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147A -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9147A KR20090039147A KR1020070104616A KR20070104616A KR20090039147A KR 20090039147 A KR20090039147 A KR 20090039147A KR 1020070104616 A KR1020070104616 A KR 1020070104616A KR 20070104616 A KR20070104616 A KR 20070104616A KR 20090039147 A KR20090039147 A KR 200900391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information
- user
- mobile terminal
- product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웹(Web) 상에서 상품의 평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b) 수집된 정보에서 의미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단어를 상품 카테고리 별로 정렬하여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상품 검색을 수신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품과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을 매칭시켜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의미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기 추출된 의미 단어를 해당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과 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공간적, 시간적인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경우에 쇼핑에 관한 정보 제공 받을 수 있다.Disclosed are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product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product through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periodically collect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a product on a Web; b) extracting a semantic word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sort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 by product category and storing the semantic word in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c) receiving a desired product search from a user; d) extracting a semantic word from a category of a corresponding product of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by matching a product received from the user with a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nd e)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 to the corresponding user mobile terminal,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pping information is provid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shopping whenever and wherever desired without spatial and time constrai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Web) 상에 흩어져 있는 상품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장소와 시간적인 제약 없이 사용자의 상품 선택에 관한 지침이 될 수 있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roduct to a user using a mobile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llected product is collected by collecting product related information scattered on a we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to provide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be a guideline for a user's product selection without providing a location and time constraint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현대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가 상품을 직접 시장이나 백화점까지 나가는 번거러움이 없이 간편하게 신용카드나 전자화폐로 결제하여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쇼핑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상의 쇼핑은 중간마진이 없는 저렴한 가격,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편리함 등으로 인해 특히 인터넷 세대인 젊은 세대에게는 친숙하게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쇼핑의 폭발적인 사용자 증가로 인해 그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online shopping is rapidly increasing in which consumers can easily purchase and pay by credit card or electronic money without the hassle of directly going to the market or department store. Online shopping has become familiar to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the Internet generation, due to its low price without intermediate margins and convenienc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in users of online shopping,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ly.
도 1은 종래기술 1(출원번호:10-2000-0022155)로서 인터넷 쇼핑몰에 게재된 상품구매조건 분석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nalyzing a product purchase condition publishe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as the prior art 1 (application number: 10-2000-0022155).
상기 종래기술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상의 다수의 쇼핑몰들에서 상품구매조건으로 미리 결정된 항목들에 대응하는 자료를 검색(S11)하고, 검색된 자료에서 상품구매조건들을 추출하여 상품구매조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S12)하고, 고객으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입력(S13) 받고, 상기 상품구매조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구매조건들을 각 쇼핑몰 URL별로 인출(S14)하여 인출된 상품구매조건들의 각 항목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매만족도를 계산(S15)한 후 상기 구매만족도에 순위를 부여하여 각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구매조건들과 함께 상기 고객에게 인터넷을 통해 디스플레이(S16)하는 인터넷 쇼핑몰에 게재된 상품구매조건 분석방법이다.As shown in FIG. 1, the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상품에 대한 장,단점을 직접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 인지도, 배송시간, 반품조건 등에 대한 사항에 획일화된 가중치를 부가하고 이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오늘날과 같이 개성이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종래기술 1은 PC 단말기를 이용해야 함으로 인해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게 된다. Such
도 2는 종래기술 2(출원번호:10-2000-0030786)로서 인터넷 쇼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hopping information as the prior art 2 (application number: 10-2000-0030786).
종래기술 2는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된 고객의 상품에 대한 취향을 분석하고 상기 고객과 판매원 에이젼트 캐릭터 대화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분석된 고객 취향의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추천하면 상기 고객이 선택한 추천된 상품 또는 직접 선택한 다른 상품에 대하여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이 선택한 상품에 따라 고객의 상품에 대한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인터넷 쇼핑 정보 제공 방법이다.The prior art 2 analyzes the taste of the customer's product connected to the Internet shopping mall, transmi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customer and salesperson agent character conversation, and recommends the analyzed customer's product to the customer. Alternatively, the Internet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ay provide product information on another product selected directly and update taste information of the product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도 PC 단말기를 이용해야 함으로 공간적인 제약이 뒤따르며, 처음 이용하는 고객의 경우에는 그 취향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성향을 파악하기 힘들어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2 also requires the use of a PC terminal, spatial constraints are followed, and the first-time customer may not be able to provide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custom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ropensity data because the data on the taste is not accumulated. have.
본 발명은, 사용자가 PC 단말기 등을 이용해야 됨으로 인한 공간적, 시간적인 제약을 제거하여, 적시, 적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쇼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hopping that can be used in a timely manner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by removing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caused by the user having to use a PC terminal.
또한 소비자의 다양한 개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직접 이미 사용해본 사용자의 상품평 및 사용후기에 근거한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satisfy the various personalities of consumers, by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reviews and testimonials already use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나아가서 상품에 대한 장점과 단점 정보를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상품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Furthermore, by classify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merchandis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judge the merchandise.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웹(Web) 상의 상품의 평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서 의미단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수집부; 상기 상품정보 수집부에서 추출된 의미단어를 해당 상품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로부터의 상품 검색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 검색 내용에서 상품 단어를 추출하는 상품 검색 입력부; 상기 추출된 상품 단어와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을 매칭시켜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품의 의미단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추출부; 및 상기 상품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의미단어를 해당 사용자 모바일 단발기로 전송하는 상품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periodically collec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Web (Web) and extracts a semantic word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the semantic word extrac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 correspondence with a corresponding product; A product search input unit which receives a product search content from a user and extracts a product word from the product search content; A produc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a semantic word of a product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by matching the extracted product word with a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nd a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which transmits the semantic word extrac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정보 수집부는, 웹(Web) 상의 상품의 평가 정보에 대한 웹문서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웹로봇; 상기 수집된 웹문서의 구조정보 및 스타일 정보를 구문 분석하여 추출하는 파서; 상기 파서에 의해 추출된 웹문서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명사들을 추출하는 형태소 분석기; 및 상기 구조정보 및 스타일 정보를 근거로 상기 웹문서에서 콘텐츠를 추출하여 형태소 분석기로 전달하고, 상기 형태소 분석기에서 추출된 명사들 중 의미단어만을 추출하여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로 전달하는 필터링 엔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검색 입력부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품 검색 내용에서 상품에 대한 의미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web robot for periodically collecting a web document about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Web (Web); A parser for parsing and extracting structural information and styl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web document; A morpheme analyzer for extracting nouns from content included in the web document extracted by the parser; And a filtering engine that extracts content from the web document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and style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content to a morpheme analyzer, and extracts only a semantic word from the nouns extracted from the morpheme analyzer and delivers it to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The product search input unit may include a stemmer and a syntax analyzer for extracting a semantic word for a product from a product search content received from a user's terminal.
나아가서, 상기 상품 검색 입력부는, 사용자의 단문메시지(SMS)를 수신하기 위한 SMS 수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정보 출력부는, 상기 상품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의미단어를 근거로 상품정보 단문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정보 단문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roduct search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n SM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s short message (SMS), wherein the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the product information short message based on the semantic word extrac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nd it may further comprise a short message output means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roduct information short message to the user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웹(Web) 상에서 상품의 평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정보에서 의미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의미단어를 상품 카테고리 별로 정렬하여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상품 검색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품과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을 매칭시켜 상기 상품정보 데 이터 베이스의 해당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의미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추출된 의미 단어를 해당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duct through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a) periodically collect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 the Web (Web); b) extracting a semantic word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sort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 by product category and storing the semantic word in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c) receiving a desired product search from a user; d) extracting a semantic word from a category of a corresponding product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by matching a product received from the user with a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nd e)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 to the corresponding user mobile terminal.
나아가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의미단어를 해당 상품에 대한 장점과 단점으로 분류를 하여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ep b) may further include classify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s into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nd stor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s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 받기 원하는 제3자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력 받은 제3자 모바일 단말기 번호로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자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추출된 의미단어를 상기 제3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도 있다.Further, 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ceiving a third party mobile terminal number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he step e) may be performed using the received third party mobile terminal number. Sending a message inducing a connection; And when the third party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mantic word to the third party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품과 추출된 의미단어에 근거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URL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URL의 싸이트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e) may include searching for URL information for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put from the user and the extracted semantic word,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user mobile terminal; And when there is a purchase request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connecting the user mobile terminal to the site of the URL.
나아가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검색 내용이 포함된 단문메시지(SMS)를 수신하고, 상기 단문메시지 상의 상품과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을 매칭시켜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의미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의 미 단어에 대한 단문메시지(SMS)를 생성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step c), a user receives a short message (SMS) including a product search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nd matches a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with a product on the short mess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a semantic word from a category of the product, and the step e)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short message (SMS) for the extracted meaning word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mobile terminal. .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는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과 상기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제공 받기를 원하는 제3자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구분하는 구분인식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품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구분인식자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 검색에 관한 내용과 상기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제공 받기 원하는 제3자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각각 분리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Wherein c), the short message (SMS) sent from the user includes a classificatio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contents of the product search and the third party mobile terminal number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informa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recognizes the distinguished identifier and identifies a product search desired by the user in a short message (SMS) transmitted from the user and a third party mobile terminal number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information.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extracting separatel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공간적, 시간적인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경우에 쇼핑에 관한 정보 제공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pping information is provid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shopping whenever and wherever desired without spatial and time constraints.
또한 직접 이미 사용해본 사용자의 상품평 및 사용후기에 근거한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장점 및 단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개성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user reviews and reviews that have been used directly, it is possible to satisfy a variety of personal needs of consumers 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duct.
나아가서 단일 상품에 관한 정보만이 아닌 그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상품의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 차례에 걸쳐 관련 상품정보를 검색해야 번거러움을 제거한다.Furthermore, by providing not only information about a single product but also information on various products related to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the user has to search for related product information several time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또한 사용자가, 자신뿐만 아니라 친구 등 제3자에게 쇼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과도한 요금을 줄이기 위한 경우에 단문메시지(SMS)를 통해 상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므로 저렴한 요금으로 쇼핑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pping not only to themselves but also to third parties such as friends, and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charges through the mobile Internet, a product inform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a short message (SMS). You will be able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your shopping products at a fe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도 3은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3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상품정보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60a,270a), 제3자 모바일 단말기(260b,270b), 이동통신사 서버(200), SMSC(250),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 사용자 PC 단말기(370) 등으로 구성이 된다.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e user's mobile terminal (260a, 270a), the third-party mobile terminal (260b, 270b), mobile
우선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가 웹(Web) 상에 흩어져 있는 상품 평가 정보에 관한 내용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 평가 정보에 관한 내용을 획득하는 곳은 인터넷 상의 쇼핑몰, 쇼핑관련 싸이트, 블러그 등 다양한 곳의 웹 문서(350)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쇼핑구매를 위한 것보다는 사용자가 쇼핑을 하는데 있어서 보다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집되는 정보는 이미 상품을 사용해본 사용자가 올린 상품평, 상품사용후기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나아가서 수집되는 정보는 해당 상품과 연관된 다른 상품들에 관한 정보가 될 수도 있다.First, the product
이와 같이 수집된 상품 평가 정보는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 상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The product evaluation information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a database provided on the product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60a)로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검색 내용을 입력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60a)을 통해 상품 검색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고, 나아가서 일반 PC 단말(370)을 통해 인터넷으로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여 상품 검색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user accesses the product
상품 검색 내용이 입력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입력된 상품과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평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 평가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60a)로 전송하게 된다.When the product search content is input, the product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평가 정보를 제3자의 모바일 단말기(260b)로도 전송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user may also transmit the product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product to the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으로 제공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요금에 대한 부담이 생길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요금부가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해당 이동통신사의 SMSC(250)을 통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을 하고,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전송 받은 단문메시지를 분석하는데 이때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내부에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를 구비하고 있어 이를 통해 전송 받은 단문메시지의 의미를 파악하게 된다. 전송 받은 단문메시지가 분석되면 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에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추 출하고 이를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해당 모바일 단말기(270a, 270b)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device provided on the Internet may be a burden on the usage fee, in order to relieve the user's burden on such charges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product desired by the user short In the form of a message (SMS) is transmitted to the product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개략적으로 상품검색 입력부(110), 상품정보 수집부(130),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 상품정보 추출부(170) 및 상품정보 출력부(190)로 구성이 된다.The product
상품정보 수집부(130)은 웹(Web) 상의 상품의 평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서 의미단어를 추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상품 정보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수집될 수 있으므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The product
현재의 웹은 사람이 보고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브라우저의 디스플레이 또는 레이아웃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HTML을 이용한 이러한 표현방식은 문서의 내용과 의미를 나타내는 시맨틱 정보를 표현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사람이 아닌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에이젼트가 자동으로 문서로부터 의미를 추출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맨틱 웹이 제안되었다. 시맨틱 웹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지능적인 정보처리가 가능하도록 웹 문서 내에 지식 표현을 위한 온톨로지를 삽입하고, 지식간의 관계를 설정하며 추론 규칙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러한 온톨로지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는 현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상에는 전문적인 컴퓨터 지식을 가지지 못한 네티즌들이 올리는 다양한 정보가 있다. 이런 온톨로지나 시맨틱 웹 개념이 없 는 일반 사용자들이 자신의 콘텐츠에 효과적인 의미 정보를 부착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The current web is focused on the display or layout technology of the browser to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see and understand. This representation using HTML makes it difficult to express semantic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document,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non-human program or software agent to automatically extract meaning from the docu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mantic web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upport the Semantic Web, the ontology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is embedded in the web doc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is included, and the inference rules are included to enable the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computer. The system architecture for generating such ontology is currently being actively developed. However, there is a lot of information on the web that netizens don't have professional computer knowledge. It is very difficult for general users without such ontology or semantic web concept to attach effective semantic information to their content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웹 상에 흩어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여기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이란, 비구조화된 텍스트에서 패턴 또는 관계를 추출하여 지식 발견을 하는 것으로 기존의 텍스트로부터 새로운 정보를 창출시키는 과정을 말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information scattered on the web by using a text mining technique. Here, text mining means that knowledge discovery is performed by extracting a pattern or a relationship from unstructured text. The process of creating new information from existing text.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정보 제공 장치 내에 구비되어 상품의 평가 정보 등을 수집하는 상품정보 수집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rovi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collect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a product, and the like.
우선 웹로봇(132)이 인터넷 상을 돌아다니며 쇼핑 상품에 관련된 웹문서(350)를 수집하여 파서(134)로 전달한다. 그러면 파서(134)는 웹로봇(132)에 의해 수집된 웹문서에서 URL 정보, 구조정보, 스타일 정보 등을 구문 분석하여 추출하게 된다. 상기 웹문서로부터 추출된 정보에서 필터링 엔진(138)은 콘텐츠를 추출하여 형태소 분석기(136)로 전달한다. 추출된 컨텐츠가 형태소 분석기(136)로 입력되면, 형태소 분석기(136)는 추출된 웹 문서에 포함된 컨텐츠에서 명사들을 추출하여 필터링 엔진(138)로 전송한다. 그러면 필터링 엔진(138)은 사전에 설정된 의미단어들만을 필터링하고 추출하여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 전송하고,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카테고리별로 정렬되어 저장되게 된다. First, the
가령 도 6에서 A와 같은 상품평에 대한 웹 문서가 수집되었다면,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웹 문서 A 상에서 사전에 의미단어로 설정된 단어들만 추출하고 이를 해당 상품과 연관시켜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하게 된다. For example, if a web document about a product review such as A in FIG. 6 has been collected, only words set as a semantic word in advance on the web document A as shown in FIG. Done.
한걸음 더 나아가서, 보다 사용자에게 구별하기 쉬운 상품 평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품 평가 정보를 장점과 단점으로 구별하여 상품에 대한 카테고리별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Further,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product valuation that is easier to distinguish from the user, the product valuation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stored in the
이와 같은 과정으로 웹 문서가 텍스트 마이닝 되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의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되게 되는데, 도 6의 실시예는 개략적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단순한 도 6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기본적인 상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web document is text mined and stored in the
다시 도 4의 본 발명의 상품정보 제공 장치의 실시예로 돌아와서 계속적인 설명을 한다.Return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4,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상품검색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된 상품 검색 내용에서 의미가 있는 상품 단어를 추출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품검색 입력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품 검색 내용에서 상품에 대한 의미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기 및 구분 분석기를 포함하게 된다.The product
상품검색 입력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상품 단어를 추출하면, 추출된 상품 단어는 상품정보 추출부(17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품정보 추출부(170)에서는 상기 추출된 상품 단어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상품을 매칭시켜 상기 상품 단어에 대응되는 상품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의미단어들을 추출하게 된다. When the product
그리고 추출된 상품에 대한 의미단어들은 상품정보 출력부(190)로 전달되어 상품정보 출력부(190)에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된다.The semantic words for the extracted product are transferred to the produc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장치가 구현되어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상품정보 제공 장치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vides information on a product to a user mobile termina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260a)가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입력창(265)을 사용자의 단말기(260a)에 시현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상기 입력창(265)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에 관한 내용을 입력하고, 입력된 내용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되면, 제공 장치(100)는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가 구비된 상품검색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입력된 내용에서 상품에 대한 의미 단어를 추출하고, 상품정보 추출부(170)가 상기 추출된 단어와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 상의 상품과 매칭시켜 해당 상품 평가에 대한 의미단어 데이터를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추출하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sired product through the
추출된 상품 평가에 대한 의미단어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260a)로 전송되어 해당 단말기(260a)의 화면상에 시현(267)되게 된다. 여기서 도 7의 실시예에는 상품에 관한 내용을 입력한 단말기(260a)와 해당 상품 정보가 제공된 단말기(260a)가 동일하게 도시되었지만, 사용자가 제3자에게 해당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3자의 모바일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3자에게도 해당 상품 정보가 제공 될 수 있다.The semantic word data of the extracted product evalu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60a to be displayed 267 on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260a. He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7, the terminal 260a for inpu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is identical to the terminal 260a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However, when the user wants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third party by inputting the third party's mobile terminal number.
그럼 이하에서 첨부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를 통해 각 과정을 살펴본다.Then look at each process through the flow chart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below.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8 shows an overall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의 상품정보 수집부(130)가 주기적으로 웹(Web) 상에서 상품의 평가 정보에 관한 내용을 수집(S100)하고, 수집된 정보에서 상품의 평가에 대한 의미 단어를 추출(S120)한다.First, the product
상기 추출된 의미 단어들은 각각의 상품 카테고리 별로 정렬되어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S150)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 평가에 관한 의미 단어를 각각의 해당 상품에 대한 장점 및 단점으로 분류하여 해당 상품별 카테고리로 정렬하여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 extracted semantic words are sorted for each product category and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S150). Here, the semantic words related to the product evalu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ach corresponding product, sorted into corresponding product categories, and stored in the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 즉 상품명이나 모델명 등과 같은 내용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입력(S200)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가 구비된 상품검색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품에 대한 내용에서 상품명 등의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명 등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상품과 매칭시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한 후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검색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들을 추출(S300)하여, 추출된 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S400)을 하게 된다. And when the contents of the desired product from the user, namely, such as product name or model name is input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S200), the product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상품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데, 도 9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60a)를 통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나타낸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ccess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n the Internet through a mobile terminal or a PC terminal to input the desired product information, Figure 9 is the us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60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 A process of accessing 100)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 product is show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60a)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S210a)을 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60a)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검색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상품에 관한 검색 내용을 입력(S220a) 받는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상품에 관한 내용이 입력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가 구비된 상품검색 입력부(110)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품 검색 내용에서 상품명 등의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상품과 매칭시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한 후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검색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를 추출(S300)하여,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S410a)을 하게 된다. 나아가서 상기 사용자가 친구 등 제3자에게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 외에 별도의 제3자 모바일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3자 모바일 번호 입력의사를 판단(S230a)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기 원하는 모바일 번호를 입력(S240a)받고,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를 추출(S300)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모바일 번호의 단말기가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도록 접속 유도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모바일 번호로 전송(S420a)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모바일 번호의 단말기가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S430a)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기 추출된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모바일 번호의 단말기에게 제공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accesses the product
또한 사용자가 제공받은 상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된 상품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URL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모바일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모바일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를 상기 URL의 싸이트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a user to purchase a product more conveniently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ovided product, the URL information for purchasing the product can be searched based on the extract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searched.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mobile or the mobile received from the user, and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site of the URL when the user requests a purchase.
나아가서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PC 단말기(370)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는 경우에,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Furthermore, FIG. 10 show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goods 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goods
사용자가 PC 단말기(370)을 통해 인터넷 상으로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S210b)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기 PC 단말기(370)로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과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모바일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모바일 번호 입력창을 제공하고, 제공된 각각의 입력창에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과 모바일 번호가 각각 입력(S220b)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가 구비된 상품검색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에서 상품명 등의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상품과 매칭시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한 후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검색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를 추출(S300)한다. 그리고 입력 받은 모바일 번호의 단말기가 상품정보 제공 장치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유도 메시지를 전송(S410b)한 후 해당 모바일 단말기가 상품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S420b)되면,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추출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를 상기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product
한걸음 더 나아가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으로 인한 과다한 요금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단문메시지(SMS) 방식으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SMS)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Further, information on the product may be provided in a short message (SMS) scheme for reducing the burden of excessive charges due to Internet access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FIG. 11 is a short message (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is provided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using the scheme.
우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로 원하는 상품 검색에 대한 내용을 단문메시지(SMS)로 작성하여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가 상기 상품에 대한 내용의 단문메시지를 수신(S210c)하면,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상품에 대한 내용의 단문메시지를 상품검색 입력부(110)로 분석하여 상품명 등의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명 등의 단어와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상의 상품과 매칭시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한 후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검색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를 추출(S300)한다. First, a user writes a content of a desired product search on a mobile terminal in a short message (SMS) and transmits it to the product
그리고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의 상품정보 출력부(190)는 상기 추출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S310)하고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S410c)한다. 여기서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 터 전송되는 단문메시지 상에 포함된 구분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구분인식자는 단문메시지 상의 상품에 관한 내용과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제공 받기를 원하는 모바일 번호를 구분 짓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duct
상품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단문메시지 상에 구분인식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S220c)하고, 만약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단문메시지 상에 구분인식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구분인식자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에서 상품 검색에 관한 내용과 모바일 번호를 분리하여 추출(S230c)하게 된다.The product
그리고 상품정보 출력부(190)는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추출된 해당 상품에 관한 의미단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 상에 포함된 모바일 번호로 전송(S420c)한다. The product
나아가서, 사용자가 제공받은 상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추출된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URL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URL 정보를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 단문메시지에 포함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extracted from the
본 발명에 의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 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in detail,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Judgment should be made including scope and equivalence.
도 1은 종래기술 1(출원번호:10-2000-0022155)로서 인터넷 쇼핑몰에 게재된 상품구매조건 분석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nalyzing a product purchase condition publishe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as the prior art 1 (application number: 10-2000-0022155).
도 2는 종래기술 2(출원번호:10-2000-0030786)로서 인터넷 쇼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hopping information as the prior art 2 (application number: 10-2000-0030786).
도 3은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3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정보 제공 장치 내에 구비된 상품정보 추출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5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provi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집된 웹 문서 상에서 의미단어를 추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extracting semantic words from a collected web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상품정보 제공 장치가 연결되어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terminal and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re connected to provide product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method of providing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품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accesses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s information on a product.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PC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제공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에,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FIG. 10 show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goods when a user connects to a providing apparatus over the Internet via a PC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SMS)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product by using a short message (SM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상품정보 제공 장치, 110 : 상품검색 입력부, 100: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10: product search input unit,
130 : 상품정보 수집부, 150 : 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 130: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70 : 상품정보 추출부, 190 : 상품정보 출력부170: produc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90: product information output unit
200 : 이동통신사 서버, 250 : SMSC,200: carrier server, 250: SMSC,
260a, 260b, 270a, 270b : 모바일 단말기, 350 : 웹 문서, 370 : PC 단말기,260a, 260b, 270a, 270b: mobile terminal, 350: web document, 370: PC terminal,
S100~S420c : 본 발명에 대한 흐름도의 각 과정을 나타내는 부호.S100-S420c: The code | symbol which shows each process of the flowchart of this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4616A KR20090039147A (en) | 2007-10-17 | 2007-10-17 |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4616A KR20090039147A (en) | 2007-10-17 | 2007-10-17 |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9147A true KR20090039147A (en) | 2009-04-22 |
Family
ID=4076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4616A KR20090039147A (en) | 2007-10-17 | 2007-10-17 |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39147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471B1 (en) * | 2009-05-15 | 2012-05-15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hopping mall service |
KR101419504B1 (en) * | 2012-08-24 | 2014-07-15 | (주)에이엔비 |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suited shopp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ropensity of an user |
KR20140091172A (en) * | 2013-01-10 | 2014-07-2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ethod for buying product using the usage appraisement of the product,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
KR101509427B1 (en) * | 2014-04-08 | 2015-04-09 | 강운형 | Recommending method of plastic surgery |
-
2007
- 2007-10-17 KR KR1020070104616A patent/KR2009003914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471B1 (en) * | 2009-05-15 | 2012-05-15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hopping mall service |
KR101419504B1 (en) * | 2012-08-24 | 2014-07-15 | (주)에이엔비 |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suited shopp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ropensity of an user |
KR20140091172A (en) * | 2013-01-10 | 2014-07-2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ethod for buying product using the usage appraisement of the product,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
KR101509427B1 (en) * | 2014-04-08 | 2015-04-09 | 강운형 | Recommending method of plastic surg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44352B (en) |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matching of content to advertising information in a network | |
CN101490677B (en) | Presenting search result information | |
KR20110032878A (en) | Keyword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implemented in SNS program | |
KR102142126B1 (en) | Hierarchical Category Cluster Based Shopping Basket Associated Recommendation Method | |
US20110161144A1 (en) |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information extraction program,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 |
US20090119290A1 (en) | On-line e-mai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
CN104050243B (en) | It is a kind of to search for the network search method combined with social activity and its system | |
CN103177129A (en) | Internet real-time information recommendation and prediction system | |
CN101789929A (en) | Online business management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111447575A (en) | Short message pus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WO2014053453A1 (en) | Remote system interaction | |
CN108470289B (en) | Virtual article issuing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E-commerce shopping platform | |
JP2007233584A (en) | Impression determination system, advertisement article generation system, impression determination method, advertisement article generation method, impression determination program, and advertisement article generation program | |
CN108804448A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to be pushed | |
CN110175082A (en) |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notification message | |
KR20090039147A (en) |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60070282A (en) |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mall web sit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KR20010087088A (en) | Apparatus for analyzing the goods purchasing terms posted in internet shopping mall and method thereof | |
KR20190048781A (en) | System for crawling and analyzing online reviews about merchandise or service | |
KR101813003B1 (en) | On-li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JP6506839B2 (en) | Dissatisfi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 |
KR101815558B1 (en) |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 |
KR20160032599A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cealment of social issue | |
JP2002197252A (en) |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formation collection ser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1440385B1 (en) | Device for managing information using indic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