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18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183A
KR20090038183A KR1020070103549A KR20070103549A KR20090038183A KR 20090038183 A KR20090038183 A KR 20090038183A KR 1020070103549 A KR1020070103549 A KR 1020070103549A KR 20070103549 A KR20070103549 A KR 20070103549A KR 20090038183 A KR20090038183 A KR 20090038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discharge port
blad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선희
전홍석
손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183A/ko
Publication of KR2009003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비닛의 측면과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전면패널 및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토출 블레이드가 공기 토출구를 닫을 때 토출 블레이드와 전면패널의 전면 사이의 각도는 77°이고, 토출 블레이드는 그 길이가 65mm이고, 공기 토출구의 폭은 35mm로 한다. 이에 따라 제공된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고 공기의 방향이 전면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와 증발기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될 때 발생하는 기화열 및 액화열을 사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에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토출구가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등이 구비된다.
한편, 근래에는 외관 디자인이 제품 판매에 커다란 영향을 주면서, 공기조화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외관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관 디자인을 고급스럽게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기 토출구를 전면패널의 상부 양 측면에 마련하여 공기 토출구가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전면패널의 상부 양측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면, 이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최적화하거나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전면패널의 전면과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블레이드가 닫혔을 때의 토출 블레이드와의 각도를 70°로 하고, 블레이드의 길이를 84mm로 하고, 공기 토출구의 폭을 45mm 하였지만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최적화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공기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최적화와 전방측으로 원활하게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측면과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전면패널 및 상기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블레이드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닫을 때 상기 토출 블레이드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 사이의 각도는 77°이고, 상기 토출 블레이드는 그 길이가 65mm이고, 상기 공기 토출구의 폭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시 그 각도가 30°내지 6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의 그 후면 모서리부분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 블레이드가 공기 토출구를 닫을 때 토출 블레이드와 전면패널의 전면 사이의 각도는 77°로 하 고, 토출 블레이드의 길이를 65mm하고, 공기 토출구의 폭을 35mm로 함으로써,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고 공기의 방향이 전면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되는 캐비닛(10)과, 이 캐비닛(10)의 전방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전면패널(20)이 마련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이때, 캐비닛(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전면 전체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이 캐비닛(10)의 후면 하측에는 이 캐비닛(1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닛(10)의 내부 즉, 내측 상부에는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32)가 설치된다. 열교환기(32)는 송풍장치(34)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마련되고, 캐비닛(10)의 내측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캐비닛(10)의 내부 즉, 내측 하부에는 그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14)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의 송풍을 위해 송풍장치(34)가 설치된다. 송풍장치(34)는 공기 흡입구(14) 쪽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부의 열교환기(32) 쪽으로 송풍한다. 이러한 송풍장치(34)는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원심형 송풍 팬과, 이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전면패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 전체 즉, 열교환기(32)가 설치된 상부와 송풍장치(34)가 설치된 하부 전체를 덮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전면패널(20)은 그 후면 모서리 부분이 후술할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용이하게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캐비닛(10)의 측면과 전면패널(20)의 측면의 사이에는 열교환기(32)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 블레이드(40)가 설치되는 공기 토출구(45)가 마련된다. 이때의 토출 블레이드(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도 즉,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을 위해 개방되는 각도(∠θ1)가 30°내지 60°의 범위에서 가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측으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토출 블레이드(40)가 공기 토출구(45)를 닫을 때 토출 블레이드(40)와 전면패널(20)의 전면 사이의 각도(∠θ2)를 77°로 하고, 토출 블레이드(40)의 길이(BL)를 65mm로 하고, 공기 토출구(45)의 폭(W)을 35mm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토출 블레이드(40)가 공기 토출구(45)를 닫을 때 토출 블레이드(40)와 전면패널(20)의 전면 사이의 각도(∠θ2)를 77°로 하고, 토출 블레이드(40)의 길이(BL)를 65mm로 하고, 공기 토출구(45)의 폭(W)을 35mm가 최적의 조건이라 설명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조건에서 예를 들면, ∠θ2를 70°또는 77°, 토출 블레이드(40)의 길이(BL)를 65mm 또는 79mm 또는 84mm , 공기 토출구(45)의 폭(W)을 35mm 또는 45mm 등을 각각 적용시켜 본 결과이다.
도 4는 공기 토출구로부터 반경 1m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각도 즉,∠θ1에 따른 토출공기의 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2를 77°로 하고, 토출 블레이드(40)의 길이(BL)를 65mm로 하고, 공기 토출구(45)의 폭(W)을 35mm로 조정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θ2를 70°로 하고, 토출 블레이드의 길이를 84mm로 하고, 공기 토출구의 폭을 45mm 조정한 종래의 공기조화기 보다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본 발명의 도 5a와 종래의 도 5b를 비교해 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즉, ∠θ2를 77°로 하고, 토출 블레이드(40)의 길이(BL)를 65mm로 하고, 공기 토출구(45)의 폭(W)을 35mm로 조정하게 되면 종래보다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면측을 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토출 블레이드(40)가 공기 토출구(45)를 닫을 때 토 출 블레이드(40)와 전면패널(20)의 전면 사이의 각도(∠θ2)를 77°로 하고, 토출 블레이드(40)의 길이(BL)를 65mm로 하고, 공기 토출구(45)의 폭(W)을 35mm로 조정함으로써, 종래 보다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고 공기의 방향이 전면측으로 더 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블레이드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토출구로부터 반경 1m 위치에서 ∠θ1에 따른 토출공기의 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베이스패널
32 : 열교환기 34 : 송풍장치
40 : 토출 블레이드 45 : 공기 토출구
BL : 토출 블레이드의 길이 W : 공기 토출구의 폭
∠θ1 : 토출 블레이드가 개방되는 각도
∠θ2 : 토출 블레이드가 공기 토출구를 닫을 때 토출 블레이드와 전면패널의 전면 사이의 각도

Claims (3)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측면과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전면패널 및 상기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 블레이드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닫을 때 상기 토출 블레이드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 사이의 각도는 77°이고, 상기 토출 블레이드는 그 길이가 65mm이고, 상기 공기 토출구의 폭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시 그 각도가 30°내지 6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그 후면 모서리부분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103549A 2007-10-15 2007-10-15 공기조화기 KR20090038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49A KR20090038183A (ko) 2007-10-15 2007-10-1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49A KR20090038183A (ko) 2007-10-15 2007-10-1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183A true KR20090038183A (ko) 2009-04-20

Family

ID=4076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549A KR20090038183A (ko) 2007-10-15 2007-10-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1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415B1 (ko) 공기조화기
TWI706114B (zh) 室內機及空調裝置
JP5805214B2 (ja) 室外機及びこの室外機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TW201923233A (zh) 離心式送風機、送風裝置、空調裝置及冷凍循環裝置
CN111615607B (zh) 空调
CN108027161B (zh) 空气调节机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KR102025993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KR20090038183A (ko) 공기조화기
KR100765163B1 (ko) 공기조화기
KR20015639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01591U (ko) 공기조화기
KR2006000519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90041806A (ko) 천정형 에어컨
KR100550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00034963A (ko) 공기 조화기
KR100579572B1 (ko) 공기조화기
WO2022107209A1 (ja) 室内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465441Y1 (ko) 공기조화기
KR20000001854U (ko) 창문형 에어컨의 시로코팬 정압 손실 방지장치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US20070028638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80040194A (ko) 흡입량을 증가시킨 패키지 에어컨
KR2003008435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