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536A -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536A
KR20090039536A KR1020070105246A KR20070105246A KR20090039536A KR 20090039536 A KR20090039536 A KR 20090039536A KR 1020070105246 A KR1020070105246 A KR 1020070105246A KR 20070105246 A KR20070105246 A KR 20070105246A KR 20090039536 A KR20090039536 A KR 2009003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ryer
elastic member
moto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안승표
이상익
류병조
엄윤섭
송성호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536A/ko
Publication of KR2009003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는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드럼 내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tension)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의하면, 드럼에 연결된 탄성 부재로 가해지는 장력값이 가변될 수 있어서, 탄성 부재의 교체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요구되는 장력값을 맞출 수 있고, 탄성 부재의 설치를 위해 작업자의 큰 힘이 요구되지 아니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장력 조절, 스프링, 회전, 병진

Description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Motor supporting apparatus of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기기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로 분류된다.
배기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드럼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필요로 하며, 특히 연소 생성물인 일산화탄소 등이 함께 배기되기 때문에 배기덕트를 실외까지 길게 연장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부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서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건조유동이 폐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단점을 극복한 건조기가 덕트리스 건조기이다. 즉, 덕트리스 건조기는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가 가능하고 실외로 길게 연장되는 별도의 배기덕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의류건조기들에서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장착 시에, 모터에 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의 일측은 모터에 고정되고, 타측은 건조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모터의 동작 시에 모터에 탄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건조기들에서는,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후에는 그 장력값이 일정하므로, 모터의 구동 조건 등에 따라 그 장력값이 변경되어야 할 경우 스프링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 불편하고 낭비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류건조기들에서는, 상기 스프링이 요구되는 장력값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의 양단이 드럼 및 건조기 케이스에 각각 연결되는 지점에 도달되도록 상기 스프링이 신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에 의하면, 스프링의 설치 및 제거에 작업자의 큰 힘이 소요되므로, 그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의 장력값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는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드럼 내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tension)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의하면, 장력 조절 수단이 구비되고, 장력 조절 수단의 동작 부재의 동작에 따라 장력 조절 수단에서 드럼에 연결된 탄성 부재로 가해지는 장력값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교체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요구되는 장력값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설치 시에 탄성 부재로 가해지는 장력 조절 수단의 장력값을 영으로 맞추어 탄성 부재를 설치한 다음, 장력 조절 수단의 장력값을 요구되는 값으로 맞출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설치를 위해 작업자의 큰 힘이 요구되지 아니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덕트리스 건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건조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지지 장치가 채용되는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지지 장치가 채용되는 건조기의 평면도이다.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케이스(110); 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20); 드럼(120)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140); 드럼(120)으로부터 배기된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150); 드럼(12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열교환부(150)로 유도하는 순환덕트(180); 순환덕트(180)에 설치되며, 드럼(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Lint)를 여과하는 필터(200); 및 필터(200)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틈새를 통해 린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S);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의류를 드럼(120)으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111)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푸트(113)가 설치된다. 케이스(110) 내부에는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벨트(131)와, 이러한 벨트(1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5)가 설치된다. 모터(135)의 축에는 벨트(131)가 걸리는 풀리(137)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120)은 건조대상물인 의류 등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 통으로 내부에는 의류를 들어올릴 수 있는 복수개의 리프터(121)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공급부(140)는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밸브(141)와 밸브(141)에서 배기된 가스를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와 혼합한 후 점화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스연소기(143)와, 발생 된 열풍이 드럼(120)에 공급되도록 가스연소기(143)와 드럼(120)을 연결하는 열풍공급덕트(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풍공급부(140)에는 화염전류를 검출하여 이 화염전류의 수치를 통해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화염의 가장자리로 연장 설치되는 플레임로드(Flame rod)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141)는 가스 분사량을 민감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연소기(143)는 밸브(141)에 연결되어 밸브(141)에서 배기된 가스와 외부공기를 혼합시켜 연소시킨 후 이때 발생하는 열로 공기를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되어 발생된 열풍은 열풍공급덕트(145)를 통해 드럼(120)에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부(150)는 핀(151)과 튜브(153)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드럼(120)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시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열교환부(150)의 입구는 순환덕트(180)에 의해 드럼(120)과 연결되고, 그 출구는 배기덕트(161)와 연결된다.
이러한 열교환부(150)는 상기 드럼(120)을 경유한 기체의 온도와 습도 중 적 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온습도 조절부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온습도 조절부로 상기 열교환부(150)가 제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다양한 온습도 조절 수단이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핀(151)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튜브(153)는 내부에 저온(22℃)의 물이 순환하며, 핀(151)을 왕복으로 관통한다.튜브(153)의 양측단은 저온의 물을 공급 및 회수하는 물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열교환부(150)의 하부에는 응축과정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응축수를 채집하는 물받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덕트(180)는 필터(2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설치덕트(181)와, 필터설치덕트(181)와 연결되며 팬(133)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팬설치덕트(182)와, 팬설치덕트(182)와 열교환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덕트(183)를 포함한다. 여기서, 팬(133)은 모터(135)의 축과 연결되어 모터(135)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물론, 모터(135)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벨트(131)와 팬(133)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따르면, 상기 건조기에는 모터 지지 장치가 구비되는 바, 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지지 장치는 드럼(120)을 구동하는 모터(135)와, 상기 모터(135)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인 스프링(190)과,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장력 조절 수단(400)은 회전 부재와, 그 지지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스프링(190)의 인장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 부재 전면부(430)와, 회전 부재 연결부(440)와, 회전 부재 후면부(4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 전면부(410)와, 지지 부재 후면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부재 전면부(410) 및 상기 지지 부재 후면부(420)는 각각 상기 케이스(11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 전면부(410) 및 상기 지지 부재 후면부(420)는 서로 이격된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지지 부재 전면부(410) 및 지지 부재 후면부(420)의 각 상부에 홀이 형성되고, 그 홀에 회전축(431)이 관통된다. 이 때, 상기 지지 부재 전면부(410) 및 상기 지지 부재 후면부(420) 사이에 상기 회전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431)은 상기 회전 부재를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케이스(1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 전면부(430)와, 상기 회전 부재 후면부(450)는 각각 소정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 전면부(430)와, 상기 회전 부재 후면부(450) 사이에 상기 회전 부재 연결부(440)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 부재 전면부(430)와, 상기 회전 부재 연결부(440)와, 상기 회전 부재 후면부(450)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 연결부(440)에는 상기 스프링(190)의 일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190)의 일단도 고정된 상태로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스프링(190)의 인장량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스프링(190)과 연결되어 동작되면서,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므로, 동작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작 부재가 회전 운동(rotational motion)을 하는 상기 회전 부재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하기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tion)을 하는 병진 부재도 동작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방향은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는 임의의 어느 일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역방향은 상기 정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지, 역방향 으로 회전되는지에 따라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이 증감이 결정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값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케이스(110) 상세히는 상기 지지 부재(410)의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기어 치(gear toot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에는 표시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회전 부재 전면부(430)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회전 부재 전면부(430)를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부(433)에는 숫자 등의 표시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433)는 상기 지지 부재 전면부(410)와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루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량을 표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부(433)의 표시를 보고 작업자가 상기 스프링(190)의 요구되는 장력값을 맞추기 위해, 그에 맞는 양만큼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 수단(400)은 상기 회전 부재의 동작 완료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작 상태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 유지부는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케이스, 상세히는 상기 지지 부재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 부재(4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통 부재(460)가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432)과,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411)을 함께 관통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완료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0)의 조절된 장력값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432)은 상기 회전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 홀(432)은 상기 표시부(433)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90)이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될 때,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은 실질적으로 영(zero)일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을 영으로 맞출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0)의 설치를 위해 작업자의 큰 힘이 요구되지 아니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90)의 장력값이 영으로 용이하게 맞추어지도록, 상기 표시부(433)의 최저값에서 상기 스프링(190)의 장력이 실질적으로 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번호 435 및 455는 그립부이다. 이러한 그립부(435, 455)는 상기 회전 부재를 용이하게 그립(grip)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 기재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9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 력 조절 수단으로 병진 운동을 하는 병진 부재(520)와, 상기 병진 부재(52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10)이 이용된다.
상기 지지 부재(510)의 내부에는 홀(512)이 형성되어, 상기 홀(512)을 통해 상기 병진 부재(5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병진 부재(520)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 부재(510)의 내주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 치(521, 5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기어 치(521, 511)는 다단계로 형성되는데, 어느 단계에 있는 기어 치(521, 511)가 서로 물리는지에 따라 상기 스프링(190)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병진 부재(520)의 병진 운동이 완료된 후, 상기 기어 치(521, 511)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병진 부재(52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0)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병진 부재(520)의 병진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병진 부재(520)에는 상기 지지 부재(5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그립부(523)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523)은 상기 병진 부재(520)와 연결부(522)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그립부(523)를 작업자가 잡아당기면, 상기 병진 부재(520)가 병진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의하면, 장력 조절 수단이 구비되고, 장력 조절 수단의 동작 부재의 동작에 따라 장력 조절 수단에서 드럼에 연결된 탄성 부재로 가해지는 장력값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교체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요구되는 장력값을 맞 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설치 시에 탄성 부재로 가해지는 장력 조절 수단의 장력값을 영으로 맞추어 탄성 부재를 설치한 다음, 장력 조절 수단의 장력값을 요구되는 값으로 맞출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설치를 위해 작업자의 큰 힘이 요구되지 아니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교체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요구되는 장력값을 맞출 수 있고, 탄성 부재의 설치를 위해 작업자의 큰 힘이 요구되지 아니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지지 장치가 채용되는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지지 장치가 채용되는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보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드럼 135 : 모터
190 : 스프링 400, 500 : 장력 조절 수단
410 : 지지 부재 전면부 420 : 지지 부재 후면부
430 : 회전 부재 전면부 440 : 회전 부재 연결부
450 : 회전 부재 후면부 510 : 지지 부재
520 : 병진 부재

Claims (14)

  1.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드럼 내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tension)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수단은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인장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수단은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어 동작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을 변화시키는 동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회전 운동(rotational motion)을 하는 회전 부재와,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tion)을 하는 병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 치(gear toot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수단은 상기 동작 부재의 동작 완료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작 상태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유지부는 상기 동작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부재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동작 부재는 연결되어, 함께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동작 부재가 연결될 때,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은 실질적으로 영(ze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표시된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최저값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장력은 실질적으로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1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에는 그립(grip)을 위한 그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KR1020070105246A 2007-10-18 2007-10-18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KR20090039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46A KR20090039536A (ko) 2007-10-18 2007-10-18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46A KR20090039536A (ko) 2007-10-18 2007-10-18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36A true KR20090039536A (ko) 2009-04-22

Family

ID=4076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246A KR20090039536A (ko) 2007-10-18 2007-10-18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5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738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US9207014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RU249517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уманом в сушильном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одежды
US9353474B2 (en) Laundry dryer
KR100901716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20080009481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95448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condenser
US8127576B2 (en) Laundry machine
JP2006212265A (ja) 乾燥機
KR101033584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방열판 체결구조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0965649B1 (ko) 건조기의 드럼 지지 장치
JP7488035B2 (ja) 衣類乾燥機
KR100826204B1 (ko) 건조기
KR20090039536A (ko) 건조기의 모터 지지 장치
KR100826534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20150009327A (ko) 의류건조기
KR101366858B1 (ko) 건조기
KR100844155B1 (ko) 의류건조기
EP3853404B1 (en) A laundry dryer
JP201217926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01717B1 (ko) 건조기의 열교환 장치 및 그 결합 방법
JP4668945B2 (ja) 洗濯機
KR100826536B1 (ko)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