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265A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265A
KR20090037265A KR1020070102829A KR20070102829A KR20090037265A KR 20090037265 A KR20090037265 A KR 20090037265A KR 1020070102829 A KR1020070102829 A KR 1020070102829A KR 20070102829 A KR20070102829 A KR 20070102829A KR 20090037265 A KR20090037265 A KR 2009003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slide
coupled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668B1 (ko
Inventor
여태영
최영화
Original Assignee
여태영
최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태영, 최영화 filed Critical 여태영
Priority to KR102007010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6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높이를 가지며, 평편한 상부면과,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로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구멍의 양측에는 끝단에 걸이부가 마련되어 탄성밴드가 각각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부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봉 지지부와, 상기 각각의 봉 지지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슬라이드 손잡이와, 일측에 양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과,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슬라이드를 연결하여 슬라이드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거나 복원되는 복수개의 탄성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다기능 운동기구는 고장이 적으며 부피가 작고, 간편하게 탄성로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고, 집이나 사무실 또는 실외에서도 편리하고 다양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102829
다기능, 다용도, 운동기구, 실내운동, 헬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al motion machinery}
본 발명은 다기능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이 적으며 부피가 작고, 간편하게 탄성로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며 집이나 사무실 또는 실외에서도 편리하고 다양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으로 인해 사람들이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면서 운동이나 레저활동을 하는 인구가 계속 늘고 있고, 특히 식생활의 향상으로 비만인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운동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헬스나 요가 등을 할 수 있는 스포츠 시설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츠 시설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을 계속 투자해야 하며, 다양한 운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시간을 따로내어 스포츠 시설이 있는 곳으로 가야 하기 때문에 바쁜 사람들이 이용하기에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각 가 정마다 한,두가지 정도의 운동기구를 비치하여 간단한 운동을 하고 있는 가정이 많으며, 앞으로도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간편하게 운동을 하는 인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구입 당시의 필요에 의해서 구입하지만, 운동기구 구입 후 한두가지 운동만을 반복적으로 함으로 인해 쉽게 싫증을 느끼거나 고장이 생겨도 수리가 용이하지 않고,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구입 당시에 몇 번 사용하다가 폐기하거나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장이 적으며 부피도 작아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으며, 간편하게 자신의 체형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노약자들도 쉽게 집이나 사무실 또는 실외에서 다양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다기능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는 높이를 가지며, 평편한 상부면과,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로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구멍의 양측에는 끝단에 걸이부가 마련된 탄성밴드가 각각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부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봉 지지부와, 상기 각각의 봉 지지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슬라이드손잡이와, 일측에 양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과,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슬라이드를 연결하여 슬라이드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거나 복원되는 복수개의 탄성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각각의 봉 지지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슬라이드손잡이의 중간 부분을 한 손으로도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봉 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상기 본체는 로프구멍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등받이지지대구멍과, 상기 등받이지지대구멍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앉았을 때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양쪽에 각각 등받이지지대가 마련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상기 본체는 로프구멍이 위치한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책받침지지대 구멍과, 상기 책받침지지대 구멍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앉아서 책을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양쪽에 각각 책받침지지대가 마련된 책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상기 본체는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중앙에 십자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로프를 감거나 끼워서 길이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는 봉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 끝단은 지면에 접촉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탄성로프의 끝단에 각각 마련된 걸림부가 걸리도록 상기 복수개의 지지봉과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상기 탄성로프는 중앙에는 로프손잡이가 결합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면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로프구멍으로 삽입되어 지지봉에 감겨서 상기 고정걸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고장이 적으며 부피가 작아,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여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으며, 간편하게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여, 노약자들도 쉽게 집이나 사무실 또는 실외에서도 다양하고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 본체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본체 내부에 결합된 지지봉에 탄성로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 본체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본체에 등받이와 책받침대가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본체에 등받이와 책받침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 구(100)는 본체(10)와, 슬라이드(30)와, 탄성로프(50)와, 등받이(60)와, 책받침대(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0)는 높이를 가지며, 상부면(12)은 운동할 때 앉거나 엎드릴 수 있도록 평편하게 형성되고,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탄성로프(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로프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구멍(14)의 양측에는 끝단에 걸이부(18)가 마련된 탄성밴드(16)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걸이부(18)를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당기거나 밀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원형봉 형상으로 중앙에 십자홈(22)을 가진 복수개의 지지봉(20)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로프(50)를 상기 지지봉(20)의 외주면에 감아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로프(5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경우에는 상기 십자홈(22)으로 인해 나누어진 지지봉(20)의 끝단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로프(50)를 십자홈(22)에 끼울때 끝단 중에 1개만 걸리게 하거나 1개 이상이 걸리게 할 수도 있으므로 미세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봉(20)의 끝단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로프(50)의 끝단에 각각 마련된 걸림부(52)가 걸리도록 상기 복수개의 지지봉(20)과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걸이(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20)의 십자홈(22)은 복잡하게 얽힐 수 있는 탄성로프(50)를 각각의 지지봉(2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탄성로프(5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30)는 상기 본체(10)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부의 양측 으로 각각 형성된 봉 지지부(34)와, 상기 봉 지지부(34)의 중앙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는 원형봉 형상의 슬라이드손잡이(36)와, 상기 본체(10)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에 양쪽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발을 올렸을때 발의 뒷꿈치를 받치도록 하부 끝단이 절곡되어 있는 발판(38)과, 하부에는 복수개의 바퀴(40)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36)를 잡거나, 상기 발판(38)을 이용하여 밀거나 당길 때 부드럽게 슬라이딩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30)는 상기 각각의 봉지지부(34)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슬라이드손잡이(36)의 중간 부분을 한 손으로 잡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봉 지지부(34)의 중앙에 함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로프(50)는 탄성력이 좋은 튼튼한 소재의 로프나 밴드 등을 사용하며, 상기 본체(10)와 슬라이드(30)를 연결하여, 상기 본체(10)에 앉거나 엎드려서 상기 슬라이드(30)를 손이나 발로 밀 경우 쉽게 복원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로프(50)는 중앙에 로프손잡이(54)가 결합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30)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걸림부(5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로프구멍(14)으로 삽입되어 지지봉(20)에 감겨서 상기 고정걸이(24)에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등받이(60)는 상기 본체(10)의 로프구멍(14)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등받이지지대구멍(64)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에 앉았을 때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양쪽에 각각 등받이지지대(6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책받침대(70)는 상기 본체(10)의 로프구멍(14)이 위치한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책받침지지대구멍(74)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에 앉아서 책을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책받침지지대(7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12)에 무릎을 꿇고 엎드려서 상기 슬라이드(30)의 슬라이드손잡이(36)의 양쪽 끝부분을 양손으로 잡고 슬라이드(30)를 밀거나 당기면서 허리운동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면(12)에 앉아서 상기 슬라이드(30)의 발판(38)에 각각 발을 올려놓고 슬라이드(30)를 밀거나 당기면서 다리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면(12)에 옆으로 돌아앉아서 한손으로 상기 슬라이드(30)의 슬라이드손잡이(36)의 중간 부분을 잡고 슬라이드(30)를 밀거나 당기면서 옆구리운동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면(12)에 올라서서 상기 슬라이드(30)의 슬라이드손잡이(36)의 양쪽 끝부분 양손으로 잡거나 한손으로 중간부분을 잡고 슬라이드(30)를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팔 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탄성밴드(16)의 걸이부(18)를 손으로 잡거나 발을 걸어서 당기면 늘어나는 탄성밴드(1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팔, 다리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슬라이드(3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탄성로프(50)중에서 로프손잡이(54)가 결합된 탄성로프(50)를 각각 양손으로 잡고 그대로 당기거나 서로 엇갈리게 하여 당기는 방법으로 팔이나 어깨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 본체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본체 내부에 결합된 지지봉에 탄성로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 본체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본체에 등받이와 책받침대가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본체에 등받이와 책받침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상부면
14. 로프구멍 16. 탄성밴드
18. 걸이부 20. 지지봉
22. 십자홈 24. 고정걸이
30. 슬라이드 32. 함몰부
34. 봉 지지부 36. 슬라이드손잡이
38. 발판 40. 바퀴
50. 탄성로프 52. 걸림부
54. 로프손잡이 60. 등받이
62. 등받이지지대 64. 등받이지지대구멍
70. 책받침대 72. 책받침지지대
74. 책받침지지대구멍 100. 다기능 운동기구

Claims (6)

  1. 높이를 가지며, 평편한 상부면과,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로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구멍의 양측에는 끝단에 걸이부가 마련된 탄성밴드가 각각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봉 지지부와, 상기 각각의 봉 지지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슬라이드손잡이와, 일측에 양쪽으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과,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슬라이드를 연결하여 슬라이드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거나 복원되는 복수개의 탄성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지지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슬라이드손잡이의 중간 부분을 한 손으로도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로프구멍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등 받이지지대구멍과, 상기 등받이지지대구멍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앉았을 때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양쪽에 각각 등받이지지대가 마련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로프구멍이 위치한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책받침지지대구멍과, 상기 책받침지지대구멍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앉아서 책을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양쪽에 각각 책받침지지대가 마련된 책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중앙에 복수개로 나누어진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로프를 감거나 끼워서 길이 조정을 할 수 있는 봉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지지봉이 결합되어 그 끝단은 지면에 접촉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내면에는 상기 탄성밴드와 탄성로프의 끝단에 각각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봉과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프는,
    중앙에는 로프손잡이가 결합되어 손으로 잡고 당기면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로프구멍으로 삽입되어 지지봉에 감겨서 상기 고정걸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070102829A 2007-10-11 2007-10-11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1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829A KR100911668B1 (ko) 2007-10-11 2007-10-11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829A KR100911668B1 (ko) 2007-10-11 2007-10-11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65A true KR20090037265A (ko) 2009-04-15
KR100911668B1 KR100911668B1 (ko) 2009-08-10

Family

ID=4076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829A KR100911668B1 (ko) 2007-10-11 2007-10-11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135B2 (en) 2017-07-26 2020-08-11 Lung-Fei Chuang Handle exercising device and set of exercis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235B1 (ko) * 2014-08-01 2014-11-21 고유근 하이브리드형 슬라이드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29Y1 (ko) 2001-06-15 2001-11-16 우상순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37413Y1 (ko) 2007-01-12 2007-11-29 양해완 복근 및 상·하체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135B2 (en) 2017-07-26 2020-08-11 Lung-Fei Chuang Handle exercising device and set of exercis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668B1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522B2 (en) Ball and frame exercising apparatus
US7217228B2 (en) Low impact exercise system
TWI425966B (zh) 健身裝置
US6001051A (en) Body exerciser
CA2581064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20150031508A1 (en) Multifaceted linear training device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US20150141219A1 (en) Configurable and storable exercise equipment
KR101595558B1 (ko) 마사지베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JP2011161208A (ja) 手すり付き踏み台昇降健康器具
KR100911668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003447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11511147B2 (en) Workout station
FR2561528A1 (fr) Appareil modulaire polyvalent de reeducation fonctionnelle et d&#39;entrainement athletique
KR101380237B1 (ko) 몸짱 만들기에 사용되는 다기능 헬스 복합 운동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3171900U (ja) 筋力トレーニング用多段式踏み台セット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CN210963712U (zh) 户外扩胸训练器
CA2528548C (en) Wheeled exercise device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CN220656312U (zh) 多功能核心训练器
KR200434026Y1 (ko) 핸드롤러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CN219462433U (zh) 多功能划船器
CN214232587U (zh) 一种滑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