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334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334A
KR20090036334A KR1020070101455A KR20070101455A KR20090036334A KR 20090036334 A KR20090036334 A KR 20090036334A KR 1020070101455 A KR1020070101455 A KR 1020070101455A KR 20070101455 A KR20070101455 A KR 20070101455A KR 20090036334 A KR20090036334 A KR 2009003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value
data
threshol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296B1 (ko
Inventor
홍진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96B1/ko
Priority to US12/125,258 priority patent/US8189914B2/en
Publication of KR2009003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5Correction of errors due to scanning a two-sided document, i.e. show-through cor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2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 H04N1/4074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using hist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양면 인쇄 원고의 앞면을 스캔 시 원하지 않는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가 드러나는 배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원고의 전체 스캔 영역을 분할하는 복수 블록마다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고,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에 기초하여 가변 임계값으로서 밝기 임계값과 색차 임계값을 이용하여 원본 문서의 원래 밝기 데이터의 밝기값을 무시하고 블록에 대응하는 배경색 데이터의 밝기값으로 대체하여 보상함으로서 배면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70101455
양면 인쇄, 스캔 영역, 노이즈, 제거, 보상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 시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가 앞면에 드러나는 배면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캔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이미지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나서 인쇄 용지에 출력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장치의 전형으로서 디지털 복합기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원고를 스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원고(1) 위에 덮개(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형광 램프(3)를 가동하게 되는데, 램프(3)의 빛이 덮개(2)에 반사되어 인쇄 용지를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4)에 입력되게 한다. 이에 따라 원고 앞면과 원고 뒷면에 오브젝트가 각각 인쇄된 경우, 즉 양면 인쇄 원고인 경우, 이미지 센서(4)를 통하여 얻어지는 스캔 이미지에는 원고 앞면의 오브젝트(1a) 뿐만 아니라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1b)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고의 한쪽 면을 스캔 시 원하지 않는 다른 면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스캔 이미지를 화상 출력 시 가독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스캔 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스캔 데이터를 후속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다른 면의 오브젝트를 제거하여야 양질의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스캔 이미지를 토대로 하여 인쇄 작업을 하여야 가독성이 뛰어난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얇은 원고를 스캔하기 위하여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면, 형광 램프(3)의 빛이 원고를 통과하고 나서 이미지 센서에 입력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다른 면의 오브젝트가 흐리게 나타나게 된다. 그 다른 면의 오브젝트의 밝기는 텍스트의 밝기와 배경색의 밝기 사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다른 면의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영상 이미지로 출력하지 않고 배경색으로 취급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배면 노이즈가 인쇄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기술에 따르면 스캔한 원고에 대하여 밝기를 일일이 체크하고 나서 그 배경색의 처리에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하여 배면 노이즈에 대처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기존 방법에 따르면 스캐닝한 한쪽 면의 스캔 데이터 전체를 대상으로 밝기를 체크하여 임계값 설정을 위한 우세한 배경색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한쪽 면의 스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대용량의 메모리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배경색의 임계값 설정을 포함한 일련의 처리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다른 기존 기술에 따르면 초기 스캐닝 과정에서 원고 상단의 배경색의 밝기 정보를 체크하고 이를 토대로 원고 전체 영역에 대해 배경색을 일률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처리 시간이 짧아질 수는 있으나 전체 원고에 대한 배경색의 처리가 부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인쇄 출력물의 화상 품질이 떨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캔 이미지 중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다른 면의 오브젝트가 드러나는 배면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면 인쇄 원고를 블록 단위로 나누어 배경색을 처리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스캐닝부; 및 상기 원고 스캔 시 스캔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 인쇄된 오브젝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의 스캔 영역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임계값을 토대로 상기 스캔 데이터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는 이미지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원고의 전체 스캔 영역을 분할하는 복수 블록에 대하여 블록 단위로 보상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밝기색차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와, 상기 밝기색차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밝기 히스토그램의 밝기 빈도수와 빈도수의 변화율에 따라 상기 블록 마다 상기 가변 임계값을 각각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 설정부와, 상기 가변 임계값을 저장하는 가변 임계 값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 당시의 밝기값을 밝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여 색차 임계값을 설정한다.
상기 가변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밝기 임계값과 상기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는 색차 임계값을 각각 설정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원본 문서의 스캔 데이터의 밝기 데이터가 상기 밝기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밝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차 데이터가 상기 색차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보상을 수행하는 이미지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보상부는 상기 밝기 데이터의 밝기값을 보다 높은 배경색의 밝기값으로 대체하여 보상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추출한 스캔 데이터의 우세한 밝기 데이터와 우세한 색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소허용 밝기값과 최대허용 색차값을 초기 배경값으로 설정하는 초기 배경값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초기 배경값 설정부는, 상기 원고 문서의 복수 블록 중 일부 블록을 제외한 다른 블록에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초기값 설정부는 상기 원고 문서의 상단 블록을 제외한다.
상기 초기 배경값 설정부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추출 시 다운 샘플링한다.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하는 제1단계; 상기 원고의 전체 스캔 영 역을 분할하는 복수 블록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추출한 스캔 데이터에서 최소허용 밝기값과 최대허용 색차값을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블록 단위로 스캔 데이터를 밝기색차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밝기색차 데이터에 대하여 밝기 또는 색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제3단계; 상기 밝기 히스토그램의 밝기 빈도수와 빈도수의 변화율에 따라 상기 블록 마다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블록 단위로 설정되는 가변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은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 당시의 밝기값을 밝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여 색차 임계값을 설정한다.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은, 상기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임계값에 대응하는 밝기 임계값과 그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는 색차 임계값을 각각 설정한다.
상기 스캔 데이터의 보상은, 상기 원본 문서의 스캔 데이터의 밝기 데이터가 상기 밝기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밝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차 데이터가 상기 색차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보상한다.
상기 스캔 데이터의 보상은, 상기 밝기 데이터의 밝기값을 보다 높은 배경색의 밝기값으로 대체하여 보상한다.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 시 발생하는 배면 노이즈의 보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면 인쇄 원고와 상기 원고의 보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패턴 인쇄된 테스트 패치를 동일 조건으로 스캔하는 단계; 상기 양면 인쇄 원고의 스캔 영역을 분할하는 블록 단위로 밝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밝기 히스토그램의 밝기 빈도수와 빈도수의 변화율에 따라 블록 마다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스캔 데이터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마다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상기 패치의 검증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증 패턴은 상기 가변 임계값에 따라 인쇄 영역의 범위가 다르게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 시 원하지 않는 스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인쇄된 오브젝트가 드러나는 배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인쇄 원고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정 시 블록 단위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적은 메모리 용량을 사용할 수 있고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를 고려하여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고 있어서 원고 전체에 대한 배경색의 처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보상 동작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고와 동일 조건으로 검증 패턴이 인쇄된 패치를 스캔하고 그 패치를 인쇄 출력하여 검증 패턴을 체크함으로써 스캔 이미지의 보상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검증 작업을 수시로 수행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스캐닝부(100), 이미지 처리장치(200), 저장부(300), 및 인쇄 출력부(400)를 구비한다.
이미지 스캐닝부(100)는 형광 램프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구성 요소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미지 스캐닝부(100)는 이미지 센서의 스캔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장치(200)에 제공한다.
이미지 처리장치(200)는 이미지 스캐닝부(100)에서 제공받은 스캔 데이터에 대하여 블록 단위로 히스토그램 분석을 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300)는 이미지 처리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저장된 스캔 이미지는 인쇄 출력을 위해 사용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 시 사용될 수도 있다.
인쇄 출력부(400)는 이미지 처리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직접 제공받아 인쇄매체에 인쇄 출력하거나 저장부(300)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인쇄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데, 잉크젯 방식 또는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인쇄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장치(200)는 색좌표 변환부(210), 히스토그램 분석부(220),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 가변 임계값 저장부(241), 이미지 보상부(250)를 구비한다.
이미지 처리장치(200)가 스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 적용하는 양면 인쇄 원고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인쇄 원고(10)의 앞면(10a)에는 텍스트 영역(11a)(11b)(11c)으로 이루어진 제1오브젝트(11)와 영상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제2오브젝트(21)가 인쇄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스캐닝부(100)에서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원고(10) 뒷면의 오브젝트가 이미지 센서에 입력되고 그 결과 스캔 데이터에는 원하지 않는 오브젝트, 예컨대 도 3에서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31)가 포함될 수 있다.
색좌표 변환부(210)는 이미지 스캐닝부(100)에서 제공되는 RGB 스캔 데이터를 밝기색차 데이터(YCC)로 변환한 다음 히스토그램 분석부(220)에 제공한다.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는 밝기색차 데이터(YCC)를 제공받아 블록 단위로 밝기(Y)와 색차(Cr, Cb)에 대응하는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데, 이때 블록 단위로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는 원고 상단부에 대해서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는데, 예컨대 도 3에서 도시한 용지의 선단블록(Bi)에 대해서 스킵(skip)하여 분석을 하지 않는다. 이는 용지의 선단블록(Bi)에는 통상적으로 영상 이미지가 인쇄되지 않거나 변색된 부위이거나 문서의 장식 부위에 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를 고려한 것으로 이 부분에 대한 분석 정보는 후술하는 배경색 데이터의 보상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 선단블록(Bi)은 15 라인(lines)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블록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원고(10) 영역 중 용지 선단블록(Bi) 이후부터가 텍스트, 영상 이미지, 배경 이미지가 인쇄된 실질적으로 스캔하려는 대상이 되는 블록들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들(B1~B9)의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한다.
히스토그램 분석부(220)에 의하여 블록 단위로 생성하는 밝기 히스토그램은 밝기값의 범위를 256레벨(0~255)로 한다. 어둡고 짙은 색상으로 인쇄된 원고의 텍스트는 밝기 히스토그램 상에서 밝기값이 0에 가까이 분포하게 되며, 밝고 환한 색상으로 인쇄된 원고의 배경색은 밝기 히스토그램 상에서 밝기값이 255에 가까이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밝기 히스토그램의 전형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의 히스토그램(Hi)은 밝기값이 낮은 제1구간(D1)에 위치하고 배경색의 히스토그램(Hm)은 밝기값이 높은 제3구간(D3)에 위치한다. 이 밝기 히스토그램의 유형은 밝은 영역에서 히스토그램이 하나의 피크(peak)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4a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구간(D2)에는 중간 밝기의 히스토그램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밝기 히스토그램의 다른 유형으로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밝기값이 낮은 하나의 히스토그램(Hi10)과 밝기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히스토그램(Hm10)으로서 2개의 히스토그램(Hm11)(Hm12)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밝기 값이 높은 하나의 히스토그램(Hm11)은 원고의 배경색에 해당하고, 상대적으로 밝기 값이 낮은 다른 하나의 히스토그램(Hm12)은 영상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또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밝기값이 낮은 하나의 히스토그램(Hi20)보다 상대적으로 더 밝은 히스토그램(Hm20)으로 3개 히스토그램(Hm21)(Hm22)(Hm23)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4b와 도 4c에 도시한 히스토그램의 유형은 밝은 영역에서 히스토그램이 복수개의 피크(peak)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이미지 스캐닝부(100)에서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원고(10) 뒷면의 오브젝트(31)가 스캔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오브젝트(31)의 밝기 히스토그램은 그 특성상 밝기값이 큰 배경색의 밝기 히스토그램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제2구간(D2)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2구간(D2)과 제3구간(D3)의 경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원하지 않는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간편한 방법은 원래 배경색 뿐만 아니라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도 밝고 환한 배경색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인쇄 출력 시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가 흐릿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배경색과 동일한 밝기로 출력되도록 하여 즉 배면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배경색 처리 동작에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블록 단위로 적응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가 블록 단위로 배경색에 대한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기 앞서서,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가 밝기 히스토그램에 적용하는 초기 배경값(initial background value; IBV)을 설정하는데, 이러한 초기 배경값(IBV)은 블록 단위로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이 유효하게 하면서 또 그 설정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가 원고 한쪽 면을 스캔할 때 마다 선단블록 다음의 최초 블록(B1)을 대상으로 초기 배경값(IBV)을 1회만 설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대상이 되는 블록과 설정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
초기 배경값의 설정 대상이 되는 최초 블록(B1)의 모든 스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소요 시간을 줄이기 위해 그 블록의 일부를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여기서 다운 샘플링은 전체 스캔 데이터 중 1/4 분량을 추출하는데 예컨대, 4개 픽셀마다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는 스캔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한다.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는 추출 스캔 데이터의 밝기 히스토그램 중 우세한 밝기 데이터(Y')와 우세한 색차 데이터(Cb', Cr')를 체크한다. 여기서 우세한 밝기 데이터와 우세한 색차 데이터에 대한 의미는 추출한 스캔 데이터에서 빈도가 높은 밝기 또는 색차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다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일부를 대상으로 하여 설정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설정되는 가변 임계값의 하나로서 밝기 임계값이 너무 작거나 다른 하나로서 색차 임계값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초기 배경값 설정 부(230)는 우세한 밝기 데이터(Y')을 토대로 최소허용 밝기값(min_L)과 최대허용 색차값(deltach)을 설정한다.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는 우세한 밝기 데이터(Y')와 하한 기준값(Yr1) 및 상한 기준값(Yr2)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최소허용 밝기값(min_L)을 설정하고, 그런 다음 최대허용 색차값(deltach)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한 기준값(Yr1) 및 상한 기준값(Yr2)을 각각 120, 200으로 설정한다.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는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하한 기준값(Yr1)보다 낮으면 다음 식1)에 따라 최소허용 밝기값(min_L)을 설정하고,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하한 기준값(Yr1)보다 낮지 않고 상한 기준값(Yr2)보다 높으면 다음 식2)에 따라 최소허용 밝기값(min_L)을 설정하며,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하한 기준값(Yr1)보다 낮지 않고 상한 기준값(Yr2)보다 높지 않으면 다음 식1)에 따라 최소허용 밝기값(min_L)을 설정한다.
또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는 최대허용 색차값(deltach)을 다음 식3)에 따라 설정한다.
최소허용 밝기값(min_L) = (Y'/2) + K1 .... 식1)
최소허용 밝기값(min_L) = (Y'/2) + K2 .... 식2)
최대허용 색차값(deltach) = I(Cb')2 - (Cr')2 I + K1 .... 식3)
여기서 여기서 K1은 10이고, K2는 5이다.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블록에 대하여 블록 단위로 가변 임계 값(Adaptive Threshold; AT)을 설정하는데, 앞에서 설명한 밝기 히스토그램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4a와 같은 히스토그램의 유형인 경우,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도 5a에 따라 가변 임계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소정 유효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상에서의 최소값(Ms)과 최대값(Mx)을 설정한다. 여기서 최소값(Ms)과 최대값(Mx) 설정 시 그 밝기값의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텍스트의 밝기값에 대응하는 0과 실질적으로 배경색의 밝기값에 대응하는 255를 제외하도록 한다.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최소값(Ms)과 최대값(Mx)의 중간을 로컬 임계값(Local Threshold; LT)으로 설정하고, 그 로컬 임계값을 기준으로 왼쪽 그룹(GA)과 오른쪽 그룹(GB)으로 나눈다. 이에 따라 소정 블록의 각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밝기값은 왼쪽 그룹(GA) 또는 오른쪽 그룹(GB)에 속하게 된다.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왼쪽 그룹(GA)에서 최고빈도 밝기값(P_A)과 오른쪽 그룹(GB)에서 최고빈도 밝기값(P_B)을 체크하고, 두 최고빈도 밝기값의 차이, 즉 그룹간격(PD)을 계산한다. 여기서 그룹 간격(PD)과 기준 간격(K3)을 비교하여 보고 그 결과 기준 간격(K3) 예컨대, 20 보다 적은 경우에 해당하면 도 4a와 같이 밝은 쪽 영역에 밝기 히스토그램의 피크(peak)를 하나만 가지는 경우로 인식한다. 그렇게 되면 왼쪽 그룹의 최고빈도 밝기값(P_A)에서부터 밝기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최소값(Ms) 사이에서 가변 임계값(AT)을 설정하는데, 이때 밝기 히스토그램의 대부분은 도 5b와 같이 가변 임계값(AT)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 가변 임계값(AT) 보다 높은 밝기 데이터에 대해서 배경색으로 처리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배면 노이즈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가변 임계값의 설정 방법은 도 7에 따라 후술한다.
다른 예로서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은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상에서의 최소값(Ms)과 최대값(Mx)을 설정하고, 그 최소값(Ms)과 최대값(Mx)의 중간을 로컬 임계값(LT)으로 설정한 다음, 그 로컬 임계값(LT)을 기준으로 왼쪽 그룹(GA1)과 오른쪽 그룹(GB1)으로 나눈 다음 왼쪽 그룹(GA1)에서 최고빈도 밝기값(P_A1)과 오른쪽 그룹(GB1)에서 최고빈도 밝기값(P_B1)을 체크한다. 이때 두 최고빈도 밝기값의 차이, 즉 그룹 간격(PD)과 기준간격(K3)을 비교하여 보고 그 결과 기준간격(K3) 예컨대, 20 보다 적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면 밝은 쪽 영역에 밝기 히스토그램의 피크(peak)를 복수개 가지는 경우로 인식한다.
이 경우라고 하면 왼쪽 그룹의 밝기 히스토그램은 정상적인 영상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제외하는 한편 오른쪽 그룹의 최고빈도 밝기값(P_B1)에서부터 밝기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로컬 임계값(LT) 사이에서 가변 임계값(AT1)을 설정하는데, 이때 도 6b와 같이 오른쪽 그룹의 밝기 히스토그램의 대부분은 가변 임계값(AT1)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 임계값(AT1) 보다 높은 밝기 데이터에 대해서 배경색으로 처리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배면 노이즈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앞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가변 임계값의 설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를 참고하여, 도 5a에서와 같이 제1유형에 대응하는 왼쪽 그룹의 최고빈도 밝기값(P_A)이든지 또는 도 6a에서와 같이 제2유형에 대응하는 오른쪽 그룹의 최고빈도 밝기값(P_B1)이든지 일단 최고빈도 밝기값이 결정되면 그 최고빈도 밝기값(이하에서 px라 한다)을 시작점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가변 임계값의 조건에 충족되는지를 체크한다. 이때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각 밝기값의 빈도수 빈도수의 변화율의 총합을 근거로 하여 체크한다. 예를 들면, 그 최고빈도 밝기값(px)의 빈도수(fpx)와 빈도수의 변화율(e)의 총합(GT)를 계산하고 그 총합(GT)과 기준 임계값(RT)을 비교한다. 여기서 빈도수의 변화율(e)은 최고 밝기값(px)의 빈도수와 한 단위 낮은 밝기값(px-1)의 빈도수의 차이(e1)와 한 단위 낮은 밝기값(px-1)의 빈도수와 두 단위 낮은 밟기값(px-2)의 빈도수의 차이(e2)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e = (e1+ e2)2 , e1 = [fpx] - [fpx-1] , e2 = [fpx-1] - [fpx-2]
그 비교 결과 최고 밝기값(pX)에서의 총합(GT)이 기준 임계값(RT)보다 크면, 다음 단계에서 즉 차순위 밝기값(px-1)에 대하여 같은 방법으로 총합(GT)을 계산하고 나서 기준 임계값(RT)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은 해당 밝기값에서의 총합(GT)이 기준 임계값(RT)에 도달할 때 까지 계속하게 되며, 예컨대 도 7에서 소정 밝기값(pi)에서 총합(GT)이 기준 임계값(RT)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가변 임계값(AT)으로 설정되게 된다. 여기서 가변 임계값(AT)은 설정 당시의 밝기값에 대응하는 밝기 임계값(Y_TH)과 그 밝기 임계값에 의해 정해지는 색차 임계값(CH_TH)으로 구분하며, 이러한 두 임계값을 설정하는 구체적 방법은 후술한다.
이러한 가변 임계값의 설정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며, 그 가변 임계값은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에 의하여 가변 임계값 저장부(241)에 저장된다.
가변 임계값은 소정 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에 토대로 하여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원고 앞면의 오브젝트를 남겨 두고 원하지 않는 원고 뒷면의 오브젝트만을 보다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블록 간 밝기 차이 및 색차의 차이를 더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간 밝기 차이를 체크하고, 그 결과 밝기 차이가 작은 경우와 밝기 차이가 큰 경우로 구분하고 나서, 밝기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가변 임계값의 유효 여부만을 체크하고 나서 실질적으로 이미지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용하는 가변 임계값으로서 밝기 임계값(Y_C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각각 설정한다.
밝기 차이가 큰 경우에는 색차 차이의 크기를 더 고려하며 그런 다음 가변 임계값의 유효 여부를 체크하고 나서 실질적으로 이미지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용하는 가변 임계값으로서 밝기 임계값(Y_C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각각 설정한다.
이미지 보상부(250)는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에 의하여 설정되는 블록 단위의 가변 임계값으로서 제공받는 밝기 임계값(Y_C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토대로 색좌표 변환부(210)에서 제공되는 해당 블록의 밝기색차 데이터 중 배경색 데이터에 대한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보상 대상에는 용지 선단블록(Bi)과 다른 블록들을 포함하는 원고 앞면 즉 전체 스캔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용지 선단블록(Bi)에 한해서, 이전 블록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용지 선단블록(Bi)의 밝기 임계값(Y_CH)과 색차 임계값(CH_TH)으로 초기 배경값(IBV)에 대응하는 밝기값(Y')과 그 밝기값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허용 색차값(deltach)을 각각 설정한다.
이미지 보상부(250)는 각 픽셀에 대응하는 스캔 데이터의 밝기가 밝기 임계값(Y_CH)보다 크고 동시에 그 픽셀에 대응하는 스캔 데이터의 색차가 색차 임계값(CH_TH)보다 적은 경우 배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배경색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보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미지 보상부(250)는 밝기 임계값(Y_CH)보다 큰 밝기값을 가지는 스캔 데이터에 대해서는 원래 밝기값을 무시하고 배경색의 밝기값으로 대체하는 배경색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배경색이 보상된 색데이터를 토대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아울러 생성되는 스캔 이미지에 대해서 RGB 색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나서 저장부(300)에 저장하거나 또는 인쇄매체에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출력부(400)에 제공하게 된다.
보상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 결과 보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좌표 변환부(210)에서 제공되는 원고의 밝기색차 데이터(YCC)를 그대로 이미지로 생성하고 나서 RGB 색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다음 저장부(300)에 저장하거나 또는 인쇄매체에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출력부(4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원본 문서를 스캔 시 배면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이미지 처리과정을 거치면 서 배면 노이즈를 배경색 데이터로 대체하여 보상하고, 이 보상된 원본 이미지를 인쇄 출력하게 되면 원본 문서의 이미지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처리 과정은 테스트 패치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얇은 원고(40)와 테스트 패치(50)를 이미지 스캐닝부(100)의 평판(101)에 나란하게 배치하고 나서, 이미지 스캐닝부(100)를 이용하여 동일 조건으로 스캐닝을 수행한다.
얇은 원고(40)의 앞면에는 영상 이미지(40a)와 텍스트(40b)(40c)가 인쇄되어 있고, 그 뒷면에 텍스트(40n)가 인쇄되어 있다. 테스트 패치(50)는 배면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꺼운 용지로 만들고 그 앞면에 농도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패턴(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미지 스캐닝부(100)에 의해 얇은 원고(40)와 테스트 패치(50)의 앞면을 스캔하여 출력하는 스캔 데이터는 이미지 처리장치(200)에 제공된다. 이미지 처리장치(200)는 원고(40)에 대하여 블록 단위로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고 나서 그 가변 임계값을 토대로 블록의 색차밝기 데이터에 대하여 배경색 데이터로 처리하는 보상을 실행한다. 이때 원고에 대한 가변 임계값 설정은 패치(50)의 스캔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원고(40)의 블록 단위로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은 가변 임계값 저장부(241)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이미지 처리장치(200)는 원고(40)에 대하여 보상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나서 RGB 데이터로 변환 후 인쇄 출력부(400)에 제공하여 인쇄 출력하도록 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출력부(400)에서 인쇄 출력하는 복사 문 서(41)에는 영상 이미지(41a), 텍스트(41b)(41c)가 인쇄되어 있지만, 원본 문서 뒷면의 텍스트(40n)는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이미지 처리장치(200)는 패치(50)에 대응하는 스캔 데이터를 이미지 스캐닝부(100)로부터 제공받아 인쇄 출력을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때 패치는 두꺼운 용지로 만들어져서 배면 노이즈가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원고(40)의 스캔 데이터를 보상하는 과정에서 얻어져 가변 임계값 저장부(241)에 저장하였던 블록 단위의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패치(50)의 패턴(50a)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RGB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 출력부(400)에 제공하여 상기 복사 문서(41)와 함께 복사 패치(51)를 인쇄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복사 패치(51)의 패턴 인쇄 시 복사 문서(41)의 영상 이미지(41a)와 텍스트(41b)(41c)에 대응하는 가변 임계값을 적용받게 된다. 이에 따라 원고(40)를 스캔 시 배면 노이즈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블록 단위로 설정되는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스캔 데이터의 배경 데이터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하면, 그 복사 패치(51)에 인쇄되는 패턴에는 가변 임계값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부위(51a)(51b)(51c)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패턴의 변화를 보고 원고 문서에 대한 스캔 데이터의 보상 여부를 쉽게 검증해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고하여, 이미지 스캐닝부(100)가 양면 인쇄 원고(10)의 앞면을 스캐닝하여 스캔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장치(200)에 제공한다(500).
색좌표 변환부(210)는 RGB 스캔 데이터를 밝기색차 데이터(YCC)로 변환한 다 음 히스토그램 분석부(220)에 제공하며,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는 용지 선단블록(Bi)을 스킵한다(510).
그런 다음 초기 배경값(IBV)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520).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는 최초 블록(B1)에 한정하여 1/4로 다운 샘플링하여 생성한 밝기 히스토그램과 색차 히스토그램을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에 제공한다(521)(522). 초기 배경값 설정부(230)는 그 밝기 및 색차 히스토그램 중 우세한 밝기 데이터(Y')와 우세한 색차 데이터(Cb', Cr')를 체크하고(523),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하한 기준값(Yr1)보다 낮은지 판단한다(524).
동작 524의 판단 결과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하한 기준값(Yr1)보다 낮지 않은 경우,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상한 기준값(Yr2)보다 높은지 판단한다(525).
동작 524의 판단 결과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하한 기준값(Yr1)보다 낮은 경우 또는 동작 525의 판단 결과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상한 기준값(Yr2)보다 높지 않은 경우 최소허용 밝기값(min_L)을 식1)에 따라 설정하고(526), 동작 525의 판단 결과 우세한 밝기 데이터(Y')가 상한 기준값(Yr2)보다 높은 경우 최소허용 밝기값(min_L)을 식2)에 따라 설정한다(527). 그런 다음 최대허용 색차값(deltach)은 식3)에 따라 설정한다(528).
히스토그램 분석부(220)는 블록에 대하여 블록 단위로 밝기 히스토그램과 색차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에 제공한다.
이어 상기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블록의 특징이 반영된 밝기 및 색차 히스토그램의 유형을 분석한다(530).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상에서 최소값(Ms)과 최대값(Mx)을 설정하고(531), 그 최소값(Ms)과 최대값(Mx)의 중간을 로컬 임계값(LT)으로 설정한(532) 다음, 그 로컬 임계값(LT)을 기준으로 블록 전체 픽셀에 대한 각각의 밝기값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533), 각 그룹의 최고 밝기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두 그룹의 간격(PD)을 계산한다(534).
그룹 간격(PD)이 기준 간격(K3)보다 작은지 판단하고(535), 그룹 간격(PD)이 기준 간격(K3)보다 작은 경우 밝은 히스토그램의 피크(peak)가 하나인 제1유형으로 설정하고(536), 그룹 간격(PD)이 기준 간격(K3)보다 작지 않은 경우 밝은 히스토그램의 피크(peak)가 복수개인 제2유형으로 설정하게 된다(537).
그런 다음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설정된 유형의 블록 단위로 가변 임계값을 설정한다(540).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는 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대한 도 7의 그래프를 분석하여 그 유형에 맞는 최고 밝기값(px라 한다)을 시작점으로 그 최고 밝기값(px)의 빈도수(fpx)와 빈도수의 변화율(e)의 총합(GT)를 계산하고(541), 그 총합(GT)과 기준 임계값(RT)을 비교한다(542). 이러한 비교 동작은 총합(GT)이 기준 임계값(RT) 이하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총합(GT)이 기준 임계값(RT)에 이르게 되면 그 당시의 가변 임계값을 블록 단위로 설정되어 가변 임계값 저장부(241)에 저장한다. 이미지 보상부(250)는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를 계산하고(543), 그 계산 결과 밝기 차이가 큰지를 판단한다(544). 그 판단 결과 밝기 차이가 크지 않으면 즉, 이전 블록의 가변 임계값(Prev_AT)과 현재 블록의 가변 임계값(Cur_AT)의 차이가 설정된 제1보상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그에 따른 밝기 임계값(Y_T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설정한다(545). 즉, 현재 블록의 가변 임계값(Cur_AT)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이 최소허용 밝기값(min_L) 보다 높은지 판단하고(545a), 그 판단 결과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이 최소허용 밝기값(min_L) 보다 높은 경우에는 설정이 유효하다고 인식하여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을 현재 블록의 밝기 임계값(Y_TH)으로 설정하고,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H_TH)은 F1 또는 F2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여기서 색차 임계값(CH_TH)은 다음 식5)에 따라 계산하고 그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의 크기와 식4)에서 정하는 F1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설정한다.
F1 = Y_TH + K4 , F2 = 255 - {((Y_TH + 1)*Y_TH)/K5)} ....식4)
색차 임계값(CH_TH) = I(Cb'-K5)2 - (Cr'-K5)2 I + K1 ... 식5)
여기서 K4는 50이고, K5는 128이다.
식5)에 의해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이 F1보다 높으면, 색차 임계값(CH_TH)은 F1로 설정한다. 그 식5)에 의해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이 F1보다 높지 않으면 색차 임계값(CH_TH)은 F2로 설정한다(545b).
동작 544의 판단 결과 밝기 차이가 크면 즉, 이전 블록의 가변 임계값(Prev_AT)과 현재 블록의 가변 임계값(Cur_AT)의 차이가 설정된 제1보상기준값보 다 높은 경우 이전 블록의 색차 임계값(Prev_CH)과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ur_CH)의 차이가 제2보상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546).
그 판단 결과 이전 블록의 색차 임계값(Prev_CH)과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ur_CH)의 차이가 제2보상기준값보다 높지 않으면 그에 따른 현재 블록의 밝기 임계값(Y_T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설정한다(547). 즉, 현재 블록의 가변 임계값(Cur_AT)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이 기준 밝기값(Yj) 보다 높은지 판단하고(547a), 그 판단 결과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이 기준 밝기값(Yj) 보다 높은 경우에는 설정이 유효하다고 인식하여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을 현재 블록의 밝기 임계값(Y_TH)으로 설정하고,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H_TH)은 식4)와 식5)를 이용하여 F1 또는 F2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여기서 기준 밝기값(Yj)은 100으로 설정한다(547b). 즉, 식5)에 의해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이 F1보다 높으면, 색차 임계값(CH_TH)을 F1로 설정한다. 그 식5)에 의해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이 F1보다 높지 않으면 색차 임계값(CH_TH)을 F2로 설정한다.
동작 546의 판단 결과 색차 차이가 크면 즉, 이전 블록의 색차 임계값(Prev_CH)과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ur_CH)의 차이가 제2보상기준값보다 높으면, 그에 따른 밝기 임계값(Y_T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설정한다(548). 즉, 이전 블록의 색차 임계값(Prev_CH)이 F'2이하이고 동시에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이 기준 밝기값(Yj)보다 큰지 판단한다(548a). 여기서, F'2는 F2의 2배수로 설정한다.
동작 548a의 판단 결과 색차 임계값(Prev_CH)이 F'2이하이고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이 기준 밝기값(Yj)보다 높으면 설정이 유효하다고 인식하여 현재 블록의 밝기값(Cur_L)을 밝기 임계값(Y_TH)으로 설정하고,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H_TH)은 식4)와 식5)를 이용하여 F1 또는 F2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548b).
즉, 식5)에 의하여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이 F1보다 높으면 색차 임계값(CH_TH)은 F1로 설정하고, 식5)에 의하여 계산한 색차 임계값(CH_TH)이 F1보다 높지 않으면 색차 임계값(CH_TH)을 F2로 설정한다(548b).
동작 545a와 동작 547a 및 동작 548a에서 각각의 판단 결과 "아니오" 경우에는 설정이 유효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이 경우에는 이전 블록의 밝기값(Prev_L)을 현재 블록의 밝기 임계값(Y_TH)으로 설정하고, 이전 블록의 색차 임계값(Prev_TH)이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값(CH_TH)으로 설정한다(549).
이와 같이 유효 블록 마다 가변 임계값(AT)으로서 설정된 밝기 임계값(Y_TH)과 색차 임계값(CH_TH)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보상부(250)에 제공된다.
이미지 보상부(250)는 가변 임계값 설정부(240)에 의하여 설정되는 블록 단위의 가변 임계값으로서 제공받는 밝기 임계값(Y_CH)과 색차 임계값(CH_TH)을 토대로 색좌표 변환부(210)에서 제공되는 원본문서의 밝기색차 데이터(YCC) 중 해당 블록의 밝기색차 데이터 중 배경색 데이터에 대한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550). 여기서 각 픽셀에 대응하는 스캔 데이터의 밝기가 현재 블록의 밝기 임계값(Y_CH)보다 크고 동시에 그 픽셀에 대응하는 스캔 데이터의 색차가 현재 블록의 색차 임계 값(CH_TH)보다 적은 경우 배경색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동작 550의 판단 결과, 보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미지 보상부(250)는 밝기 임계값(Y_CH)보다 높은 밝기값을 가지는 각 픽셀의 스캔 데이터에 대해서는 원래 밝기값을 무시하고 배경색의 밝기값으로 대체하는 배경색 데이터 보상을 한다(560). 그런 다음 배경색이 보상된 색데이터를 토대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570).
동작 550의 판단 결과 보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좌표 변환부(210)에서 제공되는 원본문서의 밝기색차 데이터(YCC)를 그대로 스캔 이미지로 생성한다(590).
배경색 데이터의 보상을 하든 보상을 하지 않든 이미지 보상부(250)는 생성되는 스캔 이미지에 대해서 RGB 색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나서 저장부(300)에 저장하거나 또는 인쇄매체에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출력부(400)에 제공하게 된다(580).
도 1은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캐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하는 양면 인쇄 원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스캔 데이터의 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이 제1유형인 경우로서, 밝은 히스토그램의 피크를 하나만 가지는 경우의 예이다.
도 4b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스캔 데이터의 블록의 밝기 히스토그램이 제2유형인 경우로서, 도 4b는 밝은 히스토그램의 피크가 2개인 경우이고, 도 4c는 밝은 히스토그램의 피크가 3개인 경우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제1유형의 밝기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가변 임계값의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제2유형의 밝기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가변 임계값의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임계값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밝기 히스토그램상에서 밝기값에 따른 빈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원고의 스캔 이미지에 대한 보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메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배경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의 유형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임계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이미지 스캐닝부
200 : 이미지 처리장치
300 : 저장부
400 : 인쇄 출력부

Claims (19)

  1.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스캐닝부; 및
    상기 원고 스캔 시 스캔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 인쇄된 오브젝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의 스캔 영역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임계값을 토대로 상기 스캔 데이터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는 이미지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원고의 전체 스캔 영역을 분할하는 복수 블록에 대하여 블록 단위로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밝기색차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와, 상기 밝기색차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밝기 히스토그램의 밝기 빈도수와 빈도수의 변화율에 따라 상기 블록 마다 상기 가변 임계값을 각각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 설정부와, 상기 가변 임계값을 저장하는 가변 임계값 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 당시의 밝기값을 밝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여 색차 임계값을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밝기 임계값과 상기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는 색차 임계값을 각각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원본 문서의 스캔 데이터의 밝기 데이터가 상기 밝기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밝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차 데이터가 상기 색차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보상 을 수행하는 이미지 보상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상부는 상기 밝기 데이터의 밝기값을 보다 높은 배경색의 밝기값으로 대체하여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추출한 스캔 데이터의 우세한 밝기 데이터와 우세한 색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소허용 밝기값과 최대허용 색차값을 초기 배경값으로 설정하는 초기 배경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배경값 설정부는,
    상기 원고 문서의 복수 블록 중 일부 블록을 제외한 다른 블록에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추출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값 설정부는 상기 원고 문서의 상단 블록을 제외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배경값 설정부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추출 시 다운 샘플링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하는 제1단계;
    상기 원고의 전체 스캔 영역을 분할하는 복수 블록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추출한 스캔 데이터에서 최소허용 밝기값과 최대허용 색차값을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블록 단위로 스캔 데이터를 밝기색차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밝기색차 데이터에 대하여 밝기 또는 색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제3단계;
    상기 밝기 히스토그램의 밝기 빈도수와 빈도수의 변화율에 따라 상기 블록 마다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임계값을 설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블록 단위로 설정되는 가변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은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 당시의 밝기값을 밝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여 색차 임계값을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계값의 설정은,
    상기 블록 간 밝기 차이와 색차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임계값에 대응하는 밝기 임계값과 그 밝기 임계값에 대응하는 색차 임계값을 각각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의 보상은,
    상기 원본 문서의 스캔 데이터의 밝기 데이터가 상기 밝기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밝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차 데이터가 상기 색차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의 보상은,
    상기 밝기 데이터의 밝기값을 보다 높은 배경색의 밝기값으로 대체하여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8. 양면 인쇄 원고를 스캔 시 발생하는 배면 노이즈의 보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면 인쇄 원고와 상기 원고의 보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패턴 인쇄된 테스트 패치를 동일 조건으로 스캔하는 단계;
    상기 양면 인쇄 원고의 스캔 영역을 분할하는 블록 단위로 밝기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밝기 히스토그램의 밝기 빈도수와 빈도수의 변화율에 따라 블록 마다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스캔 데이터의 배경색 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마다 설정하는 가변 임계값을 적용하여 상기 패치의 검증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패턴은 상기 가변 임계값에 따라 인쇄 영역의 범위가 다르게 표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101455A 2007-10-09 2007-10-0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12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55A KR101212296B1 (ko) 2007-10-09 2007-10-0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125,258 US8189914B2 (en) 2007-10-09 2008-05-2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55A KR101212296B1 (ko) 2007-10-09 2007-10-0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34A true KR20090036334A (ko) 2009-04-14
KR101212296B1 KR101212296B1 (ko) 2012-12-12

Family

ID=4052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455A KR101212296B1 (ko) 2007-10-09 2007-10-0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89914B2 (ko)
KR (1) KR101212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6891B2 (ja) * 2008-06-10 2010-11-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減色方法、減色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74710B2 (en) * 2008-06-25 2012-09-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using count variation
US8824806B1 (en) * 2010-03-02 2014-09-02 Amazon Technologies, Inc. Sequential digital image panning
CN104584114B (zh) * 2012-08-20 2017-02-22 富士胶片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KR102105323B1 (ko) * 2013-04-15 2020-04-2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객체 기반 적응적 밝기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2187852B1 (ko) * 2014-01-24 2020-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색상 보정 방법 및 장치
JP6182092B2 (ja) * 2014-03-10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793B1 (en) * 1993-03-27 1996-07-24 Hyundai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circuit of facsimile
JP2004328679A (ja) * 2003-04-28 2004-11-18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US7545529B2 (en) * 2005-03-24 2009-06-09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of accessing random access cache for rescanning
US7466873B2 (en) * 2005-06-29 2008-12-16 Xerox Corporation Artifact removal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method for scanned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296B1 (ko) 2012-12-12
US8189914B2 (en) 2012-05-29
US20090091801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0825B2 (en) Contrast enhancement of an image using luminance and RGB statistical metrics
KR10121229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432582B2 (en) Uniformity compensation in halftoned images
US7382915B2 (en) Color to grayscale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US6441923B1 (en) Dynamic creation of color test patterns based on variable print settings for improved color calibration
US5850298A (en) Image processing device eliminating background noise
US936155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screen processing
US7502150B2 (en) Color convert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color convers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573480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lor proof
US78893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787182B (zh) 图像数据转换设备、图像数据转换方法、图像数据转换程序、pos终端设备和服务器
JP4700721B2 (ja) 画像処理装置
US76232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3013563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243330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color material saving process
US20010021042A1 (en) Image processor
JP2019220860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00335B2 (en) Method for printing a halftone digital image
EP1199884A1 (en) Color proof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color proofing program is recorded
JP200103675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86654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processing halftone regions in scanned documents
US84773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622010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US20230051281A1 (en) Color correction of an image
US2021038534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