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679A - 터치패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679A
KR20090041679A KR1020070107315A KR20070107315A KR20090041679A KR 20090041679 A KR20090041679 A KR 20090041679A KR 1020070107315 A KR1020070107315 A KR 1020070107315A KR 20070107315 A KR20070107315 A KR 20070107315A KR 20090041679 A KR20090041679 A KR 20090041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touch
glass plate
display film
sm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복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679A/ko
Publication of KR2009004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5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e.g. on a dishwasher,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을 포함하여, 유리판 전면에 스모그 처리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모그

Description

터치패널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을 포함하여, 유리판 전면에 스모그 처리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치패널 설치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683816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는 아웃도어(50)을 포함하는데, 상기 아웃도어(50)의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꺾여 연장된 연장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도어(50)에는 소정의 공간이 함몰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 수납부(54)가 형성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54)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7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아웃도어(50)의 배면에는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56)가 결합된다. 상기 도어라이너(56)는 아웃도어(50)의 연장부(52)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도어(50)와 도어라이너(56)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도어(50)와 도어라이너(56)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열층은 발포수지등의 발포액이 발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웃도어(50)와 도어라이너(56)의 결합체 상단과 하단에는 도어의 상하단의 외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캡데코(58)가 끼워진다. 상기 캡데코(58)는 종래의 캡데코(58)와 동일하게 좌우로 길게 형성된 데코본체(60)와 테두리에서 일정 길이만큼 꺾여 형성된 리브(62)로 구성된다. 상기 리브(62)는 3개가 형성되어 각각의 리브(62) 사이에 2개의 홈(64a, 64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내측홈(64a)은 상술한 아웃도어(50)와 도어라이너(56)의 결합체가 끼워지는 부분이고, 외측홈(64b)은 후술할 전면글래스(80)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캡데코(58)의 좌우측에는 도어데코(66)가 상기 캡데코(58)와 단부를 맞대고, 상기 아웃도어(50)와 도어라이너(56)의 결합체의 좌우측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도어테코는 원칙적으로 캡테코와 동일한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각각 2개의 홈(6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아웃도어(50)에 도어라이너(56)가 결합되고 이들을 지지하는 캡테코와 도어데코(66)가 결합하여 도어의 몸체(이하 '도어 조립체'라 한다.)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 조립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납부(54)에는 디스플레이부(70)가 설치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사용자에게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부(74)와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조절하는 조절부(76)를 포함하여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54)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76)는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상기 도어조립체에 디스플레이부(70)가 설치된 이후에 이들의 전면에는 전면글래스(80)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글래스(80)는 한장의 유리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글래스(80)의 둘레가 캡데코(58) 및 도어데코(66)에 형성된 홈(64)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전면글래스(80)의 배면에는 냉장고 외관에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이 도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70)를 관찰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의 입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사용자가 입력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입력위치가 인쇄된다.
한편, 상기 전면 글래스(80)는 플래스틱 부재로 형성될 수도있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한장의 플래스틱 부재로 형성되어 배면에 표형하고자 하는 색이 도색된다.
전면글래스(80)형 냉장고를 조절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전면글래스(80)에 인쇄된 입력부를 손으로 눌러준다. 이때, 상기 전면글래스(80) 배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70)는 사용자의 손이 만들어내는 자기장 또는 체온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로 변화 시킨후 이에 의해 냉장고의 운전 상태를 조절한다.
또한, 근래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전면글래스(80)에 스모그 처리를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모그 처리가 된 색유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자재수급에 어려움이 있으며, 단가 또한 투명유리보다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을 포함하여, 유리판 전면에 스모그 처리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패널 설치구조는,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리판 전면에 스모그 처리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필름 전면은 엠보싱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엠보싱층을 포함하여, 빛이 산란되어 물결무늬 또는 무지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엠보싱층은 은(Ag)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패널 설치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을 포함하여, 스모그처리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는 동시에 유리판 전면에 스모그 처리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필름 전면은 엠보싱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엠보싱층을 포함하여, 빛이 산란되어 물결무늬 또는 무지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설치구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설치구조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패널 설치구조는, 유리판(110)과 상기 유리판(110)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200)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저장고는 인케이스와 상기 인케이스 외부를 둘러싸는 아웃케이스 와 상기 인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 커버와 상기 인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커버를 포함한다. 아웃케이스는 전면패널(100)과 삼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패널을 포함하여, 발포작업시에 유리판(110)이 끼워진 전면패널(100)과 인케이스 사이로 발포액이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식품 저장고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식품 저장고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00)에는 전면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강화유리 등으로 구비되는 유리판(110)이 끼워진다.
유리판(110)은 일측에 투명부(111)가 형성된다.
유리판(110)과 전면패널(100) 상부 사이에는 터치패널(200)이 삽입되는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터치패널(200)은 전면패널(100)에 설치되어 투명부(111)의 배면에 배치된다.
터치패널(200)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저장고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역할을 한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아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본체는 PCB와, 상기 PCB에 설치되는 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본체는 한국등록특허 제519371호에 제시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터치스크린 역할을 하며 상기 PCB의 전면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필름(210) 배면에는 심벌 등이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모그처리는 블랙스모그 처리로 되어, 상기 터치본체 광원의 빛을 굴절시켜 줌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심벌부분만 밝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하여 터치패널(200)이 필요이상으로 밝게 빛나 사용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모그처리는 한국실용공고 제134163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필름(210) 전면에 형성되는 엠보싱층(2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원의 빛이 산란되어, 물결무늬 또는 무지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엠보싱층(220)으로 인해 사용자의 터치가 터치패널(200)에 더욱 효과적으로 잘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엠보싱층(220)은 도포를 통해 형성된 은(Ag) 코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엠보싱층(220)의 배열은 휘도 균일화를 고려하여 높은 규칙성을 갖지 않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디스플레이 필름(210) 전면이 에칭가공처리 등의 기법을 통해 엠보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필름(210)에 스모그 처리하여, 유리판(110)의 모든 면에 스모그 처리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도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설치구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설치구조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면패널 110 : 유리판
111 : 투명부 120 : 삽입공
200 : 터치패널 210 : 디스플레이 필름
220 : 엠보싱층

Claims (4)

  1. 유리판;
    상기 유리판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본체와 스모그처리되어 상기 터치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엠보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층은 은(A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필름 전면은 엠보싱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설치구조.
KR1020070107315A 2007-10-24 2007-10-24 터치패널 설치구조 KR20090041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315A KR20090041679A (ko) 2007-10-24 2007-10-24 터치패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315A KR20090041679A (ko) 2007-10-24 2007-10-24 터치패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679A true KR20090041679A (ko) 2009-04-29

Family

ID=4076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315A KR20090041679A (ko) 2007-10-24 2007-10-24 터치패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6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7673A1 (zh) * 2018-11-26 2020-06-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蒸镀载板及利用该蒸镀载板对基板进行蒸镀的方法
KR20220150600A (ko) 2021-05-04 2022-11-11 김두식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필름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7673A1 (zh) * 2018-11-26 2020-06-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蒸镀载板及利用该蒸镀载板对基板进行蒸镀的方法
KR20220150600A (ko) 2021-05-04 2022-11-11 김두식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필름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1453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10852864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including same
US10429126B2 (en) Touch sensor assembly
EP2245401B1 (en) Refrigerator
CN201117490Y (zh) 家用电器控制面板
KR10153761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조작버튼패널의 제작방법
CN106023808B (zh) 显示装置
KR101921263B1 (ko) 냉장고
CN216043103U (zh) 发光门把手及冷柜门
WO2012041765A1 (en) A display unit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EP2869675A1 (en) Alphanumeric display assembly
TW201804185A (zh) 顯示裝置及具備其之冰箱
KR20090041679A (ko) 터치패널 설치구조
US9933131B2 (en) Integrated console display assembly
KR100683816B1 (ko) 전면글래스형 냉장고
KR1021806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883991B1 (en) Electric home appliance
KR101174917B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JP2019027759A (ja) 冷蔵庫
CN207201123U (zh) 一种智能控制面板结构
CN218351086U (zh) 电器的控制面板
ES2885427T3 (es) Aparato electrodoméstico con panel frontal
CN112747544A (zh) 一种家电镜面门、冰箱
CN217060685U (zh) 显示装置
CN216561312U (zh) Nogap显示装置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