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267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267A
KR20090043267A KR1020070109033A KR20070109033A KR20090043267A KR 20090043267 A KR20090043267 A KR 20090043267A KR 1020070109033 A KR1020070109033 A KR 1020070109033A KR 20070109033 A KR20070109033 A KR 20070109033A KR 20090043267 A KR20090043267 A KR 2009004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ir conditioner
sound source
cold air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철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267A/ko
Publication of KR2009004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으로, 음향센서를 구비하여 특정 주파수의 음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음원에 냉기를 공급하며, 음향발생부를 구비하여 소음이 있는 경우 크기 및 주파수는 같으나 위상이 반대인 음파를 내보내는 능동 소음제어를 하여 소음을 줄이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외부로 보내고, 외부로 보내지는 냉기의 풍속을 변경할 수 있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외부로 보내지는 냉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날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감지부, 냉각 사이클을 제어하며 음향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을 분석하여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으로, 음향센서를 구비하여 특정 주파수의 음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음원에 냉기를 공급하며, 음향발생부를 구비하여 소음이 있는 경우 크기 및 주파수는 같으나 위상이 반대인 음파를 내보내는 능동 소음제어를 하여 소음을 줄이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이다.
도 1a는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천정형 공기조화기은 대략 케이싱(100), 케이싱(100) 내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200), 케이싱(100)의 내, 외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50)을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건물의 천정 내부에 매입된다. 송풍기는 일면(110)과 대향면(112)을 구비하며, 일면(110)의 일 측에는 케이싱(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120)가 형성되고, 일면(110)의 타 측에는 케이싱(100)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30)가 형성된다. 흡입부(120)에는 흡입부(120)를 통해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어, 열교환 기(200) 및 송풍팬(150)의 구동을 방해하고 나아가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122)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을 향하는 일면(110)만이 외부에 노출된다. 그러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건물의 바닥을 향하는 일면(110) 외의 면도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50)을 통해 외부로 냉기가 송풍될 때, 그 방향을 조절하는 날개(132)도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려면 케이싱(100) 표면에 있는 입력부(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가 구동을 입력하거나, 정해진 온도 이상이 되면 냉각 사이클(미도시)을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사용자가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하였고 감지부(미도시)가 일정 온도 이상을 감지하여야 구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도 1b는 종래 기술인 공기조화기의 냉각 사이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냉각 사이클(10)은 압축기(11), 응축기(12), 팽창수단(14), 증발기(13), 팬(15)을 구비한다. 압축기(11)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키고 응축기(12)는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킨다. 응축된 냉매가 팽창수단(14)을 거쳐 증발기(13)에 도달하면 팬(15)이 작동한다. 증발기(13)에서 냉매가 기화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냉기가 팬(15)에 의해 외부로 전달된다. 외부로 전달된 냉기는 날개(132)를 통해 지정된 방향으로 보내진다.
종래 기술인 천정형 공기조화기에서, 냉각 사이클을 구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때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실자가 없을 때에도 냉각을 하거나, 재실자가 있더라도 일정 온도 이상을 감지하지 않으면 냉각을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는 음향을 탐지하는 것을 통해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고, 그 방향으로 냉방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감지부를 구비하여 음향감지부에서 음향을 탐지하는 것을 통해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냉각 사이클을 구동시키고 음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여 추적된 위치에 냉기를 공급되도록 송풍팬의 가동 정도 및 날개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을 탐지한 후, 음향을 상쇄 또는 감쇄시킬 수 있는 음향을 방출하는 능동 소음제어를 통해 원하지 않는 소음을 감쇄 또는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외부로 보내고, 외부로 보내지는 냉기의 풍속을 변경할 수 있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외부로 보내지는 냉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날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감지부, 냉각 사이클을 제어하며 음향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을 분석하여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다.
또한, 음향감지부는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 개의 음향센서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음향센서에서 감지된 음향의 시간차 및 음압차를 이용해서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주파수별 크기를 산정하고, 산정된 음향의 주파수별 크기 중에서 제1기준주파수 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1기준크기 이상인 경우 판단된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고려하여 송풍팬 및 날개를 조절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준주파수 대역은 인간의 음성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지정한 음향을 발생하도록 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2기준주파수 대역 내의 음향의 크기가 제2기준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판단한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근거로 음향발생부에서 외부의 음향을 상쇄 또는 감쇄시키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발생부는 외부의 음향과 크기 및 주파수는 같으나 180도의 위상차이를 가지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기준주파수 대역은 제1기준주파수 대역과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는 음향을 탐지하는 것을 통해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고, 그 방향으로 냉방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감지부를 구비하여 음향감지부에서 음향을 탐지하는 것을 통해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냉각 사이클을 구동시키고 음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여 추적된 위치에 냉기를 공급되도록 송풍팬의 가동 정도 및 날개의 방향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감지부를 구비하여 음향감지부에서 음향을 탐지하는 것을 통해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냉각 사이클을 구동시키고 음원의 위치 및 방향을 추적하여 추적된 위치에 냉기를 공급되도록 날개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을 탐지한 후, 음향을 상쇄 또는 감쇄시킬 수 있는 음향을 방출하는 능동 소음제어를 통해 원하지 않는 소음을 감쇄 또는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음원에서 나오는 소리를 통해 음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소리를 통해 위치를 파악하는 소나(sonar)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하나는 초음파 등을 쏘아 그 반사파의 도달시간 등의 정보를 통해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액티브 소나와, 소리를 쏘지 않고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측정하여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패시브 소나가 있다.
도 2에서 음향감지부(201)가 있고, 음원(202)에서 나오는 소리를 감지한다. 같은 음원(202)에서 나온 소리라고 하여도, 음향감지부(201)의 음향센서가 복수 개므로, 각 음향센서에 입력된 음원은 차이가 있다. 여기서 음향센서로는 마이크 등이 쓰일 수 있다. 음원(202)으로부터 각 음향센서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 소리지연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또한 음향 세기의 차이도 달라질 수 있다. 소리지연의 정도의 차이는 음원과 각 음향센서 사이의 거리차에 비례한다. 음향 세기의 차이는 마이크가 음압(SPL)에 비례하여 전압을 내므로 음압에 비례하고, 음압은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결국 마이크에서 전달되는 전압의 크기는 음원과 각 음향센서 사이의 거리차에 반비례한다. 이러한 두가지 조건을 통해, 음원(202)에서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음원과 각 음향센서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소리의 회절 또는 반사 등의 현상이 적어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에서 바닥을 향하는 면에 음향센서를 부착하면 좀 더 정확하게 음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음향센서를 도시하였지만, 음향센서의 수에는 원칙적으로 제한이 없다. 만약 음향센서의 수를 더 늘린다면, 각 음향센서와 음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음원(202)의 위치를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능동 소음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능동 소음제어란, 소음(음향)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필터를 통해 이러한 소음을 분석하여 상쇄 또는 감 쇄시킬 수 있는 음파를 보내어 소음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음향감지부(251)에서 소음 x이 감지되는 경우 필터(253)에서 이를 입력받아 소음 x를 분석하고 스피커(252)에서 x를 상쇄 또는 감쇄시킬 수 있는 음파 s를 보내는 것을 통해 간섭을 통해 출력되는 소음 y의 크기를 x에 비해 줄이는 것이다. 음파 s는 소음 x와 상쇄 또는 감쇄될 수 있도록 주파수와 진폭은 같으나 위상은 180도 차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253)는 적응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응필터인 경우, 간섭을 통해 얻어진 소음 y는 음향감지부(251)를 통해 필터(253)에 입력되고, 필터는 y를 줄일 수 있도록 그 알고리즘을 바꾸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소음 y를 최소화하도록 필터의 알고리즘이 바뀌면서 소음을 제어하는 것이다. 필터는 특정한 기준을 통해 거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일반인에게 소음으로 간주되지 않는 주파수대역(이하 제1기준주파수대역)의 경우는 공기조화기에서 제거해야 할 소음으로 판단하지 않고, 이를 소음으로 판단하여 제거하지 않도록 필터의 알고리즘이 설계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1기준주파수대역의 경우 인체의 음성 또는 음악의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 소음이 주로 발생하는 주파수대역(이하 제2기준주파수대역)의 경우는 공기조화기에서 제거해야 할 소음으로 판단하고, 이를 제거하도록 필터의 알고리즘이 설계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소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주파수로 구별하였지만, 이는 주파수 외에도 음색 및 크기 등 다양한 음성인식방법을 통하여 소음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공기조화기(300)은 온도감지부(301), 입력부(302), 음향감지부(303), 팬 제어부(304), 압축기 구동부(305), 표시부(306), 음향발생부(307), 날개 제어부(308), 제어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온도감지부(301)는 공기조화기이 설치된 실내 온도를 측정하고 정보를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제어부(310)는 이후 측정된 온도에 따라 팬 제어부(304), 압축기 구동부(305)에 구동신호 등을 전달한다.
입력부(30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이를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냉각 사이클(10)의 구동 여부, 예약 시간, 음향감지부(303)를 통한 제어 모드 구동 여부 등이 있다. 이러한 입력을 통해 제어부(310)는 입력에 따라 팬 제어부(304), 압축기 구동부(305), 표시부(306), 음향발생부(307), 날개 제어부(308) 등을 제어한다.
음향감지부(303)는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음향센서를 구비한다. 음향센서의 예로는 음압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변환하는 마이크 등이 가능하다. 음향감지부(303)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음향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음향센서에 들어온 정보를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위치추적 모드(제1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1기준크기 이상인 경우 재실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방향으로 냉기를 보내는 모드) 또는 소음제거모드(제2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2기준크기 이상인 경우 이상 소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능동 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모드)의 구동신호가 입력부(302)에서 입력되는 경우, 음향감지부(303)는 제어부(310)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센서가 주위 음향을 감지하고 주위 음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음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소음을 감지하며, 다른 음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소음과 음향발생부(307)로부터 발생한 음향의 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외부의 소음과 음향발생부(307)로부터 발생한 음향의 합을 감지한 것을 제어부(310)에 전달하는 것을 통해, 제어부(310) 내 구비된 능동 소음제어의 필터 알고리즘이 바뀔 수 있다.
팬 제어부(304)는 송풍팬(150)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제어부(310)의 구동신호가 있는 경우 팬 제어부(304)는 송풍팬(150)을 구동시켜 증발기(200)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외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위치 추적모드를 수행하고 음원으로 냉기를 보내는 경우, 원하는 위치로 냉기를 보낼 수 있는 팬 가동정도를 팬 제어부(304)에 보내면, 팬 제어부(304)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팬의 가동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305)는 압축기(11)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제어부(310)의 구동신호가 있는 경우 압축기 구동부(305)는 압축기(11)를 구동시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키도록 한다.
표시부(306)는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구체적으로 실내 온도, 희망 온도, 냉각 사이클 구동 여부, 음향감지부(303)를 통한 위치추적 모드 또는 소음제거모드 구동 여부 등의 정보를 제어부(310)로부터 받아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로는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음향발생부(307)는 외부로 소리를 내는 부분으로, 제어부(310)에서 신호가 가해지는 경우 이를 소리로 바꾸어 외부로 보낸다. 제어부(310)에서 보내는 신호는 외부의 소리를 음향감지부(303)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음파를 제어부(310) 내 능동 소음제어장치를 통해 얻은 신호이다. 음향발생부(307)는 예를 들어 스피커 등이 가능하다.
날개 제어부(308)는 냉기를 외부로 보내는 송풍팬(150)이 구동되는 경우, 풍향을 조절하는 날개(132)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310)에서 날개를 제어하는 신호를 보내면 날개 제어부(308)는 그에 따라 날개(132)를 제어하여 풍향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위치 추적모드를 수행하고 음원으로 냉기를 보내는 경우, 원하는 위치로 냉기를 보낼 수 있는 방향을 연산하여 이러한 정보를 날개 제어부(308)에 보내면, 날개 제어부(308)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날개(132)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온도감지부(301), 입력부(302), 음향감지부(303) 등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받는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지부(301)에서 실내 온도를 측정한 것을 전달받으며 입력부(302)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구동 정보 등을 전달받는다.
또한, 제어부(310)는 전달받는 정보를 통해 팬 제어부(304), 압축기 구동부(305), 표시부(306), 음향발생부(307), 날개 제어부(308) 등의 구동 및 제어를 판단하여 그 정보를 각각 팬 제어부(304), 압축기 구동부(305), 표시부(306), 음향발생부(307), 날개 제어부(308)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02)에서 냉각이 필요하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팬 제어부(304)와 압축기 구동부(305)에 구동신호를 입력하고, 풍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면 날개 제어부(308)에도 구동신호를 입력 한다.
제어부(310)는 능동 소음제어장치 및 주파수별 음향의 크기를 측정하는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입력부(302)에서 위치추적 모드 또는 소음제거 모드의 구동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제어부(310)에서 음향감지부(303)를 통한 위치추적 모드 또는 소음제거모드 구동신호를 음향감지부(303)에 보내고, 음향감지부(303)는 이에 따라 음향센서에서 음압의 변화를 전압으로 바꾸어 이를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제어부(310)는 음향감지부(303)에서 온 음향정보의 주파수별 크기를 측정한다. 음향감지부(303)는 복수 개의 음향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를 구비하는데, 이 중 하나의 음향센서의 정보를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제어부가 선택된 정보의 주파수별 크기를 측정하거나 능동소음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추적 모드의 구동신호가 입력부(302)로부터 전달된 경우에는 제1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냉기 공급의 판단기준이 된다. 제1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어부(310)에 기저장된 제1기준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사람이 재실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각 음향센서(예를 들어 마이크)에 감지된 음향의 지연차이 및 크기 차이를 통해 각 음향센서와 음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재실자가 있으므로, 추적한 음원의 위치로 냉기를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 제어부(304)의 가동신호 및 압축기 구동부(305)의 가동신호를 보내고, 팬 제어부(304)는 추적한 음원의 위치로 냉기를 보낼 수 있는 가동 정도를 연산하여 이를 팬 제어부(304)에 보낸다. 또한, 날개 제어부(308)가 추적된 위치로 냉기를 보낼 수 있는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를 통해 제1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어부(310)에 기저장된 제1기준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그 위치를 추적하여 그 방향으로 냉기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미 냉기를 공급하는 상태의 경우에는 날개 제어부(308)의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충분하다.
소음제거 모드의 구동신호가 입력부(302)로부터 전달된 경우에는 제2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능동소음 제어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제2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어부(310)에 기저장된 제2기준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능동소음 제어를 수행한다. 음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은 위에서 설명되었고, 제어부(310)는 능동소음 제어를 통해 음원과 주파수 및 크기는 같고, 위상은 반대인 파형을 음향발생부(307)에 전달한다. 음향발생부(307)는 이러한 신호를 음향으로 전환하여 외부에 소리를 낸다. 이러한 것을 통해, 실내에 원하지 않는 소음이 기준크기 이상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냉각 사이클(미도시)으로부터 나온 케이싱(100), 케이싱(100) 내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200), 케이싱(100)의 내, 외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50)을 구비하는 것은 동일하다. 송풍기는 일면(110)과 대향면(112)을 구비하며, 일면(110)의 일 측에는 케이싱(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120)가 형성되고, 일면(110)의 타 측에는 케이싱(100)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30)가 형성된다. 흡입부(120)에는 흡입부(120)를 통해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어, 열교환기(200) 및 송풍팬(150)의 구동을 방해하고 나아가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122)이 설치되는 것도 동일하다. 또한, 송풍팬(150)을 통해 외부로 냉기가 송풍될 때, 그 방향을 조절하는 날개(132)도 역시 구비한다.
위치추적 모드 또는 소음 제거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실내의 음향을 측정하는 음향감지부(303), 소음 제거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외부로 소리를 내는 음향발생부(307)가 케이싱(100)의 일면(110)에 추가되었다는 것이 다르다. 사용자가 입력부(미도시)에 위치추적 모드 또는 소음제거 모드의 수행을 입력하면, 음향발생부(202)는 음향 정보를 제어부(310)에 전달하고, 제어부(310)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제1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1기준크기 이상이거나 제2기준주파수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2기준크기 이상인 경우) 음원의 위치추적을 한다. 수행 모드에 따라 위치추적 모드인 경우는 음원의 위치에 냉각을 하기 위해서 제어부(310)는 냉각 사이클을 구동시키며 송풍팬(150)이 음원이 있는 거리에 닿을 수 있도록 가동 정도를 조절하고, 날개(132)를 음원이 있는 방향으로 냉기를 보내도록 제어한다. 수행 모드가 소음제거 모드인 경우는 제어부(310)에서 능동 소음제어를 수행하여 외부의 소음을 상쇄 또는 감쇄시킬 수 있는 음파를 내보낸다. 위치추적 모드 및 소음제거 모드는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다.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인 공기조화기의 냉각 사이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음원에서 나오는 소리를 통해 음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능동 소음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7)

  1.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외부로 보내고, 외부로 보내지는 냉기의 풍속을 변경할 수 있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외부로 보내지는 냉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날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감지부;
    냉각 사이클을 제어하며 음향감지부에서 감지된 음향을 분석하여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음향감지부는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 개의 음향센서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음향센서에서 감지된 음향의 시간차 및 음압차를 이용해서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주파수별 크기를 산정하고, 산정된 음향의 주파수별 크기 중에서 제1기준주파수 대역의 음향의 크기가 제1기준크기 이상인 경우 판단된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고려하여 송풍팬 및 날개를 조절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기준주파수 대역은 인간의 음성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지정한 음향을 발생하도록 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2기준주파수 대역 내의 음향의 크기가 제2기준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판단한 음원과의 거리 또는 음원의 방향을 근거로 음향발생부에서 외부의 음향을 상쇄 또는 감쇄시키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음향발생부는 외부의 음향과 크기 및 주파수는 같으나 180도의 위상차이를 가지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기준주파수 대역은 제1기준주파수 대역과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109033A 2007-10-29 2007-10-29 공기 조화기 KR20090043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033A KR20090043267A (ko) 2007-10-29 2007-10-29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033A KR20090043267A (ko) 2007-10-29 2007-10-29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267A true KR20090043267A (ko) 2009-05-06

Family

ID=4085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033A KR20090043267A (ko) 2007-10-29 2007-10-29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2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7923A (zh) * 2013-12-13 2014-05-21 宁波瑞易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新型圆盘空调
CN106545974A (zh) * 2016-11-29 2017-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风向控制方法
CN110594943A (zh) * 2019-09-02 2019-12-20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基于声源定位控制空调的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7923A (zh) * 2013-12-13 2014-05-21 宁波瑞易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新型圆盘空调
CN106545974A (zh) * 2016-11-29 2017-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风向控制方法
CN110594943A (zh) * 2019-09-02 2019-12-20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基于声源定位控制空调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34367A (ja) 電気機器
US115731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management based on acoustic leak detection
EP2518414A1 (en) Air conditioner
US6431001B1 (en) Obstacle detecting system having snow detecting function
US9591403B2 (en) Instability detection and correction in sinusoidal active noise reduction systems
US5926908A (en) Acoustic communicator for central vacuum cleaners
WO2015026568A1 (en) Instability detection and correction in sinusoidal active noise reduction systems
KR20090043267A (ko) 공기 조화기
CN109084465A (zh) 一种空调系统及其噪声和振动控制方法
JP5723734B2 (ja) 空気調和機
JP2840564B2 (ja) 横断流送風機の騒音減少装置
JP2003074945A (ja) 空気調和装置
JP3240628B2 (ja) 空気調和機
JP2557542B2 (ja) 騒音の能動制御に用いられる伝達関数の測定方法
KR101073504B1 (ko) 에어컨시스템 및 에어컨시스템의 배관길이 측정방법
KR20090048168A (ko) 냉장고의 능동 소음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349935A (ja) 除湿運転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CN114517954A (zh) 空调器和空调器主动降噪的控制方法
WO2021220799A1 (ja) 環境検出システム
JP2001082768A (ja) 振動騒音制御装置
JPH0573076A (ja) 適応型能動消音装置
KR100421840B1 (ko) 공기조화기의인체감지방법
JP2019095321A (ja) 位置推定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位置推定方法
WO2020230233A1 (ja) 空気調和機
JP3432258B2 (ja) 超音波警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