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224A - 바인더 졸 - Google Patents

바인더 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224A
KR20090044224A KR1020070110222A KR20070110222A KR20090044224A KR 20090044224 A KR20090044224 A KR 20090044224A KR 1020070110222 A KR1020070110222 A KR 1020070110222A KR 20070110222 A KR20070110222 A KR 20070110222A KR 20090044224 A KR20090044224 A KR 20090044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sol
binder sol
fiber
colloidal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994B1 (ko
Inventor
박효열
강동필
나문경
안명상
이희웅
명인혜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3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인더 졸에 관한 것으로,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 Na+, K+, Mg2 +, Pb2 +, Ca2 +중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수식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바인더 졸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콜로이드 실리카에 네트워크 수식물질 등을 첨가함에 의해 고온에서 바인더로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수식산화물 바인더 졸 네트워크수식물질 코팅

Description

바인더 졸{Binder sol}
본 발명은 바인더 졸에 관한 것으로,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콜로이드 실리카에 네트워크 수식물질 등을 첨가함에 의해 고온에서 바인더로 사용가능한 바인더 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인더 재료는 접착성을 좋게 하기 위한 유기성 재료가 대부분이지만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탄화가 발생되면서 접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온에서 사용하기 위한 내열성 바인더는 탄화가 발생 되는 유기재료가 배제된 내열성 무기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무기재료 중 유리조성을 이용하여 내열성 바인더를 만들 수가 있다.
유리조성 중 유리를 형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이 SiO2이다. 유리를 형성하는 물질인 SiO2와는 달리 단독으로는 유리를 형성하지는 못하지만 유리를 형성하는 물질인 SiO2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면 유리가 형성되며, 그 유리에 적당한 성질도 줄 수 있는 수식 산화물이 있다.
대표적인 수식 산화물로서는 Li2O, Na2O, K2O, MgO, PbO 및 CaO 등이 있다.
SiO2 만으로 만들어진 유리의 구조는 Si 원자를 중심으로 그 주위에 O 원자가 정사면체의 정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SiO2의 정사면체가 한 개의 산소를 공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그 산소를 가교 산소라 부르며 산소원자에 의해 Si 이온 사이를 직접 결합하고 있는 연결을 산소교라 한다.
여기에 수식 산화물을 넣게 되면 수식 산화물의 이온이 산소교를 잘라 하나의 산소와 정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산소 중의 하나는 유리형성 물질인 Si 양이온과 연결되고 하나는 수식 양이온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한 개의 Si 원자에만 결합하는 산소원자 즉 비가교산소(unbridged oxygen)가 생겨 유리구조가 점차 약화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식 산화물의 첨가량이 점차 증가하여 가면 비가교산소 원자의 수는 늘어나 유리구조는 개방적이 된다. 이것은 구조의 약화를 의미하며 점도가 저하되면서 용융온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수식 산화물의 첨가량에는 이와 같이 비가교산소의 증가에 의하여 유리구조가 파괴되므로 유리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한계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리를 어떠한 금속이나 세라믹의 기판 위에 놓고 온도를 올리게 되면 이 유리가 녹아서 기판에 잘 붙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유리조성을 고온에서 녹인 뒤 냉각시켜서 분말 혹은 조각의 형태로 만든 것을 글래스 프리트(glass frit)라고 한다. 글래스 프리트는 보호코팅이나 씰링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용융온도도 조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글래스 프리 트는 상온에서 고상의 형태로 존재하면서 온도를 올려서 액상으로 만들어 접착을 시킨 뒤 다시 냉각을 시켜서 고상의 형태로 접착이 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리를 이용한 페이스트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붕산바륨계 유리, 붕산아연바륨계 유리, 붕규산아연바륨계 유리 등(미국특허 3,902,102호 참조) 비환원성 유리를 사용한 다층 세라믹 캐패시터의 비금속 단자전극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붕규산바륨계 유리를 구비한 단자전극용 구리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것(일본특허공보 5-234415호 참조)이나, 알카리금속 성분과 알카리토류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특정조성의 붕규산아연계 유리를 구비한 단자전극용 구리페이스트를 사용하는 것(일본특허공보 59-184511호 참조)과, 붕규산 스트론튬 알루미늄계 유리를 단자전극용으로 사용하는 것(일본특허공보 9-55118호 참조), 납을 사용하지 않는 도체페이스트(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3-52996호 참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실리카 유리에 네트위크 수식산화물 중의 적어도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초저손실 유리(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0-23743호 참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고상의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취급이 힘들며 다른 물질과의 혼합 등에도 문제가 발생하며, 상온에서는 코팅 등을 할 수 없게 되고, 유리를 녹인 후 녹인 유리를 다른 물질에 코팅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두께 등의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콜로이드 실리카에 네트워크 수식물질 등을 첨가함에 의해 고온에서 바인더로 사용가능한 바인더 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 Na+, K+, Mg2 +, Pb2 +, Ca2 + 중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수식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바인더 졸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OH, NaOH, KOH, Mg(OH)2, Ca(OH)2중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수식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되는 바인더 졸을 또한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수식 물질은 수용액이고, 상기 네트워크 수식 물질은, 콜로이드 실리카 내의 고형분인 SiO2 1몰당 0.01 내지 2몰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 졸에는 무기분말이 더 첨가되고, 무기분말은 전기 절연물질이고, 무기분말은 알루미나, 실리카 또는 마그네시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 졸에는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중 하나 이상의 적외선 방사체 물질이 더 첨가되고, 상기 적외선 방사체 물질이 첨가된 바인더 졸은 발열이 되는 기판의 상부에 코팅되어, 적외선 가열장치 등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인더 졸에는 섬유형태의 재료가 더 첨가되되, 상기 섬유형태의 재료는 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SiC 섬유, Si3N4 섬유, 탄소 섬유, 실리케이트 섬유, 실리카 섬유, 보론 섬유, PAN 섬유, 나노 튜브, 나노 와이어, 카본나노튜브, BN 나노튜브, Si 나노 와이어, 세라믹 섬유, SiCO 섬유, Si-C-N-O 섬유, SiC 나노튜브, SiC 나노 와이어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콜로이드 실리카를 출발물질로 한 바인더 졸은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바인더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액상으로 존재하므로 바인더 졸로 합성한 이 물질 자체를 기판 위에 코팅하여 절연막과 같은 기능성 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내열성 무기재료를 첨가하여 내열성을 높일 수도 있고, 열팽창계수를 조절하여 고온에서 코팅막과 기판과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크랙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내열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바인더 졸에 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무기재료 분말 을 첨가하여 발열판에 코팅하게 되면 고효율 적외선 가열장치에 사용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코팅된 표면이 유리질이므로 표면이 매끈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전자렌지와 같은 식자재 가열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면이 매끈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먼지가 발생 되지 않으므로 청정실, 반도체 라인 등의 첨단산업의 가열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실시 가능한 양태에 본 발명의 권리가 미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것이며, 콜로이드 실리카는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한다.
콜로이드 실리카는 아주 미세한(일반적으로 100㎛ 이하) SiO2가 물에 녹아 있는 형태이다. 이 콜로이드 실리카에 네트워크 수식물질을 넣어주면 상온에서는 같이 액상으로 존재하지만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가수분해가 일어나 겔화되면서 유리상으로 바뀌게 된다.
여기에서 콜로이드 실리카에 첨가되는 네트워크 수식물질의 양이 적당량보다 적거나 많게 되면 유리상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상이 형성되더라도 네트워크 수식물질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형성되는 유리상의 내열온도는 떨어지고 첨가량이 적을수록 내열온도가 증가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네트워크 수식물질의 양을 잘 조절하면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콜로이드 실리카에 KOH 수용액을 넣어서 바인더 졸을 합성하는 과정의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콜로이드 실리카를 출발물질로 한 바인더 졸은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바인더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여기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막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먼저 비이커에 실리카 고형분이 40%인 콜로이드 실리카(Ludox HS-40) 104.7g과 증류수 70g을 마그네틱 바와 교반기를 이용하여 500rpm 속도로 30분간 희석시켜서 실리카 졸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다른 비이커에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KOH) 20g을 증류수 40g에 마그네틱 바와 교반기(500rpm, 30분간)를 이용하여 용해시켜 KOH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실리카졸 용액과 KOH 용액은 마그네틱 바와 교반기(700rpm)를 이용하여 물 중탕 조건에서 용액의 온도가 80℃까지 상승할 때까지 반응시키고, 용액의 온도가 80℃에 도달하면 서서히 상온까지 자연냉각시켜 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인더 졸의 열 분석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분석결과 제조된 바인더 졸의 열분해온도는 1000℃ 이상으로 나타났다.
<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합성된 바인더 졸 100g에 적외선방사 분말로써 SiC 20g, 옥 10g, 세르사이트 10g, 마이카 9g, MnO2와 C(carbon)이 각각 0.5g씩 혼합되어 졌고, 바인더 졸과 방사분말은 6시간 동안 볼밀(ball-mill) 방식에 의해 분산되었다.
분산된 졸은 스프레이 코팅방법으로 기판 위에 코팅하여 방사율 측정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같이, 바인더 졸에 고효율 적외선 방사분말을 첨가하여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기판에 코팅한 후 측정한 코팅막의 방사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00℃에서 방사율은 89.8%로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 합성한 바인더 졸에 알루미나, 실리카 또는 마그네시아 등의 전기 절연 무기분말을 첨가한 후 절연성 코팅막 등으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에서 합성한 바인더 졸에 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SiC 섬유, Si3N4 섬유, 탄소 섬유, 실리케이트 섬유, 실리카 섬유, 보 론 섬유, PAN 섬유, 나노 튜브, 나노 와이어, 카본나노튜브, BN 나노튜브, Si 나노 와이어, 세라믹 섬유, SiCO 섬유, Si-C-N-O 섬유, SiC 나노튜브, SiC 나노 와이어 중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코팅막을 형성하게 되면, 코팅막의 강도와 인성 등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카본나노튜브인 경우에는 전기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콜로이드 실리카에 KOH 수용액을 넣어서 바인더 졸을 합성하는 과정의 개념을 나타낸 도.
도 2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조한 바인더의 열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 도.
도 3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팅막의 방사율을 나타낸 도.

Claims (12)

  1.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 Na+, K+, Mg2 +, Pb2 +, Ca2 + 중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수식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수식 물질은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3.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OH, NaOH, KOH, Mg(OH)2, Ca(OH)2중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수식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수식 물질은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수식 물질은, 콜로이드 실리카 내의 고형분인 SiO2 1몰당 0.01 내지 2몰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졸에는 무기분말이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전기 절연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알루미나, 실리카 또는 마그네시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졸에는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중 하나 이상의 적외선 방사체 물질이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방사체 물질이 첨가된 바인더 졸은 발열이 되는 기판의 상부에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졸에는 섬유형태의 재료가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태의 재료는 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SiC 섬유, Si3N4 섬유, 탄소 섬유, 실리케이트 섬유, 실리카 섬유, 보론 섬유, PAN 섬유, 나노 튜브, 나노 와이어, 카본나노튜브, BN 나노튜브, Si 나노 와이어, 세라믹 섬유, SiCO 섬유, Si-C-N-O 섬유, SiC 나노튜브, SiC 나노 와이어 중 하나 이상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졸.
KR1020070110222A 2007-10-31 2007-10-31 바인더 졸 KR10102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222A KR101024994B1 (ko) 2007-10-31 2007-10-31 바인더 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222A KR101024994B1 (ko) 2007-10-31 2007-10-31 바인더 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224A true KR20090044224A (ko) 2009-05-07
KR101024994B1 KR101024994B1 (ko) 2011-03-25

Family

ID=4085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222A KR101024994B1 (ko) 2007-10-31 2007-10-31 바인더 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1479B (zh) * 2009-12-04 2011-10-26 上海宜瓷龙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散热功能的环保型纳米瓷膜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102118B1 (ko) * 2009-06-02 2012-01-02 김선권 환경 친화성 무기계 세라믹 바인더의 제조방법
CN102911535A (zh) * 2012-10-31 2013-02-06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led散热器的瓷膜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01781481B (zh) * 2009-12-04 2013-04-10 上海宜瓷龙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自散热环保型纳米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522505B1 (ko) * 2022-10-27 2023-04-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슈퍼커패시터 모듈
CN116333591A (zh) * 2023-02-07 2023-06-27 雷索新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高温阻燃绝缘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3308B (zh) * 2020-09-18 2022-09-02 山东鲁阳浩特高技术纤维有限公司 一种耐高温无机粘结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754B1 (ko) * 2000-05-10 2003-02-26 파인세라믹스 주식회사 원적외선 방사용 세라믹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도료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부 시공방법
KR100404893B1 (ko) * 2001-04-30 200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재료 피복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는액정표시장치 보호막의 제조 방법
KR100614852B1 (ko) * 2005-02-14 2006-08-22 쿠쿠산업주식회사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코팅용 조성물 및 상기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기재
JP2007063117A (ja) * 2005-08-02 2007-03-15 Nissan Chem Ind Ltd 有機溶媒分散シリカゾ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118B1 (ko) * 2009-06-02 2012-01-02 김선권 환경 친화성 무기계 세라믹 바인더의 제조방법
CN101781479B (zh) * 2009-12-04 2011-10-26 上海宜瓷龙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散热功能的环保型纳米瓷膜涂料及其制备方法
CN101781481B (zh) * 2009-12-04 2013-04-10 上海宜瓷龙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自散热环保型纳米涂料及其制备方法
CN102911535A (zh) * 2012-10-31 2013-02-06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led散热器的瓷膜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522505B1 (ko) * 2022-10-27 2023-04-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슈퍼커패시터 모듈
CN116333591A (zh) * 2023-02-07 2023-06-27 雷索新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高温阻燃绝缘涂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994B1 (ko)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94B1 (ko) 바인더 졸
US9171657B2 (en) Glass for insulating composition
CN100579929C (zh) 纳米复合低熔点玻璃绝缘涂层的制备方法
TW200839901A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component passivated by lead free glass
CN103319097A (zh) 一种低温无铅玻璃粉及其制备方法
Wei et al. Structure and sintering behavior of BaO–SrO–B2O3–SiO2 sealing glass for Al2O3 ceramic substrates
US3912525A (en) Lithiomzinc borosilicate glass sealing material
JP3559252B2 (ja) 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KR20100011568A (ko) 고온용 부식방지 바인더 졸
US3982048A (en) Method of making an insulator with a non-linear resistivity coating of glass bonded silicon carbide
Yang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nti-static coating on the 3Y-TZP ceramics
JP2010020964A (ja) シール材、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シール材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S58156552A (ja) 絶縁性セラミツクペ−スト用無機組成物
RU2711609C1 (ru) Стекловидный неорганический диэлектрик
Li et al. Effects of Bi2O3 on the microstructure, mechanical strength,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CaZnSi2O6 glass ceramics with machinable precursors
Mao et al. Preparation of BaO–MgO–Al2O3–SiO2/Al2O3 glass-ceramic/ceramic LTCC substrate material for microwave application
US2308409A (en) Glass solution and glass coating
WO2019045434A1 (ko) 소수성 열전도성 코팅막 및 그의 제조방법
Kim et al. Application of lead-free glass to barrier Rib materials in plasma display panel
CN1244934C (zh) 加热丝用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JP2002285038A (ja) 耐熱性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Tiangui et al. Research and Preparation of Lead-Free Low-Melting Point Glass for Automobile Glass Enamel.
EP0494204A1 (en) Improved composite dielectric
JP2652188B2 (ja) パウダーコーティング用複合粉体
JPH055154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