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660A -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660A
KR20090040660A KR1020070106124A KR20070106124A KR20090040660A KR 20090040660 A KR20090040660 A KR 20090040660A KR 1020070106124 A KR1020070106124 A KR 1020070106124A KR 20070106124 A KR20070106124 A KR 20070106124A KR 20090040660 A KR20090040660 A KR 2009004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sinus
probe means
unit
electrod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숙규
Original Assignee
박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숙규 filed Critical 박숙규
Priority to KR102007010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0660A/ko
Publication of KR2009004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8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의 선단에는 통전소재로 구성되는 절점부(31)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절연소재로 구성되는 절연부(33)가 구비되며 일면에 길이표시부(39)가 구비되는 탐침수단(30)과, 상기 탐침수단(30)에 연결되는 제1전극부(41)와 인체의 입술에 연결되는 제2전극부(43)로 구성되는 전극부(40)와, 상기 전극부(40)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40)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의 저항값을 판단하여 표시하는 콘트롤러유닛(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악동 골두께 측정방법은 상기 탐침수단(30)을 상악동 치조골에 삽입하면서 상기 콘트롤러유닛(50)에 의해 상기 전극부(40) 사이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순간까지 삽입된 탐침수단(30)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악동 치조골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탐침수단에 의해 상악동 치조골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임플란트, 상악동 치조골, 탐침수단, 콘트롤러유닛

Description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Device for Measuring Thickness of Maxillary Sinus Bon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전류를 흘려보내 상악동의 골두께을 측정하는 상악동 골폭 측정장치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치아를 대체하는 대체보형물을 삽입하는 기술 중에서 임플란트에 관한 기술은 근래에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임플란트란 본래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하고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구성된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기술이다.
도 1에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상악동(A)이 도시되어 있다. 상악동(A)은 어 금니 상부의 치조골로서 인체 두개골에 형성된 중공부(G)와 맞닿아 있다.
상기 상악동(A)은 상기 중공부(G)와 맞닿아 있으므로 치조골의 두께(h)가 얇고 밀도가 낮다.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치조골의 두께(h)가 얇고 밀도가 낮으면 임플란트의 지지부가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치조골이 깨지게 되므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두께(h)가 얇고 밀도가 낮은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하여 상악동막 거상술이 대두되었다. 상악동막 거상술이란 중공부(G)와 맞닿아 있는 상악동(A) 내의 상악동막(10)과 치조골 사이에 페이스트(13)를 삽입하여 임플란트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상악동막 거상술은 상악동(A)의 치조골에 천공을 하고 지지대를 삽입한 후 지지대로 상악동막(10)을 들어올려서 페이스트(13)를 상악동막(10)과 치조골 사이에 주입하여 시술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페이스트(13)가 도포된 지점에 이르도록 임플란트의 지지부(15)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페이스트(13)는 경화성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임플란트의 지지부(15)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악동막 거상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치조골의 두께(h)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치조골의 두께(h)를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적으로 엑스레이(X-ray)에 의존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나 엑스레이에 의한 측정법은 각도에 따른 오류나 관골궁(zygomatic arch)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겹침 현상에 의해 측정이 정확하지 못한 문제점 이 있다. 치조골의 두께(h)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드릴에 의해 상악동막(10)이 파손되거나 임플란트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동 치조골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는 상악동 치조골에 삽입되어 삽입길이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선단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되는 탐침수단; 상기 탐침수단과 인체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전극부;및 상기 전극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 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트롤러유닛은 상기 전극부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가 통전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탐침수단은 통전소재로 구성되는 절점부; 절연소재로 구성되는 절연부;및 상기 탐침수단의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탐침수단은 상기 탐침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및 상기 탐침수단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극부는 상기 탐침수단에 연결되는 제1전극부;및 인체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트롤러유닛은 상기 전극부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대상체의 저항값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탐침수단은 텅스텐 또는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악동 골두께 측정방법은 상악동 치조골에 삽입되는 탐침수단, 상기 탐침수단 및 인체 일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악동 치조골에 상기 탐침수단을 삽입하면서 상기 탐침수단과 인체 일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부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상기 콘트롤러 유닛으로 판단하여 전기가 통하지 않을 때까지 삽입된 탐침수단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상악동 치조골의 골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트롤러 유닛은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의 저항값에 의해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에 의하면, 탐침수단에 의해 상악동 치조골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인체 두부의 상악동의 치조골(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악동막(sinus membrane)(23)에 접하는 탐침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탐침수단(30)은 핀(pin)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부식이나 녹을 방지하기 위해 티타늄 또는 스테인레스(SUS)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탐침수단(30)은 임플란트 시술 전에 상악동의 치조골(20)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시술되는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탐침수단(30)의 선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점부(31)가 구비된다. 상기 탐침수단(30)의 선단에 위치하는 절점부(31)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상악동막(23)을 천공할 수 있다.
상기 절점부(31)는 통전(通電)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절점부(31)에 가해지는 전류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러유닛(50)이 상악동 치조골(20)의 골두께(h)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절점부(31)의 하측에는 절연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부(33)는 상기 탐침수단(30)의 중단부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부(33)는 전기를 통하지 않는 절연재료를 도포하거나 씌워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탐침수단(30)의 중단에는 지지부(3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5)의 중심은 천공되어 상기 탐침수단(30)이 상기 지지부(35)의 중심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한다. 상기 탐침수단(30)을 상기 상악동 치조골(20)에 삽입할 때,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탐침수단(30)의 일단을 지지하여 상기 탐침수단(30)이 직립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탐침수단(30)의 후단에는 손잡이부(37)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37)를 잡아서 상기 탐침수단(30)을 상악동 치조골(2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탐침수단(30)의 절연부(33)에는 길이표시부(39)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표시부(39)는 상기 탐침수단(30)이 삽입되는 길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길이표시부(39)는 mm단위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치조골(20)을 관통하는 절점부(31) 및 지지부(35)의 길이를 고려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절점부(31)는 상기 상악동막(23)을 관통하므로 상기 치조골(20)의 길이에서는 제외되어야 하며, 상기 지지부(35)의 두께만큼 상기 길이표시부(39)가 보이지 않으므로 그 두께를 보상하여 길이표시부(39)가 표시되어야 한다.
상기 탐침수단(30)에서 상기 지지부(35)와 손잡이부(37) 사이에는 전극부(40)가 연결된다. 상기 전극부(40)는 상기 탐침수단(30)과 연결되는 제1전극부(41)와 인체의 일부인 입술과 연결되는 제2전극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전극부(41)는 집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탐침수단(30)과 연결되므로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러유닛(5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인체를 통해 흐른다. 그리 고 제2전극부(43)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입술에 고정되므로 역시 상기 콘트롤러유닛(5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인체를 통해 흐른다.
상기 전극부(40)는 전선(45)에 의해 콘트롤러 유닛(50)과 연결된다. 상기 콘트롤러 유닛(50)은 상기 전극부(40)에 전류를 공급하고 인체를 통과한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전극부(40) 사이에 연결된 인체의 저항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인체는 전해질로 구성된 일종의 도체와 같으므로 상기 제1전극부(41)를 상기 치조골(20)에 접하게 하고 상기 제2전극부(43)를 입술에 접하게 하여 전류를 흘려주면 인체를 통해 흐른다. 상기 콘트롤러 유닛(50)은 인체를 통과한 전류값 또는 저항값을 측정한다.
상기 콘트롤러 유닛(50)은 입력부(51)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51)는 측정장치의 ON/OFF 및 상기 전극부(40)에 가해질 전류값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력부(51)에 구비된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측정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 유닛(50)은 제어부(53)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전극부(40)에 전류를 가해 인체를 통과하는 전류값 또는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3)는 산출된 저항을 표시부(55)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55)는 상기 제어부(53)에 의해 산출된 인체 저항을 표시하여 측정하는 사람이 상기 탐침수단(30)의 삽입길이를 측정하여 상악동 치조골(2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러 유닛(50)은 전원공급부(57)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57)는 상기 콘트롤러 유닛(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AC 200 [V]를 DC 5 [V]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임플란트가 시술될 상악동의 치조골(20) 부분을 드릴로 천공한다. 상기 치조골(20)을 천공하는 드릴의 직경은 임플란트의 기초부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나 탐침수단(30)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상악동 치조골(20)에 관통공이 형성되면, 상기 관통공에 탐침수단(30)의 일부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탐침수단(30)에는 제1전극부(41)가 연결되고 인체의 입술에는 제2전극부(43)가 연결된다.
상기 탐침수단(30)이 관통된 치조골(20) 내로 인입되면, 콘트롤러유닛(50)이 소정의 전류를 흘려보낸다. 인체에 흘려보내는 전류의 양이 인체에 위험하거나 불쾌하지 않도록 콘트롤러유닛(50)은 적정량의 전류를 흘려보낸다.
상기 콘트롤러유닛(50)에 의해 인체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탐침수단(30)의 절점부(31)는 통전소재로 구성되고 인체도 일종의 전해질이므로 전류가 흘러서 다시 콘트롤러유닛(50)으로 인입된다. 상기 콘트롤러유닛(50)의 제어부(53)는 인체를 통과한 전류값이나 저항값을 산출한다.
상기 콘트롤러유닛(50)의 제어부(53)에 의해 산출된 저항값은 표시부(55)에 실시간으로 나타난다.
상기 탐침수단(30)을 계속하여 치조골(20)의 관통공에 삽입하면, 상기 탐침수단(30)의 절점부(31)는 핀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악동막(23)을 뚫고 나온다. 상 기 절점부(31)가 상악동막(23)을 완전히 뚫고 나오면, 상기 절점부(31)는 통전소재로 구성되나 인체의 일부에 닿지 않게 되고, 상기 절점부(31) 하부의 절연부(33)는 인체의 일부에 닿으나 절연소재로 구성되므로 제1전극부(41)와 제2전극부(43) 사이의 전기회로는 끊어지게 된다.
상기 제1전극부(41)와 제2전극부(43) 사이의 전기회로가 끊어지므로 상기 콘트롤러유닛(50)의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는 저항값은 무한대값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악동의 치조골(20)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자는 탐침수단(30)을 서서히 밀어넣으면서 콘트롤러유닛(50)에 의해 표시되는 저항값이 무한대값에 근접한 경우 상기 탐침수단(30)을 더이상 밀어 넣지 않고 일측에 표시된 길이표시부(39)를 확인하여 상악동 치조골(2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침수단(30)을 밀어 넣어서 상악동막(23)을 뚫고 나가지 않더라도, 치조골(20) 내부에서의 저항값과 상기 치조골(20) 외에서의 저항값은 다르므로 측정자가 쉽게 상악동 치조골(20)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탐침수단(30)에 의해 상악동 치조골(20)의 두께를 확인하였으면, 임플란트의 기초부가 삽입될 정도의 폭으로 치조골(20)을 천공한 후 상기 상악동막(23)과 치조골(20) 사이에 페이스트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탐침수단(30)에 의해 상악동막(23)이 천공된 경우라도 상기 탐침수단(30)의 절점부(31)의 직경이 매우 작아서 상기 상악동막(23)에 형성된 구멍도 매우 작으므로 상기 상악동막(23)과 치조골(20) 사이에 페이스트를 삽입하더라도 페이스트의 점도에 의해 페이스트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고형화된다. 또한 상기 상악동막(23)에 형성된 구멍도 금세 복구되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상기 치조골(20)과 상악동막(23) 사이에 삽입된 페이스트가 경화되면 경화된 페이스트를 기반으로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기존의 엑스레이에 의해 간접적으로 상악동 골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는 달리, 치조골 내에 탐침수단을 직접 삽입하여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악동 골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에서의 상악동막 거상술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의 탐침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의 콘트롤러유닛의 내부구조를 보인 내부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탐침수단 31: 절점부
33: 절연부 35: 지지부
37: 손잡이부 39: 길이표시부
40: 전극부 50: 콘트롤러유닛
51: 입력부 53: 제어부
55: 표시부

Claims (9)

  1. 상악동 치조골에 삽입되어 삽입길이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선단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되는 탐침수단;
    상기 탐침수단과 인체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전극부;및
    상기 전극부들과 연결되고,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 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유닛은
    상기 전극부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가 통전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수단은
    통전소재로 구성되는 절점부;
    절연소재로 구성되는 절연부;및
    상기 탐침수단의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수단은
    상기 탐침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및
    상기 탐침수단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탐침수단에 연결되는 제1전극부;및
    인체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유닛은
    상기 전극부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대상체의 저항값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수단은
    텅스텐 또는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8. 상악동 치조골에 삽입되는 탐침수단, 상기 탐침수단 및 인체 일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악동 치조골에 상기 탐침수단을 삽입하면서 상기 탐침수단과 인체 일 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부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상기 콘트롤러 유닛으로 판단하여 전기가 통하지 않을 때까지 삽입된 탐침수단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상악동 치조골의 골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유닛은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연결되는 대상체의 저항값에 의해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골두께 측정방법.
KR1020070106124A 2007-10-22 2007-10-22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090040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124A KR20090040660A (ko) 2007-10-22 2007-10-22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124A KR20090040660A (ko) 2007-10-22 2007-10-22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660A true KR20090040660A (ko) 2009-04-27

Family

ID=4076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124A KR20090040660A (ko) 2007-10-22 2007-10-22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06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58A3 (ko) * 2011-04-26 2013-01-17 Wang Je-Won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244180B1 (ko) * 2011-04-26 2013-03-25 왕제원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58A3 (ko) * 2011-04-26 2013-01-17 Wang Je-Won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244180B1 (ko) * 2011-04-26 2013-03-25 왕제원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CN103764067A (zh) * 2011-04-26 2014-04-30 王济源 牙槽骨形态、方向表示装置及其测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119B2 (en) Implant comprising one or more electrodes and corresponding insertion instrument
JP4734058B2 (ja) 医療用処置装置
US8388340B2 (en) Apical position locator
KR100959404B1 (ko) 치아 근관충전용 근관치료기 및 그의 발열팁
US87341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apical position in a dental root canal
JP2009513188A (ja) スクリュー、電気刺激方法及び電気刺激装置
US859478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apex of a dental root canal
US11291381B2 (en) Medical system
KR20090040660A (ko) 상악동 골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757131B1 (ko) 의료 장치
CN107518955B (zh) 一种具有牙槽嵴骨形貌测量功能的口腔种植定位器
BR112012010771A2 (pt) Dispositivo para detectar lesões de cárie não cavitadas e método para detectar lesões de cárie não cavitadas
KR100937242B1 (ko) 상악동 골두께 및 근관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JPWO2011018851A1 (ja) ボーンキャリパー
US11179189B2 (en) Mono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electro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7039811B2 (ja) 医療用/外科用バイポーラ分断装置
KR100591081B1 (ko)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JP7411248B2 (ja) 根管拡大用切削具、根管長測定器及び根管拡大装置
JP7437662B1 (ja) 側枝治療装置
WO2012073240A2 (en) Boring element for selective boring
KR101244180B1 (ko)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JP2008104610A (ja) 医療用デバイスのための高周波電源装置
EP2853286B1 (en) Device for treatment of perimplantitis
Lanmüller et al. Troubleshooting for DBS patients by a non-invasive method with subsequent examination of the implantable device
JP2013063171A (ja) 歯科用針状治療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