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917A -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917A
KR20090035917A KR1020070100952A KR20070100952A KR20090035917A KR 20090035917 A KR20090035917 A KR 20090035917A KR 1020070100952 A KR1020070100952 A KR 1020070100952A KR 20070100952 A KR20070100952 A KR 20070100952A KR 20090035917 A KR20090035917 A KR 2009003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ehicle
asv
integrat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대
채귀한
이상길
이재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917A/ko
Priority to US12/287,444 priority patent/US20090093933A1/en
Publication of KR2009003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샤시제어 및 ASV제어에 필요한 감지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류(100)와, 샤시계통 및 ASV계통의 구동기(200)와, 구동기(200) 각각에 구비되어 해당 구동기(20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300) 및, 샤시제어 및 ASV제어가 통합되어 제어되도록 센서류(10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분석하여 구동제어부(3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차량의 샤시제어와 ASV제어를 통합 제어함으로써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ECU, ASV, ECS, 샤시

Description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Unitary safety control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샤시제어 부분을 제어하는 기반하에서 ASV제어를 통합 제어하는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량에는 차량을 전자 장치로 분류할 정도로 많은 종류의 전자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예컨대, 차량에 사용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량 상태를 파악하여 각종 구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산출연산 또는 논리 연산을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결과를 구동기의 작동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제어유닛의 종류에는 EPS(Electronic Power Steering) ECU, ABS(Ani-Lock Break System) ECU, CDC(Continuous Damper Control) ECU, 등이 있으며, 이들은 차량의 현가, 제동, 조향, 구동 등을 제어하여 차량의 안전성과 승차감 이 높아지도록 한다.
특히, ECS(Electronic Conrol Suspension)는 자동차 주행 상태에 따라 전자제어되는 유압장치를 부착하여 도로 조건 및 속도에 의해 자동으로 서스펜션의 강도 및 차고가 조절되어 노면에 대한 접지력과 구동력을 확보하므로, 속도 감응에 따른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하고, ASV(Advanced Safety Vehicle: 선진 안전 자동차)는 졸음운전 경보 시스템, 야간 장애물 감지 시스템, 위험상태 경보 시스템과 같은 기술을 통해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차량 사고가 미리 방지하므로, 차량의 운행에 따른 교통사고 사망자가 최대한 줄어들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개별 시스템은 독립적인 CPU,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각각 채택함에 따라, 각각의 개별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샤시제어 부분과 ASV제어 부분을 통합하여 제어하므로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샤시제어 및 ASV제어에 필요한 감지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류; 샤시계통 및 ASV계통의 구동기; 상기 구동기 각각에 구비되어 해당 구동기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 샤시제어 및 ASV제어가 통합 되어 제어되도록 상기 센서류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제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구동기의 엑츄에이터 또는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담당하는 마이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시제어는 차량의 제동, 조향, 현가 및 구동 제어를 포함하고, 상기 ASV제어는 자동운전제어, 운전자상태감시제어, 점등제어, 야간 장애물 감지제어, 위험상태 경보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샤시계통을 제어하는 기반하에서 ASV제어를 통합 제어함으로써,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모듈화된 제어로직을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차량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으며, ASV 기능들이 손쉽게 차량에 적용될 수 있어 지능형 자동차 개발에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을 구현한 그래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동시스템, 조향시스템, 현 가시스템 및, 구동시스템과 같은 샤시제어시스템에 ASV(Advanced Safety Vehicle)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이다. 이러한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을 기존의 IVSS(Intelligent Vehicle Safety System)에 포함시킴으로써 제어로직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고, 실차 튜닝 및 개발이 용이하여 품질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류(100)와, 차량의 샤시계통 및 ASV계통에 사용되는 구동기(200)와, 각각의 구동기(200)에 마련되어 최소한의 작동 기능을 부여하는 구동제어부(300) 및, 샤시제어 및 ASV제어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류(100)는 차량의 샤시제어 및 ASV제어에 필요한 감지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4개의 샤시제어시스템에 사용되는 각종 센서류(100)를 분류하므로 상기 샤시제어시스템과 ASV시스템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센서를 공용화한다. 예컨대, 이들 센서류(100)는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휠 스피드 센서 및 G센서 등과 같이 샤시제어를 위한 센서들과, ASV제어를 위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200)는 각각의 샤시제어시스템에 마련된 엑츄에이터 또는 모터로 구성되며, 구동제어부(300)를 마련한다. 상기 구동제어부(300)는 상기 구동기(200)의 엑츄에이터 또는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담당하는 마이컴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샤시제어시스템에 각각 사용되는 ECU의 기능이 상기 구동 제어부(300)를 통해 최소한으로 한정함에 따라, 본 발명은 ECU 마이컴의 가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류(100) 및 구동제어부(300)는 통합제어유닛(400)을 통해 제어되는바, 상기 통합제어유닛(400)은 각각의 샤시제어시스템에 적용된 ECU 마이컴을 하나의 통합제어유닛(400)으로 통합함과 아울러, ASV시스템을 추가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통합제어유닛(400)은 상기 센서류(10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제어부(3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각종 구동기(200)를 동작시켜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제어유닛(400)은 차량의 제동, 조향, 현가 및 구동 제어와 같은 샤시제어와, 자동운전제어, 운전자상태감시제어, 점등제어, 야간 장애물 감지제어, 위험상태 경보제어와 같은 ASV제어를 통합하여 제어한다.
이러한 통합안전제어유닛은, 차량 등급과 가격에 따라 해당 구성 및 이들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급차량의 경우 상기 통합안전제어유닛은 조향, 제동, 현가 및, 구동제어를 포함하는 샤시제어시스템과, ASV제어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반면에, 중형 또는 소형차량의 경우 상기 통합안전제어유닛은 조향 및 제동을 포함하는 샤시제어시스템과, ASV제어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의 경우 차량의 샤시계통을 제어하는 기반하에서 ASV제어를 통합 제어하므로,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독립적인 CPU, 입력 인터 페이스부 및,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각각 채택한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위해 고비용이 지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을 구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센서류 200 :구동기
300 :구동제어부 400 :통합제어유닛

Claims (4)

  1. 차량의 샤시제어 및 ASV제어에 필요한 감지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류(100);
    샤시계통 및 ASV계통의 구동기(200);
    상기 구동기(200) 각각에 구비되어 해당 구동기(20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300); 및,
    샤시제어 및 ASV제어가 통합되어 제어되도록 상기 센서류(10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제어부(3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300)는 상기 구동기(200)의 엑츄에이터 또는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담당하는 마이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시제어는 차량의 제동, 조향, 현가 및 구동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SV제어는 자동운전제어, 운전자상태감시제어, 점등제어, 야간 장애물 감지제어, 위험상태 경보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KR1020070100952A 2007-10-08 2007-10-08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KR20090035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52A KR20090035917A (ko) 2007-10-08 2007-10-08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US12/287,444 US20090093933A1 (en) 2007-10-08 2008-10-08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52A KR20090035917A (ko) 2007-10-08 2007-10-08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17A true KR20090035917A (ko) 2009-04-13

Family

ID=4052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52A KR20090035917A (ko) 2007-10-08 2007-10-08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93933A1 (ko)
KR (1) KR200900359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36A (ko) * 2014-05-27 2015-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77891A (ko) * 2016-12-29 2018-07-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지능형 위해 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7035B1 (en) * 2016-08-03 2019-09-10 Apple Inc. Integrated chassis control
DE102021205914A1 (de) 2021-06-10 2022-06-30 Zf Friedrichshafen Ag Achsen-Antriebssystem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1823A (en) * 1991-09-03 1996-05-28 Mazda Motor Corporation Learning control vehicle
DE19643013C1 (de) * 1996-10-18 1998-02-12 Telefunken Microelectron Datenübertragungssystem
US6721659B2 (en) * 2002-02-01 2004-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ision warning and safety countermeasure system
US6963797B2 (en) * 2002-08-05 2005-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mount of control for operating a rollover control system
JP4045961B2 (ja) * 2003-01-24 2008-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制動制御装置
US7239949B2 (en) * 2003-02-26 2007-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ensing system
JP4578795B2 (ja) * 2003-03-26 2010-11-1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US6915196B2 (en) * 2003-09-23 2005-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crash safety system in a vehicle having a pre-crash sensing system and countermeasure systems
TWM270954U (en) * 2004-10-26 2005-07-21 Yung-Cheng Chen Light-sensitive lamp-controlling structure of scooter
US7561951B2 (en) * 2005-05-06 2009-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dynamics controls
US20080147277A1 (en) * 2006-12-18 2008-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safet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36A (ko) * 2014-05-27 2015-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77891A (ko) * 2016-12-29 2018-07-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지능형 위해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3933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176A (en) Safety system for vehicles
US78347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brake light control
US9120375B2 (en) Sudden acceleration preventing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and method thereof
KR102055020B1 (ko) 지능형 차량 센서 디바이스
US8482397B1 (en) Deceleration-activated brake lights
US20080136618A1 (en) Control method of rear lamp for preventing crash
US20070018801A1 (en) Digital voice/visual warning, alert, and status system for vehicles utilizing laser sensors
KR101816238B1 (ko) 가속페달의 위치 변화량과 가속도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안전상태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7479892B2 (en) Detection of unintended lane departures
KR101767994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등
US20140139333A1 (en)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item of braking operation information
JP2008024165A (ja) 負荷制御装置、負荷制御方法及び車両スリップ抑制装置
KR20090035917A (ko) 차량용 통합안전제어시스템
EP2554446B1 (en) Wheel speed senso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8880294B2 (en) Proactive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system
KR20180136170A (ko) 자동차 상태를 전달하는 시트
GB2496314A (en)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CN109808595B (zh) 车辆报警方法、装置、系统和车辆
KR20100044317A (ko) 네비게이션이 적용된 차량의 과속방지 시스템
WO2023013337A1 (ja) 車両システム
KR20040098704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KR101162326B1 (ko) 현가 제어 장치 및 그 현가 제어 방법
KR20240010770A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0346A (ko) 차량 자동 주행 시스템
KR100666139B1 (ko) 중압 어큐뮬레이터의 고장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