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730A -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730A
KR20090041730A KR1020070107385A KR20070107385A KR20090041730A KR 20090041730 A KR20090041730 A KR 20090041730A KR 1020070107385 A KR1020070107385 A KR 1020070107385A KR 20070107385 A KR20070107385 A KR 20070107385A KR 20090041730 A KR20090041730 A KR 20090041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locks
bobbin set
stator
linear compresso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307B1 (ko
Inventor
이종구
이상민
현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0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307B1/ko
Priority to CN2008801129949A priority patent/CN101971468B/zh
Priority to PCT/KR2008/005949 priority patent/WO2009054628A2/en
Priority to US12/739,082 priority patent/US8382455B2/en
Publication of KR2009004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5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having an annular coil, e.g. of the claw-po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25B31/023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with compressor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Linear Mo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이 원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전류가 흐르는 코일 권선체; 코일 권선체를 감싸도록 조립되고, 코일 권선체를 절연시키는 보빈 세트; 그리고, 보빈 세트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보빈 세트의 축방향에서 조립되는 복수개의 코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뿐 아니라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리니어 압축기, 리니어 모터, 스테이터, 코일 권선체, 보빈 세트, 코어 블록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STATOR FOR 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들을 서로 조립하여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동시에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피스톤의 왕복 직선 운동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크랭크 축 등과 같은 구성부품을 포함하기 때문에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리니어 압축기는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리니어 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이러한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압축기에 비해 소음이 작아 실내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에 많이 적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는 쉘(미도시) 내측에 프레임(1), 실린더(2), 피스톤(3), 흡입밸브(4), 토출밸브 어셈블리(5), 모터 커버(6), 서포터(7), 백 커버(8), 메인 스프링들(S1,S2), 머플러 어셈블리(9), 리니어 모터(10)로 이루어진 구조체가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실린더(2)가 프레임(1)에 끼움 고정되고, 토출밸브(5a), 토출캡(5b), 토출밸브 스프링(5c)으로 이루어진 토출밸브 어셈블리(5)가 실린더(2)의 일단을 막아주도록 설치되는 반면, 피스톤(3)이 실린더(2) 내측에 삽입되고, 박형의 흡입밸브(4)가 피스톤(2)의 출구(3a)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모터 커버(6)는 리니어 모터(10)의 아우터스테이터(1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리니어 모터(10)의 아우터스테이터(12)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프레임(1)에 볼트 고정되고, 백 커버(8)는 모터 커버(6)에 결합되되, 모터 커버(6)와 백 커버(8) 사이에는 피스톤(3)의 다른 일단과 연결된 서포터(7)가 메인 스프링들(S1,S2)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냉매를 흡입시키는 머플러 어셈블리(9) 역시 서포터(7)와 같이 체결된다.
이때, 메인 스프링들(S1,S2)은 서포터(7)를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4개의 전방 스프링(S1) 및 4개의 후방 스프링(S2)을 포함하되, 리니어 모터(10)가 작동됨에 따라 전방 스프링들(S1)과 후방 스프링들(S2)이 반대로 거동하 면서 피스톤(3) 및 서포터(7)를 완충시킨다. 그 외에도 압축공간(P) 측의 냉매가 일종의 가스 스프링으로 작용하여 피스톤(3) 및 서포터(7)를 완충시킨다.
리니어 모터(10)는 이너스테이터(11)와 아우터스테이터(12) 사이에 간극(Air-gap)을 유지하면서 영구자석(13)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영구자석(13)이 연결부재(14)에 의해 피스톤(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이너스테이터(11)와 아우터스테이터(12) 및 영구자석(13) 사이에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영구자석(13)이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피스톤(3)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리니어 모터(10)가 작동되면, 피스톤(3) 및 이와 연결된 머플러 어셈블리(9)가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되고, 압축공간(P)의 압력이 가변됨에 따라 흡입밸브(4)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5)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냉매가 쉘 측의 흡입관, 백 커버(8)의 개구부, 머플러 어셈블리(9), 피스톤(3)의 흡입구들(3a)을 지나 압축공간(P)으로 흡입되어 압축된 다음, 토출캡(5b), 루프 파이프 및 쉘 측의 유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간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의 아우터스테이터(12)는 전류가 흐르도록 보빈(미도시)에 원주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2a)과, 코일(12a)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코어 블록(12b)과, 코어 블록들(12b)을 코일(12a)에 고정시키는 사출물(12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일(12a)이 보빈에 감겨지면, 지그(미도시)를 사용하여 코어 블록들(12b)을 코일(12a)의 원주 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가조립한 다음, 인서트 사출 을 통하여 코일(12a)에 코어 블록들(12b)을 고정시킨다. 이때, 코일(12a)과 코어 블록들(12b) 사이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12a)과 코어 블록들(12b) 사이를 절연시키되, 코일(12a)과 코어 블록들(12b) 사이에 사출물(12c)을 사충진시키거나, 코일(12a)과 코어 블록들(12b)을 일정 간격 이상의 거리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는 사출물을 통하여 코일과 코어 블록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경우,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사출물이 코일과 코어 블록 사이에 충전된 것을 확인하기 어려워 작동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생산 비용이 높아지며, 사출물이 굳어지면서 변형이 발생될 수 있어 사후에 이너스테이터와 아우터스테이터 및 영구자석 사이의 간극을 확보하기 위한 후공정이 추가되어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는 코일과 코어 블록들 사이를 일정 간격 이상 유지하여 절연시키는 경우, 리니어 모터의 전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리니어 압축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일과 코어 블록들을 절연시키는 동시에 코일과 코어 블록들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과 코어 블록들을 절연시키는 동시에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이 원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전류가 흐르는 코일 권선체; 코일 권선체를 감싸도록 조립되고, 코일 권선체를 절연시키는 보빈 세트; 그리고, 보빈 세트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보빈 세트의 축방향에서 조립되는 복수개의 코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빈 세트는 코일 권선체의 내/외경과 각각 맞닿고, 코일 권선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서로 조립되는 한 쌍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빈 세트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코어 블록들이 안착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위치결정부는 보빈 세트의 축방향 양단 및/또는 외주면에 걸쳐 돌출되고, 코어 블록들의 원주 방향 양측단이 맞닿는 조립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빈 세트와 코어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고, 보빈 세트로부터 코어 블록들의 축방향으로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탈거방지수단은 보빈 세트의 축방향 양단 내측에 구비된 걸림턱과,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코어 블록들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빈 세트와 코어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고, 보빈 세트에 코어 블록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은 보빈 세트의 축방향 양단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용 홈과, 고정용 홈에 끼워지도록 코어 블록들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용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는 코일을 감싸도록 보빈 세트가 조립되고, 보빈 세트의 원주 방향에 코어 블록들이 조립되기 때문에 코일과 코어 블록들을 절연시키는 동시에 코일에 코어 블록들이 조립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며, 부품들의 조립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변형을 보정하기 위한 후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양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는 코일과 코어 블록들 사이에 일종의 사출물인 보빈 세트가 조립되기 때문에 코일과 코어 블록들을 절연시키는 동시에 코일과 코어 블록들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리니어 모터의 전체 크기를 줄일 뿐 아니라 리니어 압축기 전체 크기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는 사출물 형태로 제작되는 보빈 세트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 가이드를 형성하기 때문에 코어 블록을 보빈 세트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코어 블록들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빈 세트와 코어 블록들이 맞물리는 부분에 탈거방지수단 및 고정수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코어 블록들이 조립되더라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 아니라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양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0)의 일예는 밀폐 용기인 쉘(110) 내에 실린더(200), 피스톤(300), 이너스테이터(420)와 아우터스테이터(440) 및 영구자석(460)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400)를 포함하되, 영구자석(460)이 이너스테이터(420) 및 아우터스테이터(440) 사이에서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면, 영구자석(460)과 연결된 피스톤(300)이 영구자석(460)과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너스테이터(420)는 실린더(200)의 외주에 고정되고, 아우터스테이터(440)는 축방향으로 프레임(520)과 모터 커버(540)에 의해 고정되되, 프레임(520)과 모터 커버(540)가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결합되어, 프레임(520)과 모터 커버(540) 사이에서 아우터스테이터(440)가 고정된다. 프레임(520)은 실린더(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실린더(200)와 별도로 제조되어 실린더(2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520)과 실린더(200)가 일체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피스톤(300)의 후방에는 서포터(320)가 연결된다. 네 개의 전방 메인 스프 링(820)은 서포터(320)와 모터 커버(540)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다. 또한, 네 개의 후방 메인 스프링(840)은 서포터(320)와 백 커버(560)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며, 백 커버(560)는 모터 커버(540)의 후방에 결합된다. 피스톤(300)의 후방에는 또한 흡입 머플러(700)가 구비되며, 흡입 머플러(700)를 통해 피스톤(300)으로 냉매가 유입되면서, 냉매 흡입시의 소음을 저감한다.
피스톤(300) 내부는 흡입 머플러(70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실린더(200)와 피스톤(300)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 공간(P)로 유입되어 압축될 수 있도록 중공되어 있다. 피스톤(300)의 선단에는 흡입밸브(610)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밸브(610)는 냉매가 피스톤(300)에서 압축 공간(P)으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며, 압축 공간(P)에서 다시 피스톤(3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피스톤(300)의 선단을 폐쇄한다.
압축 공간(P)에서 피스톤(300)에 의해 냉매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압축되면, 실린더(200)의 선단에 위치하는 토출밸브(620)가 개방된다. 토출밸브(620)는 실린더(200) 일단에 고정된 지지캡(640) 내측에 나선형의 토출밸브 스프링(6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압축된 고압의 냉매는 지지캡(640)에 형성된 홀을 통해 토출캡(660) 내로 토출된 뒤, 루프 파이프(L)를 통해 리니어 압축기(100) 외부로 토출되어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
상술한 리니어 압축기(100)의 각 부품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전방 지지 스프링(120) 및 후방 지지 스프링(140)에 의해 지지되며, 쉘(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쉘(110)의 바닥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냉매를 압축하면서 압축기(100)의 각 부품들에서 발생한 진동이 쉘(110)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 서 쉘(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 및 쉘(11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보빈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너스테이터(420 : 도 3에 도시)는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원주 방향으로 적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아우터스테이터(440)는 코일(441 : 도 3에 도시), 보빈 세트(442), 코어 블록들(443)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너스테이터(420 : 도 3에 도시)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본 발명에서 언급한 스테이터는 코일(441 : 도 3에 도시), 보빈 세트(442), 코어 블록들(443)을 포함하는 아우터스테이터(440)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 아우터스테이터(4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권선된 코일(441 : 도 3에 도시)과, 코일(441 : 도 3에 도시)을 감싸도록 설치된 중공 링 형상의 사출물인 보빈 세트(442)와, 보빈 세트(442)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코어 블록(44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코어 블록들(443)이 보빈 세트(442)에 직접 조립된다.
보빈 세트(442)는 권선된 코일(441 : 도 3에 도시)의 내/외주면 및 선/후단을 모두 막아주도록 조립되는데,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제1,2사출물(442a,442b) 형태로 제작되고, 코일(441 : 도 3에 도시)의 끝단이 인출되는 구멍(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2사출물(442a,442b)의 서로 맞닿는 부분이 접착되거나, 제1,2사출물(442a,442b)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대응되 는 형상이 서로 맞물리면서 조립될 수 있다. 즉, 권선된 코일(441 : 도 3에 도시)이 제1,2사출물(442a,442b)의 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제1,2사출물(442a,442b)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2사출물(442a,442b)이 조립되면, 코일(441 : 도 3에 도시)이 보빈 세트(442)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코어 블록들(443)은 'ㄷ'형태의 라미네이션들이 원주 방향으로 일부 구간에 적층되되, 한 쌍의 코어 블록(443a,443b)이 보빈 세트(442)의 축방향에서 한 쌍씩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여덟 쌍의 코어 블록(443)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물론, 코어 블록들(443)은 코일(441 : 도 3에 도시)과 절연되도록 보빈 세트(442)의 외측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코어 블록들(443)이 보빈 세트(442)에 손쉽게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일종의 위치결정부인 조립 가이드(444), 탈거방지수단(445), 고정수단(446)이 구비된다.
조립 가이드(444)는 코어 블록들(443)이 보빈 세트(442)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 위치를 표시해 준다. 이때, 조립 가이드(444)는 코어 블록들(443)의 원주방향 양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보빈 세트(442)의 외주면 및 선/후단에 격벽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코어 블록들(443)의 원주방향 양측면은 조립 가이드(444)와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물론, 조립 가이드(444)를 보빈 세트(442)의 외주면 또는 선/후단 중 일부에만 형성하여 조립 가이드(444)가 단순히 보빈 세트(442)에 코어 블록들(443)의 조립 위치를 표시하더라도 무방하지만, 조립 가이드(444)를 보빈 세 트(442)의 외주면 및 선/후단에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코어 블록들(443)과 밀착되는 조립 가이드(444)의 접촉 면적을 늘림으로 조립 가이드(444)가 보빈 세트(442)에 코어 블록들(443)의 체결력을 높이는 동시에 외부 충격 시에도 원주 방향으로 코어 블록들(443)의 탈거 또는 코어 블록들(443)로부터 라미네이션들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립 가이드(444)는 보빈 세트(442)의 내주면에도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코어 블록들(443)의 내주단을 서로 절연시키도록 한다.
탈거방지수단(445)은 보빈 세트(442) 및 코어 블록들(443) 사이에는 코어 블록들(443)이 보빈 세트(442)의 축방향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되, 보빈 세트(442)의 내주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턱(445a) 및 이와 맞물리도록 코어 블록들(443)의 일단 내주면에 구비된 후크(445b)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턱(445a)은 일종에 보빈 세트(442)의 내주면에 구비된 일종의 홈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후크(445b)가 걸림턱(445a)에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한 쌍의 코어 블록(443a,443b)이 보빈 세트(442)의 축방향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됨에 따라 걸림턱 역시 보빈 세트의 내주면에 두 개씩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 가이드들(44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탈거방지수단(445)은 걸림턱(445a), 후크(445b) 이외에도 보빈 세트(442)와 코어 블록들(443)의 접촉 부분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446)은 보빈 세트(442) 및 코어 블록들(443) 사이에 구비되는데, 보빈 세트(442)의 선/후단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용 홈(446a) 및 이에 끼워지도록 코어 블록들(443)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용 쐐기(446b)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용 홈(446a)은 조립 가이드들(444)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긴 홈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용 쐐기(446b) 역시 고정용 홈(446a)과 같이 원주 방향으로 긴 돌기 형태로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되, 고정용 쐐기(446b)가 고정용 홈(446a)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고정용 쐐기(446b)가 고정용 홈(446a)에 억지 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우터스테이터(440)의 조립 과정을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선된 코일(441)은 제1,2사출물(442a,442b) 사이에 끼워진 다음, 제1,2사출물(442a,442b)이 서로 조립되어 보빈 세트(442)를 구성한다. 코어 블록들(443)은 한 쌍씩(443a,443b) 보빈 세트(442)의 축방향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되되, 코어 블록들(443)은 조립 가이드들(444) 사이에서 코어 블록들(443)의 후크(445b)가 보빈 세트(442)의 걸림턱(445a)에 걸림되도록 가조립된다. 물론, 코일(441)은 보빈 세트(442) 내측에 구비되고, 코어 블록들(443)은 보빈 세트(442)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코일(441)과 코어 블록들(443)을 조립하는 동시에 절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블록들(443)이 보빈 세트(442)에 가조립된 아우터스테이터(440)가 프레임(520)과 모터 커버(540) 사이에 축방향으로 끼워지면, 프레임(520)과 모터 커버(540)가 축방향으로 볼트 체결되고, 볼트 체결력에 의해 프레임(520)과 모터 커버(540)가 아우터스테이터(44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압축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코어 블록들(443)의 고정용 쐐기(446b)가 보빈 세 트(442)의 고정용 홈(446a)에 억지 끼움되고, 코어 블록들(443)의 원주 방향 양측면 역시 보빈 세트(442)의 조립 가이드(444)와 밀착되면서 코어 블록들(443)이 보빈 세트(44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코일을 감싸도록 설치된 보빈 세트의 외주면에 코어 블록들이 설치된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코일을 감싸도록 설치된 보빈 세트의 내주면에 코어 블록들이 설치된 리니어 압축기의 이너스테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스테이터 일예가 일부 분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보빈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00 : 리니어 모터 440 : 아우터스테이터
441 : 코일 442 : 보빈 세트
443 : 코어 블록 444 : 조립 가이드
445 : 탈거방지수단 446 : 고정수단

Claims (8)

  1. 코일이 원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전류가 흐르는 코일 권선체;
    코일 권선체를 감싸도록 조립되고, 코일 권선체를 절연시키는 보빈 세트; 그리고,
    보빈 세트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보빈 세트의 축방향에서 조립되는 복수개의 코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보빈 세트는 코일 권선체의 내/외경과 각각 맞닿고, 코일 권선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서로 조립되는 한 쌍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보빈 세트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코어 블록들이 안착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위치결정부는 보빈 세트의 축방향 양단 및/또는 외주면에 걸쳐 돌출되고, 코 어 블록들의 원주 방향 양측단이 맞닿는 조립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보빈 세트와 코어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고, 보빈 세트로부터 코어 블록들의 축방향으로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탈거방지수단은 보빈 세트의 축방향 양단 내측에 구비된 걸림턱과,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코어 블록들의 일단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보빈 세트와 코어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고, 보빈 세트에 코어 블록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보빈 세트의 축방향 양단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용 홈과, 고정용 홈에 끼워지도록 코어 블록들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용 쐐기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KR20070107385A 2007-10-24 2007-10-24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KR10148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7385A KR101484307B1 (ko) 2007-10-24 2007-10-24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CN2008801129949A CN101971468B (zh) 2007-10-24 2008-10-09 用于线性压缩机的定子
PCT/KR2008/005949 WO2009054628A2 (en) 2007-10-24 2008-10-09 Stator for linear compressor
US12/739,082 US8382455B2 (en) 2007-10-24 2008-10-09 Stator for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7385A KR101484307B1 (ko) 2007-10-24 2007-10-24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730A true KR20090041730A (ko) 2009-04-29
KR101484307B1 KR101484307B1 (ko) 2015-01-20

Family

ID=4058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7385A KR101484307B1 (ko) 2007-10-24 2007-10-24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2455B2 (ko)
KR (1) KR101484307B1 (ko)
CN (1) CN101971468B (ko)
WO (1) WO20090546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103355A2 (pt) * 2011-07-04 2013-07-23 Whirlpool Sa dispositivo adaptador para compressor linear, e compressor provido do referido dispositivo
BRPI1103647A2 (pt) * 2011-07-07 2013-07-02 Whirlpool Sa disposiÇço entre componentes de compressor linear
BRPI1103447A2 (pt) * 2011-07-19 2013-07-09 Whirlpool Sa feixe de molas para compressor e compressor provido de feixe de molas
BRPI1104172A2 (pt) * 2011-08-31 2015-10-13 Whirlpool Sa compressor linear baseado em mecanismo oscilatório ressonante
KR101397083B1 (ko) * 2011-09-06 201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CN104333151B (zh) * 2013-07-22 2018-09-25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直线压缩机的定子、直线电机及直线压缩机
CN103812286B (zh) * 2012-11-07 2016-08-24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直线压缩机电机的内定子及相应的电机和直线压缩机
WO2014071854A1 (zh) * 2012-11-07 2014-05-15 海尔集团公司 直线压缩机的定子及其固定方法、直线电机及直线压缩机
US9841012B2 (en) * 2014-02-10 2017-12-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ear compressor
JP6253520B2 (ja) * 2014-05-30 2017-12-27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
KR102240028B1 (ko) * 2014-07-21 2021-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US9841011B2 (en) * 2014-07-21 2017-12-12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nd a linear motor for a linear compressor
KR102243885B1 (ko) * 2014-08-25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2300214B1 (ko) 2017-06-27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08631536A (zh) * 2018-07-16 2018-10-09 杨厚成 一种用于直线电机的支撑弹簧装置
CN112483352A (zh) * 2021-01-04 2021-03-12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新型双线圈动磁式线性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138A (ja) * 1991-11-28 1993-06-18 Tohoku Ricoh Co Ltd 高周波コア用ボビン
KR100349709B1 (ko) * 1997-12-23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니어압축기의고정자
KR100895132B1 (ko) * 2002-02-04 2009-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의 스테이터
US6888271B2 (en) * 2002-10-04 2005-05-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igh power density alternator bobbin
KR100518012B1 (ko) 2003-03-11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조립 구조
JP3866209B2 (ja) * 2003-03-18 2007-01-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それを用いたポンプ装置並びにコンプレッサー装置
KR100548270B1 (ko) * 2003-04-1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고정자 체결 구조
KR20040091486A (ko) 2003-04-22 2004-10-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리니어압축기의 고정자
KR100529901B1 (ko) * 2003-06-04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100529902B1 (ko) 2003-06-04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 스테이터 조립 구조
KR100595728B1 (ko) * 2004-04-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구조
JP2006042431A (ja) * 2004-07-23 2006-02-09 Nidec Sankyo Corp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それを用いたポンプ装置並びにコンプレッサー装置
KR100565261B1 (ko) * 2004-11-01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구조
KR100585682B1 (ko) * 2005-01-10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4733B1 (ko) * 2005-05-06 200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코어 조립구조
EP1724907B1 (en) * 2005-05-17 2010-12-08 LG Electronics Inc. Linear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10393A1 (en) 2010-12-09
WO2009054628A2 (en) 2009-04-30
WO2009054628A3 (en) 2010-06-17
US8382455B2 (en) 2013-02-26
KR101484307B1 (ko) 2015-01-20
CN101971468B (zh) 2013-10-09
CN101971468A (zh)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173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EP3236069B1 (en) Linear compressor
KR101809347B1 (ko) 리니어 압축기
US9261088B2 (en) Linear compressor
JP6573786B2 (ja) リニア圧縮機及びリニアモータ
US10928109B2 (en) Linear compressor
KR101385990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KR100552586B1 (ko)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갖춘 리니어 압축기
KR2018007409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50039991A (ko) 리니어 압축기
US20130115113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2424602B1 (ko) 리니어 압축기
CN210239937U (zh) 线性压缩机
KR102067098B1 (ko) 리니어 압축기
JP4109250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固定子固定装置
KR2008006509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102073735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1484328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83633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102056733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24604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60086682A (ko) 리니어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20090041652A (ko) 리니어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180091451A (ko) 리니어 압축기
KR101204547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22

Effective date: 201412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