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943A - 회전형 등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회전형 등받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943A
KR20090035943A KR1020070100994A KR20070100994A KR20090035943A KR 20090035943 A KR20090035943 A KR 20090035943A KR 1020070100994 A KR1020070100994 A KR 1020070100994A KR 20070100994 A KR20070100994 A KR 20070100994A KR 20090035943 A KR20090035943 A KR 20090035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support
chai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696B1 (ko
Inventor
박윤호
Original Assignee
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호 filed Critical 박윤호
Priority to KR102007010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6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가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단독 또는 분할되어 있는 등받이를 90°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만성적인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회전형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 등받이, 쿠션, 회전형, 척추, 착좌,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Description

회전형 등받이 의자{ROTARY FORM BACK OF A CHAIR}
본 발명은 회전형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를 회전토록 하여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을 예방하기 위한 회전형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가구의 하나로 형태, 용도, 구조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하고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은 신체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자를 형태에 구분하면 크게 등받이 의자와 팔걸이 의자로 구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 의자는 기본적인 의자의 구성에 신체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가 설치된 것이고, 팔걸이 의자는 상기 등받이 의자의 좌, 우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걸칠 수 있는 팔걸이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의자를 용도상으로 구분하면 작업목적용 의자, 휴식목적용 의자, 특수목적용 의자로 나눌 수 있으며, 작업목적용 의자로는 사무용 의자, 학습용 의자, 식사용 의자 등이 있고, 휴식목적용 의자로는 안락의자 및 소파 등이 있으며, 특수 목적용 의자로는 이발, 미용, 의료, 극장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가 있다.
또한, 의자를 구조상으로 구분하면 고정식, 접이식, 경사조절식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목재의자, 금속의자, 합성수지 의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의자를 구성하는 시트 및 등받이는 신체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어 부드러운 재질의 직물 또는 가죽 등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짚이나 면포, 양모, 새털, 우레탄 폼 등을 집어넣어 접촉된 신체부위에 탄력을 주고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 의자는 효율적인 등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의 가장자리를 두툼하게 하여 보강하거나 안쪽으로 휘어지게 하여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가 편안함과 안락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신체 구조에 최적화할 수 있도록 등받이를 분할한 듀오(DUO)형태의 등받이 의자도 제안되고 있어 이로 인하여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는 더욱 향상된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등받이 의자는 시트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한 극히 제한된 기능만을 갖고 있어 제품의 차별화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측면만을 강조하여 어필해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등받이 의자의 경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기능만을 갖고 있을 뿐이고, 이 지지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등받이를 분할하고 있으나, 단순한 지지효과의 향상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어 더 나은 성능효과를 바라는 사용자의 기대감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등받이 의자는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척추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은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나, 등의 상측과 하측 즉, 경추 부분과 요추 부분은 전혀 지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만성적인 목디스크 및 허리디스크를 유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척추가 휘어지는 척추측만증 등을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회 전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회전상태를 간단한 구조만으로 견고하게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회전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가 분할되어 있는 의자의 경우 착좌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등받이의 분할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시트와;
이 받침시트에 연결된 지지체에 장착되어 상기 받침시트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시트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는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받침시트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받침시트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시트가 등받이축 및 등받이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게 됨으로써, 만성적인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아울러, 간단한 구조인 고정돌기와 고정구멍으로 구성된 고정요소만으로 분 할등받이시트의 회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됨으로써, 등받이 의자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등받이판에 장착된 분할등받이시트가 간격조절구멍을 통해 착좌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장착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향상된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받침시트와 이에 연결된 지지체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등받이시트로 구성된 등받이 의자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자에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된 것을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받침시트와 이에 연결된 지지체로 등받이축을 사용하는 의자에 회전판을 이용하여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와 회전판에 각각 고정요소가 형성된 것을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분할등받이시트의 장착과 회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요소로 등받이축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된 회전판에 간격조절구멍이 뚫어진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에 분할등받이시트가 회전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등받이축에 분할등받이시트가 회전판을 이용하여 회전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다른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받침시트에 일체로 연결된 등받이판에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에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되어 회전되는 것을 정면도로 보인 것으로, 등받이판에 형성된 간격조절구멍에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되어 회전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6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 의자(1)에 착좌한 사용자가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은 기본이고,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효과적으로 받쳐 지지하여 목디스크 및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받침시트(10)와 이 받침시트(10)에 연결된 지지체(20)에 장착되어 상기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시트(30)로 구성하되, 상기 등받이시트(30)는 지지체(2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시트(10)는 의자(1)에 착좌한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쿠션을 덧대어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를 갖게 하기 위하여 바닥 하부에 다리(11)를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이때의 다리(11)는 공지의 구성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받침시트(10)에 연결되어 하기에서 설명하게 되는 등받이시트(30)를 장착토록 하는 지지체(20)는 등받이축(21) 또는 등받이판(24)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시트(10)의 후방에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받침시트(10)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시트(30)를 장착토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시트(30)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체(20)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등받이축(21)을 기준으로 설명하게 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등받이판(24)을 기준으로 설명하게 된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둔다.
또한, 상기 등받이축(21)과 등받이판(24)으로 구성되는 지지체(20)의 상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1)에 착좌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20a)를 부가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등받이축(21)을 지지체(20)로 사용하게 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의자(1)의 경우 등받이시트(30)는 등받이축(21)의 전면에 장착되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등받이시트(30)의 회전을 통해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등받이시트(30)는 등받이축(21)을 중심으로 90°의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어느 정도의 예각 또는 둔각은 허용된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시트(30)는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감싸며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가장자리에 두툼하게 보강부(31)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등받이시트(30)의 회전시 상기 보강부(31)가 사용자의 척추를 집중적으로 받쳐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31)의 다른 실시 예로는 주로 자동차용 시트에 사용되는 럼버서포트(lumber support)를 등받이시트(30)에 내장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등받이시트(10)의 가장자리를 돌출시켜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가 등을 감싸며 받치도록 하고, 등받이시트(30)의 회전시에는 반대로 중앙부분을 돌출시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집중적으로 받쳐 지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등받이시트(30)가 회전되어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기 위해서는 등받이축(21)의 전방에 장착되어야 하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0a)을 통해 체결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30a)은 등받이시트(3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체결되어 등받이축(21)에 상기 등받이시트(30)를 장착토록 유도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1)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에서 체결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이 체결수단(30a)은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체결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지체(20)에 등받이시트(30)를 쉽고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인 것을 사용토록 하고, 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를 체결수단(30a)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시트(30)는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분할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등받이시트(30)를 두 개로 분할하여 한 벌(DUO)로 사용하거나, 세 개로 분할하여 한 벌(TRIO)로 사용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그 개수를 증가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신체구조상 척추를 기준으로 등이 약간 굽어 있기 때문으로, 등받이시트(30)를 두 개 또는 세 개로 분할하여 한 벌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등을 좌우에서 효과적으로 받쳐 지지하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등받이시트(30)의 분할구조는 익히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등받이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판(32)에 분할등받이시트(33)(34)가 장착되어야 한다.
즉, 등받이축(21)의 전방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32)에 분할등받이시트(33)(34)가 장착되어 회전됨으로써,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분할하여 지지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회전판(32)을 통한 90°회전시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여 목디스크 및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의 발생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할등받이시트(33)(34)를 회전시키기 위한 등받이축(21)은 횡단면이 원형이거나 사각인 것을 포함하여 상기 분할등받이시트(33)(34)를 장착하고,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장착 및 회전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받이축(21)과 분할등받이시트(33)(34) 사이에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고정요소를 형성하여 상기 분할등받이시트(33)(34)의 장착 및 회전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고정요소로 는 등받이축(21)에 모서리가 형성된 고정돌기(22)를 형성되고, 회전판(32)에는 이 고정돌기(22)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멍(23)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어 이를 통해 상기 분할등받이시트(33)(34)의 장착 및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분할등받이시트(33)(34)의 더욱 향상된 장착성과 회전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사용 중 상기 분할등받이시트(33)(34)의 유동에 의한 사용자의 불안요소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2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보인 것과 같이, 받침시트(10)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판(24)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판(24)의 전면에 등받이시트(30)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등받이판(24)은 앞서 설명한 등받이축(21)에 비하여 의자에 착좌한 사용자가 더욱 향상된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게 되며, 구조상으로도 견고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등받이판(24)의 전면에 장착되어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시트(30)는 상기 등받이판(2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등받이판(24)과 등받이시트(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체결요소(30a)를 통해 체결고정하여 장착 및 회전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판(24)의 전면에 장착되는 등받이시트(30)는 받침시트(10) 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분할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시트(30)를 두 개로 분할하여 한 벌(DUO)로 사용하게 되며, 이는 등받이판(24)에 상하좌우로 간격조절구멍(25)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즉, 상기 등받이판(24)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간격조절구멍(25)을 뚫고, 좌우에 형성된 간격조절구멍(25)에 분할등받이시트(33)(34)를 장착하여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분할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분할등받이시트(33)(34)를 회전시켜 도 6의 가상선으로 보인 것과 같이, 상하에 형성된 간격조절구멍(25)에 재장착할 경우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의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등받이시트(33)(34)가 장착되는 간격조절구멍(25)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장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이는 사용자의 경우 성별 또는 나이 등에 의해 신체조건이 달라지는데 반해 분할등받이시트(33)(34)의 장착위치는 고정되어 있어 정확한 등의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구멍(25)이 등받이판(24)에 길게 형성될 경우 예로, 성인의 경우 분할등받이시트(33)(34)의 장착거리를 멀게 하여 사용하게 되고, 여성 또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도 6의 가상선으로 보인 것과 같이, 장착거리를 좁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적합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1)에는 앞서 설명한 헤드레스트(20a), 다리(11)는 물론이고, 받침시트(10)에 착좌한 사용자가 팔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팔걸이 등을 부가 설치하여 제공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자에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와 회전판에 각각 고정요소가 형성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에 분할등받이시트가 회전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에 분할등받이시트가 장착되고, 회전되는 것을 보인 정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시트 20 - 지지체
21 - 등받이축 24 - 등받이판
25 - 간격조절구멍 30 - 등받이시트
32 - 회전판 33,34 - 분할등받이시트

Claims (7)

  1. 받침시트와;
    이 받침시트에 연결된 지지체에 장착되어 상기 받침시트에 착좌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시트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는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받침시트에 착좌한 사용자의 경추와 요추를 포함한 척추를 받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등받이축이고, 등받이시트는 이 등받이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는 등받이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판에 분할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와 등받이축 사이에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고정요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등받이판이고, 등받이시트는 상기 등받이 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판에는 상하좌우에 간격조절구멍이 형성되고, 등받이시트는 상기 간격조절구멍에 분할 장착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구멍은 등받이시트의 장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등받이 의자.
KR1020070100994A 2007-10-08 2007-10-08 회전형 등받이 의자 KR10098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94A KR100989696B1 (ko) 2007-10-08 2007-10-08 회전형 등받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94A KR100989696B1 (ko) 2007-10-08 2007-10-08 회전형 등받이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43A true KR20090035943A (ko) 2009-04-13
KR100989696B1 KR100989696B1 (ko) 2010-10-26

Family

ID=4076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94A KR100989696B1 (ko) 2007-10-08 2007-10-08 회전형 등받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56B1 (ko) * 2013-08-28 2015-02-27 홍성태 장애인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06U (ko) * 1989-05-29 1991-01-14
AUPQ635100A0 (en) 2000-03-21 2000-04-15 Ginns, Edward William Folding chair and table
JP4695353B2 (ja) * 2004-06-30 2011-06-08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56B1 (ko) * 2013-08-28 2015-02-27 홍성태 장애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696B1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0853A (ko) 등받이가 분리되는 의자
US8459737B2 (en) Spinal supporting chair attachment
KR100989696B1 (ko) 회전형 등받이 의자
KR20100011743U (ko)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
KR200464707Y1 (ko) 허리요추 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AU5498299A (en) Adjustable back furniture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JP7169166B2 (ja) 椅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US20070257532A1 (en) Chair with interchangeable upholstery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101072035B1 (ko) 허리받침 및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등판 프레임
KR200445660Y1 (ko) 의자
WO2008054225A1 (en) Chair
JP2620116B2 (ja) 腰掛用家具
KR20060028465A (ko) 척추 보호용 의자 시트
KR102424490B1 (ko) 커버형 헤드 레스트
JP7436743B1 (ja) リラックスチェア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457483Y1 (ko) 의자의 가슴받이부 지지용 연결지지대 체결구조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KR200325982Y1 (ko) 의자 등받이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