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364A -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364A
KR20090038364A KR1020080100308A KR20080100308A KR20090038364A KR 20090038364 A KR20090038364 A KR 20090038364A KR 1020080100308 A KR1020080100308 A KR 1020080100308A KR 20080100308 A KR20080100308 A KR 20080100308A KR 20090038364 A KR20090038364 A KR 20090038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laser
stereoscopic imag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655B1 (ko
Inventor
황서영
송재연
이건일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for generating or manipulating the scene composition of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6Content authoring involving a specific file format, e.g. MP4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16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daptation to the client's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기반의 단말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단으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된 LASeR 컨텐츠에서 LASeR 명령어들을 확인하여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된 LASeR 컨텐츠에 포함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라면, 상기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LASeR, MPEG-4,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Description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three-dimension image/video contents on terminal based on 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이하 'LASeR'라 칭함) 기반의 데이터에 포함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ASeR는 이동 단말과 같이 가용 자원이 부족한 통신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포맷을 말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최근 논의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각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구성 및 표현에 관한 기술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이다.상기 LASeR는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폰트, 텍스트, 메타데이터(metadata), 스크립트(script)와 같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자유로운 표현과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제안된 기술이다. 상기 LASeR의 데이터들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접근단위(access unit, 이하 'AU'라 칭함)로 구성되며, 상기 명령어는 특정 시간의 장면 특성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명령어들은 하나의 묶음으로 하나의 AU에 들어간다. 상기 AU는 하나의 장면, 소리 또는 짧은 애니메이션 등이 될 수 있다. 현재, LASeR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와 융합될 수 있도록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W3C의 SVG(Scalable Vector Graphics)과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표준을 이용한다. 상기 SVG는 수학적인 방법으로 장면을표현하기 때문에 화면이나 해상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화질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텍스트 기반이므로 적은 데이터 용량으로 효과적인 장면의표현이 가능하다. 상기 SMIL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시간적, 공간적 관계를 정의하고 도시한다. 상기 SVG와 SMIL을 이용하면, 오디오, 비디오, 문자, 영상, 다면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 LASeR 컨텐츠를 수신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LASeR 컨텐츠는 Video, Audio등의 미디어를 포함하여 실제 단말에서 서비스 되는 장면에서 보여지는 모든 자원 요소들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100단계에서 LASeR 서비스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110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LASeR 서비스의 LASeR 컨텐츠를 복호화(Decoding)하고, 12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한 LASeR 컨텐츠에서 LASeR 명령어들을 확인하여 실행한다. 13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LASeR 컨텐츠의 모든 이벤트들을 처리하고, 140단계에서 미디어 객체의 시 간 정보에 따라 미디어 객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150 단계에서 장면구성요소들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LASeR 컨텐츠를 수신한 단말 동작은 ISO/IEC 14496-20 : MPEG-4 LASeR 표준 문서의 실행 모델(Execution Model)을 따른다. 상기 설명한 LASeR 컨텐츠는 LASeR 언어를 사용하여 <표 1>의 구문(syntax)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아래 <표 1>에 의하면, 단말은 레이저 명령어(<NewScene>) 가 수행될 때마다 해당 레이저 명령어 내에 포함된 장면(<svg>…</svg>)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NewScene> <svg width="480" height="360" viewBox="0 0 480 360"> … </svg> </NewScene>
한편, 최근의 영상 기술은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보다 사실적이고 현실감 있는 영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의 하나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장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객체를 추출해내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복잡한 연산과 계산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인간 시각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을 각각 해당 위치에 주사한 후, 좌시점과 우시점을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분리하여 상이 맺히게 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면에서 가능성을 인정 받아 널리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양안 시차 방법을 사용하여 만든 입체 영상을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라고 한다.
입체 영상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Barrier LCD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적은 데이터 용량으로 다양한 요소들을 사용하여 풍부한(Rich) 장면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업자들이 장면 표현 도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기 LASeR를 선택하여 서비스하고자 한다.
그러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은 좌, 우 영상 데이터를 함께 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도 2a에 도시한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림과는 차이가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림은 다수의 영상 프레임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e는 일반적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b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은 좌, 우 영상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2c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은 좌, 우 영상을 한 줄씩 끼워짜기 방식(인터리빙)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2d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은 좌, 우 영상의 프레임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도 2e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은 좌, 우 영상을 각기 다른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도 2b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은 기존의 비디오 스트림과는 달리 좌, 우의 영상이 두 개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되더라도 좌, 우 영상이 각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혹은 하나의 프레임에 혼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은 단말 디스플레이의 LCD Barrier 타입에 따라 좌, 우 두 영상이 합쳐져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LASeR 기반의 단말은 하나의 미디어 요소에 대해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만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경우, 도 2e의 참조번호(210)과 같이 두 개 이상의 비디오 스트림이 전달될 경우,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식별할 수 없게 된다. 혹은 단말은, 두 개 이상의 비디오 스트림들 중 인식 가능한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체영상을 보여주지 못한다.또한 도 2b 내지 도 2d와 같이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도 2d의 참조번호(200)과 같이 좌, 우 두 영상이 합쳐진 입체영상이 아니라, 좌, 우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일반 비디오 영상이 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b의 경우는 거의 똑같아 보이는 좌, 우 영상을 한 화면에 나누어 보아야 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쓸데없이 비디오의 크기만 줄어들뿐더러, 역시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 2c의 경우도 일그러진 영상으로 보여지게 되므로, 상기 다른 예들과 마찬가지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서비스하고자 하는 경우에,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망된다. 또한 단말에 탑재된 LASeR 엔진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지원여부에 관계없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의 정보를 해석하여 최적화된 영상이 LASeR 엔진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요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LASeR 서비스에서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처리할 수 없는 수신 단말이 해당 컨텐츠를 제어하여 최적화된 컨텐츠를 서비스 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단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LASeR 컨텐츠를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인코딩된 LASeR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 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단으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된 LASeR 컨텐츠에서 LASeR 명령어들을 확인하여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된 LASeR 컨텐츠에 포함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라면, 상기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단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생성하는 LASeR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LASeR 컨텐츠를 LASeR 인코딩하는 LASeR 인코더와, 상기 인코딩된 LASeR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LASeR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AV 처리부와, LASeR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LASeR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LASeR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LASeR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면 구성을 제어하는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와,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LASeR 장면 구성 정보들에 따라 LASeR 데이터를 구성하여 출력하는 LASeR 렌더러와, 상기 LASeR 장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LASeR 렌더러가 구성하는 LASeR 장면의 일부로서 상기 AV 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담고 있는 요소 및 속성 정보들을 정의하여 전송함으로써 LASeR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수신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여 최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처리할 수 없는 수신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처리함으로써 최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한 장면구성 정보를 송신측이 전송하고, 상기 장면구성 정보를 단말이 수신하여 최적화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수신하는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지원여부에 관계없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치미디어 엔진(Rich Media Engine, 이하 'RME'라 칭함)중 LASeR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을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그 외의 RME 기반 단말에서는 상기 LASeR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의 실시 예를 바탕으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단말에 적용되는 RME 혹은 시스템이 바뀌는 경우에는, 상기 LASeR 엔진이외에 각 RME 혹은 시스템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명칭으로의 엔진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 우 두 영상으로 양안 시차 방법을 사용한 스테레오 스코픽 입체 영상을 특히 다루고 있으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장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객체를 추출해내는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입체 영상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이 확장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ASeR엔진이 수신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LASeR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단말이 수신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 단말의 LASeR 장면구성 및 명령어를 처리하는 LASeR 엔진이 제어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LASeR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LASeR 컨텐츠에 포함되는 순수한 LASeR 언어로 구성된 컨텐츠의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요소 및 속성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요소는 장면을 구성하는 개체의 기본 단위를 의미하며, 상기 속성은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의 특성을 의미한다.
도 3를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단말은 LASeR 컨텐츠를 수신하고, 3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된 LASeR 컨텐츠를 복호화(Decoding) 한다. 그리고, 32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복호화한 LASeR 컨텐츠에서 LASeR 명령어들을 확인하여 실행한다. 이때, LASeR 명령어 내에 포함되는 LASeR 장면 구성 요소들을 해석한다. 상기 LASeR 명령어는 장면의 변화를 선언적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새로운 장면을 그리라는 명령어인 'NewScene', 요소 및 속성을 삽입하라는 명령어인 'Insert', 요소 및 속성를 삭제하라는 명령어인 'Delete'등이 있다. 상기 LASeR 장면 구성 요소는 장면을 구성하는 미디어 및 그래픽 개체들을 선언적 방법으로 표현하는 엘리먼트(element)와 각 엘리먼트의 속성을 표현하는 어트리뷰트(attribute) 및 이벤트와 스크립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단말이 수신한 LASeR 컨텐츠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포함하므로, 33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를 해석한다. 여기서, 상기 장면 정보는 장면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구성 및 각 요소의 특성과 인터렉션의 처리에 관한 정보들을 의미한다. 34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LASeR 컨텐츠의 모든 이벤트들을 처리하고, 350단계에서 미디어 객체의 시간 정보에 따라 미디어 객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35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LASeR 컨텐츠는 장면 구성 요소로써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하므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시간 정보에 따라 입체 영상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게된다. 그리고, 단말은 360단계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하는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은 상기 330단계에서 해석한 정보에 따라 서비스 된다. 하기의 <표 2> 는 LASeR 컨텐츠의 LASeR 헤더 정보에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제공 여부에 관한 속성을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이다. 상기 LASeR 헤더 정보는 상기 도 3의 320단계의 LASeR 명령어 를 확인하기 전에, 확인할 수 있다. <표 2>와 같이 LASeR 헤더의 신규 속성은 LASeR 헤더의 속성 그룹을 확장하여 정의할 수 있다. <표 2>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제공 여부에 관한 신규 속성(attribute)으로 'stereoscopic'를 정의하고, 상기 속성의 타입을 불린(Boolean)으로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다. 'stereoscopic'는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의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며, 상기 신규 속성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수신 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인지 아닌지의단말 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나타내고,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아님을 나타낸다.'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수신 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인지 아닌지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로 사용될 경우,'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LASeR 엔진은 수신 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인지 아닌지의 혹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 등의 단말 정보를 확인한다.
<xs:complexType name="LASeRHeaderTypeExt"> <xs:complexContent> <xs:extension base=" lsr:LASeRHeaderType "> <attribute name="stereoscopic" type="boolean" use="optional"/> </xs:extension> </xs:complexContent> </xs:complexType> <element name="LASeRHeader" type="lsr:LASeRHeaderTypeExt"/>
본 명세서에서는 속성 및 요소를 정의하기 위해 스키마(schema)를 사용한 예를 들었다. 상기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해 놓은 일종의 모델링 문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스키마는 'XML Schema'문법을 따르고 있으며, 스키마의 요소들, 선언에 들어갈 수 있는 엘리먼트(element) 콘텐츠를 규정하기 위한 복합타입(complexType), 기존의 타입을 사용하여 새로운 타입을 작성하기 위한 복합컨텐츠(complexContents), 이미 존재하고 있는 데이터형에 추가하여 선언하기 위한 확장(extension) 등을 사용하여 스키마를 정의할 수 있다. 속성 및 요소의 구조를 정의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반드시 스키마를 이용한 방법이 아니라 해도, 동일한 의미를 담고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 2>에서 접두어 "lsr:"는'lsr'라고 선언된 네임스페이스(name space) 접두어 를 참조하는 즉, LASeR 엔진이 해석(parsing) 할 수 있는 내용임을 의미한다.
하기의 <표 3a> 및 <표 3b>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표현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한 'stereoscopicVideo' 및 'stereoscopicImage' 요소를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이다. 상기 'stereoscopicVideo' 및 'stereoscopicImage' 요소의 타입은 종래의 LASeR의 장면 구성을 위한 요소(Element)인 'video'및 'image'요소의 속성 타입인 'videoType'및 'imageType'을 확장하여 'stereoscopicVideoType' 및 'stereoscopicImageType'을 정의할 수 있다.
<complexType name="stereoscopicVideo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lsr:videoType"> . . .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element name="stereoscopicVideo" type="lsr:stereoscopicVideoType"/>
<complexType name="stereoscopicImage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lsr:imageType"> . . .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element name="stereoscopicImage" type="lsr:stereoscopicImageType"/>
하기의 <표 4a> 내지 <표 4c>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대한 정보들을 나타내는 신규 속성 각각을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이다.
아래 <표 4a>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구성타입인 'compositionType' 속성을 정의하는 일 예 이다. 'compositionType'의 속성값은 'stereoscopicCompositionType'으로 정의된 바와 같이 'side-by-side type', '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 'frame sequential type', 'Left/Right view sequence type' 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ide-by-side type'은 도 2b와 같이 좌, 우 영상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타입을 의미한다. '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은 도 2c와 같이 좌, 우 영상을 한 줄씩 끼워짜기 방식(인터리빙)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타입을 의미한다. 'frame sequential type'은 도 2d와 같이 좌, 우 영상의 프레임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타입을 의미한다. 'Left/Right view sequence type' 은 도 2e와 같이 좌, 우 영상을 각기 다른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타입을 의미한다. 그외에도,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타입은 한 프레임의 아랫부분과 윗 부분 각각에 좌우 영상을 구성하는 'top and bottom type' , 각 픽셀 마다 좌우 영상을 구성하는 'pixel-by-pixel type'등 이 외에도 다양한 타입들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속성값들은 의미하는 바가 동일하다면 다른 이름 혹은 다른 값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tribute name="compositionType" type="stereoscopicCompositionType" use="optional"/> <simpleType name=" stereoscopicComposition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side-by-side type"/> <enumeration value="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 <enumeration value="frame sequential type"/> <enumeration value="Left/Right view sequence type"/> <!-- enumeration value="top and bottom type"/ --> <!-- enumeration value="pixel-by-pixel type"/--> </restriction> </simpleType>
아래 <표 4b>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두 영상 중 즉, 좌영상과 우영상 중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priorView' 속성을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 이다. 아래의 <표 4b>에서 'priorView'의 속성값은 'priorViewType'으로 정의된 바와 같이 'LEFT_view', 'RIGHT_view'를 사용할 수 있다. 'LEFT_view'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좌영상을, 'RIGHT_view'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우영상을 의미한다. 상기 속성값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들 중 영상 표현에 있어 어느 영상의 우선순위가 높은지 낮은지를 지시하는 'primaryView', 'secondaryView'등과 같이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장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객체를 추출해내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입체 영상의 경우, 좌, 우 영상이 아닌 여러 장의 영상 중에서 우선 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정수의 속성값들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priorView' 신규 속성의 속성값이 'LEFT_view'라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 우영상 중 좌영상이 영상 표현에 있어 우선권이 있음을 뜻하므로, 입체 영상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말과 같이 한 영상만을 선택하여 보여야 할 경우 좌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어야 함을 뜻한다. <표 4b>의 예제에서는 'priorViewType'의 속성값을 열거형(enumeration)으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string', 'boolean', 'anyURI', 'hexbinary', 'base64Binary', 'mormalizedString', 'NMTOKENS', 'ID', 'IDREF', 'Interger', 'PositiveInteger'등의 속성값의 표현방법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타입으로도 지정할 수 있다.
<attribute name="priorView" type="priorViewType" use="optional"/> <simpleType name="priorView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LEFT_view"/> <enumeration value="RIGHT_view"/> </restriction> </simpleType>
아래 <표 4c>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지원할 것인지, 일반 영상 모드로 지원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Mode' 속성을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 이다. 'stereoscopicMode'의 속성값은 불린(Boolean) 타입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ON', 'OFF'와 같이 표현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stereoscopicMode' 속성은 사용자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처리 가능 여부, 혹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입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 이다. 상기 속성을 사용하여 단말의 타입이나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입체영상의 서비스 모드를 달리 하여 서비스 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서비스를 원하지않는 사용자에게는 'stereoscopicMode = false' 또는 'stereoscopicMode = OFF'로 설정하여 제공하면 된다. 반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stereoscopicMode = true' 또는 'stereoscopicMode = ON'로 설정하여 제공하면 된다.
상기 'stereoscopicMode'속성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나타내는 요소나 속성과 함께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LASeR의 다른 장면 구성 요소들의 속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지원 여부 및 사용자의 입체 영상 선호도에 따라 장면 구성을 달리하여 서비스 하고자 하는 경우, LASeR 컨텐츠를 'stereoscopicMode=true'인 하나의 장면세트와 'stereoscopicMode=false'인 또다른 장면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측에서 다양한 단말 및 사용자에 동일한 하나의 LASeR 컨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수신 측에서는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지원 여부 및 사용자의 입체 영상 선호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장면세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한 LASeR 컨텐츠를 두 개의 다른 단말들을 통해 수신할 경우, 동일한 컨텐츠를 수신하였음에도 하나의 단말에서는 'stereoscopicMode=true'인 장면을, 다른 단말에서는 'stereoscopicMode=false'인 장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stereoscopicMode'속성은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여 표현할 수 있는 'g', 'switch', 'lsr:selector' 등인 컨테이너(container) 요소의 속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요소란 내부에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attribute name="stereoscopicMode" type="boolean" use="optional"/> <!-- OR --> <attribute name="stereoscopicMode" type="stereoscopicModeType" use="optional"/> <simpleType name="stereoscopicMode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ON"/> <enumeration value="OFF"/> </restriction> </simpleType>
상기의 <표 4a> 내지 <표 4c>에서 정의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대한 정보들을 나타내는 신규 속성 들인 "compositionType", "priorView", "stereoscopicMode"는 상기 <표 3a> 및 <표 3b>에서 설명한 'stereoscopicVideoType' 및 'stereoscopicImageType'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표 5>는 본 발명에서 정의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대한 속성 정보들을 포함하는 'stereoscopicVideoType' 및 'stereoscopicImageType'을 정의한 스키마의 일 예이다.
<complexType name="stereoscopicVideo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lsr:videoType"> <attribute name="compositionType" type="stereoscopicCompositionType" use="optional"/> <attribute name="priorView" type="priorViewType" use="optional"/> <attribute name="stereoscopicMode" type="boolean" use="optional"/>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stereoscopicImage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lsr:imageType"> <attribute name="compositionType" type="stereoscopicCompositionType" use="optional"/> <attribute name="priorView" type="priorViewType" use="optional"/> <attribute name="stereoscopicMode" type="boolean" use="optional"/>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상기 <표 5>와 같이 정의한 'stereoscopicVideoType' 및 'stereoscopicImageType'은 비디오 및 이미지 등 미디어 개체의 특성 및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련된 보다 다양한 정보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stereoscopicVideoType' 및 'stereoscopicImageType'혹은 그에 포함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련된 신규 속성들 즉, 상기 <표 4a> 내지 <표 4c>의 신규 속성들은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한 요소인 'stereoscopicVideo' 및 'stereoscopicImage'의 속성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Video'나 'Image' 요소의 속성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신규 정의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련된 속성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장면 구성 요소의 속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소 및 속성들이 가지는 의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요소 및 속성이나 속성값들의 이름이 다른 것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 <표 6a> 내지 <표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규 요소 및 속성을 사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하는 LASeR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LASeR 데이터의 일 예이다.
<!-- LASeR Header --> <LASeRHeader … stereoscopic="true"/> <NewScene> <svg> … <stereoscopicVideo x="10" y="10" width="100" height="100"begin ="5"end="50"xlink:href="http://www.example.com/myfile.mp4#ffp(track_ID=1)"compositionType="frame sequential type"priorView="LEFT" stereoscopicMode="true"/> </svg> </NewScene>
상기 <표 6a>의 예를 보면, <표 2>에서 정의한 'stereoscopic'속성을 이용하여 LASeR 컨텐츠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표 6a>를 살펴보면, 새로운 장면을 그리는 동작을 하는 장면구성 명령어인 'NewScene'의 장면 구성의 요소로 <표 3a>에서 정의한 'stereoscopicVideo'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stereoscopicvideo' 요소는 파일명이 'myfile.mp4'인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track_ID=1'인 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되는 장면에서 (10, 10)인 부분을 시작으로 화면에 보여지는 크기의 폭(width)이 '100'이고, 높이(height)가 '100'이 되도록 위치하게 하게하고, LASeR 컨텐츠 장면의 시작시간으로부터 '5'정도의 시간이 지난 이후 부터 '50'인 시간까지 재생할 것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5'와 '50'의 시간의 단위는 sec가 될 수도 있으며, msec가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시간의 단위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 및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는 각 화면을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상기 'track_ID=1'인 영상 스트림의 구성타입은 'frame sequential type'이며, 장면 표현에 우선권을 가지는 영상은 'priorView=LEFT'이므로 좌영상이며, 'stereoscopicMode=true'이므로 기본적으로 입체 영상 모드로 영상을 서비스할 것을 기술하고 있다.
<NewScene> <svg> … <video x="10" y="10" width="100" height="100"begin ="5"end="50"xlink:href="http://www.example.com/myfile.mp4#ffp(track_ID=1)"compositionType="frame sequential type"priorView="LEFT" stereoscopicMode="true"/> </svg> </NewScene>
상기 <표 6b>의 예는 상기 <표 6a>의 예와 동일한 LASeR 데이터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위한 새로운 요소를 정하여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video' 요소에 본 발명에서 정의한 새로운 속성들을 추가하여 표현한 예를 보인 것이다. 또한 상기 <표 6b>의 예에서와 같이 LASeR 헤더에 정의된 속성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본의 'video' 요소에 본 발명에서 정의한 새로운 속성 중 'stereoscopicMode=true'만을 추가하여 기술하는 예의 경우에도, 해당 'video'요소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단말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LCD Barrier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거나, 두 개의 영상 스트림으로 구성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한쪽 영상만을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stereoscopicVideo … src01="http://www.example.com/myfile.mp4#ffp(track_ID=1)" src02=" http://www.example.com/myfile.mp4#ffp(track_ID=2)" compositionType="Left/Right view sequence type" priorView="PrimaryView" stereoscopicMode="true" /> …
상기 <표 6c>의 예는 'xlink:href'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새로운 속성 'src01'및 'src02'을 정의하여, 좌영상과 우영상을 두 개의 영상 스트림에 각각 담아 구성한 'compositionType=Left/Right view sequence type'의 두 영상 스트림을 모두 기술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 단말은 두 영상을 동시에 서비스 해야 함을 확인하여, 입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ompositionType=Left/Right view sequence type'의 두 영상 스트림을 모두 기술하지 않는 <표 6a> 및 <표 6b>와 같이 기술하는 경우, 단말은 복수개의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하여, 'xlink:href'의 속성을 통하여 참조하는 하나의 영상 스트림과 관계가 있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기술하는 영상 스트림이 좌영상일 경우, 해당 좌영상과 쌍을 이루는 또 다른 영상 스트림 즉, 우영상 찾아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ASeR 컨텐츠를 수신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 비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데이터 스트림에서, 네트워크 세션의 관리, 복호화 과정 및 단말에서의 동작의 변화 또는 데이터 혹은 인터페이스에서의 입출력에 대한 내용을 이벤트로 정의할 수 있다. 정의된 이벤트를 LASeR 엔진에서 감지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대한 장면의 변화나 단말의 동작의 변화 시킨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단말 타입의 변화를 체크하는 신규 이벤트를 정의하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단말은 LASeR 컨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4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된 LASeR 컨텐츠를 복호화(Decoding)하고, 42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한 LASeR 컨텐츠에서 LASeR 명령어들을 확인하여 실행한다. 이때, LASeR 명령어 내에 포함되는 LASeR 장면 구성 요소들을 해석한다. 또한, 상기 단말이 수신한 LASeR 컨텐츠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이를 해석한다. 그리고, 단말은 430단계에서 상기 LASeR 컨텐츠의 모든 이벤트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하는 단말 타입의 변화에 따른 신규 이벤트 등을 처리하고, 440단계에서 미디어 객체의 시간 정보에 따라 미디어 객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44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LASeR 컨텐츠가 장면 구성 요소로써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시간 정보에 따라 입체 영상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단말은 450단계에서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포함하는 LASeR 컨텐츠의 경우, 상기 420단계에서 해석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LASeR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서비스 된다. 상기 신규 이벤트는 상기 430단계에서 바로 감지하여 처리할 수도 있고, 460단계와 같이 장면이 디스플레이 된 후에 사용자의 입력이 들어오거나,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발생한 신규 이벤트 처리의 일 예로, 460단계에서 단말 즉 LASeR 엔진이 신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430단계로 진행하여 'ev:listener'(listener) 요소(element)를 통하여 연관된 'script'요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 <표 7a> 및 <표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정의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모드 변화에 대한 신규 이벤트의 정의의 예이다.
Name namespace Description
stereoscopic_ON Urn:mpeg:mpeg4:laser:2008 단말이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경우 발생한다.
stereoscopic_OFF Urn:mpeg:mpeg4:laser:2008 단말이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경우 발생한다.
상기 <표 7a>에서 정의한 'stereoscopic_ON'이벤트는 단말이 입체영상을 지원할 수 있게 되는 경우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이다. 단말의 LCD Barrier가 켜지거나 입체영상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나 단말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등 단말이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가 입체 영상 컨텐츠로 바뀌는 등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다. 'stereoscopic_OFF'이벤트는 단말이 입체영상을 지원할 수 없는 상태로 변경 되는 경우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이다. 단말의 LCD Barrier가 꺼지거나 입체영상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나 단말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등 단말이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상태가 되거나, 제공하는 입체 영상 컨텐츠가 일반 영상 컨텐츠로 바뀌는 등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다.
Name namespace Description
stereoscopicModeChanged Urn:mpeg:mpeg4:laser:2008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발생한다.
상기 <표 7b>에서 정의한 'stereoscopicModeChanged'이벤트는 단말의 입체영상 지원 여부가 변경 되는 경우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이다. 예컨대, 단말이 입체영상을 지원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입체영상을 지원할 수 없는 상태로 변경 되거나, 입체영상을 지원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입체 영상을 지원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Changed' 이벤트가 발생한다. 즉,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이벤트이다.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는 도시되지 않은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표 8a>는 상기 <표 7a>에서 정의한 이벤트를 사용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예이다. 'stereoscopic_ON'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즉,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모드가 활성화되면(사용자가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모드를 켜면), 이벤트 리스너(Listener)가 이를 인지하여 이벤트 핸들러에게 '#stereoscopicModeON' 이라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이벤트 리스너와 이벤트 핸들러는 LASeR 장면 구성 요소의 하나로, 도 7의 LASeR Scene Tree Manager(710)가 LASeR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이벤트 리스너와 이벤트 핸들러에게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stereoscopicModeON'이라는 동작은 'id'속성값이 'video01'인 장면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stereoscopicMode=false'인 해당 요소의 속성 'stereoscopicMode'의 속성값을 'true'로 바꾼다.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이나 신호 흐름, 해당 이벤트가 의미하는 바가 같은 한, 이벤트 핸들러의 동작은 다양한 동작 및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ev:listener handler="#sterescopicModeON" event="stereoscopic_ON"/> <script id="stereoscopicModeON"> <lsr:Replace ref="video01" attributeName="stereoscopicMode" value="On"/> </script> <video id="video01"... stereoscopicMode="false".../> ...
하기의 <표 8b>는 상기 <표 7b>에서 정의한 이벤트를 사용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예이다. 'stereoscopicModeChanged'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리스너가 이를 인지하여 이벤트 핸들러에게 '#refreshScene' 이라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refreshScene'이라는 동작은 현재의 장면을 다시 한번 새로이 그릴 것을 명령하는 'refreshScene' 명령어를 수행한다.
<ev:listener handler="#refreshScene" event="stereoscopicModeChanged"/> <script id="refreshScene"> <lsr:refreshScene/> </script> <NewScene> <switch> <g stereoscopicMode="ON"> <StereoscopicVideo xlink:href="a.mpg#ffp(trackID=1)" compositionType="side-by-side type" priorView="LEFT" /> </g> <g stereoscopicMode="OFF"> <video xlink:href="a.mpg#ffp(trackID=3)"/> </g> </switch> </NewScene>
본 발명에서 신규 정의한 요소, 속성 및 이벤트는 외부에 따로 정의하여 참조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에 정의된 데이터를 참조하는 방식은 해당 데이터의 구조화된 정보를 탐색 또는 검색하거나, URI 타입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링킹(linking)하여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요소나 속성의 값(value) 역시 외부에 따로 정의하거나 위치할 경우, 이를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 LASeR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00단계에서 송신기는 앞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들에서 정의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 및 이벤트를 포함하는 LASeR 컨텐츠를 생성하고, 505단계에서 상기 500단계에서 생성된 LASeR 컨텐츠를 인코딩한다. 그리고, 송신기는 상기 505단계에서 인코딩된 LASeR 컨텐츠를 510단계에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LASeR 컨텐츠 생성부(600)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 및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LASeR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LASeR 컨텐츠를 구성하는 video, audio 등의 미디어 데이터가 함께 포함되어 하나의 논리적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미디어 데이터는 LASeR 데이터와 분리하여 따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LASeR 컨텐츠 생성부(600)는 생성된 레이저 컨텐츠를 LASeR 인코더(610)로 전달한다. LASeR 인코더(610)는 상기 LASeR 컨텐츠 생성부(600)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저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레이저 컨텐츠를 LASeR 컨텐츠 전송부(620)로 전송한다. 상기 LASeR 컨텐츠 전송부(620)는상기 LASeR 인코더(610)로부터 전달받은 인코딩된 레이저 컨텐츠를 단말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이 수신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인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760)는 AV 처리부(740)로, LASeR 데이터 스트림인 LASeR 데이터(750)는 LASeR 디코더(700)로 각각 입력된다. LASeR 컨텐츠를 구성하는 video, audio 등의 미디어 데이터가 함께 포함되어 하나의 논리적 스트림으로 구성된 경우, 단말이 수신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 스트림을 각 데이터의 처리부로 입력하기 전에 각기 물리적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LASeR 디코더(700)는 상기 수신된 LASeR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LASeR Scene Tree Manager)(710)로 전달한다.
LASeR 데이터는 LASeR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정보 및 특성들을 나타내는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정보이다. LASeR 컨텐는 Video, Audio등의 포함하는 모든 미디어를 포함하여, 실제 단말에서 서비스 되는 장면에서 보여지는 모든 자원 요소들 및 LASeR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정보 및 특성들을 나타내는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정보인 LASeR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성 타입 정보, 우선권을 가진 영상에 대한 정보, 스테레오스코픽 모드 정보 등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 및 신규 이벤트를 포함하는 장면 구성요소 정보의 해석 및 이벤트의 사용이나 이벤트 발생에 따른 동작에 대한 내용을 확인한다. 즉,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는 LASeR 디코더(700)로부터 출력된 LASeR 데이터를 해석(Parsing)하여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면 구성 제어의 역할을 수행한다.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LASeR 장면 구성요소로서 입체 영상을 구성하고 제어하는 것 역시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에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는 상기 확인된 장면 구성 정보들을 LASeR 렌더러(Renderer)(720)로 전달한다. 상기 LASeR 렌더러(720)는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로부터 전달된 LASeR 장면 구성 정보들에 따라 LASeR 데이터를 구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는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판단하고,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아님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는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stereoscopicModeChanged'이벤트를 인지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LASeR 렌더러(720)에서 영상화된 LASeR 데이터는 단말에 디스플레이부(73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다. 반면, AV 처리부(740)로 전달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는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710)에서 해석(parsing)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의 위치, 시간 정보, 구성타입 정보, 우선권을 가진 영상에 대한 정보, 스테레오스코픽 모드 정보 등의 구성 정보에 따라, LASeR 렌더러(720)가 영상화하는 장면의 일부로써 단말의 디스플레이부(730)에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부(730)는 LASeR 렌더러(720)로부터 입력된 LASeR 장면과 AV 처리부(740)로부터 입력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부(730)는 상기 LASeR 장면 구성 정보에 따라 구성되어, 상기 LASeR 렌더러가 영상화하는 LASeR 장면의 일부로서 상기 AV 처리부(740)로부터 전달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frame sequential type'의 최적화 처리 방법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라 'side-by-side type'의 최적화 처리 방법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Left/Right view sequence type'의 경우 'priorView'에 해당하는 영상 스트림을 골라서 재생하면 되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할 수도 있으나, 상기 'frame sequential type'또는 'side-by-side type'과 같이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에 좌영상 및 우영상 정보가 함께 구성될 경우는 쉽게 처리하기가 어렵다.
도 8과 같은 'frame sequential type'으로 구성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경우, 좌영상 과 우영상의 프레임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나므로, 먼저 'priorView'속성의 속성값을 확인하고, 초당 프레임 수를 확인하여 참조번호 800과 같이 'priorView'가 아닌 영상의 프레임을 보이지 않게 하고, 'priorView'가 아닌 프레임이 제공되어야 하는 시간 동안 'priorView'인 프레임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riorView = LEFT'인 영상일 경우, 우영상을 모두 보이지 않게(800)한 후 첫번째 프레임(Frame1)의 좌영상(802)을 첫번째 프레임(Frame1)의 우영상이 나와야 할 시간까지 보여주는 것이다.
도 9의 비디오 스트림(920)은 'side-by-side type'으로 구성된 프레임들의 연속이다. 상기 'side-by-side type'의 경우, 좌영상과 우 영상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SeR 장면구성(930)에서 첫번째 프레임(Frame1)(940)의 프레임 크기를 먼저 확인하고, 'priorView'를 확인하여 'priorView'가 아닌 영역의 프레임(950)을 보이지 않게 한다. 그 후, 'priorView'인 영역의 크기를 한 프레임 크기로 늘려서 확대하고, 확대한 'priorView'영역의 데이터(960)만을 단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도 8 및 도 9를 참조한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말이나, 스테레오스코픽 모드가 'OFF'일 때,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방법의 예로 상기의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테레오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담고 있는 속성 정보들을 정의하여 전송함으로써 LASeR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수신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여 최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처리할 수 없는 수신단말이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어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로부터 최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LASeR엔진이 수신한 LASeR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는 제어흐름도,
도 2a는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
도 2b 내지 도 2e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ASeR엔진이 수신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LASeR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LASeR엔진이 상태 변화로 인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 LASeR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ASeR 서비스 송신기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ASeR 서비스 수신기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frame sequential type의 최적화 처리 방법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side-by-side type의 최적화 처리 방법의 일례를 보인 도면.

Claims (26)

  1.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단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LASeR 컨텐츠를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인코딩된 LASeR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은,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인 'compositionType',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을 지시하는 속성인 'priorView',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Mode', 입체 영상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속성인 'stereoscopicModeChang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지시하고,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아님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은,
    좌, 우 영상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side-by-side type', 좌, 우 영상을 한 줄씩 끼워짜기 방식(interleaving)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 좌, 우 영상의 프레임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frame sequential type', 좌, 우 영상을 각기 다른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Left/Right view sequence typ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좌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LEFT_view'로 설정되고, 좌, 우 영상 중 우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Right_view'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N'또는 'true'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FF' 또는 'false'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7.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단으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된 LASeR 컨텐츠에서 LASeR 명령어들을 확인하여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된 LASeR 컨텐츠에 포함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라면, 상기 단말의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 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은,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인 'compositionType',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을 지시하는 속성인 'priorView',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Mode', 입체 영상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속성인 'stereoscopicModeChang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장면 구성에 포함될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아님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은,
    좌, 우 영상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side-by-side type', 좌, 우 영상을 한 줄씩 끼워짜기 방식(interleaving)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 좌, 우 영상의 프레임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frame sequential type', 좌, 우 영상을 각기 다른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Left/Right view sequence typ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좌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LEFT_view'로 설정되고, 좌, 우 영상 중 우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Right_view'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N'또는 'true'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FF' 또는 'false'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stereoscopicModeChanged'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14.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네트워크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가 포함된 LASeR 컨텐츠를 생성하는 LASeR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LASeR 컨텐츠를 LASeR 인코딩하는 LASeR 인코더와,
    상기 인코딩된 LASeR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LASeR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은,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 코픽 입체 영상인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인 'compositionType',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을 지시하는 속성인 'priorView',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Mode', 입체 영상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속성인 'stereoscopicModeChang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지시하고,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아님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은,
    좌, 우 영상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side-by-side type', 좌, 우 영상을 한 줄씩 끼워짜기 방식(interleaving)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 좌, 우 영상의 프레임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frame sequential type', 좌, 우 영상을 각기 다른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Left/Right view sequence typ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좌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LEFT_view'로 설정되고, 좌, 우 영상 중 우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Right_view'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N'또는 'true'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FF' 또는 'false'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0.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atation) 기반의 단말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AV 처리부와,
    LASeR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LASeR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LASeR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정보에 따라 LASeR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면 구성을 제어하는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와,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LASeR 장면 구성 정보들에 따라 LASeR 데이터를 구성하여 출력하는 LASeR 렌더러와,
    상기 LASeR 장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LASeR 렌더러가 구성하는 LASeR 장 면의 일부로서 상기 AV 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속성은,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인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인 'compositionType',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을 지시하는 속성인 'priorView',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속성인 'stereoscopicMode', 입체 영상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속성인 'stereoscopicModeChang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는,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참(tru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임을 판단하고, 상기 'stereoscopic'의 속성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상기 LASeR 컨텐츠의 장면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가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이 아님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구성 타입을 지시하는 속성은,
    좌, 우 영상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side-by-side type', 좌, 우 영상을 한 줄씩 끼워짜기 방식(interleaving)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vertical line interleaved type', 좌, 우 영상의 프레임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frame sequential type', 좌, 우 영상을 각기 다른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의 구성 타입인 'Left/Right view sequence typ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 우 영상 중 좌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LEFT_view'로 설정되고, 좌, 우 영상 중 우영상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기본 영상이라면, 상기 'priorView'속성값은 'Right_view'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입체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N'또는 'true'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을 일반 영상 모드로 제공할 경우, 상기 'stereoscopicMode'의 속성 값은 'OFF' 또는 'false'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26.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LASeR 장면 트리 관리부는,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상기 단말의 입체 영상 지원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stereoscopicModeChanged'이벤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080100308A 2007-10-13 2008-10-13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21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3295 2007-10-13
KR1020070103295 2007-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364A true KR20090038364A (ko) 2009-04-20
KR101521655B1 KR101521655B1 (ko) 2015-05-20

Family

ID=4053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308A KR101521655B1 (ko) 2007-10-13 2008-10-13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0798B2 (ko)
EP (1) EP2201774A4 (ko)
JP (1) JP5121935B2 (ko)
KR (1) KR101521655B1 (ko)
CN (1) CN101822049B (ko)
WO (1) WO200904830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818B1 (ko) * 2009-12-17 2014-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9485054B2 (en) 2010-06-24 2016-11-01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1715B (zh) 2009-01-29 2015-12-16 杜比实验室特许公司 视频编码方法、视频装置和编码系统
CN102474633A (zh) * 2009-06-30 2012-05-23 Lg电子株式会社 对3d图像的数据进行处理的方法和音频/视频系统
JP5428697B2 (ja) * 2009-09-16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82254B2 (ja) 2009-11-05 2014-05-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8743178B2 (en) * 2010-01-05 2014-06-0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view video format control
JP5652642B2 (ja) * 2010-08-02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データ生成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5695972B2 (ja) * 2011-05-20 2015-04-0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機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出力方法
CN103002407B (zh) * 2011-09-14 2018-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彩信中传输3d图片的方法及系统
CN102510558B (zh) * 2011-10-13 2018-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系统、发送模块与接收模块
US9681116B2 (en) * 2013-03-15 2017-06-13 Arris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3DTV content to variety of receivers
SG10201709235PA (en) * 2013-05-15 2017-12-28 Barrie Simeon La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and data routing
CN110706355B (zh) * 2018-07-09 2021-05-11 上海交通大学 基于视频内容的指示信息标识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11991226B2 (en) 2021-07-29 2024-05-21 Open4Sale International Pte Ltd System and method of data routing for videotelephonic shopp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9585B1 (en) * 1996-12-04 2013-10-16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for high resolution and three dimensional video recording,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US6765606B1 (en) * 1997-11-13 2004-07-20 3Dv Systems, Ltd. Three dimension imaging by dual wavelength triangulation
JP2000078611A (ja) * 1998-08-31 2000-03-14 Toshiba Corp 立体映像受信装置及び立体映像システム
KR20010104493A (ko) * 2000-05-02 2001-11-26 성필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입체영상제공방법 및 그 처리장치
AU2003281138A1 (en) * 2002-07-16 2004-02-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2d and 3d stereoscopic video signal
KR100556826B1 (ko) * 2003-04-17 2006-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4 기반의 양안식 3차원 동영상을 서비스하기 위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5013B1 (ko) * 2005-04-11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압축 데이터 생성,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9073B1 (ko) * 2005-10-14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방법
CN1971340A (zh) * 2005-11-21 2007-05-30 耿征 真三维高清晰度显示方法和装置
US20070165942A1 (en) * 2006-01-18 2007-07-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rectifying stereoscopic display systems
KR101276605B1 (ko) 2007-06-19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메타데이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 파일의 저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818B1 (ko) * 2009-12-17 2014-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9485054B2 (en) 2010-06-24 2016-11-01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30798B2 (en) 2012-12-11
JP2011501501A (ja) 2011-01-06
CN101822049A (zh) 2010-09-01
KR101521655B1 (ko) 2015-05-20
EP2201774A2 (en) 2010-06-30
WO2009048309A2 (en) 2009-04-16
WO2009048309A3 (en) 2009-07-16
EP2201774A4 (en) 2012-02-29
US20090096864A1 (en) 2009-04-16
CN101822049B (zh) 2013-04-24
JP5121935B2 (ja)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655B1 (ko)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EP2815582B1 (en) Rendering of an interactive lean-backward user interface on a television
EP2338278B1 (en) Method for presenting an interactive video/multimedia application using content-aware metadata
US20030110297A1 (en) Transforming multimedia data for delivery to multiple heterogeneous devices
JP2019521583A (ja) イメージ中の最も関心のある領域の高度なシグナリング
KR20100127240A (ko) 상호작용형 컨텐츠 식별을 위하여 비디오에 트리거를 사용하는 방법
US11943421B2 (en)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rtual reality
CN107888993B (zh) 一种视频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US10306338B2 (en) Personalized user interface for managing multimedia streams
US200801336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basic device and extended devices
CN107547933B (zh) 播放画面生成方法、装置及系统
US20200145736A1 (en) Media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153906A1 (en) Video enabled digital devices for embedding user data in interactive applications
WO2017112520A1 (en) Video display system
Dufourd et al. An MPEG standard for rich media services
Luque et al. Integration of multisensorial stimuli and multimodal interaction in a hybrid 3DTV system
KR20090000647A (ko)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부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299022A (zh) 基于http的动态自适应流传输的方法和装置
US20080256169A1 (en) Graphics for limited resolution display devices
CN114930869A (zh) 用于视频编码和视频解码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US20240022786A1 (en) Signaling for Picture In Picture In Media Container File and In Streaming Manifest
US20080163314A1 (en)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2955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KR20140050535A (ko) 깊이 기반 그룹 비주얼 객체를 이용한 n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