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749A - Dental expansion device - Google Patents
Dental expans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0749A KR20090040749A KR1020070106241A KR20070106241A KR20090040749A KR 20090040749 A KR20090040749 A KR 20090040749A KR 1020070106241 A KR1020070106241 A KR 1020070106241A KR 20070106241 A KR20070106241 A KR 20070106241A KR 20090040749 A KR20090040749 A KR 200900407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incision
- chisel
- expansion device
- hand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가 빠진 상하악골(maxillary and mandibular bone)에 치아의 대체용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dental implant) 시술용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시 결손된 치아부위의 악골을 노출시키기 위해 구개측이나 설측의 절개된 부위를 시술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벌릴 수 있게 하여 치료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치과용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ation device for implantation (dental implant) to be placed as a substitute for teeth i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one missing teeth, and more particularly, to expose the jawbone of the missing tooth during implanta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ning of the incision site of the palatal or lingual in order to easily open the patient alone relates to a dental expansion devic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reatment.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란 인체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이를 대체하는 인공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기능을 갖는다.Generally, dental implant refers to an artificial structure that replaces when a tooth of a human body is lost, and is an alloy of titanium or the like which does not reject the human body so that it can replace the root (root) of the lost tooth. The artificial tooth root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where the tooth is drained and adhered, and then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restor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tooth.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을 살펴보면 크게 임플란트 식립을 위하여 연조직의 절개 및 박리 수술과 골삭제 수술과, 임플란트 식립 수술과, 상부보철물 완성으로 대별되며, 연조직의 절개 및 박리 수술은 일반 치주 수술의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 다. 여기서 골삭제 수술은 크게 피질골을 삭제하고 망상골을 삭제하는 과정인데 기본 원리는 식립할 주위의 골을 다듬고 식립부위를 표시한 뒤 피질골에 구멍을 작게 내고 차례로 넓혀 식립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까진 확대를 한 다음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다. The procedure of this implant is largely divided into incision and detachment of the soft tissue, bone removal surgery, implant placement, and the completion of the upper prosthesis for implant placement. not. Here, bone removal surgery is a process of largely removing cortical bone and reticular bone. The basic principle is to trim the bone around the implant and mark the implantation area, and then make a hole in the cortical bone and widen it in order to make it almost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implant. Or enlarge it to a slightly smaller size and then place the implant.
한편,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의 절개 및 박리는 향후 치료 예후 및 심미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의 하나로서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mplant procedure, the incision and detachment of the soft tissue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process having a great effect on the future treatment prognosis and aesthetics and briefly look at it as follows.
먼저, 절개를 살펴보면 거의 대부분이 치조정에 가해지며 부착치은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개측이나 설측으로 치우치기도 하나 하악에서는 설측에 있는 신경, 혈관이 굵은 것들이 지나가기 때문에 절개가 너무 설측으로 가지는 않도록 한다. 또한 절개가 너무 협측으로 치우쳐 부착 치은이 없는 점막 치은 경계부(mucogingival junction)를 지나면 여기에는 역시 혈관들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술후에 동통과 부종이 심하게 되며 부종이 심하면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봉합 부위가 튿어지게 된다. 또한, 시야 확보와 모자라는 연조직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절개가 실시되며, 이들 절개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치조정 절개(crestal incision), 설측 절개(lingualiy placed or palatally placed incision), 협측 절개( bucally placed incision), 열구 절개(sulcular incision), 수직 절개(vertical incision), 원거리 절개(remote incision), 이완 절개(releasing incision) 등이 있다.First, when looking at the incision, almost all of the adjustment is applied to the gingival or lingual in order to secure the attachment gingiva, but in the lower jaw, the nerves and blood vessels in the lingual go through so that the incision does not go too lingually. Also, if the incision is too narrow and passes through the mucogingival junction without attached gingiva, there is also a large distribution of blood vessels, so postoperative pain and swelling are severe. do. In addition, a variety of incisions are performed to secure visibility and lack of soft tissues. Representatives of the incisions include a crystal incision, a lingualiy placed or palatally placed incision, and a bucally placed. incisions, sulcular incisions, vertical incisions, remote incisions, and relaxation incisions.
한편, 박리는 골막 기자(페리오스티얼 엘리베이터,periosteal elevator)를 사용하여 섬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골막에는 골생성에 관여하는 세포들이 있기 때문에 깨끗한 연조직의 박리는 연조직뿐 아니라 골의 치유 및 재생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공과 이신경등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확인해가며 박리하며 연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깨끗이 박리하여야 한다.Peeling, on the other hand, must be done delicately using a periosteal press (periosteal elevator). Because the periosteum contains the cells involved in bone formation, clean soft tissue exfoliation affects not only soft tissue but also bone healing and regeneration. Major anatomical structures, such as the cavities and the nerves, are checked and removed, and the soft tissues must be peeled off cleanly.
박리 결과 형성된 피판(flap)은 태깅 슈쳐(tagging suture)에 의해 시술중의 손상을 방지하고, 견인(retraction)에 필요한 수고를 덜 수 있다. 설측 피판은 반대쪽 구치부에, 협측 피판은 협측 점막에 봉합하여 준다. 구개부 피판은 봉합을 한 후에 지혈감자(mosquito)로 실을 잡고 늘어뜨림으로써 태깅 슈쳐를 대신 할 수 있다.The flaps formed as a result of peeling can prevent damage during the procedure by tagging sutures and can save the effort required for retraction. The lingual flap is sutured to the opposite molar and the buccal flap is sutured to the buccal mucosa. The palatal flap can replace the tagging shooter by suspending and hanging the thread with mosquito after suture.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에서 연조직의 절개 및 박리시 매스로 연조직을 절개하고 이 절개된 부위를 벌려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길이재의 직선형 기구로서 그 끝단부가 굽힘되어 절개된 피부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치즐 형태의 절개부 확개기구를 이용함에 따라 그로 인한 시술성 불량과 절개부위의 심각한 2차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the incision and detachment of the soft tissue should be made by cutting the soft tissue with a mass and opening the incision. For this purpose, it is a straight instrument of a length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 a result of using a chisel-type incision expansion device,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a poor surgical and serious secondary damage of the incision site.
즉, 종래에는 시술자가 한손으로 절개부 확개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환자 잇몸의 절개된 부위의 한쪽을 건 상태에서 잡아당겨 절개된 부위를 확개시키게 되는데, 이때 시술자가 다른 한손으로 확개된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여러 시술을 실시해야 하므로 동작의 부자연스러움으로 인한 시술의 어려움이 클 뿐만 아니 라 자칫 확개된 피부를 지나치게 큰 힘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절개 피부 주위가 찢어지는 등 2차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ior art, the operator pulls one side of the incision site of the patient's gums while holding the incision extension device with one hand, thereby expanding the incision site. Since many procedures need to be carried out for the treatmen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procedure due to the unnaturalness of the movement, and the problem of causing secondary damage such as tearing around the incision skin by pulling the enlarged skin with excessive force. It is.
한편, 보조 시술자를 두고 절개부를 확개시키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역시 여러 명의 시술자가 협소한 시술 공간에 위치하여야 되므로 시술의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시술자의 의도대로 절개부위를 원활하게 확개 상태로 유지시키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확개된 피부에 2차 상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method to expand the incision with the assistant operator, but this also requires a large number of operators to be located in a narrow treatment space, the inconvenience of the procedure is not only large, but also to smoothly open the incision state as the operator intended The problem of not retaining as well as causing secondary injury to the enlarged skin remains.
또한, 절개면을 기준으로 한쪽 피부만을 잡아당겨 확개시키므로 원활한 확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으로 잇몸을 절개해야하는 폐단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잇몸의 회복기간이 길어지거나 봉합 수술을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only one skin is pulled and expanded on the basis of the incision surface, there is a need to cut the gum more than necessary to secure a smooth expansion space,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lengthening the recovery period of the gum and suture surgery.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자 혼자서도 절개 부위를 용이하게 확개시켜 안정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확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expansion device to enable a stable procedure by easily expanding the incision site even by the operator alon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는, 힌지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일측에는 한쌍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쌍의 다리가 구비되어 회동 동작에 의해 다리를 오므리거나 펼치는 치과용 확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각 끝단부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연조직의 절개부에 진입하는 치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handles are formed on one side and a pair of legs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retracted by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dental expansion device that extends or spreads, the le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isel piece that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each end to enter the incision of the soft tissu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한쌍의 치즐편은, 상호 대향하는 일측면을 매끈한 표면의 평탄면을 형성하고, 연조직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타측면 및 저면은 홈과 돌부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평탄면에 비해 거친 표면을 갖는 마찰측면 및 마찰저면을 형성한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chisel pieces form a flat surface having a smooth surface on one side facing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and the bottom surface inserted into the incision site of the soft tissue and contacting the skin have grooves and protrusions. It arrange | positions regularly and forms the friction side surface and friction bottom which have a rough surface compared with the said flat surf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한쌍의 손잡이는 상호 끝단부에서 인접될 수 있게 완만한 곡률을 갖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handles have a gentle curvature so that they can be adjacent to each other e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한쌍의 다리는 각각 힌지를 중심으로 완만한 곡률로 연장되는 수평 곡률부와, 상기 각각의 수평 곡률부에서 수직하게 굽힘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각각의 수직 연장부에서 굽힘되어 수평 연장되는 것으로 상호 각 끝단부에서 수직하게 굽힘된 치즐편이 연결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legs are each a horizontal curvature extending with a gentle curvature around the hinge, a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vertically bent at each of the horizontal curvature,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is bent at the vertical extension to extend horizontally and comprises a horizontal extension connected to the chisel piece vertically bent at each en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하여 연조직의 절개시 절개된 부위를 안정적으로 확개시킬 수 있어 시술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시술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Dental expa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expand the incision site of the incision of the soft tissue for the implant procedure can not only secure the ease of the procedure, but also significantly shorten the procedure time through this To provide.
또한, 절개면을 기준으로 절개 피부를 양쪽으로 벌리는 형태이므로 종전에 비해 절개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환자의 잇몸 출혈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incision surface is opened to both sides based on the incision surface can minimize the incision site than befor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to minimize the bleeding and damage of the patient's gu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의 치즐편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chisel piece of the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확장장치(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힌지(5)로 결합되는 한쌍의 길이재의 프레임(미부호)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5)를 중심으로 시술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2,3)와, 이 손잡이(2,3)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2,3)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연동하여 벌어지거나 또는 오므려지는 다리(6.7)로 구분되며, 상기 다리(6.7)의 끝단에는 선택적으로 연조직의 절개된 부위를 확개시키는 치즐편(10)이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dental expans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ame (unsigned) of a pair of length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the
상기 손잡이(2,3)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안정된 그립감을 위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다수의 돌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러한 손잡이(2,3)는 안정된 그립감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면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일예로 손가락을 걸 수 있는 손가락 삽입링을 형성한 형태 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탄성재를 커버로 구비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리(6.7)는 상기 힌지(5)를 중심으로 손잡이(2,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손잡이(2,3)에 가해지는 시술자의 조작력에 연동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근접되는 방향으로 모아지게 된다.The leg 6.7 is a componen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2,3) around the hinge (5),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or's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handle (2,3) It is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or approaching.
이러한 다리(6.7)는 환자의 구강내에 위치되므로 시술자가 환자의 구강내 공간 즉, 원활한 시술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된 것을 제안한다.Since the leg 6.7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t is suggested that the operator is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s to secure the intraoral space of the patient, that is, the smooth procedure spac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리(6.7)는 각각 상기 힌지(5)를 중심으로 완만한 곡률로 연장되는 수평 곡률부(6a,7a)와, 상기 수평 곡률부(6a,7a)에서 수직하게 굽힘연장되는 수직 연장부(6b,7b) 그리고 상기 수직 연장부(6b,7b)에서 굽힘되어 수평 연장되는 것으로 끝단부에 치즐편(10)이 구비되는 수평 연장부(6c,7c)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egs 6.7 are horizontally curved
즉, 상기 수평 곡률부(6a,7a)는 상기 힌지(5)를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6b,7b)는 상기 수평 곡률부(6a,7a)의 끝단에서 수직하는 하방향으로 굽힘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연장부(6c,7c)는 상기 수직 연장부(6b,7b)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굽힘되어 상기 손잡이(2,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끝단부에서 접촉될 수 있게 직각으로 완만하게 굽힘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치즐편(10)이 수직하게 구비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리(6.7)는 상기 치즐편(10)까지 전체적으로 다단 굽힘되는 형상이면서 중앙부분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려졌을 때 환자의 구강내 즉, 원활한 시술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The leg 6.7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that is bent in multiple stages to the
상기 치즐편(10)은 상기 다리(6.7)의 끝단부에 각각 수직하게 구비되어 연조직의 절개부에 진입하여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확개를 실시하는 요소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 제공된다.The
이러한 치즐편(10)은 상기 다리(6.7)와 별개로 가공되어 상기 다리(6.7)의 끝단에 용접 또는 나사부재로 결합 구성되거나 또는 다리(6.7)와 일체로 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한편, 상기 한쌍의 치즐편(10)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즉, 접촉하는 일측면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평탄면(10a)을 형성하고, 연조직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타측면은 홈과 돌부를 규칙적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다수의 홈과 돌부를 형성하여 된 거친 표면을 갖는 마찰측면(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치즐편(10)의 저면 역시 상기 마찰측면(10b)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홈과 돌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홈과 돌부를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거친 표면을 갖도록 한 마찰저면(10c)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chisel pieces (10) forms a flat surface (10a) in which the surfaces of the one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smoothly, and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site of the soft tissue to contact the skin The
여기서, 상기 치즐편(10)의 마찰측면(10b)과 마찰저면(10c)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한 이유는 절개부위에 삽입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하여 안정된 절개부의 확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surface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치즐편(10)의 외측면과 저면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치즐편(10)의 외면과 저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마찰재를 부착하여 구성하여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의 사용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use of the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is as follows.
먼저, 시술자가 손잡이(2,3)를 잡은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내로 확장장치(1)의 다리(6.7)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다리(6.7)는 상호 오므려진 상태이며, 그 끝단부에 마련된 한쌍의 치즐편(10)은 연조직의 절개부 상에 위치되게 한다.First, the operator places the leg 6.7 of the dilator 1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while holding the
이어서, 상기 절개부에 한쌍의 치즐편(10)을 진입한 뒤 손잡이(2,3)에 조작 력을 가하여 상기 다리(6.7)가 벌어지도록 하면, 상기 다리(6.7)의 끝단부에 구비된 한쌍의 치즐편(10)이 절개부를 확개시키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pair of
따라서, 절개부가 확개된 상태이므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시술이 가능하며, 상기 다리(6.7)와 치즐편(10)은 전체적으로 다단 굽힘 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시술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incision is expanded, the procedure for implant placement is possible, and the leg 6.7 and the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ntal expa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의 치즐편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hisel piece of the den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확장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dental expa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확장장치 2,3 : 손잡이1:
5 : 힌지 6,7 : 다리5: hinge 6,7: leg
6a,7a : 수평 곡률부 6b,7b : 수직 연장부6a, 7a:
6c,7c : 수평 연장부 10 : 치즐편6c, 7c: horizontal extension part 10: chisel piece
10a : 평탄면 10b : 마찰측면10a:
10c : 마찰저면10c: Friction bottom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6241A KR100935254B1 (en) | 2007-10-22 | 2007-10-22 | Dental Expans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6241A KR100935254B1 (en) | 2007-10-22 | 2007-10-22 | Dental Expans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0749A true KR20090040749A (en) | 2009-04-27 |
KR100935254B1 KR100935254B1 (en) | 2010-01-06 |
Family
ID=4076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6241A KR100935254B1 (en) | 2007-10-22 | 2007-10-22 | Dental Expans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525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4876B1 (en) * | 2011-09-27 | 2013-03-18 | 이순호 | Gingiva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
CN103006336A (en) * | 2013-01-08 | 2013-04-03 | 温州医学院附属口腔医院 | High-frequency low-amplitude vibration tooth-extracting instrument |
KR102252139B1 (en) * | 2019-12-12 | 2021-05-13 | 김태경 | Abutment take-off unit fastened to the fixture of the implant |
CN113397751A (en) * | 2020-03-16 | 2021-09-17 | 北京大学口腔医学院 | Gum opening device for planting oper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5234B1 (en) | 2022-07-26 | 2024-10-11 | 최정우 | Device for perforation position guide for implant |
KR102604307B1 (en) | 2022-11-08 | 2023-11-17 | 이은승 | Dental coil spring exten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10161B1 (en) * | 1999-11-22 | 2001-04-03 | Joseph William Montgomery | Breakdown dental forceps |
KR100402046B1 (en) * | 2000-10-12 | 2003-10-17 | 학교법인연세대학교 | Alveole bone widening device |
KR200230488Y1 (en) * | 2001-02-06 | 2001-07-03 | 권성오 | chisel for operating implant |
US20050080422A1 (en) * | 2003-10-14 | 2005-04-14 | Centerpulse Spine-Tech, Inc. | Instruments for use with implants, and methods |
-
2007
- 2007-10-22 KR KR1020070106241A patent/KR10093525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4876B1 (en) * | 2011-09-27 | 2013-03-18 | 이순호 | Gingiva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
CN103006336A (en) * | 2013-01-08 | 2013-04-03 | 温州医学院附属口腔医院 | High-frequency low-amplitude vibration tooth-extracting instrument |
KR102252139B1 (en) * | 2019-12-12 | 2021-05-13 | 김태경 | Abutment take-off unit fastened to the fixture of the implant |
CN113397751A (en) * | 2020-03-16 | 2021-09-17 | 北京大学口腔医学院 | Gum opening device for planting oper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5254B1 (en)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88665B2 (en) |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 |
İşeri et al. | Rapid canine retract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with dento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 |
JP3751562B2 (en) | Rapid orthodontic orthodontic method by cortical osteotomy and its orthodontic appliance | |
US5885290A (en) | Intra-oral bone distraction device | |
US7588579B2 (en) |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upper jaw | |
KR100935254B1 (en) | Dental Expansion Device | |
JP2009502441A (en) | Periodontal surgery methods and instruments | |
US20120077140A1 (en) | Periosteal mesher | |
KR20130011347A (en) | Retractor for implant operation | |
KR101094139B1 (en) |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 |
CN201350135Y (en) | Mandibular gingival flap strutting and holding clamp | |
US20040197726A1 (en) |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 |
Heller et al. | Soft tissue management techniques for implant dentistry: A clinical guide | |
KR20090084876A (en) | Tissue retractor | |
US6155831A (en) | Non-surgically retrievable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 |
Borgner et al. | Computerized tomography scan interpretation of a bone expansion technique | |
KR20100119593A (en) | Thickness of measuring apparatus of alveolar bone | |
RU2818728C1 (en) | Method for subantral augmentation using a cheek fat body according to tolmachev | |
TW201100063A (en) | Sinus correction | |
RU2803983C1 (en) | Method of removing oroanthral fastening with the help of fat body of the cheek by the tunnel method | |
Legendre | Rodent and lagomorph tooth extractions | |
JP4112846B2 (en) | Alveolar bone extender | |
US20040185421A1 (en) | Method of using a tissue contourer | |
Virang et al. | Canines on a Fast Track: Canine Distalization by Dento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 |
JP3766156B2 (en) | Dental flap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