 코팅한 다음 상기 대동맥환을 놓고 다시 50μl의 매트리젤을 넣었다. 여기에 각각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함유하며, VEGF을 함유하는 배지(human endothelial serum-free medium, invitrogen, 미국) 200μl 및 VEGF만을 함유하는 상기 배지를 첨가하였다. 6일 후 세포를 고정하고 Diff-Quick으로 염색하여 0 내지 5의 수치로 이중맹검법(double blinded manner)으로 계측하였다.Arteries were isolated from Sprague Dawley rats (6-8 weeks old) and then prepared for aortic rings. The 48 well plate was coated with 120 μl of Matrigel, and then the aortic ring was placed and 50 μl of Matrigel was added again. To this was added the medium containing only 200 μl of VEGF and VEGF containing capsate or dihydrocapsate and containing VEGF (human endothelial serum-free medium, invitrogen, USA). After 6 days the cell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Diff-Quick and measured in a double blinded manner at values of 0-5.

그 결과, 도 14A 및 B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한 경우 대동맥환으로부터 발아가 잘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 이러한 발아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s 14A and B, it can be seen that the treatment of VEGF inhibits germin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n capsid or dehydrocaptate is treated, whereas germination is better from aortic rings.

<14-2> 신생혈관 생성에 미치는 영향의 확인<14-2> Identification of effects on neovascularization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VEGF에 의해 유도되는 신생혈관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vo에서 알아보기 위해서 마우스 매트리젤 플러그 분석(mouse Matrigel plug assay)을 수행하였다(Min KJ et al., 2007, Blood, 15: 1495 - 1502). Through these results, a mouse Matrigel plug assa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 vivo the effect of CAPGF-induced neovascularization of capsate or dehydrocaptate (Min KJ et. al., 2007, Blood, 15: 1495-1502).

각각의 60μg의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 100ng의 VEGF 및 10 유닛의 헤파린(heparin)을 함유하는 매트리젤 0.6ml 및 100ng의 VEGF만을 함유하는 매트리젤을 C57/BL6 마우스(오리엔트, 한국)에 피하주사를 통해 주입하였다. 6일이 경과한 후에 생성된 매트리젤 플러그를 적출하였다.Matrigel containing only 60 μg of capsate or dehydrocaptate, 100 ng of VEGF and 10 units of heparin, and 0.6 ml of Matrigel and 100 ng of VEGF were treated with C57 / BL6 mice (Orient, Korea). Injected via subcutaneous injection. After 6 days the resulting Matrigel plugs were removed.

그 결과, 도 14C에서 보듯이, VEGF만을 함유한 경우 플러그가 어두운 적색을 나타내었으며, 혈관에 적혈구가 많이 들어 있어,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 생성에 의해 매트리젤내에 혈관이 많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함유한 경우 색이 엷어 매트리젤 단독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며, 신생혈관 생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4C, when the VEGF only contains a dark red plug, the blood vessels contain a lot of red blood cells, VEGF-induced neovascularization can be seen that a lot of blood vessels generated in the matrigel there wa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psate or the dihydrocapsate was light in color, it was similar to that of matrigel alone, and it was found that neovascularization was hardly achieved.

<14-3> 내피세포의 함량 측정<14-3> Measurement of endothelial cell content

상기에서 형성된 매트리젤 플러그 내의 내피세포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분석에 의해 CD31 염색을 수행하였다.CD31 staining was perform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endothelial cell content in the Matrigel plug formed above.

적출한 매트리젤 플러그를 2% 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킨후 15% 수크로스와 30% 수크로스로 이용하여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마트리젤내의 수분을 제거한후 마트리젤 플러그를 -70℃에서 단단하게 한다. 단단해진 마트리젤 플러그를 두께는 8㎛~12㎛로 잘라낸 후 CD31-항체(PECAM-1 항체, BD Biosciences, 미국)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내피세포의 수준을 확인하였다.The extracted Matrigel plug is fixed with 2% formaldehyde, and then 15% sucrose and 30% sucrose are used to remove the moisture in the matrigel using the principle of osmotic pressure. . The hardened Matrigel plug was cut to 8 μm to 12 μm in thickness and stained with CD31-antibody (PECAM-1 antibody, BD Biosciences, USA) to check the level of endothelial cells under a microscope.

그 결과, 도 14D 및 E에서 보듯이, VEGF를 처리한 경우 CD31을 발현하는 내피세포가 많은 데 비해,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다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s 14D and E, the treatment with VEGF, while a lot of endothelial cells expressing CD31, when treated with capsate or dehydrocapsate is reduced to a similar level as the control group again. there was.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캡시에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가 동물 모델에서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psate or dehydrocaptate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angiogenesis in animal models.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활성, 염증 반응 억제 및 혈관신생 억제를 통해 자외선 차단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지녀 피부 질환 및 혈관 신생에 의한 질환에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 및 혈관 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ffect on skin diseases and angiogenesis by having an ultraviolet blocking effect and skin aging prevention effect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inflammatory response inhibition and angiogenesis inhibition.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improving diseases caused by skin diseases and angiogenesis.

도 1은 캡시에이트(A)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B)의 세포내 활성산소군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Con : 무처리군; CAT, deCPT : 실험군 A; UV : 대조군; UV+CAT, UV+deCPT : 실험군 B; CAT : 캡시에이트; deCPT :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Figure 1 show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tracellular active oxygen group of capsate (A) and dehydrocapsate (B) (Con: no treatment; CAT, deCPT: experimental group A; UV: control; UV + CAT UV + deCPT: experimental group B; CAT: capsate; deCPT: dihydrocapsate).

도 2는 캡시에이트(A)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의 COX-2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 및 MAPK(B) 및 NF-κB(C)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PERK : 인산화된 ERK, PP38 : 인산화된 P38). Figure 2 shows the effect of inhibiting COX-2 expression of capsate (A) and dihydrocapsate (D) and the effect on MAPK (B) and NF-κB (C) signaling (PERK: Phosphorylated ERK, PP38: phosphorylated P38).

도 3은 캡시에이트의 TPA에 의해 유도된 COX-2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CPT : 캡시에이트).Figure 3 shows the effect of inhibiting COX-2 expression induced by TPA of capsate (CPT: capsate).

도 4는 캡시에이트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1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A : 자외선 100J/m2 조사, B : 자외선 200J/m2 조사).Figure 4 shows the MMP-1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induced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capsate (A: UV 100J / m 2 irradiation, B: UV 200J / m 2 irradiation).

도 5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A), IL-8(B), TNF-α(C)에 대해서 캡시에이트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CPT10 : 캡시에이트 10μM, CPT25 : 캡시에이트 25μM; CPT50 : 캡시에이트 50μM).Figure 5 shows the inhibitory effect of capsate o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 IL-8 (B), and TNF-α (C) (CPT10: Capsate 10 μM, CPT25: Capsate 25 μΜ; CPT50: Captate 50 μΜ).

도 6은 VEGF(A), MMP-2 및 MMP-9(B, C)의 발현에 대해서 캡시에이트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도 4B 및 도 4C의 그래프 가로축의 숫자는 각각 캡시에이트의 첨가량(단위 : μM)을 나타냄).Figure 6 shows the inhibitory effect of capsate on the expression of VEGF (A), MMP-2 and MMP-9 (B, C) (the numbers in the graph abscissas of Figures 4B and 4C indicate the amount Unit: μM)).

도 7은 털이 없는 마우스에서 자외선에 대한 캡시에이트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Vehicle : 무처리군)Figure 7 shows the effect of capsate on ultraviolet light in hairless mice (Vehicle: no treatment group)

도 8은 캡시에이트의 COX-2(A, B) 및 MAPK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A)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C)을 나타낸 것이다.FIG. 8 shows the effects on capxate COX-2 (A, B) and MAPK signaling (A) and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

도 9는 캡시에이트의 신생혈관 유도와 관련된 Ki67(A), PECAM-1(B), ICAM-1(C), VEGF(D) 및 MMP-2 및 MMP-9(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FIG. 9 shows the effects of Ki67 (A), PECAM-1 (B), ICAM-1 (C), VEGF (D) and MMP-2 and MMP-9 (E) expression associated with neovascular induction of capsate It is shown.

도 10은 캡시에이트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홍반(A) 및 피부조직(B)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0 shows the effect on the erythema (A) and skin tissue (B)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of capsate.

도 11은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MTT 분석(A) 및 3H-티미딘 인코포레이션 분석(B)을 통해 나타낸 것 및 내피세포의 세포주기(C) 및 사이클린 단백질의 변화(D)를 나타낸 것이다(D-cap :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Figure 11 shows the effect on th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of capsate and dehydrocapsate via MTT assay (A) and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B) and cell cycle (C) and cyclin of endothelial cells Changes in protein (D) are shown (D-cap: dihydrocaptate).

도 12는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화학주성 이동성(A) 및 튜브 형성(B, 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FIG. 12 shows the effects on chemotactic mobility (A) and tube formation (B, C) of capsate and dihydrocapsate.

도 13은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내피세포 투과성(A) 및 VE-캐드헤린의 발현(세포간 접착성) 및 인산화(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FIG. 13 shows the effects on endothelial cell permeability (A) and expression of VE-cadherin (intercellular adhesion) and phosphorylation (C) of capsate and dehydrocaptate.

도 14는 캡시에이트 및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의 대동맥환으로부터의 발아(A, B), 매트리젤 플러그(C) 및 CD31로 확인된 내피세포 발현(D, E)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FIG. 14 shows the effect of capsate and dehydrocaptate on endothelial cell expression (D, E) identified by germination (A, B), Matrigel plug (C) and CD31 from aortic rings.

Claims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캡시에이트(capsiat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a capsiat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3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3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ihydrocapsiat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dihydrocapsiate represented by Formula 2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4
Figure 112007079668300-PAT0000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kin disease is a skin disease or an inflammatory skin disease caused by ultraviolet ray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은 광노화, 기미, 주근깨, 잡티, 피부 건조증, 피부 주름, 일광화상, 광각화증, 피부암 및 지루성각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kin disease caused by ultraviolet ray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toaging, blemishes, freckles, blemishes, dry skin, skin wrinkles, sunburn, photokeratosis, skin cancer and seborrheic keratos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피부 염증, 급·만성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단순태선, 간찰진, 박탈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건선, 일광 피부염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flammatory skin disease is skin inflammation, acute and chronic eczema, contact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chronic simple mammary glands, interrogation, deprived dermatitis, papular urticaria, psoriasis, sun dermatitis and acne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R1020070112704A 2007-11-06 2007-11-06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capsate, dihydrocaps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100927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704A KR100927806B1 (en) 2007-11-06 2007-11-06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capsate, dihydrocaps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704A KR100927806B1 (en) 2007-11-06 2007-11-06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capsate, dihydrocaps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719A Division KR20090109077A (en) 2009-09-24 2009-09-24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 comprising capsiate, dihydrocapsidate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504A true KR20090046504A (en) 2009-05-11
KR100927806B1 KR100927806B1 (en) 2009-11-23

Family

ID=4085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704A KR100927806B1 (en) 2007-11-06 2007-11-06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capsate, dihydrocaps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8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1346A1 (en) * 2011-05-03 2012-11-08 Dermachip Inc. Expression signatures of genes and gene networks associated with skin ag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772A (en) * 2000-01-28 2001-08-07 Health Science Center:Kk Skin application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1346A1 (en) * 2011-05-03 2012-11-08 Dermachip Inc. Expression signatures of genes and gene networks associated with skin 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806B1 (en)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3943B2 (en) Novel compounds of the N-acylamino-amide family,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uses
KR10139481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ee Venom or Extracts of the Same
KR100978545B1 (en) Cosmetic use of an extract of Mentha
Tuthill et al. Pilar neurocristic hamartoma: its relationship to blue nevus and equine melanotic disease
JP7016171B2 (en) Saxifraga extract for cosmetic or therapeutic applications on the skin
TW200306209A (en) Medicament for curing itching rough skin or sensitive skin and for skin whitening based on reducing production and/or release of stem cell factor
KR20120089407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Black Tea As Active Ingredient
Gauthier et al. Tacrolimus (FK506) ointment combined with Nb-UVB could activate both hair follicle (HF) and dermal melanocyte precursors in vitiligo: the first histopathological and clinical study
KR100816774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diseases
KR100927806B1 (en)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s comprising capsate, dihydrocapsate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058136B1 (en) New Uses of Capsate or Dihydrocapsate
AU2012200390A1 (en)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cutaneous photodamage and photoprotection of the skin with a water-soluble extract from plant of solanum genus
US20150366789A1 (en) Glochidium wallichianum extracts and methods of use
KR101135264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medicinal herb mixture
KR101209220B1 (en) A composition containing Lindera obtusiloba leaf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treatment
KR20090109077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isease comprising capsiate, dihydrocapsidate or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52107B1 (en) Cosmetic Composition
JP4319417B2 (en) Melanin production deficiency treatment
US20150366788A1 (en) Calotropis gigantea extracts and methods of use
US20150359732A1 (en) Vernonia cinerea extracts and methods of use
CN106456529A (en) Whitening ability of small stem cell and use thereof
JP7456990B2 (en) Methods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conditions
JP2019202987A (en) Sensory stimulation reducing agent
KR102109828B1 (en) Cosmetic Composition
KR102109829B1 (en) Cosmetic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