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943A - 벨크로 화스너 - Google Patents

벨크로 화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943A
KR20090044943A KR1020070111833A KR20070111833A KR20090044943A KR 20090044943 A KR20090044943 A KR 20090044943A KR 1020070111833 A KR1020070111833 A KR 1020070111833A KR 20070111833 A KR20070111833 A KR 20070111833A KR 20090044943 A KR20090044943 A KR 2009004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ape
velcro fastener
velcro
ta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394B1 (ko
Inventor
전병옥
Original Assignee
전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옥 filed Critical 전병옥
Priority to KR102007011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크로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림훅을 형성하기 위해 테이프본체에 형성되는 하나의 링몸체에 두 개의 걸림훅이 형성되도록 하여 단위 면적당 걸림훅의 형성수량이 증가되도록 한 벨크로 화스너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는,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제1 테이프부재와,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벨크로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걸림훅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꼭지점을 갖도록 형성한 폐곡선 형태의 단일 훅몸체에 상기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어 그 양쪽으로 제1 훅부와 제2 훅부를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걸림훅을 형성하기 위해 테이프본체에 형성된 하나의 링몸체에 의해 2개의 걸림훅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본체의 단위 면적당 형성할 수 있는 걸림훅의 수량이 증가되어 결착강도가 현저히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전성, 벨크로 화스너, 접속단자, 도전체

Description

벨크로 화스너 {VELCRO FASTNER}
본 발명은 벨크로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훅을 형성하기 위해 테이프본체에 형성되는 하나의 링몸체에 두 개의 걸림훅이 형성되도록 하여 단위 면적당 걸림훅의 형성수량이 증가되는 벨크로 화스너에 관한 것이다.
벨크로 화스너는 매직 테이프, 찍찍이 등으로 호칭되는 결착수단으로 고장이 없고, 사용과 설치가 편리하여 단추, 지퍼와 함께 대표적인 결착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벨크로 화스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테이프본체(111)에 갈고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훅(112)이 형성된 제1 테이프부재(110)와, 테이프본체(121)에 고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고리(122)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120)로 구성된다.
제1 테이프부재(110)에 구비되는 걸림훅(112)의 형성과정은 먼저 섬유사에 의해 테이프본체(111)에 링 형상의 훅몸체를 제직한 후 컷팅공정을 통해 걸림훅(112)의 절개부(112a)가 형성되도록 절단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제2 테이프부재(120)에 구비되는 걸림고리(122)의 형성과정은 테이프본체(121)에 고리 형태를 갖 도록 제직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크로 화스너의 사용방법은, 제1 테이프부재(110)와 제2 테이프부재(120)가 대응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훅(112)의 절개부(112a)를 통해 걸림고리(122)가 삽입되는 형태가 되면 서로 결착되게 되고, 걸림훅의 절개부로부터 걸림고리가 이탈되면 결착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걸림훅(112)과 걸림고리(122)는 테이프본체의 직조과정에서 일체로 직조하거나, 미리 테이프본체를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로 직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성하게 되고, 테이프본체의 단위 면적당 형성할 수 있는 걸림훅(112)의 수량은 훅몸체의 형성수량과 동일 수량으로 형성되며, 벨크로 화스너의 결속강도, 즉, 박리강도와 인장강도는 걸림훅(112)과 걸림고리(122)의 결속 수량에 따라 좌우되어 결정된다.
하지만, 벨크로 화스너는 용도와 목적에 따라 높은 결속강도를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운동성 장치나, 스마트 의류와 같이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인장력이 작용되는 부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 벨크로 화스너는 단위 면적당 형성할 수 있는 걸림훅의 수량이 정해져 있고, 이에 따라 결속강도 또한 걸림훅의 수량에 대응하여 한정되므로 충분한 결착강도를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벨크로 화스너의 걸림훅의 높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획일적으로 형성되는 바, 제1 테이프부재(110)와 제2 테이프부재(120)에 외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한 번의 분리동작에 의해 양부재가 서로 분리, 이탈되므로 갑작스런 분리로 인한 사용감과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벨크로 화스너의 분리시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단으로 순차 분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본체의 단위 면적당 걸림훅의 형성수량을 증가시켜 결착강도가 향상되도록 한 벨크로 화스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단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감이 향상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벨크로 화스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성이 부여되어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벨크로 화스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벨크로 화스너는,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제1 테이프부재와,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벨크로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걸림훅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꼭지점을 갖도록 형성한 폐곡선 형태의 단일 훅몸체에 상기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어 그 양쪽으로 제1 훅부와 제2 훅부를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꼭지점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그 중 하나의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면서 상기 제1 훅부 또는 상기 제2 훅부에는 복수의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만곡부의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성형한 후 절개하여 상기 제1 훅부와 제2 훅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본체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사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위사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에 의해 그물망 구조로 제직된 직물지상에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본체는, 코일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직되는 위사; 상기 위사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구조로 제직되는 경사; 및 상기 위사의 형성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신축성 재질의 신축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사에 상기 걸림훅 또는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에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테이프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를 제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부재와 상기 제2 테이프부재를 형성하는 테이프본체는 신축성 고분자패드일 수 있다.
상기 테이프본체에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으로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홀이 천공되고, 상기 미세홀상에 상기 걸림훅 또는 걸림고리가 제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본체에는 도전사, 발열선, 및 광섬유사로 이루어진 보조선재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선재는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본체는 소정 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 선재가 내설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부재 및 상기 제2 테이프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테이프본체의 상호간 또는 설치면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보조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수단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부재 및 상기 제2 테이프부재의 외면상에는 신축성 선재에 의해 형성된 보조 주머니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 의하면, 걸림훅을 형성하기 위해 테이프본체에 형성된 하나의 링몸체에 의해 2개의 걸림훅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본체의 단위 면적당 형성할 수 있는 걸림훅의 수량이 증가되어 결착강도가 현저히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링몸체에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걸림훅을 형성할 수 있어서 결착 및 분리과정을 2단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감이 향상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크로 화스너에 신축성이 부여되므로 스마트 의류와 같이 활동성이 요구되는 물품에 적용할 경우 사용상에 편의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10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혼돈되지 않은 범위에서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서 벨크로 화스너를 형성하는 테이프본체의 크기 및 두께, 걸림훅과 걸림고리의 형상, 크기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의 변형예에 따른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걸림훅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는, 테이프본체(210)에 다수의 걸림훅(400)이 형성된 제1 테이프부재(200)와, 테이프본체(310)에 다수의 걸림고리(500)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훅(400)은 도2의 확대 부분 및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요입되는 꼭지점(420)을 갖도록 형성한 폐곡선 형태의 훅몸체(410)에서 꼭지점(420) 부분이 절개되어 그 양측으로 제1 훅부(430)와 제2 훅부(440)가 나누어져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걸림훅(400)에 따르면, 단일의 훅몸체(410)에 의해 2 개의 훅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단위 면적당 보다 많은 수량의 걸림훅을 형성하게 되어 결착강도가 보다 향상된 벨크로 화스너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훅부(430)와 제2 훅부(440)는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걸림훅(400)은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만곡부의 곡률반경은 서로 다르게 성형한 후 꼭지점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훅(400)의 형성방법은,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본체(210)에 링 형태의 훅몸체(410)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하부에 성형하고자 하는 형태의 굴곡면(610)이 형성되고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열성형부재(600)를 훅몸체(410)측으로 이동시켜 순간적으로 열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훅부(430) 또는 제2 훅부(440)는 복수의 만곡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만곡부(450)는 걸림고리(500)가 걸림되는 부분으로 복수 개로 형성할 경우, 걸림훅(400)이 걸림고리(5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보다 강력한 결착강도가 요구되는 벨크로 화스너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만곡부(450)를 갖는 걸림훅(400)은 훅몸체(410)에 2개 이상의 꼭지점(420)을 형성하고 그 중 하나의 꼭지점 부분을 절개하게 되면 복수의 만곡부(450)를 갖는 제1 훅부(430) 또는 제2 훅부(440)를 얻을 수 있다.
첨부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 프부재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테이프부재(200)의 테이프본체(210)는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사(211), 위사(21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구조로 제직되는 경사(212), 및 위사(211)의 형성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신축성 재질의 신축선재(213)를 포함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211)는 경사와 함께 제직되는 과정에서 링 형상의 훅몸체로 형성된 후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어 제1 훅부(430) 및 제2 훅부(440)를 갖는 걸림훅(40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제2 테이프부재(300)를 상기한 제1 테이프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하고, 위사에 걸림고리(500)가 형성되도록 제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신축선재(213)는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늘어나고 인장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도록 다양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선재로서 고무사 및 스판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위사(211)가 코일 형태로 형성되고, 경사(212)가 지그재그 구조로 제직됨에 따라 인장력의 작용시에 신축선재(213)와 함께 위사(211) 및 경사(212)도 늘어나게 되므로 신축성을 갖는 테이프본체가 구현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부재(200)의 제2 구성예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사(211), 위사(21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구조로 제직하는 경사(212), 및 위사(211)의 형성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신축성 재질의 신축선재(213)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212)에 걸림훅(40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면으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이 경사(212)에 걸림훅(400)이 형성된 테이프본체(210)와 대응하도록 경사에 걸림고리(500)가 형성되는 테이프본체(310)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부재는 인장력의 작용시에 위사(211), 경사(212), 신축선재(213)가 모두 신축되므로 신축성을 갖는 벨크로 화스너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걸림훅(400) 또는 걸림고리(500)가 신축되는 위사 또는 경사에 형성되어 함께 신축되므로 걸림훅(400) 및 걸림고리(500)이 서로 결착된 상태에서도 서로 이탈되지 않고 신축되므로 활동성이 요구되는 스마트 의류와 같은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테이프부재(200)와 제2 테이프부재(300)의 테이프본체(210,310)는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사, 위사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구조로 제직되는 경사, 및 위사의 형성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신축성 재질의 신축선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훅 또는 걸림고리를 도5 및 도6과 같이 위사(211)나 경사(212)에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섬유사에 의해 테이프본체에 직접 제직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때에는, 테이프본체(210)를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섬유사에 의해 링 형상의 훅몸체를 제직한 후 절개하여 걸림훅을 형성하고, 테이프본체(310)에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섬유사에 의해 링 형상의 걸림고리를 제직하여 형성하게 되면, 테이프본체가 늘어난 상태에서 걸림훅 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테이프본체의 수축 및 팽창시에 걸림훅 및 걸림고리도 수축 및 팽창되는 구조의 벨크로 화스너를 구현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7의 위쪽 부분은 걸림훅이 형성된 제1 테이프부재이고, 아래 부분은 걸림고리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3 구성예에 따른 제1 테이프부재(200)는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사(211)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위사(21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212)에 의해 그물망 구조의 직물지로 제직된 테이프본체(210)에 걸림훅(4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부재(300) 또한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형성된 위사(311)와 경사(312)에 의해 그물망 구조의 직물지로 제직된 테이프본체(310)에 걸림고리(500)가 형성되어 있다.
도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 내지 도8c를 참조하면, 제4 구성예에 따른 테이프부재(제1 테이프부재(210)와 제2 테이프부재(310))는 신축성을 갖도록 테이프본체(210,310)가 신축성 고분자패드로 구성된다.
신축성 고분자패드의 소재로는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본체(210,310)에 보강층(214,314)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층(214,314)은 테이프본체(210,310)가 얇게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걸림훅(400) 또는 걸림고리(500)를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제직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강층(214,314)의 일 예로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훅(400) 또는 걸림고리(300)의 형성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선형의 돌출부(214a,314a)로 형성된다.
또한, 보강층(214,314)의 다른 예로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훅(400) 또는 걸림고리(500)의 형성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점형(반구형의 돌기 형태)의 돌출부(214b,314b)로 형성된다.
한편,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고분자패드로 형성된 테이프본체(210,310)에 별도의 보강층을 형성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홀(215,315)을 천공하고, 이 미세홀(215,315)상에 걸림훅(400) 또는 걸림고리(500)를 제직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내지 제4 구성예에는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테이프본체(210,310)에는 전류의 통전을 위한 도전사, 발열을 위한 발열선, 및 광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광섬유사로 이루어진 보조선재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보조선재는 테이프본체(210,310)가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보조선재 또한 신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보조선재는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벨크로 화스너가 소정 온도에서 변태되도록 하기 위해, 테이프본체의 내부에 소정 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 선재를 내설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a 내지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화스너의 제1 테이프부재(200) 및 제2 테이프부재(300)를 구성하는 테이프본체(210,31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테이프본체의 상호간이나 설치면(벨크로 화스너의 장착 부분)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보조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고정수단은 벨크로 화스너를 의류, 가방과 같은 설치물품의 설치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설치면과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제1 테이프부재(200)와 제2 테이프부재(300)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고정수단은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고리(610)나 훅 형태의 걸고리(620)가 설치될 수 있고,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똑딱이단추(6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고정수단으로서 테이프본체(210,310)에 홀을 천공하고 중공부를 갖는 리벳을 삽입하여 형성한 고정링(640)으로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조고정수단은 도9a 내지 도9b에 도시된 것 외에도 접속과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전술한 보조고정수단을 도전성을 띄는 금속에 의해 형성하여 테이프본체(210,310)에 내설되는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6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화스너의 제1 테이프부재(200) 또는 제2 테이프부재(300)를 구성하는 테이프본체의 외면상에 신축성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 주머니(650)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주머니(650)는 벨크로 화스너를 스마트 의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자기기, 통신기기 등을 수납하거나, 이어폰, 접속케이블과 같은 부속기기를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 벨크로 화스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의 변형예에 따른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걸림훅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화스너에서 테이프부재의 제6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제1 테이프부재 210,310:테이프본체
211,311:위사 212,312:경사
213:신축성선재 214,314:보강층
215,315:미세홀 300:제2 테이프부재
400:걸림훅 410:훅몸체
420:꼭지점 430:제1 훅부
440:제2 훅부 500:걸림고리

Claims (17)

  1.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제1 테이프부재와,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벨크로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걸림훅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꼭지점을 갖도록 형성한 폐곡선 형태의 단일 훅몸체에 상기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어 그 양쪽으로 제1 훅부와 제2 훅부를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그 중 하나의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면서 상기 제1 훅부 또는 상기 제2 훅부에는 복수의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만곡부의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성형한 후 절개하여 상기 제1 훅부와 제2 훅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사 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위사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에 의해 그물망 구조로 제직된 직물지상에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는,
    코일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직되는 위사;
    상기 위사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구조로 제직되는 경사; 및
    상기 위사의 형성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신축성 재질의 신축선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에 상기 걸림훅 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에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를 제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부재와 상기 제2 테이프부재를 형성하는 테이프본체는 신축성 고분자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에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으로 상기 걸림훅 또는 상기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홀이 천공되고, 상기 미세홀상에 상기 걸림훅 또는 걸림고리가 제직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에는 도전사, 발열선, 및 광섬유사로 이루어진 보조선재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재는 신축성을 갖도록 코일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본체는 소정 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 선재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부재 및 상기 제2 테이프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테이프본체의 상호간 또는 설치면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보조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수단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부재 및 상기 제2 테이프부재의 외면상에는 신축성 선재에 의해 형성된 보조 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화스너.
KR1020070111833A 2007-11-01 2007-11-01 벨크로 화스너 KR10092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833A KR100928394B1 (ko) 2007-11-01 2007-11-01 벨크로 화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833A KR100928394B1 (ko) 2007-11-01 2007-11-01 벨크로 화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43A true KR20090044943A (ko) 2009-05-07
KR100928394B1 KR100928394B1 (ko) 2009-11-23

Family

ID=4085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833A KR100928394B1 (ko) 2007-11-01 2007-11-01 벨크로 화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173B1 (ko) * 2018-04-04 2020-02-06 주식회사 본투로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1141A (en) 1975-03-24 1976-10-01 Nippon Berukuro Kk Surface fastener
JP2005161012A (ja) * 2003-11-13 2005-06-23 San D Cloth:Kk 耐火・耐熱性面ファスナー及び該面ファスナーを使用した防火服及び消防用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394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603B1 (en) Woven hook and loop fastening
JP5367144B2 (ja) 導電性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85192A1 (en) Woven fastening
JP2008513613A (ja) Rfトランスポンダ用の統合アンテナ糸を備える帯状織物
KR100964092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6702709B2 (ja) 衣料
JP2008093210A (ja) 曲がり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09881336B (zh) 导电伸缩织带、动作捕捉装置和智能服装
NL1037664C2 (en) Structure of touch-fastening anti-skidding material.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928394B1 (ko) 벨크로 화스너
WO2018012008A1 (ja) 編込み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JPS61160461A (ja) 導電性弾性フアブリツク
US20180042368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Wrist Straps
CN110225708B (zh) 固定带、固定方法及固定带构件
KR20110019309A (ko) 도전성 면상체
KR101945045B1 (ko) 부분 신축 도전성 면상체
US20110117313A1 (en) Structure of touch-fastening anti-skidding material
CN209412418U (zh) 导电伸缩织带、动作捕捉装置和智能服装
US20120260401A1 (en) Releasable securement device
US20230402205A1 (en) Wiring member and device with movable part provided with same
CN112011881A (zh) 可附接的织物组件
KR20200002780U (ko) 휴대용 온열기
KR20100135629A (ko) 도전성 면상체
AU2010200575A1 (en) Structure of Touch-Fastening Anti-Skidd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