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287A -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287A
KR20090041287A KR1020070106918A KR20070106918A KR20090041287A KR 20090041287 A KR20090041287 A KR 20090041287A KR 1020070106918 A KR1020070106918 A KR 1020070106918A KR 20070106918 A KR20070106918 A KR 20070106918A KR 20090041287 A KR20090041287 A KR 2009004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getation
water supply
fasten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994B1 (ko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102007010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9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壁面) 녹화(綠化)용 식생(植生)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심하였고, 소모적 수분 증발이 많았으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식재(植栽) 포트(pot)가 구비된 식생(植生) 포트(pot)부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고, 상기 식생 포트부가 체결된 체결용 프레임부가 식생용 케이스에 설치되고, 식생용 케이스에 설치된 보수(保水)용 매트(mat)에는 토양을 담는 공간부로서 물(水)공급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이 물(水)공급용 공간부에는 그 상방(上方)과 그 하방(下方)에 수로(水路)용 공간부가 이어지고,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와 이에 이어지는 수로(水路)용 공간부에는 물(水)을 흡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부직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방지되고, 소모적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106918
벽면 녹화, 식생장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Description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planter apparatus for wall afforestation}
본 발명은 벽면(壁面) 녹화(綠化)용 식생(植生)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재(植栽) 포트(pot)가 구비된 식생(植生) 포트(pot)부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고, 상기 식생 포트부가 체결된 체결용 프레임부가 식생용 케이스에 설치되고,
식생용 케이스에 설치된 보수(保水)용 매트(mat)에는 토양을 담는 공간부로서
물(水)공급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이 물(水)공급용 공간부에는 그 상방(上方)과 그 하방(下方)에 수로(水路)용 공간부가 이어지고,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와 이에 이어지는 수로(水路)용 공간부에는 물(水)을 흡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부직포가 설치되어,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방지되고, 소모적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벽면(壁面) 녹화용 식생(植生)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허출원공개번호 "특개2002-77") 발명의 명칭 "벽면 녹화 패널"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설치되어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로서 보수(保水)용 매트(mat)(10)와 녹화기반(300)과 철망(60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허출원공개번호 "특개2002-
335765") 발명의 명칭 "벽면 녹화 유니트 및 벽면 녹화 공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어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로서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된, 통수층(通水層)(310)과, 배토층(培土層)(320)과, 식재층(植栽層)(33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하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기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방지되고, 소모적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된 벽면(壁面) 녹화용 식생(植生)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벽면 녹화용 식생 장치로서 상기 종래의 기술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허출원공개번호 "특개2002-77") 발명의 명칭 "벽면 녹화 패널"에서는, 보수(保水)용 매트(mat)에 의하여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한 구성이 불가능하였고,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방지됨이 어려운 구조임에 따라,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심하였고, 소모적 수분 증발이 많았으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허출원공개번호 "특개2002-
335765") 발명의 명칭 "벽면 녹화 유니트 및 벽면 녹화 공법"에서는, 보수(保水)용 매트(mat)에 의하여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한 구성이 불가능하였고,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방지됨이 어려운 구조임에 따라,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의 유실이 심하였고, 소모적 수분 증발이 많았으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壁面)의 녹화(綠化)가 가능하도록, 보수(保水)용 매트(mat)와, 상기 보수
(保水)용 매트가 내부에 설치된 식생(植生)용 케이스(case)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에 있어서,
식물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이 안쪽 공간부에 담기는 식재(植栽) 포트(pot)가 구비되며, 상기 식재(植栽) 포트를 지지하는 포트 지지부가, 상기
식재 포트과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포트 지지부에는 체결용 프레임
(frame)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지지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식재 포트부와 상기 포트 지지부로 이루어진 식생(植生) 포트부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고;
상기 식생 포트부 복수(複數) 개의 각각이 이에 상응하여 끼워져 설치되도록 된 포트 설치용 공간부가 구비된 체결용 프레임(frame)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에서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의 주위(周圍)에는, 지지 부재가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에 상응하여 닿는 부분을 눌러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의 테두리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상기 식생용 케이스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의 서로 체결시(締結時)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체결지지 부재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상단부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에 그 입구(入口) 부재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 가능한 급수(給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 부재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상기 입구 부재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하단부의 배수(排水)용 관통구멍에 그 출구(出口) 부재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 가능한 배수(排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부재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상기 출구 부재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는 그 정면부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의 지지 부재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눌려 지지되며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서 설치되며,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의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식생 포트부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상기 식재 포트의 안쪽 공간부에 상응하여 이어져 토양를 담을 수 있도록 된 공간부로서, 상기 식재 포트의 안쪽 공간부에 담긴 토양과, 공간부에 담긴 토양에 물(水)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水)공급용 공간부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며,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그 상방(上方)과 그 하방(下方) 각각에는 수로(水路)용 공간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上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와 이에 연결된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와 이에 상기 하방(下方)에 연결된 상기 수로용 공간부에는 물(水)이 흡수되어 이동이 가능한 부직포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에 체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식재 포트의 안쪽 공간부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의 공간부에는 토양이 담기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상단부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의 상단부의 수로 용 공간부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급수용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의 하단부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의 하단부의 수로용 공간부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용 관통구멍의 상기 입구 부재는 상기 급수 부재의 체결편이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의 상기 출구 부재는 상기 배수 부재의 체결편이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달성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부재에 의하여 급수가 되면, 식재 포트(pot)에 담긴 토양에는, 식생용 케이스에 설치된 보수(保水)용 매트(mat)에 구비된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와, 이에 이어진 그 상방(上方)의 수로(水路)용 공간부 및 부직포에 의하여, 흡수되어 이동되어 공급된 물(水)이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에 담긴 토양을 거쳐 원활하게 공급되어,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재 포트에 식생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 포트(pot)에 담기는 토양과, 이에 이어져 물(水)공급용 공간부에 담기는 토양 및, 상기 토양에 포함된 유기물 등의 비료 성분은 상기 식재 포트와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에 담긴 상태에서, 식재 포트가 구비된 식생 포트부가 체결 설치된 체결용 프레임(frame)부의 지지 부재에 의하여 이 지지 부재에 상응하여 닿는 보수(保水)용 매트의 부위가 눌려 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수로용 공간부가 이에 설치된 부직포에 의하여 물(水)의 흡수 이동만이 허용되어, 상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이 하방(下方)으로 유실(流失)됨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적인 수분을 증발을 막기 위하여, 상기 식재 포트와 포트 지지부로 이루어진 식생 포트부와, 체결용 프레임부와, 식생용 케이스가 표면을 이루고 있는 구조임에 따라, 소모적 수분 증발이 가능한 부분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소모적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어, 식재 포트에 대한 물(水)의 공급, 및 급수(給水) 부재에 대한 물(水)의 급수의 효율적인 관리가 용이하게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식재 포트에 담긴 토양에 대한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여, 습생(濕生) 식물, 중생(中生) 식물, 건생(乾生) 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며, 아울러 식재 포트가 상방(上方)으로 개방되고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형상이므로, 덩굴 식물 이외에도 다양한 초화류와 작은 관목류의 식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 1로서, 도 1 내지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壁面)의 녹화(綠化)가 가능하도록, 보수(保水)용 매트(mat)(10)와, 상기 보수용 매트(10)를 내부(20c)에 설치한 식생(植生)용 케이스(case)(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에 있어서,
식물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s)이 안쪽 공간부(31c)에 담기는 식재
(植栽) 포트(pot)(31)가 구비되며, 이 식재 포트(31)는 상방(上方)으로 개방되고 아울러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재(植栽) 포트(31)를 지지하는 포트(pot) 지지부(32)가, 상기 식재 포트(31)과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포트 지지부(32)에는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지지 부재(32b)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에는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의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끼워져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용 관통구멍(32h)과, 체결용 프레임부(50)의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된 끼움체결용 홈(32u)이 구비되어,
상기 식재 포트(31)와 상기 포트 지지부(32)로 이루어진 식생(植生) 포트(pot)부(30)가 복수(複數) 개 구비된다.
상기 식생 포트부(30) 복수(複數) 개의 각각이 이에 상응하여 끼워져 설치되도록 된 포트(pot) 설치용 공간부(51)가 복수(複數) 개 구비된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에는, 상기 식생 포트부(30)가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의 주위(周圍)에 상기 포트 지지부(32)의 상기 끼움체결용 홈(32u)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포트 지지부(32)의 상기 체결용 관통구멍(32h)에 끼워져 걸림으로 체결되는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에서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의 주위(周圍)로서 상기 끼움체결용 부재(51v)의 주위(周圍)에는, 지지 부재(50-7)가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에 상응하여 닿는 부분을 눌러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를 지지하며 아울러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7)가 끼움체결용 홈(50-9)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시(締結時)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테두리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서로 체결시(締結時)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2)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2)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50-2)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테두리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테두리부에는, 테두리 지지 부재(50-8)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끼움 공간부(20-9)에 끼워져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그 설치(設置)가 지지되며, 아울러 끼움체결용 홈(50-9)에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7)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단부(50a)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단부(20a)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에 그 입구(入口)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 가능한 급수(給水) 부재(50-5)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 부재
(50-5)에는 급수용 관통구멍(50-5h)이 구비되며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기 입구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5e)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하단부(50b)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하단부(20b)의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6)에 그 출구(出口)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 가능한 배수(排水) 부재(50-6)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부재
(50-6)에는 배수용 관통구멍(50-6h)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기 출구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6e)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단부(50a)에는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하단부(50b)에는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는 그 정면부(10-1)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기 지지 부재(50-7)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상기 지지 부재(50-7)에 의하여눌려 지지되며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내부(20c)에 채워져 설치되며,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기 정면부(10-1)에는, 상기 식생 포트부
(30)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기는 토양(s)에 상응하여 이어져 토양(s)를 담을 수 있도록 된 공간부로서,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긴 토양(s)과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에 물(水)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水)공급용 공간부(15)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며,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그 상방(上方)과 그 하방(下方) 각각에는 수로(水路)용 공간부(16)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上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16)와 이에 연결된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와 이에 상기 하방(下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16)에는
물(水)이 흡수되어 이동이 가능한 부직포(不織布)(f)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복수(複數) 개의 식생 포트부(30)의 각각이,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에 끼워져 상기 체결용 관통구멍(32h)에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상기 끼워져 걸림으로 체결되고 상기 끼움체결용 홈(32u)에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상기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내부(20c)에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체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는 토양(s)이 담긴다.
상기 토양(s)은 자연 토양 또는 인공 토양, 자연 토양과 인공 토양의 혼합 토양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토양(s)은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케이스 벽(20-1)의 앞쪽부(20-1a)에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지지 부재(20-7)와 상기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끼움 공간부(20-9)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케이스 벽(20-1)의 앞쪽부(20-1a)에서, 상기 체결지지 부재(20-7)는 상기 끼움체결용 홈(50-9)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는 테두리 지지 부재(50-8)가 상기 끼움공간부(20-9)에 끼워져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그 설치(設置)가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단부(20a)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이 구비되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하단부(20b)
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하단부(10b)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6)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의 상기 입구(入口) 부재(20-5e)는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체결편(50-5e)이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6)의 상기 출구(出口) 부재(20-6e)는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체결편(50-6e)이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상하(上下)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방(上方)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상기 배수(排水) 부재
(50-6)와, 이에 하방(下方)으로 인접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급수(給水) 부재(50-5)가 서로 통상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 1로서,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은, 상방(上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排水出口) 부재(50-6b)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出口) 부재(50-6b)는, 하방(下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급수
(給水) 부재(50-5)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 부재(50-5)에는 관수(灌水) 라인(line)이 설치되어 물(水)의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상하(上下)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가장 상방(上方)에 설치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상기 급수 부재(50-5)에 관수(灌水) 라인(line)이 설치되어 물(水)의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식물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실시예 2는, 그 구성이 도 1과 도6 내지 도 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및 상기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식생 포트부(30)의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에는,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 이어져
담긴 토양(s)의 유실(流失)이 방지되도록, 하면부(32-9b)가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밑바닥부(15b)에 닿으며 상면부(32-9a)가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 담긴 토양(s)을 떠받치는 형상으로 된 토양 유실(流失)방지 부재(32-9)가,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토양(s)을 제외한 재질은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용 케이스(20)는, 벽면(w)에 체결 고정 부재(200)에 의하여, 벽면(w)에 설치된 레일(500)에 설치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은, 도 1 내지 도 9a 및 도 9b 특히 도 5a 및 도 5b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은, 벽면(壁面)의 녹화(綠化)가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에 있어서, 식물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s)이 안쪽 공간부(31c)에 담기는 식재(植栽) 포트(pot)(31)가 구비되며, 이 식재 포트(31)는 상방(上方)으로 개방되고 아울러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덩굴 식물 이외에도 다양한 초화류와 작은 관목류의 식생이 가능하며, 식재 포트(31)에 담긴 토양
(s)에 대한 물(水)의 공급이 원활한 하기 작용의 기재에 의하여, 습생(濕生) 식물, 중생(中生) 식물, 건생(乾生) 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다.
상기 식재 포트(31)는 상기 식재(植栽) 포트(31)를 지지하는 포트(pot) 지지부(32)가, 상기 식재 포트(31)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포트 지지부
(32)에는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지지 부재(32b)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의 체결용 관통구멍(32h)에 체결용 프레임
(frame)부(50)의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끼워져 걸림으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의 상기 끼움체결용 홈(32u)에 체결용 프레임부(50)의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어, 상기 식재 포트(31)와 상기 포트 지지부(32)로 이루어진 식생 포트부(30)는 상응하는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에 끼워져 안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식생(植生) 포트(pot)부(30)는 복수(複數) 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그 갯수를 조절하여 필요한 수량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상기 체결지지 부재(20-2)에 걸림으로 체결되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체결편(50-2)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상기 급수용 관통구멍(20-5)의 입구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체결편(50-5e)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6)의 출구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
(50)의 체결편(50-6e)에 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는 내부(20c)에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가 채워져 설치된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상기와 같이 체결되어 설치되면, 상기 지지 부재(50-7)가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에 상응하여 닿는 부분을 눌러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를 지지하며 아울러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7)가 끼움체결용 홈(50-9)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50-7)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지지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내부(20c)에 채워져 설치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물(水)공급용 공간부(15)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식생 포트부(30)의 식재 포트(31)와 이에 연결된 포트 지지부(32)에 의한 공간에 공간으로서 연결된다.
토양(s)은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물(水)공급용 공간부(15)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식생 포트부(30)의 식재 포트(31)와 이에 연결된 포트 지지부(32)로 이루어진 공간에 담기며,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 부재(50-7)에 의하여 토양의 유실(流失)의 방지가 효율적으로 가능하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기 테두리 지지 부재(50-8)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끼움 공간부
(20-9)에 끼워져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그 설치(設置)가 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끼움체결용 홈(50-9)에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7)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됨이 용이하게 가능하므로,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은 서로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단부(50a)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단부(20a)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에 그 입구(入口)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급수(給水) 부재(50-5)가 구비되므로,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기 입구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5e)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급수 부재(50-5)가 설치된다. 이 때 이 급수 부재(50-5)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급수용 관통구멍(20-5)에 설치되므로,
상기 급수 부재(50-5)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
(16)에 상응하여 설치된 상기 급수 부재(50-5)에 의하여 급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하단부(50b)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하단부(20b)의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6)에 그 출구(出口)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배수(排水) 부재(50-6)가 구비되므로,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기 출구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6e)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배수 부재(50-6)가 설치된다. 이 때 이 배수 부재(50-6)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하단부(10b)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6)에 설치되므로,
상기 배수 부재(50-6)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하단부(10b)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하단부(10b)의 수로(水路)용 공간부
(16)에 상응하여 설치된 상기 배수 부재(50-6)에 의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상하(上下) 방향으로 연속되게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배수 부재(50-6)로 배수된 물(水)은, 이에 이어서 하방(下方)에 설치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급수 부재(50-5)에 이어져 급수(給水)가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순차로 급수(給水) 및 배수(排水)가 가능하다.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는 그 정면부(10-1)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기 지지 부재(50-7)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상기 지지 부재(50-7)에 의하여눌려 지지되며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내부(20c)에 채워서 설치되며,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기 정면부(10-1)에는, 상기 식생 포트부
(30)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상응하여 이어져 토양(s)를 담을 수 있도록 된 공간부로서,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긴 토양(s)과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에 물(水)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水)공급용 공간부(15)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며,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그 상방(上方)과 그 하방(下方) 각각에는 수로(水路)용 공간부(16)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上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16)와 이에 연결된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와 이에 상기 하방(下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16)에는
물(水)이 흡수되어 이동이 가능한 부직포(f)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므로,
실시예 1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에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
(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의 상단부와, 그 주위의 보수용 매트(10)에 닿은 부분을 통하여 상기 급수 부재(50-5)로부터 물(水)이 급수(給水)된다.
이렇게 급수(給水)된 물(水)은, 도 5b의 P의 표시와 도 9b의 P의 표시와
같이,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와 그 상방(上方)에 연결된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설치된 부직포(f)를 통하여, 상기 부직포(f)의 구성 부재 사이의 틈새(간극(間隙))에서의 모세관 작용과, 물(水)의 무게에 의한 중력 작용에 의하여 상
기 부직포(f)에 흡수된 물(水)이 하방(下方)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
부(15)의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에 원활하게 물(水)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
기 부직포(f)의 구성 부재 사이의 틈새(간극(間隙))는 일반적으로 보수(保水)용
매트(10)의 구성 부재 사이의 틈새(간극(間隙)) 보다 커서, 토양(s)의 틈새의 크기에 상대적으로 비슷한 크기이므로, 상기 부직포(f)로부터 상기 토양(s)으로 물(水)이 이동함이,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로부터 상기 토양(s)으로 이동함보다 훨씬 원활하다.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긴 토양(s)의 개개 입자들 사이의 틈새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의 개개 입자들 사이의 틈새와 서로 같거나 비슷한 크기의 틈새임에 따라, 상방(上方)의 수로용 공간부(16)에 설치된 부직포(f)에 의하여 흡수되어 이동하는 물(水)이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을 거쳐, 이 토양(s)와
같은 크기 내지 비슷한 크기의 틈새인,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긴 토양(s)의 개개 입자들 사이의 틈새로 원활한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물(水)이 이동되어 이 토양(s)에 대한 물(水)의 공급이 극히 원활하게 된다.
또한, 도 5b의 P'의 표시와 도 9b의 P'의 표시와 같이,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에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
(16)의 상단부와 그 주위의 보수(保水)용 매트(10)에 닿은 부분을 통하여 상기 급수 부재(50-5)로부터 물(水)이 급수(給水)되어,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는
그 상방(上方)과 측방(側方) 및 후방(後方) 및 저면(底面)의 보수용 매트(10) 부분에 이동하여 스며있는 물(水)이 상기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에 이동하여, 이 물(水)이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을 거쳐,
이 토양(s)와 같거나 비슷한 크기의 틈새인,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긴 토양(s)의 개개 입자들 사이의 틈새로 원활한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물(水)이 이동되어 이 토양(s)에 대한 물(水)의 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인 보수(保水)용 매트(10)(310)만에 의한 식물에 대한 물(水)의 공급 구조는, 보수(保水)용 매트 (10)(310)의 그 구성 부재들 사이의 틈새(간극(間隙))가 미세하여, 이 구성 부재들 사이의 틈새로부터 이러한 틈새의 크기와는 상대적으로 틈새의 크기가 현저히 큰 식생용의 토양용 부재의 개개 입자들 사이의 틈새로 물(水)의 이동이 원활하지 아니하였던 문제점이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된 것이다.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와 그 하방(下方)에 연결된 수로(水路)용 공간 부(16)에 설치된 부직포(f)를 하방(下方)으로 이동하는 물(水)은,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서는 도 5b의 Q의 표시와 도 9b의 Q의 표시와 같이, 보수(保水)용 매트(10)에서는 도 5b의 Q'의 표시와 도 9b의 Q'의 표시와 같이, 그 하방(下方)의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에 이동하여 물(水)을
공급하며, 하방(下方)으로 순차로 물(水)이 이동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공급되어, 결국 배수 부재(50-6)의 배수용 관통구멍(50-6h)을 통하여 배수(排水)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 1로서,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은, 상방(上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排水出口) 부재(50-6b)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出口) 부재(50-6b)는,
하방(下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상하(上下) 방향으로 연속되게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방(上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排水出口) 부재 (50-6b)가, 하방(下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에 용이하게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배수 부재(50-6)로 배수된 물(水)은, 이에 이어서 하방(下方)에 설치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급수 부재(50-5)에 이어져 급수(給水)가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순차로 급수(給水) 및 배수(排水)가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2로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과 같은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식생 포트부(30)의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에는,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 이어져
담긴 토양(s)의 유실(流失)이 방지되도록, 하면부(32-9b)가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밑바닥부(15b)에 닿으며 상면부(32-9a)가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 담긴 토양(s)을 떠받치는 형상으로 된 토양 유실(流失)방지 부재(32-9)가,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응 부분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 부재(50-7)에 의하여 토양(s)의 유실(流失)의 방지됨에 더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상기 식재 포트(31)와 물(水)공급용 공간부(15) 및 그 사이 공간에 이어져서 담긴 토양(s)이 바로 상기 식재 포트(31)와 물(水)공급용 공간부(15) 및 그 사이 공간의 위치에서 그 토양(s)의 유실(流失)의 방지가 가능하여, 토양(s)의 유실(流失) 방지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성 및 작용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부재에 의하여 급수가 되면, 식재 포트(pot)에 담긴 토양에는, 식생용 케이스에 설치된 보수(保水)용 매트(mat)에 구비된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와, 이에 이어진 그 상방(上方)의 수로(水路)용 공간부 및 부직포에 의하여, 흡수되어 이동되어 공급된 물(水)이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에 담긴 토양을 거쳐 원활하게 공급되어, 벽면 녹화용 식생에서, 식재 포트에 식생된 식물에 물(水)의 공급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 포트(pot)에 담기는 토양과, 이에 이어져 물(水)공급용 공간부에 담기는 토양 및, 상기 토양에 포함된 유기물 등의 비료 성분은 상기 식재 포트와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에 담긴 상태에서, 식재 포트가 구비된 식생 포트부가 체결 설치된 체결용 프레임(frame)부의 지지 부재에 의하여 이 지지 부재에 상응하여 닿는 보수(保水)용 매트의 부위가 눌려 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수로용 공간부가 이에 설치된 부직포에 의하여 물(水)의 흡수 이동만이 허용되어, 상기 토양 및 유기물 등 비료 성분이 하방(下方)으로 유실(流失)됨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적인 수분을 증발을 막기 위하여, 상기 식재 포트와 포트 지지부로 이루어진 식생 포트부와, 체결용 프레임부와, 식생용 케이스가 표면을 이루고 있는 구조임에 따라, 소모적 수분 증발이 가능한 부분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소모적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어, 식재 포트에 대한 물(水)의 공급, 및 급수(給水) 부재에 대한 물(水)의 급수의 효율적인 관리가 용이하게 달성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식재 포트에 대한 물(水)의 공급이 원활
하여, 습생(濕生) 식물, 중생(中生) 식물, 건생(乾生) 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며, 아울러 식재 포트가 상방(上方)으로 개방되고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형상이므로, 덩굴 식물 이외에도 다양한 초화류와 작은 관목류의 식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벽면에 사용되며, 그밖에 지하철 내부 공간의 벽면, 옹벽이나 교량 등 토목 구조물의 벽면에 사용 가능하며, 친환경적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효과가 필요한 다방면에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축소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2에서의 체결용 프레임 부의 좌측 상단부의 구성 및 이에 체결된 식생 포트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2에서의 체결용 프레임 부의 우측 하단부 및 식생 포트부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식생용 케이스와 체결용 프레임부와 식생 포트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4a에서의 식생 포트부 및 그 관련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벽면에 체결된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5a에서의 식생 포트부 및 그 관련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축소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의 체결용 프레임부의 좌측 상단부의 구성 및 이에 체결된 식생 포트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의 체결용 프레임부의 우측 하단부 및 식생 포트부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식생용 케이스와 체결용 프레임부와 식생 포트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8a에서의 식생 포트부 및 그 관련 구조의 구성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벽면에 체결된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9a에서의 식생 포트부 및 그 관련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11은 다른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10 : 보수(保水)용 매트(mat), 10-1 : 보수용 매트의 정면부, 10a : 보수용 매트의 상단부, 10b : 보수용 매트의 하단부,
15 :물(水)공급용 공간부, 15b : 물(水)공급용 공간부의 밑바닥부,
15c : 공간부, 16 : 수로(水路)용 공간부,
20 : 식생(植生)용 케이스(case), 20-1 : 케이스 벽, 20-1a : 케이스 벽의 앞쪽부, 20-2 : 체결지지 부재, 20-5 : 급수(給水)용 관통구멍, 20-6 : 배수(排水)용 관통구멍, 20-7 : 체결지지 부재, 20-8 : 끼움 설치지지 부재, 20-9 : 끼움 공간부, 20a : 식생용 케이스의 상단부, 20b : 식생용 케이스의 하단부,
20c : 식생용 케이스의 내부, 20-5e : 급수용 관통구멍의 입구(入口) 부재, 20-6e : 배수용 관통구멍의 출구(出口) 부재,
30 : 식생(植生) 포트(pot)부, 31 : 식재(植栽) 포트(pot), 31c : 식재 포트의 안쪽 공간부, 32 : 포트(pot) 지지부, 32b : 체결지지 부재, 32h : 체결용 관통구멍, 32u : 끼움체결용 홈, 32-9 : 토양 유실(流失)방지 부재, 32-9a : 토양 유실방지 부재의 상면부, 32-9b : 토양 유실방지 부재의 하면부,
50 : 체결용 프레임(frame)부, 50-2 : 체결편, 50-5 : 급수(給水) 부재, 50-6 : 배수(排水) 부재, 50-7 : 지지 부재, 50-8 : 테두리 지지 부재,
50-9 : 끼움체결용 홈, 50a : 체결용 프레임부의 상단부, 50b : 체결용 프레임부의 하단부, 50-5a : 급수(給水)출구(出口) 부재, 50-5e : 체결편, 50-5h : 급수용 관통구멍, 50-6b : 배수(排水)출구(出口) 부재, 50-6e : 체결편, 50-6h : 배수용 관통구멍,
51 : 포트(pot) 설치용 공간부, 51t : 체결용 걸림 돌기, 51v : 끼움체결용 부재,
f : 부직포, s : 토양

Claims (2)

  1. 벽면(壁面)의 녹화(綠化)가 가능하도록, 보수(保水)용 매트(mat)(10)와, 상기 보수용 매트(10)를 내부(20c)에 설치한 식생(植生)용 케이스(case)(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에 있어서,
    토양(s)이 안쪽 공간부(31c)에 담기는 식재(植栽) 포트(pot)(31)가 구비
    되며, 이 식재 포트(31)는 상방(上方)으로 개방되고 아울러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재(植栽) 포트(31)를 지지하는 포트(pot) 지지부(32)가, 상기 식재 포트(31)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포트 지지부(32)에는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지지 부재(32b)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에는 체결용 프레임(frame)부(50)의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끼워져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용 관통구멍(32h)과, 체결용 프레임부(50)의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된 끼움체결용 홈(32u)이 구비되어,
    상기 식재 포트(31)와 상기 포트 지지부(32)로 이루어진 식생(植生) 포트(pot)부(30)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고;
    상기 식생 포트부(30) 복수(複數) 개의 각각이 이에 상응하여 끼워져 설치되도록 된 포트(pot) 설치용 공간부(51)가 복수(複數) 개 구비된 체결용 프레임
    (frame)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에는, 상기 식생 포트부(30)가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의 주위(周圍)에 상기 포트 지지부(32)의 상기 끼움체결용 홈(32u)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포트 지지부(32)의 상기 체결용 관통구멍(32h)에 끼워져 걸림으로 체결되는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에서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의 주위(周圍)로서 상기 끼움체결용 부재(51v)의 주위(周圍)에는, 지지 부재(50-7)가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에 상응하여 닿는 부분을 눌러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를 지지하며 아울러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7)가 끼움체결용 홈(50-9)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시(締結時)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테두리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서로 체결시(締結時)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2)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2)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테두리부에는, 테두리 지지 부재(50-8)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끼움 공간부(20-9)에 끼워져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그 설치(設置)가 지지되며, 아울러 끼움체결용 홈(50-9)에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체결지지 부재(20-7)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단부(50a)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단부(20a)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에 그 입구(入口)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 가능한 급수(給水) 부재(50-5)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 부재
    (50-5)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기 입구 부재(20-5e)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5e)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하단부(50b)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하단부(20b)의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6)에 그 출구(出口)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어 설치 가능한 배수(排水) 부재(50-6)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부재
    (50-6)에는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기 출구 부재(20-6e)에 걸림으로 체결되도록 된 체결편(50-6e)이 형성되고;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는 그 정면부(10-1)가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의 상기 지지 부재(50-7)에 상응하는 부분이 닿아 상기 지지 부재(50-7)에 의하여눌려 지지되며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내부(20c)에 채워져 설치되며,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기 정면부(10-1)에는, 상기 식생 포트부
    (30)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기는 토양(s)에 상응하여 이어져 토양(s)를 담을 수 있도록 된 공간부로서,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에 담긴 토양(s)과 공간부(15c)에 담긴 토양(s)에 물(水)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水)공급용 공간부(15)가 복수(複數) 개 구비되며,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 복수(複數) 개의 각각의 그 상방(上方)과 그 하방(下方) 각각에는 수로(水路)용 공간부(16)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上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16)와 이에 연결된 상기 물(水) 공급용 공간부(15)와 이에 상기 하방(下方)에 연결된 수로용 공간부(16)에는
    물(水)이 흡수되어 이동이 가능한 부직포(不織布)(f)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식생 포트부(30)의 각각이,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트 설치용 공간부(51)에 끼워져 상기 체결용 관통구멍(32h)에 체결용 걸림 돌기(51t)가 체결되고 상기 끼움체결용 홈(32u)에 끼움체결용 부재(51v)가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내부(20c)에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가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에 체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는 토양(s)이 담기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케이스 벽(20-1)의 앞쪽부(20-1a)에는, 상기 체결용 프레임부(50)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지지 부재(20-7)와 상기 끼움 설치지지 부재(20-8)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끼움 공간부(20-9)가 형성되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상단부(20a)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상단부(10a)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이 구비되고, 상기 식생용 케이스(20)의 하단부(20b)
    는 상기 보수(保水)용 매트(10)의 하단부(10b)의 수로(水路)용 공간부(16)에 면(面)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6)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20-5)의 상기 입구(入口) 부재(20-5e)는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체결편(50-5e)이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排水) 용 관통구멍(20-6)의 상기 출구(出口) 부재(20-6e)는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체결편(50-6e)이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상기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은, 상방(上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排水出口) 부재(50-6b)가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排水) 부재(50-6)의 배수출구(出口) 부재(50-6b)는, 하방(下方)에서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구비된 상기
    급수(給水) 부재(50-5)의 급수(給水)용 관통구멍(50-5h)에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생 포트부(30)의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에는, 상기 식재 포트(31)의 안쪽 공간부(31c)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에 이어져
    담긴 토양(s)의 유실(流失)이 방지되도록, 하면부(32-9b)가 상기 물(水)공급용 공간부(15)의 밑바닥부(15b)에 닿으며 상면부(32-9a)가 물(水)공급용 공간부
    (15)에 담긴 토양(s)을 떠받치는 형상으로 된 토양 유실(流失)방지 부재(32-9)가, 상기 체결지지 부재(32b)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KR1020070106918A 2007-10-23 2007-10-23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KR10090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18A KR100908994B1 (ko) 2007-10-23 2007-10-23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18A KR100908994B1 (ko) 2007-10-23 2007-10-23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87A true KR20090041287A (ko) 2009-04-28
KR100908994B1 KR100908994B1 (ko) 2009-07-22

Family

ID=4076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18A KR100908994B1 (ko) 2007-10-23 2007-10-23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99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43B1 (ko) * 2010-12-16 2012-01-17 배문옥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WO2012081945A2 (ko) * 2010-12-16 2012-06-21 Bae Moon Ok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CN103548603A (zh) * 2013-10-31 2014-02-05 武汉绿色飞扬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壁挂式长效植物种植模块
KR101408451B1 (ko) * 2012-09-25 2014-06-17 벽화수주식회사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
KR101414933B1 (ko) *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WO2018155870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아시아코르크 탄화코르크를 이용한 벽면녹화구조
AU2015296234B2 (en) * 2014-07-30 2018-12-20 Indoor Farms Of America, Llc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enclosure with support structure
KR102077247B1 (ko) * 2019-04-09 2020-04-07 김제현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103575B1 (ko) *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102537574B1 (ko) * 2022-11-21 2023-06-01 박대득 직수 급수방식의 실내 벽면 녹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37B1 (ko) * 2011-12-28 2014-01-23 경기도 수직면 녹화용 식생 패널
KR101488358B1 (ko) * 2012-02-20 2015-01-30 주식회사 한설그린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KR101485181B1 (ko) * 2013-04-29 2015-01-23 (주)대한콜크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70Y1 (ko) 2002-08-06 2002-11-23 학교법인 한마학원 토목공사용 옹벽 녹화 식생 패널
KR200335230Y1 (ko) 2003-08-28 2003-12-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43B1 (ko) * 2010-12-16 2012-01-17 배문옥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WO2012081945A2 (ko) * 2010-12-16 2012-06-21 Bae Moon Ok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WO2012081945A3 (ko) * 2010-12-16 2012-10-04 Bae Moon Ok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1414933B1 (ko) *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KR101408451B1 (ko) * 2012-09-25 2014-06-17 벽화수주식회사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
CN103548603A (zh) * 2013-10-31 2014-02-05 武汉绿色飞扬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壁挂式长效植物种植模块
AU2015296234B2 (en) * 2014-07-30 2018-12-20 Indoor Farms Of America, Llc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enclosure with support structure
WO2018155870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아시아코르크 탄화코르크를 이용한 벽면녹화구조
KR102077247B1 (ko) * 2019-04-09 2020-04-07 김제현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103575B1 (ko) *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102537574B1 (ko) * 2022-11-21 2023-06-01 박대득 직수 급수방식의 실내 벽면 녹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994B1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994B1 (ko)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KR100750905B1 (ko)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CA2568493A1 (en) Planting device and planting structure for plants
US8893431B2 (en) Farm in a box
JP2010259395A (ja) 植物栽培用容器および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488358B1 (ko)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JP2006129846A (ja)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WO2007069395A1 (ja) 植栽基盤の固定構造
KR101838545B1 (ko) 코이어식생포트용 저면관수장치
KR102556884B1 (ko) 벽체녹화용 버티컬 화분조립체
KR20110124092A (ko) 다벽면 및 베란다 녹화 시스템
CN103931440B (zh)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JP2007195481A (ja) 植生緑化装置及び植生緑化システム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KR101196121B1 (ko) 식생 상자 조립체
KR20100008902U (ko) 개량화분
JP4604148B2 (ja) 壁面緑化設備の灌水装置
JP2000201536A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KR101127187B1 (ko) 이끼 식재판
JP6006182B2 (ja) 栽培槽の給水装置
JP5231134B2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壁面緑化構造
KR20110109006A (ko) 벽면조경장치
JPH11318243A (ja) 潅水用植栽マット
JP2010045976A5 (ko)
JP2005229882A (ja) コケ植生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