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816A -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816A
KR20090041816A KR1020070107489A KR20070107489A KR20090041816A KR 20090041816 A KR20090041816 A KR 20090041816A KR 1020070107489 A KR1020070107489 A KR 1020070107489A KR 20070107489 A KR20070107489 A KR 20070107489A KR 20090041816 A KR20090041816 A KR 2009004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tem
electronic chart
information databas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민
김석진
김지원
염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07010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816A/ko
Publication of KR2009004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 파일로 저장해 두어 체계적인 관리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 또는 조회하기 위한 진료 화면을 환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은,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하는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MR 시스템, 진료 시스템, 전자 차트, 특성 카테고리, 진료 체크 항목

Description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CLINICAL INFORMATION SCREEN FOR EACH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 파일로 저장해 두어 체계적인 관리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 또는 조회하기 위한 진료 화면을 환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은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의 모든 상태를 기록하는 종래의 종이로 된 차트를, 컴퓨터를 통해 환자의 모든 상태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전자 차트로 구현하여 환자에 관한 모든 기록에 대해 전산화한 시스템으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 파일로 저장해 두어 체계적인 관리 및 조회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EMR 시스템은 크게 환자 정보의 입력에 관한 접수 시스템과, 환자 진료시의 증상, 특이 증상, 바이탈 사인, 검사 결과, 병명, 및 처방 등의 환자에 관한 각종 진료 정보의 입력 및 조회에 관한 진료 시스템, 및 진료비 수납 처리에 관한 수납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예를 들어, 의사)가 환자에 대한 진료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환자에 관한 진료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회 요청시 환자에 관한 진료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차트를 생성,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이름이 '김사랑'인 환자에 대한 전자 차트는 증상 기록 항목, 특이 증상 기록 항목, 바이탈 사인 기록 항목, 병명/처방 기록 항목, 및 과거 차트 조회 항목과 같은 진료 체크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 차트는 대기 환자 리스트와, 환자의 내원일 선택을 위한 달력, 환자의 내원 이력, 및 그림 입력 공간 등 환자에 관한 진료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다양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진료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진료를 수행한 사용자로부터 각 항목에 관한 진료 정보를 입력 받아 각 항목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진료 정보를 각 항목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전자 차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차트는 표시되는 진료 체크 항목(즉, 전자 차트의 메뉴, 또는 기능, 또는 UI)의 종류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자(의사)가 원하는 대로 진료 체크 항목의 종류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었다. 이에, '설정 화면(option)'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 차트에 표시할 진료 체크 항목을 선택 받고, 선택된 진료 체크 항목만을 포함한 전자 차트를 제공할 수 있는 진료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나, 옵션으로 선택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의 경우에도, 선택된 각 항목의 종류와 위치는 환자에 따른 구분 없이 고정되어 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실제 환자 진료시 전자 차트에 진료 정보를 입력하려는 항목과 조회하려는 항목은 환자에 따라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전자 차트는 환자에 따른 구분 없이 모든 환자에게 진료 체크 항목을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여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환자가 소아인 경우, 전자 차트는 예방접종 항목이 필수적이지만, 환자가 성인인 경우, 예방접종 항목이 전자 차트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환자가 이전 내원시 시력 검사, 청력 검사, 또는 MRI 촬영 등의 검사를 한 경우, 다음 내원시의 전자 차트에는 검사 결과 항목이 필요하지만, 병원에 처음 내원한 환자의 전자 차트에서 검사 결과 항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종래의 EMR 시스템은 실제 진료 환경을 환자에 따라 능동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고정적인 UI 형태만을 갖는 전자 차트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즉, 의사)는 환자에게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이 전자 차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한 별도의 진료 화면을 오픈한 뒤, 다시 닫는 과정을, 환자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불편함은 궁극적으로 진료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또는 메뉴, 기능, UI)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사)가 불편 함 없이 진료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 또는 조회하기 위한 진료 화면을 환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적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가 불편함 없이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적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가 환자와의 대면 진료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진료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기록된 위치 식별자에 따라 각 항목을 배치시킨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가 용이하게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사용자(의사)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저장 수단으로부 터 추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신속하게 전자 차트를 제공할 수 있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은,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하는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하는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카테고리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 또는 조회하기 위한 진료 화면을 환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적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불편함 없이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적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환자와의 대면 진료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진료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기록된 위치 식별자에 따라 각 항목을 배치시킨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용이하게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사용자(의사)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신속하게 전자 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200)은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 및 디스플레이 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한다.
일례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또는 '시력 검사 대상'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카테고리는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따라 식별되는 환자의 특성에 관한 분류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특성 카테고리는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시력 검사 대상'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즉,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접종 대상'인 경우, 상기 환자는 예방주사 접종의 대상이 되는 소아로 판단될 수 있고,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장기 관리 대상'인 경우, 상기 환자는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로 판단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시력 검사 대상'인 경우, 상기 환자는 시력 검사 대상자로 판단될 수 있다.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환자에 관한 진료 정보를 입력 및 조회하기 위해 전자 차트에 포함시키려는 진료 체크 항목(예컨대, '예방접종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 등)을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 별로 대응하여 저장 함으로써, 환자의 특성에 따라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 또는 조회하기 위한 전자 차트(즉, 진료 화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접종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예방주사 접종의 대상이 되는 환자(즉, 소아)의 예방주사 접종 여부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 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장기 관리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의 현 상태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시력 검사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시력 검사 대상자인 환자의 시력 검사 결과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가 확인됨에 따라,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진료 체크 항목의 종류가 결정되어 전자 차트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자는 전자 차트의 전체 출력 화면에서 위치 식별자와 대응된 진료 체크 항목이 배치될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가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에 위치 식별자 'S1'을 대응하여 기록하고,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에 위치 식별자 'S2'를 대응하여 기록하고,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에 위치 식별자 'S2'를 대응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환자에 관한 특성 카테고리가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시력 검사 대상'인 경우,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은 위치 식별자 'S1'의 위치에,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은 위치 식별자 'S2'의 위치에, 그리고,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은 위치 식별자 'S2'의 위치에 배치된 전자 차트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자 'S1, S2, S3'의 위치는 사전에 결정될 수도 있고, 선정된 기준(일례로, 진료 체크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새롭게 부여될 수도 있다. 즉, 진료 체크 항목의 개수가 '6'인 경우, 전자 차트의 전체 출력 화면은 6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 위치마다 'S1'부터 'S6'까지의 위치 식별자가 '상-하, 또는 좌-우'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진료 체크 항목이 전자 차트에서 어느 위치에 배치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식별자를 진료 체크 항목에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가 확인됨에 따라,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진료 체크 항목의 종류뿐 아니라, 진료 체크 항목의 각각의 위치가 결정되어 전자 차트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나이, 성별, 병력, 또는 습성 중 적어도 하나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흡연 여부, 음주량 등의 환자 개인의 정보와, 환자의 직업, 거주지 등의 사회력, 환자의 가족력(가족 병력), 환자의 이전 내원시의 검사 결과, 투약 기록 등의 진료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환자 접수시 입력된 환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종 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만성질환자가 아니고, 과거 진료 기록 및 과거 투약 기록이 없으며, 비흡연에 음주하지 않은 '김사랑' 환자의 경우, 환자의 나이가 8세이고, 특기 사항에 시력 검사가 접수되었으므로,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접종 대상 및 시력 검사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당뇨병을 앓고 있는 만성질환자이고, 과거 인슐린 주사를 투약한 기록이 있으며, 흡연자이고 음주를 하는 43세 중년 남성인 '김석진' 환자의 경우,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장기 관리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접종 대상 및 시력 검사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확인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장기 관리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확인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를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과 같이 전자 차트가 작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 'S1'과,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 'S3'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과 같이 전자 차트가 작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 'S2'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기록된 위치 식별자에 따라 각 항목을 배치한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용이하게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작성된 전자 차트를 상기 환자와 대응시켜, 저장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의사로부터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환자의 내원 순서, 또는 접수 시간 등에 따라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할 수 있다(예컨대, 내원 순서가 빠른 순서대로, 또는 접수 시간이 이른 순서대로 전자 차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은 전자 차트 내 대기 환자 리스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김사랑, 김석진, 이수영'의 순서로 내원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술한 과정으로 작성된 '김사랑, 김석진, 이수영' 각각의 전자 차트를 각 환자에 대응시켜 저장 수단에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수단이 구현된 상기 대기 환자 리스트에서 사용자(의사)에 의해 내원 순서가 빠른 환자 '김사랑'이 선택되어 호출되면, 저장 수단에 기록된 전자 차트 "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사)로부터 상기 대기 환자 리스트에서 그 다음으로 내원 순서가 빠른 환자 '김석진'이 선택되어 호출되면, 저장 수단에 기록된 전자 차트 "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사용자(의사)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신속하게 전자 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적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크 항목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불편함 없이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사)는 환자와의 대면 진료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 진료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하는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성 카테고리, '접종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예방주사 접종의 대상이 되는 환자(즉, 소아)의 예방주사 접종 여부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성 카테고리, '장기 관리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의 현 상태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성 카테고리, '시력 검사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시력 검사 대상자인 환자의 시력 검사 결과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즉,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에 위치 식별자 'S1'을 대응하여 기록하고,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에 위치 식별자 'S2'를 대응하여 기록하고,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에 위치 식별자 'S2'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각 위치 식별자 'S1, S2, S3'의 위치는 사전에 결정될 수도 있고, 선정된 기준(일례로, 진료 체크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새롭게 부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서, 환자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도 4는 환자 '김사랑', '김석진', 및 '이수영'에 관한 환자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흡연 여부, 음주량 등의 환자 개인의 정보와, 환자의 직업, 거주지 등의 사회력, 환자의 가족력(가족 병력), 환자의 이전 내원시의 검사 결과, 투약 기록 등의 진료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환자 접수시 입력된 환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김사랑' 환자의 경우, 만성질환자가 아니고, 과거 진료 기록 및 과거 투약 기록이 없으며, 비흡연에 음주하지 않았지만, 환자의 나이가 8세이고, 특기 사항에 시력 검사가 접수되었으므로,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접종 대상 및 시력 검사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김석진' 환자의 경우, 당뇨병을 앓고 있는 만성질환자 이고, 과거 인슐린 주사를 투약한 기록이 있으며, 흡연자이고 음주를 하는 43세 중년 남성이라는 환자 정보에 따라,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장기 관리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서, 환자 별로 작성된 전자 차트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환자 '김사랑'의 전자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환자 '김사랑'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접종 대상 및 시력 검사 대상'으로 식별된 경우,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510)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520)'과 위치 식별자 'S1, 및 S3'를 각각 도 3의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여, 도 5와 같이, 전자 차트 "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510)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520)"을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차트는 '설정 화면(option)'에서 기선택된 진료 체크 항목(즉, 특이 증상 기록 항목, 병명/처방 기록 항목, 대기 환자 리스트(530), 과거 차트 조회 항목 등)을 함께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사)에 의해 대기 환자 리스트(530)의 환자 '김석진'(540)이 선택되는 경우,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환자의 전자 차트를 기록한 저장 수단으로부터 환자 '김석진'의 전자 차트를 추출하여,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환자 '김석진'의 전자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환자 ' 김석진'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장기 관리 대상'이 식별된 경우,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610)'과 위치 식별자 'S2'를 도 3의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여, 도 6과 같이, 전자 차트 "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차트는 '설정 화면(option)'에서 기선택된 진료 체크 항목(즉, 증상 기록 항목, 바이탈 사인 기록 항목, 병명/처방 기록 항목, 대기 환자 리스트(620), 과거 차트 조회 항목 등)을 함께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사)에 의해 대기 환자 리스트(620)의 환자 '이수영'이 선택되는 경우, 환자의 전자 차트를 기록한 저장 수단으로부터 환자 '이수영'의 전자 차트를 추출하여,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은 본 발명의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7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7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710에서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한다.
일례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또는 '시력 검사 대상'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카테고리는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따라 식별되는 환자의 특성에 관한 분류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특성 카테고리는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시력 검사 대상'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즉,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접종 대상'인 경우, 상기 환자는 예방주사 접종의 대상이 되는 소아로 판단될 수 있고,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장기 관리 대상'인 경우, 상기 환자는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로 판단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가 '시력 검사 대상'인 경우, 상기 환자는 시력 검사 대상자로 판단될 수 있다.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환자에 관한 진료 정보를 입력 및 조회하기 위해 전자 차트에 포함시키려는 진료 체크 항목(예컨대, '예방접종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 등)을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 별로 대응하여 저장 함으로써, 환자의 특성에 따라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 또는 조회하기 위한 전자 차트(즉, 진료 화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접종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예방주사 접종의 대상이 되는 환자(즉, 소아)의 예방주사 접종 여부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장기 관리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의 현 상태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특성 카테고리, '시력 검사 대상'에 대응하여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기록 함으로써, 시력 검사 대상자인 환자의 시력 검사 결과를 기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전자 차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가 확인됨에 따라,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진료 체크 항목의 종류가 결정되어 전자 차트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자는 전자 차트의 전체 출력 화면에서 위치 식별자와 대응된 진료 체크 항목이 배치될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가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에 위치 식별자 'S1'을 대응하여 기록하고,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에 위치 식별자 'S2'를 대응하여 기록하고,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에 위치 식별자 'S2'를 대응하여 기록하고, 그리고 환자에 관한 특성 카테고리가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시력 검사 대상'인 경우,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은 위치 식별자 'S1'의 위치에,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은 위치 식별자 'S2'의 위치에, 그리고,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은 위치 식별자 'S2'의 위치에 배치된 전자 차트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자 'S1, S2, S3'의 위치는 사전에 결정될 수도 있고, 선정된 기준(일례로, 진료 체크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새롭게 부여될 수도 있다. 즉, 진료 체크 항목의 개수가 '6'인 경우, 전자 차트의 전체 출력 화면은 6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 위치마다 'S1'부터 'S6'까지의 위치 식별자가 '상-하, 또는 좌-우'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진료 체크 항목이 전자 차트에서 어느 위치에 배치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식별자를 진료 체크 항목에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가 확인됨에 따라,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진료 체크 항목의 종류뿐 아니라, 진료 체크 항목의 각각의 위치가 결정되어 전자 차트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720에서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한다.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나이, 성별, 병력, 또는 습성 중 적어도 하나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흡연 여부, 음주량 등의 환자 개인의 정보와, 환자의 직업, 거주지 등의 사회력, 환자의 가족력(가족 병력), 환자의 이전 내원시의 검사 결과, 투약 기록 등의 진료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환자 접수시 입력된 환자에 관한 환자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만성질환자가 아니고, 과거 진료 기록 및 과거 투약 기록이 없으며, 비흡연에 음주하지 않은 '김사랑' 환자의 경우, 환자의 나이가 8세이고, 특기 사항에 시력 검사가 접수되었으므로,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상기 환자의 특성 카 테고리를 '접종 대상 및 시력 검사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당뇨병을 앓고 있는 만성질환자이고, 과거 인슐린 주사를 투약한 기록이 있으며, 흡연자이고 음주를 하는 43세 중년 남성인 '김석진' 환자의 경우, 카테고리 식별 수단(220)은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장기 관리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단계 S740에서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은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일례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접종 대상 및 시력 검사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확인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장기 관리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확인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 다.
또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를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과 같이 전자 차트가 작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진료 체크 항목, '예방접종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 'S1'과, 진료 체크 항목, '시력 검사 기록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 'S3'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과 같이 전자 차트가 작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진료 체크 항목, '환자 상태 문진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 'S2'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기록된 위치 식별자에 따라 각 항목을 배치한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용이하게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작성된 전자 차트를 상기 환자와 대응시켜, 저장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의사로부터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기 환자의 내원 순서, 또는 접수 시간 등에 따라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할 수 있다(예컨대, 내원 순서가 빠른 순서대로, 또는 접수 시간이 이른 순서대로 전자 차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은 전자 차트 내 대기 환자 리스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김사랑, 김석진, 이수영'의 순서로 내원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상술한 과정으로 작성된 '김사랑, 김석진, 이수영' 각각의 전자 차트를 각 환자에 대응시켜 저장 수단에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수단이 구현된 상기 대기 환자 리스트에서 사용자(의사)에 의해 내원 순서가 빠른 환자 '김사랑'이 선택되어 호출되면, 저장 수단에 기록된 전자 차트 "환자 이름 '김사랑'-예방접종 항목 및 시력 검사 기록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사)로부터 상기 대기 환자 리스트에서 그 다음으로 내원 순서가 빠른 환자 '김석진'이 선택되어 호출되면, 저장 수단에 기록된 전자 차트 "환자 이름 '김석진'-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사용자(의사)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신속하게 전자 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적으로 환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진료 체 크 항목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전자 차트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불편함 없이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볼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사)는 환자와의 대면 진료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 진료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서, 환자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에서, 환자 별로 작성된 전자 차트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210: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카테고리 식별 수단
230: 디스플레이 수단

Claims (15)

  1.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하는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나이, 성별, 병력, 또는 습성 중 적어도 하나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 응하여 기록하고,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를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또는 '시력 검사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성 카테고리를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접종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예방접종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장기 관리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전자 차트를 상기 환자와 대응시켜, 저장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의사로부터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하는 단계; 또는
    환자의 내원 순서에 따라,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9. 특성 카테고리 별로 진료 체크 항목을 기록하는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원한 환자의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카테고리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특성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되는 전자 차트를 의사의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식별 수단은,
    나이, 성별, 병력, 또는 습성 중 적어도 하나의 환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특성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진료 체크 항목 각각으로 위치 식별자를 대응하여 기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를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전자 차트 내 영역에, 상기 검색된 진료 체크 항목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 차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접종 대상', '장기 관리 대상', 또는 '시력 검사 대상'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접종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예방접종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서 '장기 관리 대상'이 식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환자 상태 문진 항목을 포함하는 진료 체크 항목을 상기 항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작성된 전자 차트를 상기 환자와 대응시켜, 저장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의사로부터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하거나, 또는 환자의 내원 순서에 따라, 호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시스템.
KR1020070107489A 2007-10-24 2007-10-24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1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489A KR20090041816A (ko) 2007-10-24 2007-10-24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489A KR20090041816A (ko) 2007-10-24 2007-10-24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816A true KR20090041816A (ko) 2009-04-29

Family

ID=4076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489A KR20090041816A (ko) 2007-10-24 2007-10-24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8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336A (ko) * 2018-11-08 2020-05-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336A (ko) * 2018-11-08 2020-05-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3712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434498B1 (ko) 메디컬 서비스 추적 시스템 및 방법
Ng et al. Improving access to eye care: teleophthalmology in Alberta, Canada
US20110246216A1 (en) Online Pre-Registration for Patient Intake
JP5990458B2 (ja) 外部コンテキストのある臨床決定支援システム
US20160306930A1 (en) Medical data retrieval system
Kortüm et al.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to build an ophthalmologic data warehouse and visualize patients' data
US10593428B2 (en) Diagnosis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4123181A (ja) プログラム及び診療記録表示装置
JP2005110944A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JP5930407B2 (ja) 診療データ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800521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 Health Summary
Kopanitsa Evaluation study for an ISO 13606 archetype based medical data visualization method
JP4506396B2 (ja) 健康情報表示システム
US20230028948A1 (en) Generation of patient-specific content
Boone et al. End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low-risk women after age 65: understanding barriers to adherence with evidence-based guidelines among primary care providers
CA293455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lectronically documenting a visit of a patient
Kortüm et al. The influence of a specific ophthalmological electronic health record on ICD-10 coding
KR20090041816A (ko) 환자별 진료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Peeler et al. Telemedicine for corneal disease in rural Nepal
JP5602177B2 (ja) 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
JP6771328B2 (ja) 紹介状作成支援システム、紹介状作成支援装置及び紹介状作成支援方法
Pittman et al. Neurosurgery clinical registry data collection utilizing informatics for integrating biology and the bedside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KR20220145558A (ko)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JP2012221386A (ja) ホーム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