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290A -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290A
KR20090035290A KR1020070100496A KR20070100496A KR20090035290A KR 20090035290 A KR20090035290 A KR 20090035290A KR 1020070100496 A KR1020070100496 A KR 1020070100496A KR 20070100496 A KR20070100496 A KR 20070100496A KR 20090035290 A KR20090035290 A KR 20090035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wideband
optic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585B1 (ko
Inventor
정용덕
최광성
심재식
권용환
김성복
김제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85B1/ko
Priority to US12/676,749 priority patent/US8335200B2/en
Priority to JP2010521762A priority patent/JP2010537539A/ja
Priority to GB1002477.6A priority patent/GB2467449B/en
Priority to PCT/KR2008/002893 priority patent/WO2009044984A1/en
Publication of KR2009003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8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between a central unit and a single remote unit by means of an optical fibre
    • H04B10/25759Details of the reception of RF signal or the optical conversion before the optical fib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장치,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이동통신망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상기 제1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광대역으로 상향하는 광대역 상향 변환기, 상기 광대역 상향 변환기에서 상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광대역 증폭기 및 상기 광대역 증폭기 및 이동 통신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중 대역, 광통신, 광대역 통신 변환

Description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and transformation of multiband signal}
본 발명은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다중 대역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분리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39-03, 과제명: 60GHz Pico cell 통신용 SoP]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이동통신 및 텔레매틱스 분야에서 광대역의 무선 접속 시스템 구축을 위해 유선 기반의 무선 기술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의 무선 서비스를 위해 여러 가지 반송 주파수 및 데이터 변조 방식이 연구되어 있으나,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강력한 유선망을 직접 활용하 고자 하는 접근 방식은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현재에는 기존 무선 서비스의 광대역화와의 한계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특히, 현재 무선 서비스는 54 Mbps가 2.4 GHz (IEEE 802.11 g)기반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IEEE 802.16.m에서 최대 1 Gbps 전송을 위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밀리미터 대역의 표준화 작업 분야로 IEEE802.15.3c (WPAN : Wireless Personal Network), ETSI/BRAN (WLAN : Wireless LAN), ISO/TC 204 WG16(IVC : Inter Vehicle Communication, RVC : Roadside Vehicle Communication), ECMA/ISO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여러 가지 무선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다양한 주파수 사용에 따라 각각 다른 무선 접속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스템 구축 및 유지비용이 증가하고, 각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매우 비효율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 도입되는 무선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하나의 변환 장치로 여러 대역의 무선 통신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다중 대역 분리 변환 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통신 망을 이용한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WLAN, Wibro/4G, 위성 DMB, 3G, UWB 서비스와 같이 입출력 신호의 형식에 관계없이 서비스 지역을 확장할 수 있는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유선망을 이용한 광대역 데이터를 무선 서비스가 가능하고 다중대역 무선 서비스가 가능한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장치,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이동통신망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상기 제1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광대역으로 상향하는 광대역 상향 변환기, 상기 광대역 상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광대역 증폭기 및 상기 광대역 증폭기 및 이동 통신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이동통신망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상기 제2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광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하향하는 광대역 하향 변환기, 상기 광대역 하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광대역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변환기로 수신되는 광신호 및 상기 전광변환기로부터 발송되는 광신호는 모두 광 듀플렉서를 통하여 동일한 광섬유다발을 통하여 입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신호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만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대역 상향 변환기는 상기 입력된 기저 대역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표준에 상응하여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는 듀플렉서를 통하여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수신이 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신호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대역 하향 변환기는 상기 입력된 광대역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표준에 상응하여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적어도 한 종류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가 기저대역 신호라면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광대역으로 상향하는 단계, 상기 상향된 전기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통신 표준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적어도 한 종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가 광대역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통신 표준에 상응하여 복호화하고 주파수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광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광신호를 광섬유 다발을 통하여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광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광신호를 광섬유 다발을 통하여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광 통신 망을 이용한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WLAN, Wibro/4G, 위성 DMB, 3G, UWB 서비스와 같이 입출력 신호의 형식에 관계없이 서비스 지역을 확장할 수 있는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유선망을 이용한 광대역 데이터를 무선 서비스가 가능하고 다중대역 무선 서비스가 가능한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신호는 밀리미터파 신호를 광범위하게 의미한다. 특히 밀리미터파 대역의 일 실시예로서 현재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60GHz대역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는 대략 1GHz 내지 3GHz대의 고주파 신호를 주로 의미하며, 현재 사용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2세대, 3세대, 4세대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와이브로(Wibro),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UWB(Ultra Wide Band)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는 RF(Radio-Frequency) 대역 이하의 저주파 대역을 의미 한다. 이러한 기저대역 신호는 유선상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실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가 사용되는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선망으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신호인 유선망 신호(101)가 유선망을 통하여 광통신 변환 장치(103)로 전송된다. 이러한 통신은 기존에 설치된 전화망과, 동축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가입자망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렇게 유선망을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신호는 광통신 변환기(103)에서 광신호로 변환되어 RoF(Radio On Fiber)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광섬유를 통한 신호의 전달은 대용량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RoF 신호로 전송된 데이터는 변환 장치(105)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 신호로 발송되고, 이를 수신 단말기(107)에서 수신하여 최종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 기존의 방식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무선 변환할 경우 각각의 통신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변환 장치에 의하여 데이터가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광대역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에서 형성된 유선망 네트워크 부분(101, 103 및 105 부분)을 사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변환 장치(105)를 이용하면 광대역 신호 및 기존의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모두 각 신호에 맞게 주파수를 변환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광통신 변환 장치(103)를 통하여 광신호로 전송되는 광대역용 데이터 신호 및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는 각각 그 특성에 맞게 분리 증폭되어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되고, 각 대역에 적합한 수신 단말기(107)와 통신할 수 있어, 광대역 통신에서도 기존의 유선망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는 광전 변환 장치(203) 및 전광 변환 장치(223), 제1 스위치(205), 제2 스위치(213),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207) 및 제2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219), 광대역 상향 변환기(209) 및 광대역 하향 변환기(221), 제1 광대역 증폭기(211) 및 제2 광대역 증폭기(217) 및 송수신기(215)를 포함한다.
광전 변환 장치(203)는 상기 참조 번호 201에 표시된 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광신호의 경우 광섬유를 통하여 대용량의 신호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광신호 자체로서 복잡한 변환 과정을 거치기가 곤란한 점이 있으며, 특히 최종 단말기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의 변환을 위해서 빛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전광 변환 장치(223)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유와 반대되는 이유, 즉 외부에서 수신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광통신망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적 신호 를 빛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 스위치(205)는 상기 광전 변환 장치(203)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신호의 주파수특성이나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와 광대역용 신호로 구분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수신단에서 전송받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나 광대역용 신호를 전광 변환 장치로 전송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이러한 제1 스위치(205)는 입력되는 신호의 헤더를 파악하거나 패킷을 조사하여 신호의 특성을 파악하여 각 신호의 특성에 상응하게 분리하거나, 혹은 신호 자체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스위치(205)는 수신되는 신호를 파악하여 송수신기로 전달하거나 송수신기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신호의 특성에 맞게 구분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207)는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이동 통신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입력되는 신호가 이동 통신 대역이라면 다른 특별한 변조나 주파수의 변환이 필요 없이 단순히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기만 하여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219)는 상기 제2 스위치에서 수신되는 이동 통신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광대역 상향 변환기(209)는 입력되는 신호가 광대역용 신호라면 그 신호를 광대역 무선 통신에 알맞도록 광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외부의 광섬유로부터 전송되는 광 통신 신호 중 광대역용으로 사용되는 신호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신호로서 기저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이미 변조되어 전송되는 이동통신 대역 신호와는 달리 광대역용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변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광대역 주파수 중 현재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인 주파수대인 경우에 상기 표준이 정해지면 그 표준에 따라 특정된 형식에 상응하여 변조할 수 있는 변조 기능도 포함한다.
또한, 광대역 하향 변환기(221)는 수신되는 무선 신호가 광대역 신호일 경우에 그 신호에서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하도록 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하향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복조 기능을 포함한다.
제1 광대역 증폭기(211)는 상기 광대역 상향 변환기(209)에서 변환된 광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제2 광대역 증폭기(217)는 수신된 광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송수신기(215)는 제2 스위치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2 스위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송수신기(215)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 여러 형태로 사용되며 각 수신 주파수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핵심사항이 아니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외부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된다(단계 301). 광신호는 말 그대로 빛 신호 이므로 수신된 광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빛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을 수행한다(단계 303).
그 후, 변환된 신호의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거나,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수신된 신호가 기저대역 신호인지 혹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인지를 판단(단계 305)한다. 그 후 기저대역 신호라면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광대역으로 주파수 상향(단계 307)하고, 상기 광대역 신호에서 사용되는 표준 형식으로 신호를 변조(단계 309)한다.
그런 다음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충분한 진폭을 가지도록 변환된 주파수를 증폭(단계 311)하고,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발송(단계 313)한다.
한 편, 상기 수신된 신호가 기저대역 신호가 아니라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나 주파수의 변환 없이 단지 송신할 수 있도록 증폭만을 하고(단계 315), 외부로 발송(단계 313)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입력된 광신호는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분리, 변환되어 무선 통신 신호로 송출되며, 상기 순서도에서 설명한 순서의 반대 순서로 입력된 무선 신호는 광신호로 변환되어 유선망으로 전송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신호가 변환되는 전후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와 세기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되는 신호는 기저대역 신호(401)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403, 405, 407)로 나누어진다.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에서 보는바와 같이 RF 신호대역 이하의 신호로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403, 405, 407)의 스펙트럼이 여러 종류를 가지는 것은 이동통신망 대역에서 각 통신 서비스 표준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현재 제공되고 있는 PCS 서비스 및 WCDMA 서비스는 800MHz대에서 2GHz대까지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는 상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후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501, 503, 507)의 경우에는 주파수의 변화가 없으나, 기존의 기저대역 신호(401)가 사라지고 광대역 구간에 신호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50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는 기존의 방식으로 변조된 것을 그대로 전송하고, 광대역 신호일 경우에만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광대역 신호로 주파수를 상향 변형 및 변조하여 전송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적용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대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는 상기 도면 2에서 살펴본 다중 대역 분리 변환 장치와 거의 동일하게 제1 스위치(605), 제2 스위치(613),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607) 및 제2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617), 광대역 상향 변환기(609) 및 광대역 하향 변환기(619), 제1 광대역 증폭기(611) 및 제2 광대역 증폭기(621) 및 송수신기(615)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광전 변환 장치 및 전광 변환 장치를 통합하여 전광 및 광전 변환 장치(603)로 통합하여 광섬유 1개의 라인(601)을 통하여 광신호의 송수신이 모두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이러한 경우는 세부적으로 상기 도2에서 살펴본 광전 변환기와 전광 변환기의 앞단에 광 듀플렉서(Optical Duplexer)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형된 장치는 1개의 광섬유 신호선을 송수신에 적용할 수 있어 비용이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가 사용되는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신호가 변환되는 전후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광섬유 203 : 광전 변환 장치
223 : 전광 변환 장치 205 : 제1 스위치
2131 : 제2 스위치 207 :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219 : 제2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209 : 광대역 상향 변환기
221 : 광대역 하향 변환기 211 : 제1 광대역 증폭기
217 : 제2 광대역 증폭기 215 : 송수신기

Claims (13)

  1.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장치;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이동통신망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상기 제1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광대역으로 상향하는 광대역 상향 변환기;
    상기 광대역 상향 변환기에서 상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광대역 증폭기 및
    상기 광대역 증폭기 및 이동 통신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이동통신망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
    상기 제2 스위치에서 분리된 신호 중 광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하향하는 광대역 하향 변환기;
    상기 광대역 하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광대역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전광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기로 수신되는 광신호 및 상기 전광변환기로부터 발송되는 광신호는 모두 광 듀플렉서를 통하여 동일한 광섬유다발을 통하여 입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신호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대역 증폭기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만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6.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상향 변환기는 상기 입력된 기저 대역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표준에 상응하여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는 듀플렉서를 통하여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수신이 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8.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신호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9.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하향 변환기는 상기 입력된 광대역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표준에 상응하여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장치.
  10. 외부로부터 적어도 한 종류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가 기저대역 신호라면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광대역으로 상향하는 단계;
    상기 상향된 전기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통신 표준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로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로 발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적어도 한 종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가 광대역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미리 결정된 광대역 통신 표준에 상응하여 복호화하고 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광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광신호를 광섬유 다발을 통하여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이동통신망 대역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광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광신호를 광섬유 다발을 통하여 발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KR1020070100496A 2007-10-05 2007-10-05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93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496A KR100930585B1 (ko) 2007-10-05 2007-10-05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US12/676,749 US8335200B2 (en) 2007-10-05 2008-05-23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on/conversion of multiband signal
JP2010521762A JP2010537539A (ja) 2007-10-05 2008-05-23 多重帯域信号の分離及び変換方法並びに装置
GB1002477.6A GB2467449B (en) 2007-10-05 2008-05-23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on/conversion of multiband signal
PCT/KR2008/002893 WO2009044984A1 (en) 2007-10-05 2008-05-23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on/conversion of multiband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496A KR100930585B1 (ko) 2007-10-05 2007-10-05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290A true KR20090035290A (ko) 2009-04-09
KR100930585B1 KR100930585B1 (ko) 2009-12-09

Family

ID=4052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496A KR100930585B1 (ko) 2007-10-05 2007-10-05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35200B2 (ko)
JP (1) JP2010537539A (ko)
KR (1) KR100930585B1 (ko)
GB (1) GB2467449B (ko)
WO (1) WO2009044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5340A1 (en) * 2008-10-29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3209026B (zh) * 2013-02-28 2016-05-18 西南交通大学 一种全双工多业务融合光载无线传输系统
JP7145709B2 (ja) * 2018-09-21 2022-10-03 Kddi株式会社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装置
CN114172579A (zh) * 2021-12-31 2022-03-11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基站及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7569A (ja) 1992-05-25 1993-1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ダイバーシチ送受信方式
JPH08237730A (ja) * 1995-02-28 1996-09-13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JP3961498B2 (ja) * 2004-02-27 2007-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回路装置
JP2005354336A (ja) * 2004-06-10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伝送システムおよび信号伝送方法
US20060045525A1 (en) * 2004-08-28 2006-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access network of wavelength division method an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KR100819308B1 (ko) 2005-09-02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정적인 tdd 방식의 무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rof 링크 장치
KR100651544B1 (ko) * 2005-12-22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종 서비스를 수용하는 광-무선 링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7539A (ja) 2010-12-02
WO2009044984A1 (en) 2009-04-09
GB2467449A (en) 2010-08-04
GB2467449B (en) 2012-09-26
US20100246451A1 (en) 2010-09-30
US8335200B2 (en) 2012-12-18
KR100930585B1 (ko) 2009-12-09
GB201002477D0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fronthaul network
US85536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caused by coexistence of WiMAX and WiFi
EP2953283B1 (en) Method, apparatus, and radio remote unit for transmitting wireless base band data
US7733825B2 (en) ROF link apparatus capable of stable TDD wireless service
US9992757B2 (en) Donor unit, remote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having same
EP2605421A1 (en) Method,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uxiliary transmission to adjacent channels
KR100930585B1 (ko) 다중 대역 신호 분리 변환 방법 및 장치
KR20160106996A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무선 광섬유로 디지털 유닛과 통신을 위한 원격 무선 유닛
CN102315880A (zh) 一种光路传输的方法及装置
CN109462438B (zh) 中继网元设备、远端网元设备及光纤分布式系统
EP2595434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said method
US9887714B2 (en) Remote radio head and associated method
CN112770333B (zh) 一种5g nr无线分布式移频系统及移频方法
CN112751575B (zh) 信号处理方法、系统及设备
Li et al. Multi-service digital radio over fibre system with millimetre wave bridging
Bogaert et al. SiPhotonics/GaAs 28-GHz transceiver for mmwave-over-fiber laser-less active antenna units
CN210351090U (zh) 超宽带放大器和基于该放大器的多载波发射、收发装置
AT&T Paper Title (use style: paper title)
CN202261831U (zh) WiFi远端接入点及光载无线交换系统
Chen et al. Demonstration of analog millimeter-wave fronthaul link for 64-qam lte signal transmission
CN108574497B (zh) 带有线性化技术的宽带发射方法、装置和系统
CN111787646A (zh) 一种基于降频WiFi的自组网通信系统及其方法
Alexandre et al. Contribution for the Coexistence Analysis between 5G and 4G in the sub-1GHz Band
CN202998493U (zh) 频率变换装置
Haroun et al. Multi-band 700MHz/2.4 GHz/60GHz RF front-end for radio-over-fiber base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