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399A -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 Google Patents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399A
KR20090039399A KR1020070105023A KR20070105023A KR20090039399A KR 20090039399 A KR20090039399 A KR 20090039399A KR 1020070105023 A KR1020070105023 A KR 1020070105023A KR 20070105023 A KR20070105023 A KR 20070105023A KR 20090039399 A KR20090039399 A KR 2009003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ffee
sensor housing
senso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범
Original Assignee
(주)대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정밀 filed Critical (주)대성정밀
Priority to KR102007010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399A/ko
Publication of KR2009003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커피용액이 인출입하며 상기 커피용액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유동로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접촉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동로의 커피용액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극봉에 커피 고형물이 고착하는 것을 줄이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ELECTRODE SENSOR UNIT FOR COFFEE MIXER}
본 발명은,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용액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센서의 구조를 개선한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적합하도록 소형으로 제작하여 커피 음료의 재료를 각각 다른 용기에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버튼조작에 의해 커피 음료를 제공하는 커피배출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온수에 용해해서 마시는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커피 배출기에 있어서는, 온수에 용해가 가능하도록 분말상의 재료(커피, 설탕, 프림)들을 일정 성분비로 혼합한 상태에서 온수만 별도로 공급하여 분말상의 재료를 용해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선 혼합시스템 방식과, 필요한 분말상의 재료를 각각 다른 용기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면 그에 맞도록 분말상의 재료를 혼합한 후 온수와 함께 용해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후 혼합시스템 방식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이러한 분말상의 커피 재료를 별도로 공급하지 않고, 사전에 커피 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일정 농도로 제조된 커피용액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커피배출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피배출기에 있어서는,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 상에 전극센서를 갖는 전극센서 유니트를 설치하여, 배관 상의 커피용액의 유무를 감지한다.
도 3에는 종래의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110)는,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P)에 결합되는 센서하우징(111)을 가지며, 센서하우징(111)은 커피용액이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부(117) 및 유출부(119)를 형성하고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유동로(115)를 형성하는 본체(113)와, 본체(113)의 유동로(115)를 폐쇄하도록 본체(113)에 결합되는 커버(121)를 가진다.
커버(121)에는 유동로(115)를 유동하는 커피용액의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봉(133)을 갖는 전극센서(131)가 장착되어 있다. 전극센서(131)는 전극봉(133)을 포함하여 전체 외주면에 걸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센서(131)는 커버(121)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전극센서(131)의 외주면에는 센서하우징(111)의 유동로(115)를 유동하는 커피용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141)이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110)에 있어서는, 커피용액의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봉(133)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극봉(133)의 각 나사홈 사이에 커피 고형물(C)이 용이하게 고착되 어, 전극봉(133)의 감지 능력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전극봉(133)을 브러시 등과 같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수시로 청소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전극봉에 커피 고형물이 고착하는 것을 줄이며, 유지 관리가 용이한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커피용액이 유출입하며 상기 커피용액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유동로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접촉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동로의 커피용액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은 스테인레스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커피용액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센 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극봉에 커피 고형물이 고착하는 것을 줄이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10)는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P)에 결합되는 센서하우징(11)과, 센서하우징(11)에 장착되어 센서하우징(11) 내를 유동하는 커피용액을 감지하는 전극센서(31)를 가진다.
센서하우징(11)은 내부에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유동로(15)를 형성하는 본체(13)와, 본체(13)에 착탈되어 유동로(15)를 폐쇄하는 커버(21)를 가진다.
본체(13)는 내부에 유동로(15)를 형성하며 상방이 개구된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진다. 본체(13)의 일측에는 외부의 커피용액이 유동로(15)로 유입되는 유입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3)의 타측에는 유동로(15)의 커피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1)는 판형상을 가지며, 본체(13)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13)의 상부면에 볼트(23)에 의해 결합된다. 커버(21)의 판면에는 후술할 전극센서(31)의 지지부(35)가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관통공(25)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관통공(25)에는 전극센서(31)의 지지부(35)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관통공(25)에 인접한 커버(21)의 판면에는 후술 할 도선(39)이 끼움 결합되어 정렬되는 홀더(27)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3)와 커버(21)는 절연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3)와 커버(21) 사이에는 커피용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28)이 장착되어 있다. 오링(28)은 본체(13)의 상부면에 개구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오링장착홈(29)에 장착된다.
전극센서(31)는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단면의 봉형상을 가진다. 전극센서(31)는 센서하우징(11)의 유동로(15)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접촉하도록 본체(13)에 수용되는 전극봉(33)과, 전극봉(33)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커버(21)에 지지되는 지지부(35)를 가진다.
전극봉(33)의 외주면은 커피용액에 함유된 커피 고형물이 쉽게 고착하지 않도록 매끈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의 외주에는 커버(21)의 관통공(25)에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는 전극센서(31)가 센서하우징(11)의 유동로(15)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원만하게 접촉하도록 커버(21)의 관통공(25)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센서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35)는 도선(3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극봉(33) 및 지지부(35)는 내부식성 및 내구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41은 패킹으로서, 각 전극센서(31)의 전극봉(33)의 외주에 장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1)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패킹(41)은 커피용액이 본체(13)의 유동로(15)로부터 커버(21)의 관통공(25)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P)에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10)를 설치한 후, 센서하우징(11)의 유입구를 통해 센서하우징(11)의 내부로 커피용액이 유입되면, 전극 유니트(10)의 전극봉(33)에서 센서하우징(11)의 유동로(15)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접촉하여 커피용액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를 지지부(35)를 거쳐 도선(39)을 통해 외부로 보낸다.
이로써, 전극 유니트(10)의 전극봉(33)을 통해 센서하우징(11)의 유동로(15)의 커피용액 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극유니트(10)의 전극봉(33)은 종래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지 않고 매끈한 외주면을 가지므로, 커피용액과 수시로 접촉하는 전극봉(33)의 외주면에는 커피용액에 함유된 커피 고형물이 고착하지 않게 된다.
이에, 전극봉(33)의 감지 능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전극봉(33)을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에 결합되어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유동로를 형성하는 센서하우징에, 유동로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접촉하도록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전극봉을 설치함으로써, 전극봉에 커피 고형물이 고착하는 것을 줄이며,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극봉이 원형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전극봉은 타원형 및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극센서의 지지부는 센서하우징의 커버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전극센서의 지지부는 센서하우징의 커버에 억지끼워맞춤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극센서 유니트 11 : 센서 하우징
13 : 본체 15 : 유동로
17 : 유입부 19 : 유출부
21 : 커버 25 : 관통공
27 : 홀더 28 : 오링
31 : 전극센서 33 : 전극봉
35 : 지지부 39 : 도선
41 : 패킹

Claims (2)

  1. 커피용액이 유동하는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커피용액이 유출입하며 상기 커피용액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유동로를 유동하는 커피용액과 접촉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동로의 커피용액 유무를 감지하는 전극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은 스테인레스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KR1020070105023A 2007-10-18 2007-10-18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KR20090039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023A KR20090039399A (ko) 2007-10-18 2007-10-18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023A KR20090039399A (ko) 2007-10-18 2007-10-18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99A true KR20090039399A (ko) 2009-04-22

Family

ID=4076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023A KR20090039399A (ko) 2007-10-18 2007-10-18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3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3063B (zh) 用于在饮料制备机中配送牛奶成分的方法
US8770099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RU2459637C2 (ru) Под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лизных аппаратов
AU2013308064B2 (en) Device for providing liquid for a beverage machine and use thereof
US20100187168A1 (en) Percolating filter system with a removable cartridge
ITMI951558A1 (it) Macchina con controllo di livello per la produzione ed erogazione di bevande raffreddate o di granite
JP2003342993A (ja) 局部洗浄装置
KR101949327B1 (ko) 물과 물비누의 자동배출이 가능한 수전
KR20090039399A (ko) 커피배출기용 전극센서 유니트
CN114319524A (zh) 用于输出液体的配件和液体输出系统
CN108697261B (zh) 用于连接自来水的饮品制备机以及自来水套件
KR101663101B1 (ko)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TW200909360A (en) Waterspout
JP2008082002A (ja) シャワーヘッドの支持装置
JP2007215875A (ja) 水石鹸の補給装置
JP2020114750A (ja) 飲料の定量供給装置
JP2007262727A (ja) 自動水栓
EP1356742A1 (en) An autofill device applicable to the mixing bowl of a slush or chilled beverages dispenser
JP7289663B2 (ja) 飲料の定量供給装置
KR101949333B1 (ko) 물비누 보충이 용이한 수전
KR20120004031U (ko)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
JP5261253B2 (ja) 飲料供給ノズル
CN210134498U (zh) 一种带药液冲洗功能的坐便器
EP1125887A3 (en) Syrup measuring device for machines for the extemporary preparation of drinks
CN108095495B (zh) 具有出液装置的茶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