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705A -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705A
KR20090044705A KR1020070110923A KR20070110923A KR20090044705A KR 20090044705 A KR20090044705 A KR 20090044705A KR 1020070110923 A KR1020070110923 A KR 1020070110923A KR 20070110923 A KR20070110923 A KR 20070110923A KR 20090044705 A KR20090044705 A KR 20090044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secondary battery
plate
cap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259B1 (ko
Inventor
정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259B1/ko
Priority to US12/236,793 priority patent/US8323825B2/en
Priority to CN200810169792XA priority patent/CN101425569B/zh
Publication of KR2009004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01M50/56Cup 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압력 하에서 변형되어 파단압 산포를 개선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상기 두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전기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접속부는 볼록한 형상의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벤트의 중심부에 파단을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고, 벤트의 전면적에 압력이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벤트의 변형이 일정하게 되어 파단압 산포를 개선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차 전지, 캡 조립체, 벤트, 파단압 산포, 안전성

Description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압력 하에서 변형되어 파단압 산포를 개선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한 번 방전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건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으로 인하여 근래에 그 계발이 급속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는 핸드폰, PDP,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등의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반면, 전지 셀을 다수개 연결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종래에 널리 사용된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등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6V로서 3배나 우수하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이 뛰어나서 그 사용범위와 사용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캔형과 파우치형으로 구분하며, 캔형은 다시 각형과 원통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리튬-이온 이차 전지와 리튬-폴리머 이차 전지로 분류할 수도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경우에는 전지가 과충전 상태가 되면, 전극 조립체의 상부 영역에서 전해액이 증발하여 저항이 증가하게 되며, 이와 함께 전극 조립체의 중심 영역부터 변형이 일어나 리튬이 석출되기 시작한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상부 영역의 저항에 따라 국부적으로 발열이 시작되어 전지의 내부 온도도 상승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통상 과충전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하는 싸이클로 핵산 벤젠(CHB) 및 벤츠 피렌(BP) 등의 전해액 첨가제의 작용에 의해 내부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튬 이차 전지 중 원통형 이차 전지는 과충전이나 이상 동작으로 인하여 전지의 내부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폭발의 위험성이 있을 때 캡 조립체에서 이차 전지 내부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더 이상의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원통형 이차 전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캔과 상단 개구부에 절연 가스켓을 개 재하여 결합되는 캡 조립체로 구성되며, 캔의 내부에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 두 전극과 이들 전극 사이에 개재되어 두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캡 조립체는 벤트, 전류 차단기(CID:Current Interrupt Device),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전극 단자를 가진 캡 업 순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비된다.
종래의 캡 조립체는 전극 조립체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벤트가 변형이 되어 전류 차단기를 파단시킴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며, 전극 조립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캡 조립체는 내부 압력에 의해 벤트가 변형되는 경우, 작동 압력에 따른 산포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지의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서 벤트에 의한 전류 차단기가 파단되어 전류 차단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벤트가 변형되지 않거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전류 차단기를 파단시킬 만큼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전지의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임에도 벤트의 변형이 발생하여 전류 차단기를 파단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사용 가능한 전지임에도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벤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접속부는 볼록한 형상의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판, 음극판 및 상기 두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기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접속부는 볼록한 형상의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변형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기 변형부의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벤트의 중심부에 파단을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고, 벤트의 전면적에 압력이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벤트의 변형이 일정하게 되어 파단압 산포를 개선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거리,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 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 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직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된 두 전극(21, 23)이 적층되고, 와형으로 권취되어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20)를 형성한다.
이때, 이들 전극 사이 및 두 전극 아래쪽 혹은 위쪽에는 세퍼레이터(25)가 하나씩 위치하므로 겹쳐지고, 권취되는 두 전극이 맞닿는 부분에는 세퍼레이터(25)가 개재되어 두 전극의 단락을 방지한다.
각 전극판(21, 23)은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된 금속 포일 혹은 금속 메쉬로 이루어지는 집전판에 음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과 보조 도체 및 바인더와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이루어진다. 용매는 이후의 전극 형성 공정에서 제거된다.
전극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집전체의 일부분에는 슬러리가 도포도지 않는 무지부가 형성된다. 무지부에는 한 전극판에 하나씩 전극 탭(27, 29)이 설치되며, 전극 탭(27, 29)은 하나가 원통형 캔(10)의 개구부 방향인 위쪽으로 인출되고, 다른 하나는 아래쪽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캔(10)은 원통형으로 철재, 알루미늄 합금 등을 사용하여 딥 드로잉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캔(10)의 개구부를 통해 캔 내부로 전극 조립체(20)를 삽입 한다.
이때, 전극 조립체(20)를 삽입하기 전에 먼저 전극 조립체 하면에 하절연판(11)을 덮고, 전극 조립체(20)에서 하향 인출된 전극 탭(29)이 하절연판(11)의 외측을 우회하면서 캔(10)의 저면과 나란하도록 절곡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20)는 원통형의 젤리롤을 이루며, 젤리롤의 중심은 비어 있어 중공을 형성한다.
하절연판(11)의 중심은 전극 조립체(20)의 중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역시 통공을 가진다. 절곡된 하향 인출된 전극 탭(29)의 일부분은 하절연판(11)의 통공을 가로지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태에서 위쪽에서 전극 조립체의 중공을 통해 용접봉을 삽입하여 중앙 통공을 가로지르는 전극 탭(29) 부분을 용접하여 캔(10) 저면과 부착시킨다.
따라서, 캔(10)은 하향 전극 탭(29)이 갖는 극성과 같은 극성을 갖게 되어, 캔 자체가 하나의 전극 단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극 조립체의 중공에 센터 핀(13)이 결합된 상태로 캔(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센터 핀(13)은 측방향에서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생기는 것에 저항하고, 내부 이상이 발생하여 전극 조립체에 가스가 발생할 경우 가스의 이동 통로가 되며, 전극 조립체의 충방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을 억제하여 전지의 수명을 늘리는 역할도 한다.
하향 전극 탭(29) 용접 후, 상절연판(15)을 전극 조립체(20) 상부에 위치시키며, 상절연판(15)의 통공을 통해 전극 조립체(20)의 상향 전극 탭(27)이 전극 조립체 밖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절연판(15)이 중앙 통공을 가질 경우에는 상절연판(15) 설치 후 하향 전극 탭(19)의 용접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캔 상부에 전극 조립체 또는 상절연판이 구비되는 경우의 상절연판의 상단 레벨에 맞추어 캔 측벽을 캔 내측으로 구부려 비드(17)를 형성한다.
비드(17)는 외부 충격에도 전극 조립체가 캔 내부에서 상하로 쉽게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여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이어서, 전극 조립체 위로 전해액 주입이 이루어지며, 전해액 주입은 비드가 형성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캔 상부에 절연 가스켓(30)이 삽입되고, 캡 조립체가 결합되어 밀봉하게 된다.
이때, 절연 가스켓(30)은 절연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서, 캡 조립체(30)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캡 조립체(30)와 캔(10) 사이를 절연시키면서 캔(10)을 밀봉하는 작용을 한다.
캡 조립체(40)는 먼저 각 부품들이 결합된 형태로 한꺼번에 절연 가스켓(30)에 설치되거나, 부품들이 차례로 가스켓(30) 내에 적층될 수도 있다.
캡 조립체(40)는 전극 탭(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벤트(50), 벤트(50)의 작용에 의하여 파단되어 전류의 경로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기(CID:Current Interrupt Device, 60),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70), 전극 단자 역할을 하는 캡 업(8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4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70) 위에 캡 업(80)이 위치하고,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70)의 하부에 전류 차단기(CID : Current Interrupt Device, 60)가 위치하고, 전류 차단기(60) 하부에 벤트(50)가 위치하는 순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하부부터 벤트, 전류 차단기(CID : Current Interrupt Device, 60),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70), 캡 업(80) 순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벤트(50)는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전류 차단기(CID:Current Interrupt Device, 60)를 파단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며, 전극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절연 가스켓(30) 내측에 설치된 캡 조립체(40)에 의해 마감되는 원통형 캔(10)의 개구부 벽체에 내측 및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해 캔을 봉합하는 클림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의 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b는 도2a의 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벤트(50)는 원판 형태의 플레이트(51)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51)의 일측에는 캔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20)를 향하는 원형의 홈이 볼록하게 돌출된 전기 접속부(53)가 형성된다.
전기 전속부(53)는 플레이트(53) 내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변형시 전류 차단기(CID:Current Interrupt Device, 60)를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5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50)는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노치부(5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치부(59)는 상기 벤트(50)의 캡 업(80) 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부(59)의 깊이가 너무 깊거나 얕으면 상기 벤트(50)가 오동작할 수 있으므로 당업자에 의한 적절한 깊이가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전기 접속부(53)는 전극 조립체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변형부(55) 및 돌기부(57)로 이루어진다.
변형부(55)는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내부 압력에 의해 전극 조립체 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에서 점차로 캔의 개구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바뀌는 부분이며, 돌기부(57)는 변형부(55)의 일측에 형성되며, 변형부(55)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캔의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된 부분이다.
돌기부(57)는 변형부(55) 내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내부 압력이 전면적에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변형부(55)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류 차단기(CID:Current Interrupt Device, 60)를 파단하는 데도 용이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전류 차단기를 파단해야 할 정도의 내부 압력에 의해 변형부(55)가 위로 볼록한 형상이 되면, 위로 볼록한 변형부(55)보다 더 위로 돌출된 돌기부(57)가 벤트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전류 차단기를 파단함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변형부(55)가 종래보다 더 넓은 면적에서 변형이 일어나며, 더 작은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력이 변형부(55) 전면적에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변형부(55)의 변형이 일정하게 되어 파단압 산포를 개선한 수 있다.
하기 표1은 종래의 벤트를 사용했을 때의 파단압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를 사용한 경우의 파단압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횟수 비교예 실시예
1 7.7 8.3
2 8.1 8.3
3 7.2 7.8
4 6.9 7.3
5 8.4 8.3
6 7.2 8.1
7 7.4 7.8
8 9 7.4
9 7.6 8.2
10 7.6 8.1
11 8.2 8.5
12 6.8 7.9
13 7.1 8.4
14 10.4 7.3
MAX 10.4 8.5
MIN 6.8 7.3
상기 표1은 7kgf/cm²의 압력하에서 벤트에 의해 전류 차단기가 파단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파단이 발생된 압력을 나타낸 것으로, 총 14번의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상기 표1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의 데이터는 최소 6.8kgf/cm²에서 최대 10.4kgf/cm²사이의 값을 가지며, 실시예의 데이터는 최소 7.3kgf/cm²에서 최대 8.5kgf/cm²사이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벤트를 사용한 비교예의 데이터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를 사용한 실시예의 데이터가 설정치인 7kgf/cm²에 근접한 수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표2는 상기 표1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 프로그램 MINI-TAP을 사용하여 Cp 및 Cpk를 산출한 데이터이다.
비교예 실시예
Cp 1.12 2.29
Cpk 1.06 2.27
Cp 및 Cpk는 공정 능력과 규격의 비율로서 공정이 규격에 맞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한지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Cp는 규격의 관계에 따라, Cpk는 치우침의 관계에 따라 표현되는 지수이다.
이때, Cp(단기 공정능력)는 공정변동(actual process spread, natural tolerance)에 대한 규격변동(allowable process spread, part tolerance)의 양적인 표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허용규격이 양측으로 주어졌을 때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규격상한(USL : Upper specification limit)은 11kgf/cm²으로, 규격하한(LSL : Lower specification limit)은 5kgf/cm²으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또한, Cpk(장기 공정능력)는 공정능력이 산포의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Cpk가 높으면 규격상한 및 규격하한을 벗어날 확률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Cp(단기 공정능력)과 Cpk(장기 공정능력)의 관계는
Figure 112007078657251-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으며, k는 치우침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Figure 112007078657251-PAT00002
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이때, μ:평균, M:규격 중심치, T:USL-LSL을 나타낸다.
상기 표2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벤트를 사용한 비교예의 경우에는 Cpk의 값이 1.06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Cpk의 값이 2.27로서 그 수치가 높아졌으며, 이는 공정시 규격상한 및 규격하한을 벗어날 확률이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벤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를 사용한 경우에 파단압 산포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 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원통형 이차 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의 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b는 도3a의 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캔 11 : 하절연판
13 : 센터 핀 15 : 상절연판
17 : 비드 20 : 전극 조립체
21, 23 : 전극판 25 : 세퍼레이터
27, 29 : 전극 탭 30 : 절연 가스켓
40 : 캡 조립체 50 : 벤트
51 : 원형 플레이트 53 : 전기 접속부
55 : 변형부 57 : 돌기부
59 : 노치부 60 : 전류 차단기
70 : PTC 80 : 캡 업

Claims (20)

  1. 벤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접속부는 볼록한 형상의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원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변형부의 볼록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벤트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전류 차단기, PTC 및 캡 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기 변형부의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벤트의 캡 업 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9. 양극판, 음극판 및 상기 두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기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접속부는 볼록한 형상의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의 일측 에 형성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원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캡 조립체와 상기 캔 사이에 절연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벤트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전류 차단기, PTC 및 캡 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기 변형부의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변형부의 볼록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의 볼록한 방향은 상기 전극 조립체 측을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캔의 개구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벤트의 캡 업 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070110923A 2007-11-01 2007-11-01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3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23A KR100934259B1 (ko) 2007-11-01 2007-11-01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12/236,793 US8323825B2 (en) 2007-11-01 2008-09-24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200810169792XA CN101425569B (zh) 2007-11-01 2008-10-28 帽组件和利用该帽组件的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23A KR100934259B1 (ko) 2007-11-01 2007-11-01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705A true KR20090044705A (ko) 2009-05-07
KR100934259B1 KR100934259B1 (ko) 2009-12-28

Family

ID=4058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923A KR100934259B1 (ko) 2007-11-01 2007-11-01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23825B2 (ko)
KR (1) KR100934259B1 (ko)
CN (1) CN101425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8944B1 (en) * 2006-06-27 2011-11-30 Boston-Power, Inc. Integrated current-interrupt device for lithium-ion cells
CN101803070B (zh) 2007-06-22 2014-10-22 波士顿电力公司 用于锂离子电池的电流中断装置维持装置
US9166206B2 (en) * 2008-04-24 2015-10-20 Boston-Power, Inc. Prismatic storage battery or cell with flexible recessed portion
US20090291330A1 (en) * 2008-04-24 2009-11-26 Boston-Power, Inc. Battery with enhanced safety
US8642195B2 (en) * 2008-12-19 2014-02-04 Boston-Power, Inc. Modular CID assembly for a lithium ion battery
CN102460770B (zh) * 2009-06-16 2016-02-24 波士顿电力公司 具有挠性凹入部分的棱柱形蓄电池组或电池
KR101240717B1 (ko) 2010-10-13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3136136A1 (en) * 2012-03-16 2013-09-19 Accuma S.P.A. Venting plug, particularly for electrolytic cells of electric batteries and the like
GB2543862B (en) * 2015-10-30 2018-02-14 Tata Motors European Technical Ct Plc Vent assembly for a battery pack
CN106450136B (zh) * 2016-11-15 2020-02-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及电池模组
KR102139065B1 (ko) * 2017-02-13 2020-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물 코팅부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셀
KR20200116336A (ko) * 2019-04-01 2020-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R3095898B1 (fr) 2019-05-06 2021-04-1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édé et système de caractérisation mécanique du godet d'une batterie
KR200495619Y1 (ko) 2020-05-28 2022-07-08 황영상 건전지의 봉인 시트지
FR3113195A1 (fr) 2020-07-30 2022-02-04 Commissariat à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adaptable sur une cellule pour créer une amorce de rupture sur une paroi d'un godet d'une cellule électrochimique
FR3115935B1 (fr) 2020-10-29 2023-07-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sécurité adaptable sur une cellule électrochimique
FR3115933A1 (fr) 2020-10-29 2022-05-06 Commissariat à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ystème d'alimentation électrique
FR3128586A1 (fr) 2021-10-26 2023-04-28 Commissariat à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 sécurité adaptable sur une cellule électrochimique pour bloquer son dispositif interrupteur de coura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798A (ja) 1994-02-15 1995-08-29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3511698B2 (ja) 1994-11-29 2004-03-29 宇部興産株式会社 密閉型非水二次電池
JPH10233199A (ja) 1997-02-20 1998-09-02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KR19990049247A (ko) 1997-12-12 1999-07-05 홍건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JP2000223103A (ja) * 1999-02-01 2000-08-11 Hitachi Maxell Ltd 密閉型電池
KR100346386B1 (ko) * 2000-09-18 2002-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KR100578804B1 (ko) * 2004-03-29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591432B1 (ko) * 2004-05-31 2006-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201069793Y (zh) 2007-08-31 2008-06-04 王文林 可充电池防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7451A1 (en) 2009-05-07
US8323825B2 (en) 2012-12-04
CN101425569B (zh) 2011-06-22
CN101425569A (zh) 2009-05-06
KR100934259B1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259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8486546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with notched vent member
JP4579880B2 (ja) 二次電池
KR100807029B1 (ko) 이차전지
EP2357685A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12506107A (ja) 安全性を改良したキャップアセンブリー及びそれを使用する円筒形二次バッテリー
US7919206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EP2924763B1 (en) Secondary battery
KR101744090B1 (ko)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JP2009245650A (ja) 密閉型電池
KR20160035424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394496B1 (ko) 안전 벤트
KR20090032272A (ko) 이차 전지
KR101549174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7071B1 (ko) 이차 전지
CN109716555B (zh) 可再充电电池
KR100496302B1 (ko) 안전벤트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865405B1 (ko) 이차전지
KR101121205B1 (ko) 이차전지
KR101764466B1 (ko) 이차전지
KR20140091337A (ko) 이차 전지
KR101473392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20039323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696799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팩 전지
KR102335696B1 (ko) 전류차단부재 및 캡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