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474A -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474A
KR20090042474A KR1020070108253A KR20070108253A KR20090042474A KR 20090042474 A KR20090042474 A KR 20090042474A KR 1020070108253 A KR1020070108253 A KR 1020070108253A KR 20070108253 A KR20070108253 A KR 20070108253A KR 20090042474 A KR20090042474 A KR 2009004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evaporation gas
canis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07010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2474A/ko
Publication of KR2009004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6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overfilling of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에는 연료탱크(1)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에는 상기 연료탱크(1)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연료파이프(8)를 통해 연료탱크(1)로 연료를 급유할 때에는 과급유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연료탱크, 연료증발가스, 부압, 과급유, 컷밸브

Description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fuel evaporative gas emiss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증발가스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에는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및 해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연료 급유시에는 과급유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된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내에서 증발하는 연료증기에는 연료증발가스(탄화수소;HC)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연료증발가스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차량에는 상기 연료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은 보통 활성탄을 사용하는 차콜 캐니스터방식과, 연료증발가스를 크랭크케이스에 끌어들이는 크랭크케이스 스토리지 방식과, 연료증발가스를 에어클리너로 끌어들이는 에어클리너 스토리지 방식이 있다.
한편, 도 1에는 상기 크랭크케이스 스토리지 방식을 이용한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연료를 저장 보관하는 연료탱크(1)와, 통기홀(2a)을 구비하고서 상기 연료탱크(1)에 장착된 컷밸브(2)와, 상기 연료탱크(1)에서 증발되는 연료증발가스(HC)를 포집하는 캐니스터(3)와, 상기 컷밸브(2)의 통기홀(2a)과 상기 캐니스터(3)의 입력포트를 연결하는 벤트라인(4)과, 상기 캐니스터(3)의 출력포트와 엔진(5)의 흡기매니폴드를 연결하면서 퍼지솔레노이드밸브(6)를 구비한 벤트라인(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컷밸브(2)의 통기홀(2a)은 상기 연료탱크(1)내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HC)를 상기 캐니스터(3)로 배출시키는 통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홀(2a)의 단면적(A1) 크기는 상기 연료탱크(1)의 용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예를들어 70리터(ℓ)의 용량을 갖는 연료탱크(1)가 상기 컷밸브(2)의 통기홀(2a) 직경이 2㎜ 정도의 크기를 가질 경우, 상기 통기홀(2a)의 직경 2㎜를 π×r2의 식에 의해 상기 통기홀(2a)의 단면적(A1)으로 환산하면, 상기 단면적(A1)은 연료탱크(1)의 용량이 70리터(ℓ)일 때 3.14㎟가 되고, 이를 리터(ℓ) 당 단면적으로 환산하면 0.0048㎟가 된다.
그리고, 상기 캐니스터(3)에는 캐니스터클로즈밸브(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1)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HC)는 컷밸브(2)의 통기홀(2a)을 통해 배출되어 캐니스터(3)로 포집된 다음 엔진(5)의 흡기매니폴드로 유 입되어 연소됨으로써 대기중으로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캐니스터클로즈밸브는 개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에서는 연료탱크(1)내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HC)가 엔진(5)의 흡기매니폴드로 유입될 때까지 누설되는 경우가 없어야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엔진(5)의 부압을 이용하여 자가진단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엔진(5)이 구동하면 이때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연료탱크(1)의 내부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압력을 압력센서(미도시)로 체크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압력이 정상상태의 압력으로 상승한 상태이면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이 없다고 판단하게 되고, 반대로 연료탱크(1)의 내부압력이 정상상태 이하의 압력으로 상승한 상태라면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캐니스터클로즈밸브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자가진단 방식으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에는 캐니스터클로즈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3)와 대기를 연결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연료탱크(1)의 상승한 내부압력을 정상상태의 압력으로 빠른 시간내에 복귀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 구성은 상기 컷밸브(2) 통기홀(2a)의 단면적(A1)이 연료탱크(1)의 용량 리터(ℓ) 당 0.0048㎟로 매우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연료증발 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 상기 연료탱크(1)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증발가스(HC)가 실제로 누설되지 않더라도 누설되는 상태로 잘못 판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 상기 연료탱크(1)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없애주어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주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의 용량 리터(ℓ) 당 상기 통기홀(2a)의 단면적(A1)이 0.0048㎟로 매우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상기 연료탱크(1)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만약,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통기홀(2a)의 단면적(A1)을 크게 형성시켜 주면, 연료파이프(8)를 통해 연료탱크(1)로 연료를 급유할 때 과급유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연료탱크(1)로 연료를 급유하면 상기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점차 상승하게 되고, 압력이 최대로 상승하였을 때 연료 급유가 자동 차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통기홀(2a)의 단면적(A1)이 커지게 되면 연료 급유시 상기 연료탱크(1)내의 압력 상승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 급유가 자동 차단되는 시간이 지연됨으로써 과급유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에는 연료탱크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에는 상기 연료탱크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없애주어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연료파이프를 통해 연료탱크로 연료를 급유할 때에는 과급유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은, 통기홀을 구비하고서 연료탱크에 장착된 컷밸브와; 상기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연료증발가스(HC)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와; 상기 연료탱크로 연결된 연료파이프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연료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유건과의 접촉유무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컷밸브의 통기홀과 상기 밸브부재의 입력포트를 연결하는 벤트라인과; 상기 캐니스터의 입력포트와 상기 밸브부재의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벤트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에는 연료탱크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에는 상기 연료탱크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해 소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연료파이프를 통해 연료탱크로 연료를 급유할 때에는 과급유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저장 보관하는 연료탱크(10)와, 통기홀(21)을 구비하고서 상기 연료탱크(10)에 장착된 컷밸브(20)와, 상기 연료탱크(10)에서 증발되는 연료증발가스(HC)를 포집하는 캐니스터(30)와, 상기 연료탱크(10)로 연결된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연료파이프(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유건과의 접촉유무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밸브부재(50)와,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과 상기 밸브부재(50)의 입력포트(51a)를 연결하는 벤트라인(61)과, 상기 캐니스터(30)의 입력포트와 상기 밸브부재(50)의 출력포트(51b)를 연결하는 벤트라인(63)과, 상기 캐니스터(30)의 출력포트와 엔진(60)의 흡기매니폴드를 연결하면서 퍼지솔레노이드밸브(65a)를 구비한 벤트라인(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은 상기 연료탱크(10)내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HC)를 상기 캐니스터(30)로 배출시키는 통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홀(21)의 단면적(A2) 크기는 상기 연료탱크(10)의 용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연료탱크(10)가 70리터(ℓ)의 용량을 갖는 크기일 경우 에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직경은 최소 5㎜ 내지 최대 6㎜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종래의 통기홀(2a)은 그 직경이 2㎜ 정도의 크기인데 반해, 본 발명의 상기 통기홀(21)은 그 직경이 최소 2.5배 내지 최대 3배 정도로 커진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통기홀(21)의 크기를 종래와 대비하여 크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에는 연료탱크(10)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에는 상기 연료탱크(10)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없애주어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작용 설명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통기홀(21)의 직경이 최소 5㎜ 내지 최대 6㎜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 상기 통기홀(21)의 직경 최소 5㎜ 내지 최대 6㎜ 를 π×r2의 식에 의해 상기 통기홀(21)의 단면적(A2)으로 환산하였을 때, 상기 단면적(A2)은 연료탱크(10)의 용량이 70리터(ℓ)일 때 최소 19.62㎟ 내지 최대 28.26㎟ 가 되고, 이를 상기 연료탱크(10)의 용량 리터(ℓ) 당 단면적(A2)으로 환산하면 최소 0.28㎟ 내지 최대 0.40㎟ 의 크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캐니스터(30)에는 캐니스터클로즈밸브(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 바깥 둘레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과 연결된 벤트라인(61)의 일단이 결합되는 입력포트(51a) 및 상기 캐니스터(30)와 연결된 벤트라인(63)의 일단이 결합되는 출력포트(51b)를 구비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안쪽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상기 하우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챔버(51c,51d)로 분할함과 더불어 상기 제1,2챔버(51c,51d)를 연결하도록 연결통로(52a)를 구비한 격벽(52)과, 상기 격벽(52)에 스프링(53)을 매개로 탄지되어 상기 연결통로(52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피스톤(54)과, 상기 피스톤(5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연료파이프(40)를 관통하여 상기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 내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로드(55)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연료탱크(10)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HC)는 컷밸브(20)의 통기홀(21)을 통해 배출되고 밸브부재(50)를 통과하여 캐니스터(30)로 포집된 다음, 엔진(60)의 흡기매니폴드로 유입되어 연소됨으로써 대기중으로의 방출이 최대한 억제된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50)는 피스톤(54)이 스프링(53)의 힘에 의해 도 3과 같이 격벽(5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피스톤(54)은 상기 격벽(52)의 연결통로(52a)를 밀폐시키지 못하는 상황이고, 이로 인해 상기 밸브부재(50)는 컷밸브(20)측과 캐니스터(30)측을 연결하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인 다.
또한, 이때 상기 캐니스터클로즈밸브는 개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에서는 연료탱크(10)내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HC)가 엔진(60)의 흡기매니폴드로 유입될 때까지 누설되는 경우가 없어야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엔진(60)의 부압을 이용하여 자가진단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엔진(60)이 구동하면 이때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연료탱크(10)의 내부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압력을 압력센서(미도시)로 체크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압력이 정상상태의 압력으로 상승한 상태이면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이 없다고 판단하게 되고, 반대로 연료탱크(10)의 내부압력이 정상상태 이하의 압력으로 상승한 상태라면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캐니스터클로즈밸브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자가진단 방식으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에는 캐니스터클로즈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30)와 대기를 연결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연료탱크(10)의 상승한 내부압력을 정상상태의 압력으로 빠른 시간내에 복귀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컷밸브(20) 통기홀(21)의 단면적(A2)이 연료탱크(10)의 용량 리터(ℓ) 당 최소 0.28㎟ 내지 최대 0.40㎟ 의 크기이며, 이 단면 적(A2)의 크기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 연료탱크(1)의 용량 리터(ℓ) 당 통기홀(2a)의 단면적(A1) 0.0048㎟ 보다 최소 2.5배 내지 최대 3배 정도로 커진 크기이기 때문에,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을 측정하기 위한 자가진단 시 상기 연료탱크(10)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연료탱크(10)내에 충분한 부압 형성 및 정상상태로의 압력 복귀를 위한 연결통로(52a)의 단면적은,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 보다 최소 동등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이 종래에 비해 커진 상태이며, 연결통로(52a)의 단면적이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 보다 동등 이상으로 확보된 상태이므로, 엔진(60) 구동시 상기 연료탱크(10)내의 부압 형성이 정해진 시간 안에 충분히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료증발가스(HC)가 실제로 누설되지 않는 경우 누설되는 상태로 잘못 판단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보다 정확한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유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이 종래에 비해 커진 상태가 되면, 연료증발가스(HC)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고 난 후 상기 연료탱크(10)내에 형성된 부압을 빠른 시간내에 없애줄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연료탱크(10)는 정상상태로의 복귀가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이 종래에 비해 커진 상태이며, 연결통로(52a)의 단면적이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 보다 동등 이상으로 확보된 상태이므로, 상기 연료탱크(10)내에 형성된 부압을 해소하기 위해 캐니스터(30)에 구비된 캐니스터클로즈밸브를 개방시켜 주면, 상기 연료탱크(10)내에 형성된 부압이 빠른 시간내에 상기 개방된 캐니스터클로즈밸브를 통해 대기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10)의 정상상태로의 복귀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이 종래에 비해 커진 상태이지만, 연료파이프(40)를 통해 상기 연료탱크(10)로 연료를 급유할 때에는 과급유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연료탱크(10)로 연료를 급유하기 위해 주유건(미도시)을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로 삽입시켜 주면, 상기 주유건과 접촉하는 피스톤로드(55)가 하우징(51)의 제1챔버(51c) 공간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54)이 스프링(53)의 힘을 이기면서 이동하여 격벽(52)의 연결통로(52a)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컷밸브(20)측과 캐니스터(30)측의 연결상태를 밸브부재(50)가 차단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이 종래에 비해 커진 상태이더라도, 연료의 과급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연료탱크(10)로 연료를 급유하면 상기 연료탱크(10)는 내부의 압력이 점차 상승하게 되고, 압력이 최대로 상승하였을 때 연료 급유가 자동 차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 단면적(A2)이 종래에 비해 커진 상태이더라도 상기 밸브부재(50)가 컷밸브(20)측과 캐 니스터(30)측의 연결상태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연료 급유시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은 정상적으로 점차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최대로 상승하면 연료 급유가 자동 차단되는 구성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연료의 과급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밸브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료탱크 20 - 컷밸브
21 - 통기홀 30 - 캐니스터
40 - 연료파이프 50 - 밸브부재
51a - 입력포트 51b - 출력포트
61,63,65 - 벤트라인 65a - 퍼지솔레노이드밸브

Claims (4)

  1. 통기홀(21)을 구비하고서 연료탱크(10)에 장착되는 컷밸브(20)와;
    상기 연료탱크(10)에서 증발되는 연료증발가스(HC)를 포집하는 캐니스터(30)와;
    상기 연료탱크(10)로 연결된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연료파이프(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유건과의 접촉유무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밸브부재(50)와;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과 상기 밸브부재(50)의 입력포트(51a)를 연결하는 벤트라인(61)과;
    상기 캐니스터(30)의 입력포트와 상기 밸브부재(50)의 출력포트(51b)를 연결하는 벤트라인(63);
    을 포함하는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30)의 출력포트와 엔진(60)의 흡기매니폴드를 연결하면서 퍼지솔레노이드밸브(65a)를 구비한 벤트라인(6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은,
    상기 연료탱크(10)의 용량 리터(ℓ) 당 최소 0.28㎟ 내지 최대 0.40㎟ 의 크기의 단면적(A2)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50)는,
    상기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 바깥 둘레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컷밸브(20)의 통기홀(21)과 연결된 벤트라인(61)의 일단이 결합되는 입력포트(51a) 및 상기 캐니스터(30)와 연결된 벤트라인(63)의 일단이 결합되는 출력포트(51b)를 구비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안쪽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상기 하우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챔버(51c,51d)로 분할함과 더불어 상기 제1,2챔버(51c,51d)를 연결하도록 연결통로(52a)를 구비한 격벽(52)과;
    상기 격벽(52)에 스프링(53)을 매개로 탄지되어 상기 연결통로(52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피스톤(54)과;
    상기 피스톤(5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연료파이프(40)를 관통하여 상기 연료파이프(40)의 입구부 내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로드(5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
KR1020070108253A 2007-10-26 2007-10-26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KR20090042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253A KR20090042474A (ko) 2007-10-26 2007-10-26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253A KR20090042474A (ko) 2007-10-26 2007-10-26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474A true KR20090042474A (ko) 2009-04-30

Family

ID=4076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253A KR20090042474A (ko) 2007-10-26 2007-10-26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24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154A (ko) *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KR20180007080A (ko) * 2016-07-12 2018-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KR20180107865A (ko) * 2017-03-23 2018-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
CN110303877A (zh) * 2019-06-20 2019-10-08 河南美力达汽车有限公司 一种增程式汽车燃油蒸发排放控制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154A (ko) *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KR20180007080A (ko) * 2016-07-12 2018-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KR20180107865A (ko) * 2017-03-23 2018-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
CN110303877A (zh) * 2019-06-20 2019-10-08 河南美力达汽车有限公司 一种增程式汽车燃油蒸发排放控制系统
CN110303877B (zh) * 2019-06-20 2023-06-20 河南美力达汽车有限公司 一种增程式汽车燃油蒸发排放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0861B2 (en) Evaporation fuel processing unit
US5850819A (en) Fuel evaporative emission treatment system
KR970059485A (ko) 증발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KR100265311B1 (ko) 내연기관 연료탱크용 배기장치
KR100986062B1 (ko) 차량용 연료증발가스 재순환 장치
KR20090042474A (ko) 연료의 과급유 방지기능을 갖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시스템
US5499613A (en) Method for monitoring a tank venting system that traps fuel vapors and feeds them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171248B1 (en) Evaporative emission canister purge actuation monitoring system
US20090132147A1 (en) Evaporative emission canister purge actuation monitoring system having an integrated fresh air filter
US5435287A (en) Evaporating fuel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074808B2 (ja) エバポシステム
US10914271B1 (en) Leak diagnosis system using purge pump of active purge system and leak diagnosis method using purge pump of active purge system
CN113775440A (zh) 一种燃油蒸发控制系统
KR20110025360A (ko)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 시스템용 컷 밸브
US7562651B2 (en) Vapor canister having integrated evaporative emission purge actuation monitoring system having fresh air filter
KR102161538B1 (ko) 퍼지 효율의 증가 및 연료가스 유출 감소를 위한 캐니스터 구조
KR100213741B1 (ko)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배출장치
KR200161575Y1 (ko)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KR19980030183A (ko) 자동차 연료장치 이배퍼레이션 라인의 리크 진단시스템
JPH0539754A (ja) エバポシステム
KR100405534B1 (ko) 캐니스터 클로즈 밸브 장착차량의 연료시스템 보호구조
KR200316648Y1 (ko) 캐니스터의 활성탄 유출방지구조
KR100555060B1 (ko) 차량용 연료 증발가스 누출 검사장치
KR20230124174A (ko) 자동차용 캐니스터 모듈
KR19980022224A (ko)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