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142A -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142A
KR20090037142A KR1020070102630A KR20070102630A KR20090037142A KR 20090037142 A KR20090037142 A KR 20090037142A KR 1020070102630 A KR1020070102630 A KR 1020070102630A KR 20070102630 A KR20070102630 A KR 20070102630A KR 20090037142 A KR20090037142 A KR 2009003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ium
acid
weight
composition
ni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철
이광기
김정수
오상민
Original Assignee
삼양화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화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양화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7142A/ko
Publication of KR2009003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20Antifreeze additives therefor, e.g. for radiator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2Oxy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24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2Oxy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24Carboxylic acids
    • C23F11/126Aliphat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냉각계통에 있어서 금속 특히, 알루미늄, 알루미늄 주물, 주철 및 강 등의 철계 금속에 대한 경수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대하여 우수한 부식 방지성 및 변색 방지성을 가진 부동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륨화합물, 부동액, 부식 방지성, 변색 방지성

Description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Composition of Long Life Coolants}
본 발명은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로 엔진 등의 냉각기관의 냉각 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 블록, 라디에이터, 워터펌프 등은 알루미늄 합금과 구리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러한 금속 재료는 부동액 중의 물에 함유된 부식성 염류 혹은 부동액에 함유된 알코올류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술한 부동액에 부식방지제를 첨가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 자체의 경량화를 목적으로서 냉각계통의 부품에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주물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각계통에 대한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액 조성물 중에 인산염, 붕산염, 아민염, 규산염, 아질산염, 몰리브덴산염, 안식향산염 등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부동액 조성물에 첨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부동액 조성물로서 예를 들면, 영국 규격 BS 3150과 BS 3151을 들 수 있지만, 이것은 에틸렌글리콜을 기재로 하여 BS 3150은 인산염, 아민염 및 티아졸류의 조합으로서 하고 있으며, BS 3151은 안식향산염과 아질산염류를 각각 부식방지제로서 첨가한 것이다. 그러 나, 전술한 부식 방지제를 단독으로 부동액 조성물에 첨가한 것은 냉각 계통, 특히 알루미늄에 및 알루미늄 주물에 대하여 만족한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인산염은 부동액 희석수로 사용되는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 등의 경수 성분과 반응하여 다량의 침전을 일으키며, 이 침전물의 생성은 부식방지 기능을 저하시키고, 냉각계통의 순환로에 유착되어 막힘 현상이나 열전달 효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붕산염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대하여 부식성을 가지고 있고, 규산염은 액 중의 안정성이 열악하여 온도 및 pH의 변화, 기타 염류의 함께 공존하면 쉽게 겔화하여 분리되기 쉬우며, 이것에 의해 부식방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민염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에 대하여 부식성이 강하고, 아질산염은 노화속도가 빨라 부동액을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아민염과 아질산염을 함께 사용 시에는 열에 의해 니트로소아민이라는 발암성 물질을 생성시킬 우려가 있다. 몰리브덴산염의 경우에는 부동액의 노화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부동액 조성물이 가진 단점과 부식방지 및 변색 방지를 보완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종래에 사용되어온 부식방지제로서는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를 해결할 수 없었던 부분을 종래의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첨가제로 조합한 부동액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계통에서 금속 특히, 알루미늄, 알루미늄 주물, 주철 및 강 등의 철계 금속에 대하여 경수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알루미늄 주물에 대한 우수한 부식 방지성 및 변색 방지성을 갖는 부동액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륨화합물 1종 이상 0.001 ~ 0.1 중량%,
탄소수 4 ~ 12의 지방족 2염기산, 이의 암모늄염 및 이의 알카리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0.5~ 4.0 중량%,
방향족 1염기산, 이의 암모늄염 및 이의 알카리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5 ~ 5.0 중량%,
인산염 0.1 ~ 0.5 중량%,
질산염 0.3 ~ 1.0 중량%,
아졸류 0.01 ~ 1.0 중량%,
글리콜류 85 ~ 95 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05 ~ 0.5중량%
이온교환수 2.0 ~ 3.0 중량% 및
pH 조절제 1.0 ~ 3.0 중량%
를 포함하는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동액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경수에 대한 우수한 부식 방지성, 과혹한 희석수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고온에서의 알루미늄계 금속의 흑변 방지성을 가지고 있어 부동액 조성물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폐부동액의 배출을 감소할 수 있어 환경에 대한 생태계의 보호와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계통에 있어서 금속 특히, 알루미늄, 알루미늄 주물, 주철 및 강 등의 철계 금속에 대한 경수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대하여 우수한 부식 방지성 및 변색 방지성을 가진 부동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이하 간단히 조성물이라 한다.)의 주성분인 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이 화학적 안정성, 가격, 취급의 용이성, 구입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주성분인 글리콜류는 동절기에 냉각계통의 동파를 방지하는 목적뿐이므로 너무 많이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부식 방지 목적으로 첨가되는 부식방지제의 함량 부족으로 기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글리콜류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85 ~ 9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륨화합물은 전체 조성물에 0.001 ~ 0.1 중량%를 첨가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대한 부식방지 및 변색 방지의 목적을 달성될 수 있다.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륨화합물로는 질산바륨Ⅱ(Barium(Ⅱ) nitrate), 아세트산바륨(Barium acetate), 아크릴산바륨(Barium acrylate), 비산바륨(Barium arsenate), 붕산바륨(Barium borate), 브롬산바륨(Barium bromate), 브롬화바륨(Barium bromide), 탄산바륨(Barium carbonate), 염소산바륨(Barium chlorate), 염화바륨(Barium Chloride), 크롬산바륨(Barium chromate), 시안화바륨(Barium cyanide), 이염화바륨(Barium dichloride), 이불화바륨(Barium difluoride), 이포름산바륨(Barium diformate), 이라울르산바륨(Barium dilaurate), 이질산바륨(Barium dinitrate), 이올레산바륨(Barium dioleate), 이프로피온산바륨(Barium dipropionate), 이티온산바륨(Barium dithionate), 불산바륨(Barium fluoride), 수소화바륨(Barium hydride), 요오드산바륨(Barium iodate), 요오드화바륨(Barium iodide), 말론산바륨(Barium malonate), 함수 바륨 메타보레이트(Barium metaborate monohydrate), 바륨 메타포스페이트(Barium metaphosphate), 몰리브덴산(Barium molybdate), 나프텔산바 륨(Barium naphthenate), 네오테카논산바륨(Barium neodecanoate), 질산바륨(Barium nitrate), 아질산바륨(Barium nitrite), 옥살레이트바륨(Barium oxalate), 수산바륨(Barium oxide), 과산화바륨(Barium peroxide), 포스핀산바륨(Barium phosphinate), 포스폰산바륨(Barium phosphonate), 인산바륨(Barium phosphate), 바륨 폴리술파이드(Barium polysulphide), 셀렌산바륨(Barium selenate), 주석산바륨(Barium stannate), 스테아르산(Barium stearate), 숙신산바륨(Barium succinate), 황산바륨(Barium sulfate), 황화바륨(Barium sulfide), 타르타르산바륨(Barium tartrate),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텅스텐산바륨(Barium tungstate), 지르콘산바륨(Barium zirconate), 아질산바륨, 의산바륨, 글루타민산바륨, 사과산바륨, 길초산바륨, 말레인산바륨, 세바신산바륨, 프탈산바륨, 안식향산바륨, 살리실산바륨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채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질산바륨, 황산바륨, 인산바륨이 가격과 구입 용이성 등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바륨화합물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금속에 대한 충분한 부식 방지와 변색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액상에 침전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또한 비경제적으로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족 2염기산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5 ~ 4.0 중량%를 사용하며, 지방족 2염기산으로는 숙신산(Succinic Acid), 글루카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린산(Pimelic Acid), 수베르산(Suberic Acid),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Sebacic Acid), 운데카네디온산(Undecanedioic acid), 도데카네디온산(Dodecanedioic acid), 이들의 알카리 금 속염 및 이들의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서 세바신산, 운데카네디온산, 도데카네디온산이 우수한 방식성을 가진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2염기산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철 및 알루미늄계 금속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캐비테이션 손상의 충분한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으로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1염기산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5 ~ 5.0 중량%를 사용하며, 방향족 1염기산으로는 안식향산, 니트로안식향산, 히드록실안식향산, p-메틸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이소프로필안식향산, p-tert 부틸안식향산, 이의 알카리 금속염 및 이의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안식향산, p-tert 부틸안식향산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의 부식 방지 성능에 우수하며 적어도 1종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1염기산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철 및 알루미늄계 금속에 대한 부식 방지성과 캐비테이션 손상의 충분한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으로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산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1 ~ 0.5 중량%를 사용하고, 인산염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있어서 부식 방지에 우수한 방청제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전술한 바륨화합물과 병용하여 조성물에 조합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대한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인산염은 주철 및 강 등의 철계 금속의 캐비테이션 손상의 억제 효과를 개선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상기 인산염으로서는 정인산, 피로인산, 트리메타인산, 테트라메타인산 및 이들의 알카리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인산염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 조성물 중의 경수 성분과 반응하여 부식 방지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소량을 첨가하면 부영양화를 초래할 우려를 사전에 차단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질산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3 ~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에 있어서 부식 방지에 우수한 방청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상기 지방족 2염기산과 방향족 1염기산과 병용하여 조합함으로써 철 및 알루미늄계 금속의 부식 방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질산염으로는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질산염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 비경제적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민염, 붕산염, 규산염, 아질산염, 몰리브덴산염은 전술한 각각의 단점과 환경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졸류는 금속 특히, 구리 및 구리 합금에 대하여 우수한 부식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조성물 중에 있어서 충분히 부식 방지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0.01 ~ 1.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아졸류는 톨릴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4-페놀-1,2,3-트리아졸, 2-나프토트리아졸, 4-니트로벤조트리아졸, 벤조티아졸 및 2-머캅토벤조티아졸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이온 봉쇄제는 조성물의 안정성과 인산염이 조성물에 희석되는 희석수에 함유된 경수 성분과의 반응에 의한 부식 방지 기능의 저하를 사전에 차단하며,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주물의 부식 방지 기능도 가진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로는 피틴산, 2-포스포노부탄 1,2,4-트리카르복실산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많은 경우 철계 금속에 대한 강한 산화제 역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05 ~ 0.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 성분 이외에 소량의 소포제, 염료 및 첨가제의 용해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이온교환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이온교환수는 전체 조성에 대해서 2.0 ~ 3.0 중량%를 사용하고, pH 조절제로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을 1.0 ~ 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부동액 조성물 제조방법인 40 ~ 60 ℃의 온도에서 기본 재료인 글리콜류에 상기 조성성분들을 투입한 후 균일한 액체로 용해시켜 혼합 제조하여 시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
다음 표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냄과 동시에 비교로서 (A)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바륨화합물과 지방족 2염기산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2), 바륨화합물과 방향족 1염기산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3), 현재 자동차 Maker에 공급되고 있는 부동액(삼양화학산업(주) NBNA-P-2500, 비교예 4)로서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비교예 4는 5년 또는 10만KM를 보증하는 제품으로서 자동차 Maker에서 검증된 제품이다.
[표 1]
Figure 112007073022588-PAT0000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샘플에 대해 고온 알루미늄 전열면 부식시험을 실시했다. 이 시험은 ASTM D4340(Test Method for Corrosion of Cast Aluminum Alloys in Engine Coolants Under Heat-Rejecting Conditions)에 준하여 시험하였으며, 다만 시험온도는 150 ℃와 시험기간은 21일(504시간)로 하였다. 시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부식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외관의 변색 유무를 확인했다.
[표 2]
Figure 112007073022588-PAT00002
상기 표 2에서의 시험결과와 같이, 비교예의 각각의 시료에 대한 시험편의 부식량이 현저하게 많으며, 시험편의 외관변화도 심한 흑변으로 변색이 심하지만, 실시예의 각각의 시료는 부식량도 적고, 외관변화도 이상 변화를 확인되지 않아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주물 전열면의 부식방지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시험예
다음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경수에 의한 금속부식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알루미늄에 대한 흑변 방지성도 동시에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시험 방법은 ASTM D1384(Test Method for Corrosion Test for Engine Coolants in Glassware)에 준하여 시험하였으며, 시험온도는 98 ℃, 시험시간은 336시간, 시험농도는 25 vol%, 각 샘플에 이온교환수에 염화칼슘을 용해시켜 전경도가 600 ppm이 되도록 조정한 조합수로 희석하였다.
[표 3]
경수에 대한 금속 부식 시험결과
Figure 112007073022588-PAT00003
다음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부동액 조성물에 희석되는 희석수의 조건을 과혹하게 했을 경우와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시험조건이 아닌 자동차 Maker에서 시험하는 방법에 준하여 시험하며 시험조건을 KS M 2142(부동액)와 비교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7073022588-PAT00004
상기 표 5에 나타낸 시험조건과 같이 KS M 2142 규정에 준하여 시험한 경우에는 부동액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1년 또는 2만 km를 보증하거나 최대 2년 또는 4만 km를 보증하지만, 과혹 금속부식시험조건에 준하여 시험한 경우에는 최대 10년 20만 km를 보증할 수 있는 과혹한 시험조건이다. 이 시험조건에 준하여 시험한 시험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알루미늄 주물에 대한 흑변 방지성도 동시에 평가했다.
[표 5]
Figure 112007073022588-PAT00005
표 2, 표 3, 표 6에서 바륨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 4의 경우 알루미늄 주물의 전열면 부식시험, 경수 금속 부식시험 및 과혹 금속 부식시험에서 알루미늄에 대하여 부식 발생과 흑변을 발생시키지만,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각의 시험조건에서도 부식 방지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우수한 금속부식 방지성을 유지하며 알루미늄의 흑변을 일으키지 않으며 더욱이 고온에서의 알루미늄 주물의 전열면에 있어서 탁월한 부식 방지성과 흑변 방지성이 확인되었다.

Claims (8)

  1. 바륨화합물 0.001 ~ 0.1 중량%,
    탄소수 4 ~ 12의 지방족 2염기산, 이의 암모늄염 및 이의 알카리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0.5 ~ 4.0 중량%,
    방향족 1염기산, 이의 암모늄염 및 이의 알카리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5 ~ 5.0 중량%,
    인산염 0.1 ~ 0.5 중량%,
    질산염 0.3 ~ 1.0 중량%,
    아졸류 0.01 ~ 1.0 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05 ~ 0.5 중량%,
    글리콜류 85.0 ~ 95.0 중량%,
    이온교환수 2.0 ~ 3.0 중량% 및
    pH 조절제 1.0 ~ 3.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륨화합물은 질산바륨Ⅱ, 아세트산바륨, 아크릴산바륨, 비산바륨, 붕산바륨, 브롬산바륨, 브롬화바륨, 탄산바륨, 염소산바륨, 염화바륨, 크롬산바륨, 시안화바륨, 이염화바륨, 이불화바륨, 이포름산바륨, 이라울르 산바륨, 이질산바륨, 이올레산바륨, 이프로피온산바륨, 이티온산바륨, 불산바륨, 수소화바륨, 요오드산바륨, 요오드화바륨, 말론산바륨, 함수 바륨 메타보레이트, 바륨 메타포스페이트, 몰리브덴산, 나프텔산바륨, 네오테카논산바륨, 질산바륨, 아질산바륨, 옥살레이트바륨, 수산바륨, 과산화바륨, 포스핀산바륨, 포스폰산바륨, 인산바륨, 바륨 폴리술파이드, 셀렌산바륨, 주석산바륨, 스테아르산, 숙신산바륨, 황산바륨, 황화바륨, 타르타르산바륨, 티탄산바륨, 텅스텐산바륨, 지르콘산바륨, 아질산바륨, 의산바륨, 글루타민산바륨, 사과산바륨, 길초산바륨, 말레인산바륨, 세바신산바륨, 프탈산바륨, 안식향산바륨 및 살리실산바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2염기산은 숙신산(Succinic Acid), 글루카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린산(Pimelic Acid), 수베르산(Suberic Acid),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Sebacic Acid), 운데카네디온산(Undecanedioic acid) 및 도데카네디온산(Dodecanedio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1염기산은 안식향산, 니트로안식향산, 히드록실안식향산, p-메틸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이소프로필안식향산 및 p-tert 부틸안식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은 정인산, 피로인산, 트리메타인산, 테트라메타인산 및 이들의 알카리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또는 질산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졸류는 톨릴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4-페놀-1,2,3-트리아졸, 2-나프토트리아졸, 4-니트로벤조트리아졸, 벤조티아졸 및 2-머캅토벤조티아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피틴산, 2-포스포노부탄 1,2,4-트리카르복실산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102630A 2007-10-11 2007-10-11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KR20090037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630A KR20090037142A (ko) 2007-10-11 2007-10-11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630A KR20090037142A (ko) 2007-10-11 2007-10-11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42A true KR20090037142A (ko) 2009-04-15

Family

ID=4076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630A KR20090037142A (ko) 2007-10-11 2007-10-11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71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9534A3 (en) * 2009-05-08 2011-03-17 Chevron U.S.A. Inc. Antifreeze concentrate and coolant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CN107629764A (zh) * 2017-09-04 2018-01-26 可附特汽车零部件制造(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四季的防冻液组合物
CN111100609A (zh) * 2019-12-17 2020-05-05 重庆国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大功率充电桩散热用冷却液
US10640473B2 (en) 2016-07-29 2020-05-05 Ecolab Usa Inc. Azole derivatives for corrosion mitigation
KR20210048572A (ko) * 2012-09-07 2021-05-03 프레스톤 프로닥츠 코포레이션 열 전달 유체 첨가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9534A3 (en) * 2009-05-08 2011-03-17 Chevron U.S.A. Inc. Antifreeze concentrate and coolant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KR20210048572A (ko) * 2012-09-07 2021-05-03 프레스톤 프로닥츠 코포레이션 열 전달 유체 첨가제 조성물
US10640473B2 (en) 2016-07-29 2020-05-05 Ecolab Usa Inc. Azole derivatives for corrosion mitigation
CN107629764A (zh) * 2017-09-04 2018-01-26 可附特汽车零部件制造(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四季的防冻液组合物
CN111100609A (zh) * 2019-12-17 2020-05-05 重庆国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大功率充电桩散热用冷却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1480B1 (en) Corrosion-inhibited antifreeze/coolant composition
US4647392A (en) Monobasic-dibasic acid/salt antifreeze corrosion inhibitor
US6676847B2 (en) Monocarboxylic acid based antifreeze composition for diesel engines
US7258814B2 (en) Coolant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02256500A1 (en) Monocarboxylic acid based antifreeze composition
JP2007162124A (ja) 不凍液組成物
JPH06116764A (ja) 不凍液組成物
JPH05339562A (ja) 燐酸塩を含有しグリコールをベースとする冷却混合液
JP3941030B2 (ja) 低リン系冷却液組成物
KR20090037142A (ko) 장수명 부동액 조성물
JP2006052404A (ja) 有機酸及びカルバメートに基づく向上した腐食性を有するシリケート不含冷却液
CA2363660C (en) Monocarboxylic acid based antifreeze composition for diesel engines
WO2000050532A1 (en) Monocarboxylic acid based antifreeze composition for diesel engines
US6290870B1 (en) Monocarboxylic acid based antifreeze composition for diesel engines
US20090045376A1 (en) Coolant Composition
JP2011074181A (ja) 冷却液組成物
US6881355B2 (en) Antifreeze
KR100962792B1 (ko) 열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부동액 조성물
JP2002371270A (ja) 不凍液
JP2005187905A (ja) 冷却液組成物
JP2005187748A (ja) 冷却液組成物
JPWO2005037951A1 (ja) 冷却液組成物
JPH11349935A (ja) 冷却液組成物
JP2000104048A (ja) 冷却液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