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749A -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749A
KR20090045749A KR1020070111727A KR20070111727A KR20090045749A KR 20090045749 A KR20090045749 A KR 20090045749A KR 1020070111727 A KR1020070111727 A KR 1020070111727A KR 20070111727 A KR20070111727 A KR 20070111727A KR 20090045749 A KR20090045749 A KR 2009004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
dyeing
ag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식
Original Assignee
신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호 filed Critical 신인호
Priority to KR102007011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5749A/ko
Publication of KR2009004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0.02 - 50.0중량%의 사용으로 모발의 이온 흡착력으로 염착력을 향상되고 염색의 견뢰도가 증가 하며 감초추출물 0.02 - 70.0중량%, 쑥추출물 0.02 - 70.0중량%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염모제, 염색제화학조성물.

Description

염모제 조성물{omitted}
본 발명은 산화형 염모제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천연 추출물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염료의 모발 표피의 침투 투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염료의 모발내부 진입속도가 빨라 모발 염착성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친화성이 좋은 동물성 및 식물성의 알콜을 함유하여 색상의 견뢰도를 증가시키고 염모시간을 단축하여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염색제는 색상의 내구성에 따라 영구모발염색제, 반영구염색제, 일시시 모발염색제로 구분되며, 본발명의 조성 물은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제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제로 되어있는 2제형의 영구 모발색제에 관한 것이다.
모발염색제의 경우, 색을 내지 못 하는 저분자 산화염료가 모발에 침투해서 모발내부에 산화 중합을 하여 물에 녹지 않는 고분자물질의 색소를 형성하게 되며 고분자 물질이 이루어진 것이 색상을 나타내고 그 색상은 산화염료의 조성에 따라 여러 가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염모력의 특징으로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염구 염모제는 통상적으로 제1제제에 산화염료와 직접염료 등과 알칼리 성분을 배합하고, 제2제제에 과산화 수소를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직전에 사용직전에 제1제제와 제2제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제의 알칼리 성분은 모발을 팽륜시켜 염료를 모발내부롤 용이하게 확산 침투할수 있도록 하며 제2제제완혼합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여 염료를 산화시키기위하여 필요한 산소의 발생을 도와 적절한 모발염색이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산화 염모제는 염모력이 비교적 우수하나 모발에 따라 염착이 느리게 나타나며 일광, 샴푸, 땀 등에 의하여 서서히 퇴색되어지며 견뢰성이 나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발내부에서의 산화 중합에의해 염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윤기 및 광택이 없어지고 모발이 심하게 손상되어 모발이 거칠어지며 부자연스런 색이 되기도 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인하여 착색력과 견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보특허특0163530 비이온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염모제 조성물을 계시하고 있다. 그러나 비이온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력이 우수하여 모발에 아미노산의 음이온화로 반발력이 발생하여 착색에 만족스럽지 못하며 모발 염착 후 세척에 의해 상당량이 제거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염착력과 견뢰도의 향상 효과를 주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염착성과 견뢰성을 향상시키고 염색 시간을 단축시켜 알칼리제와 산화제의 격렬한 작용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여 모발 손상을 최소화한 염모제 조성물을 만들기 위하여 많은 시험을 하였으며 특정의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와 동물성 알콜,식물성알콜 (CnH2n-OH)을 혼합함으로서 모발내부로의 침투를 용이 하게하여 염착성을 증가시키며 모발을 적정히 맛사지 함으로서 색상의 견뢰성을 증가시키고 염착시간을 줄일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과 양쪽성이온 계면활성제, 감초추출물, 숙추출물을 함유함 으로서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두피에 염착 되지않고 빠른시간에 염착할 수 있으며 피부자극 완화에 착안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염착력이 빠르며 색상의 견뢰도가 우수하고 모발의 케라틴에 선택적 우선 결합하여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효과를 연구한 염모제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모발케라틴에 선택적 결합을 하며 염색시간을 단축하고 두피오염을 줄이고 피부자극을 완화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의 조성물은 염색 가능한 산화 염료 및 산화제,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을(Ⅰ),(Ⅱ) 또는(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정제 0.5 - 50중량%, 양쪽성이온계면활성제 0.01 - 10중량% 양이온계면활성 0.03 - 5.0중량% 와 음이온계면활성제 0.01 -10.0중량%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7508852762-PAT00001
(상기식 중에서 n은 2 - 50의 정수이다)
화학식(Ⅱ)
C42H65NO16 분자량 : 839.97
( Monoammonium Glycyrrhizate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에이트))
화학식(Ⅲ)
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var. orientalis hara 또는 참쑥 Artemisia mngolica Fischer(Compositae)의 건조한 잎을 에탄올, 1,3-부칠렌글리콜, 정제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액 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
(쑥 추출물 )
이하. 본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염모제는 한정된것은 아니며 산화염료와 산화제로 이루어지 2제형 염모제를 대상으로 하며, 그 제형은 제1제제와 제2제제가 모두 크림인 것과 제1제제가 크림이고 제2제제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액상, 제1제제와 제2제제가 모두 액상인 샴푸타입에 모두적용 할 수있다.
본발명에서 사용한 특정의 양쪽성계면활성제와 양이온계면활성제는 염료의 모발내부로의 침투을 용이하게 하여 염착력을 향상시키며 모발에 적정수준의 점성을 부여함으로써 표현된색상의 견뢰도를 강화하여 완전한 색조를 모발에 보다 지속적으로 제공할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양쪽성계면활성제는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0.5 - 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50중량%의 량으로 사용된다.또한 양이온계면활정제 로서는 스테아릴트리메칠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크로라이드.
벤잘코늄클로라이드, 스테알아미드프로필디아민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8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정하게는 양쪽성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를 중량비로 0.5 - 15 : 1의 범위내로 배합 하는것이 좋다. 또한 본발명은 알칼리제와 산화염료로 인하여 두피와 피부자극 을 줄이기 위하여 감초와 쑥의 추출물을 총량을 기준으로 0.1 - 70중량%사용하여 산화염료와 알칼리성분으로 인한 두피와 피부자극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는 모발의 양이온적 흡착력을 보이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용함으로써 우수한 염착과 균일한 색상의 견뢰성 효과를 제공할 수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와 수요성고분자 화합물로는 폴리퀘터늄-4, 폴리퀘터늄-7, 폴리퀘터늄-10, 폴리퀘터늄-16, 폴리퀘터늄-24, 폴리퀘터늄-28,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 2중량% 사용된다.
이하 본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그 외성분에대하여 설명 한다.
제1제제의 산화염료 전구체로서는 그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페닐렌디아민류,아미노페놀류, 톨루엔디아민류, 아미노니트로 페놀류, 디페닐아민류, N-페닐렌디아민류, 디이미노피리딘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수 있고 제1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통상 0.01 - 10중량%의양으로 사용된다. 또 커플러로서는 레조르신,m-페닐렌디아민,m-아미노페놀, 피로갈롤, 나프톨, 카테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제중에는 에탄올,이소프로판올,벤질알콜,등의 저급알콜, 세탄올, 스테아린알콜, 스테아릴산.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 올레일알콜, 라노린,스켈란,유동파라핀, 아황산염. 치오글리콜산,치오글리콜산염, EDTA, 가성소다,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 및 향료등 공지에 배합제를 배합할 수 있다.
제2제제의 산화제로서는 통사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등이 사용되고 있다. 제2제제 중에도예를들면 EDTA, 페나세친, 아세트아닐리드,등의 안정제, 유동파라핀, 스켈란, 등의유성성분, 지방산 및 고급지방알코올, pH조절제, 향료증의 고지의 배합제를 필요에따라 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제제와 제2제제는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하되어 이용된다.
본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상기한 일반식 (Ⅰ) - (Ⅲ)으로 표시되는 양쪽성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혼합하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으며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수용성고분자감초추출물 쑥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염료의 이온흡착력을 용이하게 하여 염착력을 향상시키고 모발에 적정수준의 점성을 유지함으로써 표현된 색상의 결뢰성을 증가 시킬 수 있어 색조를 보다 지속적으로 모발에 유지할 수 있으며 염착시간이 짧아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모발 전체에 균일한 색상을 유지하고 두피자극 및 피부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본발명의 필수 성분으로 하는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감초추출물, 쑥추출물,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제1제제를 함유하는 제2제제 중 어느한쪽에 또는 양쪽에 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 예를 들어 본발명에 따를 염모제 조성물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제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4]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3
[제2제제 실시예 1]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4
[샴푸액 실시예 1]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5
상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4에 대하여 염착성, 견뢰도 및 피부자극 결과를 표1-1과 표1-2, 및 표1-3에 나타 내었다.
[표 1-1] 염착성 결과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6
1) 낮음 : ★ 2) 보통 : ★★ 3) 우수함 : ★★★
표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착성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 된다
[표 1-2] 피부자극 결과
1) 자극이많음 : ★ 2) 모르겠다 : ★★ 3) 발진 자극이 없음 : ★★★
* 실험대상자 : 9명
* 실시예 1에 비해 비교예 3과 4가 자극이 적은 것으로 판단 된다.
[표 1-3] 견뢰도(물 빠짐) 결과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8
1) 퇴색됨 : ★ 2) 보통 : ★★ 3) 변화가 없음 : ★★★
* 비교 예 4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 된다.
[제 1제제 제조방법]
#1 - 11까지를 혼합, 70도씨까지 가온하여 용해한다. #12 - 17을 80도씨까지 가열 용해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18을 가하여 pH를 조정하고 #19를 넣고 혼합하여 제1제제를 제조하였다.
[제 2제제 제조방법]
#1 - 5를 80도씨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7 - 9를80도씨까지 가온하여 완전 용해하여 넣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6을 넣어 pH를 조정하고 #10을 넣고 완전히 혼합 한다.
[이하 실시예의 제 2제제는 동일한 조성물로 실시 함]
[실시예 1]
염착성을 실험하기위하여 조성물의 길이 10cm 무게 0.5 - 1.0g 양모에 바르고 5-7분이 경과한 후 사판되는 샴푸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낸 다음 바람으로 건조 시켰다. 염색한 모발과 미처리 모발의 색의 차를 비교하여 색차가 클수록 ★표의 수를 증가하였다. 또 견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판용 샴푸 용액에 4시간 침적하고 관찰하여 색빠짐이 정도가 클수록 ★표의 수를 증가하여 표기하였다.
또한 피부자극은 귀 및 피부에 7분간 발라둔 후 세제를 사용하여 완전히 세척한 후 피부에 생기는 붉은 반점의 크기를 관찰하여 평가한 결과를 표1에 나타 내였다.
[제1제제 실시예 2 및 비교예 1 - 4]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9
[실시예 2 ]
상기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5 -9에 대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착성, 견뢰도 및 피부자극 결과를 표2-1과 표2-2, 및 표2-3에 나타 내었다.
[표 2-1] 염착성 결과
Figure 112007508852762-PAT00020
1) 낮음 : ★ 2) 보통 : ★★ 3) 우수함 : ★★★
표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착성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된다
[표 2-2] 피부자극 결과
Figure 112007508852762-PAT00021
1) 자극이많음 : ★ 2) 모르겠다 : ★★ 3) 발진 자극이 없음 : ★★★
* 실험대상자 : 15명
* 실시예 2에 비해 비교예 9가 자극이 가장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2-3] 견뢰도(물 빠짐) 결과
Figure 112007508852762-PAT00022
1) 퇴색됨 : ★ 2) 보통 : ★★ 3) 변화가 없음 : ★★★
* 비교 예 5 - 9가 견뢰도는 변화가 없는 판단된다.
실시예 1에서 표 1-1, 표1-2, 표1-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염착성, 색상의견뢰도(물빠짐)은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양이온고분자를 동시에 함유한 실시예 1에서 가장우수 하였다.
실시예 2에서 표 2-1, 표2-2, 표3-3에서 나타난 바와 염착성, 색상의견뢰도(물빠짐),피부 저자극은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양이온고분자, 감초추출물및 쑥추출물을 동시함유 한것이 실시예 2에서 가장 우수 하였다.
특히 빠른 염착력은 양쪽성이온을 같는 계면활성제와 양이온계면활성제의 혼합시 모발에 대한 강한 이온흡착력에 의한 것으로서 염색후 수세하여도 모발에 착색력과 견뢰도(탈색)는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감초추출물과 쑥추출물은 염모제의 주성분 피부으로 부터의 피부 자극 자극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2)

  1. 염색 가능한 양의 산화염료 및 산화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일반식으로된 화합물을 0.5 - 5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일반식]
    Figure 112007508852762-PAT00012
    (상기식 중에서 n은 2 - 5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염색 가능한 양의 산화염료 및 산화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감초추출물 0.02 - 70중량%, 쑥추출물 0.02 - 70중량% 선택된 1종이상이 혼합된 염모제조성물.
KR1020070111727A 2007-11-02 2007-11-02 염모제 조성물 KR20090045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27A KR20090045749A (ko) 2007-11-02 2007-11-02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27A KR20090045749A (ko) 2007-11-02 2007-11-02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49A true KR20090045749A (ko) 2009-05-08

Family

ID=4085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27A KR20090045749A (ko) 2007-11-02 2007-11-02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57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66B1 (ko) * 2013-08-30 2013-12-04 이재일 천연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염색시간이 빠른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66B1 (ko) * 2013-08-30 2013-12-04 이재일 천연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염색시간이 빠른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5626B1 (ja) 染毛料
CN105168016A (zh) 一种染发剂
US20060222613A1 (en) Hair treating agent
US4395262A (en) Hair dyeing agent
CA2448671C (en) Semi-permanent hair dyeing system using soluble vat dyes
KR20110060379A (ko) 카테킨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090045749A (ko) 염모제 조성물
KR102383053B1 (ko) 모발보호 효과가 우수한 염모용 산화제 조성물
KR100884894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668681A (zh) 一种角蛋白纤维染色组合物和染色方法
KR101108384B1 (ko)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0754122B1 (ko)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0163530B1 (ko) 염모제 조성물
KR100366757B1 (ko) 피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은 영구염모제
KR102513251B1 (ko) 늘어나는 성질을 갖는 저자극의 세정 및 염모용 조성물
KR0170627B1 (ko) 크림상의 염모제 조성물
KR100844228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2094A (ko) 거품형 염모제
CN108042428B (zh) 一种含有茶麸的漂浅组合物及其应用
JP2001064130A (ja) 酸化型染毛剤
KR100802320B1 (ko)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WO2023171163A1 (ja) 染毛剤
KR100789560B1 (ko) 4-아미노 피리딘 아조 유도체를 함유하는 산화염색용염모제 조성물
JP2023165006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0230874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