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134A -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134A
KR20090039134A KR1020070104594A KR20070104594A KR20090039134A KR 20090039134 A KR20090039134 A KR 20090039134A KR 1020070104594 A KR1020070104594 A KR 1020070104594A KR 20070104594 A KR20070104594 A KR 20070104594A KR 20090039134 A KR20090039134 A KR 20090039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nsor tag
power line
sensor
u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5497B1 (ko
Inventor
한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4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은, 전력선에 초소형연산장치와 센서를 포함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부착하여 전력선의 온도, 진동, 자기장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전력선을 감시하고, 통합서버로 상기의 측정하고 판별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장애 발생을 알리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무접점 전원공급에 의한 감시 시스템 방법이므로 새로운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수월할 뿐만 아니라 이미 구축된 감시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 또한 용이하므로 유연하고 손쉬운 전력선 감시 시스템을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센서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여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도 상세한 정보를 더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하여 장애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USN, 태그, 전력선, 케이블, 감시시스템

Description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of cable observation based by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에 USN 기반 센서태그를 부착하여 물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기초로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전력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은 유선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 감시 시스템에 대한 추가적인 감시장치의 설치가 배선상의 문제, 통신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선이 지상이나 지중에 있기 때문에 장애처리 요원이 현장에서 대기중인 상태여도 장애발생 원인 및 구체적인 장애발생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어떤 시스템이든지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시스템의 운영에 소모되는 비용을 줄이는 것에 대한 노력은 계속 되고 있고, 그에 따라 전력선 감시 시스템에서도 시스템 운영비용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력선에 초소형컴퓨터와 센서를 포함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부착하여 전력선의 온도, 진동, 자기장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통합서버로 상기의 측정하고 판별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력선을 감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센서태그를 전력선의 누설 자기장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무접점 전원공급방식으로 무선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수월할 뿐만 아니라 이미 구축된 감시 시스템에도 장치의 추가설치가 용이한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무선 네트워크 장비로 센서태그에 무선 접속하여 센서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도 상세한 정보를 더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하여, 장애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무접점 전원공급으로 보다 저렴한 감시 시스템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이하 USN이라 칭한다)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은, 전력선에 소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USN 기반의 센서태그; 상기 센서태그가 전송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센서태그에 인접한 센서태그의 중계에 의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는 통합서버; 및 상기 통합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상이 발생한 위치 또는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센서태그는 전력선의 온도, 진동, 자기장의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전력선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정상 데이터와 상기 위치정보를 함께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웃한 태그로부터 상기 정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상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이상 데이터와 상기 위치정보를 함께 상기 통합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태그는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며 Multihop 방식으로 상기 통합서버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데이터 또는 상태데이터를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로 더 송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센서태그는, 상기 설치된 전력선의 누설 자기장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무접점 전원공급방식으로 상기 센서태그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 전하는 전원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발전부는,상기 자기장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기능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은, 전력선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전력선에 설치된 센서태그가 측정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상기 센서태그로부터 전송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센서태그에 인접한 센서태그를 통한 중계에 의하여 통합서버에서 수신하고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통합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상이 발생한 위치 또는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축함으로써, 새로이 전력선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수월할 뿐만 아니라 이미 구축된 전력선 감시 시스템에 추가설치도 용이하여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현장에서 센서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관리자의 이동 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도 상세한 정보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하여 장애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무접점 전원공급으로 보다 저렴한 감시 시스템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크게 센서태그(300, 301, 302, 303, 304), 통합서버(110) 및 분석부(1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태그는 전력선(310)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310)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바탕으로 이상 유무를 판별하며 상기 측정된 정보 또는 판별된 정보를 통합서버(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설치된 각각의 센서태그가 상기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출력한 상기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들을 기초로 이상이 발생한 위치 또 는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더욱 신속한 장애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인 도 1 및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에서 센서태그의 동작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인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감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USN 기반의 센서태그(100), 통합서버(110) 및 분석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태그(100)는 센서(102), 검출부(104), 데이터관리부(106) 및 전원발전부(10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은 우선적으로, 전력선에 센서태그(100)를 설치한다(S200). 상기 센서태그는 전력선에 소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한다.
상기 소정간격이라 함은 인접한 다른 센서태그와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관리자가 지형, 장애물 및 간섭신호 등의 무선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고려한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이라 함은 전력선의 길이와 상기 소정간격에 따라 센서태그의 수를 조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소정간격과 센서태그의 수는 당업자 간에 센서태그가 설치되는 장소나 지형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 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설치된 센서태그는 센서(102), 검출부(104), 데이터 관리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02)에서 전력선의 온도, 진동, 자기장의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며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검출부(104)에서 상기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검출(S210)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검출부(104)는 연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MCU(Micro Controller Unit) 같은 초소형 연산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102)에서 측정한 물리량을 기초로 상기 센서(102)가 설치된 곳 또는 인접 영역에 대한 전력선의 상태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데이터관리부(106)는 상기 전력선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220).
상기 상태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기 검출부(104)에서 상기 전력선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정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웃한 태그로부터 상기 정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상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이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상기 통합서버(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관리부(106)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수신도 가능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인접 센서태그나 통합서버와의 통신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관리부(106)는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정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때 통합서버를 목적지로 하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웃한 센서태그로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웃한 센서태그로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면 데이터 전송의 절차를 간소화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의 트래픽을 줄임으로써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서버(110)는 상기 센서태그가 전송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S230)하는데,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방법으로 상기 센서태그에 인접한 다른 센서태그의 중계방법에 의하여 수신하고 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태그는 상기 통합서버(110)의 방향에 위치해 있는 인접한 센서태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인접한 센서태그는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를 다시 상기 통합서버에 더 인접한 센서태그로 중계한다. 센서태그는 통합서버에 더 인접한 다른 센서태그로의 중계에 의한 전달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통합서버(1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센서태그는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며 Multihop 방식으로 상기 통합서버(110)를 목적지로 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라우팅 기능으로 중계 가능한 경로를 설정하고, Multihop 방식으로 상기 통합서버의 방향에 있는 모든 센서 태그의 중계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통합서버의 방향에 있는 센서태그 중 선택에 의해 중계를 함으로써, 장애가 발생하였어도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자체적인 컨트롤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분석부(120)는 상기의 전송 및 저장 과정을 거쳐 상기 통합서버(110)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데이터를 송신한 센서태그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상이 발생한 위치 또는 발생 원인을 분석(S240)하여 신속한 장애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서태그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데이터 또는 상태데이터를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로 더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장애상황을 더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장애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태그에서 필요한 전원은 밧데리 등의 개별 전원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으나, 전자기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원리에 의해 무접점 전원공급방식으로 구성되는 전원발전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발전부(108)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무접점 전원공급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을 위하여 코일부(107) 및 정류회로(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전원발전부(108)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볼 때, 상기 코일부(107)의 구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전력선(310)을 통해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며, 이렇게 지속적으로 흐르는 전류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른 자기장(311)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코일부(107)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생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비례한 교류 전류를 전자기유도 원리에 의해 생성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그 후, 상기 생성된 교류 전류를 정류회로(109)에서 정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센서 태그 등에서 필요로 하는 DC전원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원하는 DC전압을 얻기 위하여 추가로 레귤레이터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코일의 턴수는 전력선의 전압이나 기구 형태 등에 의해 당업자에 따라 다양한 변형례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는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력선에 설치되는 만큼, 설치된 전력선의 부가적인 전원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발전부(108)는 상기 전력선(3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성하므로, 상기 전력선에서의 전류가 변화되는 경우, 이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전원발전부(108)가 생성하는 전력의 크기가 변하게 되므로, 상기 전원발전부(108)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크기에 대한 변화는 결국, 전력선(310)의 물리량의 하나인 자기장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메타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발전부(108)는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의 정상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이상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a와 3b를 참조하여 상기의 상황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310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태그가 부착되는 대상 전력선을 의미하며, 상기 전력선(310)에는 센서태그들(300, 301, 302, 303, 304)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더욱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센서태그들을 각각 명할 때는 제1센서태그(300), 제2센서태그(301), 제3센서태그(302), 제4센서태그(303) 및 제5센서태그(304)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수에 대한 표현은 각각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명칭에 해당될 뿐, 반드시 서수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센서태그들(300, 301, 302, 303, 304)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선(310)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기초로 상기 전력선(310)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며 전송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3a에서는 장애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센서태그들(300, 301, 302, 303, 304)은 각각 이웃한 태그로만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도 3b에서는 제1센서태그(300)에서 상기 전력선에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를 통합서버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다른 센서태그들(301, 302, 303)을 거치지 않고 제5센서태그(304)만의 중계를 받아 통합서버로 전송하고 있다.
즉, 제1센서태그(300)가 최단경로를 라우팅하여 Multihop 방식에 의해 다른 센서태그들(301, 302, 303)을 거치지 않고 제5센서태그(304)의 중계만으로 통합서버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Multihop 방식은 데이터 전송경로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제3센서태그가 고장인 경우에서도 제1센서태그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효과가 있다.
즉, 센서태그가 보내는 데이터를 중계할 센서태그가 고장인 경우 다른 경로를 라우팅하고 고장인 센서태그는 도약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복적으로 센서태그가 고장인 상태인 경우에도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제1센서태그(300)의 고장으로 정상동작을 할 수 없는 경우 제2센서태그(301)는 제1센서태그에서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데이터를 통합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장애 또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개략도 및 정상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개략도 및 이상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발전부가 전원을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센서태그 102 : 센서
104 : 검출부 106 : 데이터관리부
108 : 전원발전부 110 : 통합서버
120 : 분석부

Claims (11)

  1. 전력선에 소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USN 기반의 센서태그;
    상기 센서태그가 전송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센서태그에 인접한 센서태그의 중계에 의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는 통합서버; 및
    상기 통합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상이 발생한 위치 또는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태그는,
    전력선의 온도, 진동, 자기장의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전력선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정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웃한 태그로부터 상기 정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상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이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상기 통합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태그는,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며 Multihop 방식으로 상기 통합서버를 목적지로 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태그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데이터 또는 상태데이터를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태그는,
    상기 설치된 전력선의 누설 자기장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무접점 전원공급방식으로 상기 센서태그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전하는 전원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전부는,
    상기 자기장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7. 전력선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상태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전력선에 설치된 센서태그가 측정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상기 센서태그로부터 전송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센서태그에 인접한 센서태그를 통한 중계에 의하여 통합서버에서 수신하고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통합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상이 발생한 위치 또는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센서태그에 포함된 센서가 상기 전력선의 온도, 진동, 자기장의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센서태그에 포함된 검출부가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력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센서태그에 포함된 데이터관리부가 상기 검출단계에서 상기 전력선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정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웃한 태그로부터 상기 정상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상 상태 에 대한 데이터인 이상 데이터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상기 통합서버로 전송하는 전송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며 Multihop 방식으로 상기 통합서버를 목적지로 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태데이터를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태그는,
    상기 설치된 전력선의 누설 자기장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무접점 전원공급방식으로 상기 센서태그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발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방법.
KR1020070104594A 2007-10-17 2007-10-17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3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94A KR100935497B1 (ko) 2007-10-17 2007-10-17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94A KR100935497B1 (ko) 2007-10-17 2007-10-17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134A true KR20090039134A (ko) 2009-04-22
KR100935497B1 KR100935497B1 (ko) 2010-01-06

Family

ID=4076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594A KR100935497B1 (ko) 2007-10-17 2007-10-17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4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5648A1 (de) * 2010-08-27 2012-03-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ntrolle einer Freileitungsanlage
KR101988505B1 (ko) * 2018-12-11 2019-06-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하 전력구의 전력선 접속점 온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0727A1 (ko) * 2020-10-15 2022-04-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자산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산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3440A (ja) * 2005-05-17 2006-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収集システム
KR100721251B1 (ko) * 2005-12-02 2007-05-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지중배선계통 사고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5648A1 (de) * 2010-08-27 2012-03-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ntrolle einer Freileitungsanlage
KR101988505B1 (ko) * 2018-12-11 2019-06-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하 전력구의 전력선 접속점 온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0727A1 (ko) * 2020-10-15 2022-04-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자산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497B1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519B2 (en) Wireless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using a power line signal
KR100832524B1 (ko) 센싱과 usn기술을 적용한 지하 전력구 전력선 온도 및가스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CN102762969A (zh) 传感器供电的无线缆线泄露检测
KR101287627B1 (ko) 배전 선로 단선 감지 시스템
CN102833094A (zh) 基于监测网络业务的网络入侵检测系统、方法和器件
KR100935497B1 (ko) Usn 기반 센서태그를 이용한 전력선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210147890A (ko) 전기 시스템 모니터링 및/또는 고장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33393A1 (e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sensing
KR20090025498A (ko) 전력선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WO2017158921A1 (ja) 断線検出装置
KR20110074480A (ko) 화재 관련 상황 인지가 가능한 서버
KR20210034473A (ko) 사물 인터넷 기반 피뢰침 시스템
EP313662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N108737984A (zh) 一种地下电缆检测系统
WO2017002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in an overhead power line
CN108917827A (zh) 一种基于温度及水敏信息的地下电缆监测系统
KR102258883B1 (ko) 배전선로 상에서 선로사고 발생지점 검출방법
JP2019528429A (ja) 複数の分配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障害箇所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6593745B2 (ja) データ駆動型処理装置
KR102035568B1 (ko) 화재감지기 체결형 스마트 어댑터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JP6167085B2 (ja) 無線測定システム、無線センサ端末及び機器管理方法
KR101475924B1 (ko) 지자기 검지기를 이용한 차량검지시스템
CN205593557U (zh) 用于母线的检测装置及检测系统
US2014000206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tal detection
JP7331336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