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171A -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171A
KR20090035171A KR1020070100298A KR20070100298A KR20090035171A KR 20090035171 A KR20090035171 A KR 20090035171A KR 1020070100298 A KR1020070100298 A KR 1020070100298A KR 20070100298 A KR20070100298 A KR 20070100298A KR 20090035171 A KR20090035171 A KR 2009003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torage
food storage
time
defrost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1374B1 (ko
Inventor
김화옥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3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여, 불량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상, 운전

Description

식품저장고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Food Storage}
본 발명은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여, 불량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은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8487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혼합식 김치저장고의 경우,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개폐식 저장고(20)이 구획되고, 상기 저장고(20)을 개폐하는 도어(30)가 본체(10)의 배면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개폐식 저장고(20)의 아래쪽에는 상기 본체(10) 전방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서랍식 저장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저장실의 후방 하단부에는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 및 송풍기 등이 배치되는 기계실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개폐식 저장고(20) 및 서랍식 저장실의 외벽에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된 냉각시스템의 압축기등과 연결되어 일정 간격으로 권선 배열된 냉매파이프로 이루어진 증발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서랍식 저장실의 경우, 상기 증발기는 서랍식 저장실의 외벽 중 상면과 측면에 걸쳐 배치된 경우도 있고, 상기 저장실의 외벽 중 배면과 측면에 걸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상기 증발기들은 상기 기계실의 압축기 및 응축기(도시안됨) 등과 각각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과정을 통해 상기 각각의 저장고(2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개폐 저장고(20)의 외벽을 감싸고 있는 증발기의 아래쪽에는 가열장치인 히터가 구비되어 상부개폐 저장고(20) 내에서 김치를 숙성할 때 필요로 하는 가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랍식 저장실의 경우에는 전방의 슬라이드도어(90)가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개폐되기 때문에 저장실내에 슬라이드도어(90)의 개폐를 위한 가이드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선반이 안착되고, 이 선반은 슬라이드도어(90) 개폐에 따라 서랍식 저장실로부터 인출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식 저장실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식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저장실의 외벽에 설치된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아 김치 등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온도대역으로 유지되게 되는 바, 이처럼 서랍식 저 장실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서랍식 저장실의 벽면 및 가이드레일 부위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가 결빙되면서 성에가 형성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랍식 저장실의 벽면 및 가이드레일 부위에 성에가 형성되면, 전방의 슬라이드도어(90)를 개폐하는 데 있어 작동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신뢰성 측면에서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서랍식 저장실을 갖는 김치저장고에서는 통상적으로 서랍식 저장실 내에서 성에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모드를 통해 운전 중 주기적으로 제상운전을 실시하도록 프로그램밍화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만약 부득이 하게 성에가 형성된 경우에도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운전제어 방식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김치를 장기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서랍식 저장실에 성에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제상운전을 실시할 경우, 제상운전 후 서랍식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대략 8~10℃ 정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서랍식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8~10℃ 정도까지 상승한 후 다시 서랍식 저장실의 내부온도가 보관온도대역인 0℃ 이하(예를 들어, 대략 -1±0.5 ℃정도)로 복귀하는 데 대략 90분 정도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제상운전 후 보관모드에 의한 압축기의 기동으로 서랍식 저장실의 내부온도가 0℃이하로 도달하는데 대략 90분 정도의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다음 과 같다.
종래 보관모드를 통해 냉기를 서랍식 저장실 내부로 공급할 때, 상기 냉각시스템의 압축기가 최초 온(ON)되어 증발기에 인접하게 설치된 온도센서(도시안됨)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제어사양의 하한값(예를 들면, -2℃)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온도센서에서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보내고, 이에 따라 컨트롤러에서는 압축기의 기동 상태를 오프(OFF)시키게 된다.
이때, 종래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온도제어사양의 하한값(예를 들면, -2℃)에 도달하는데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최초 기동시간은 압축기의 성능 및 용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약 3~4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서랍식 저장실 외벽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2℃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서랍식 저장실 내부의 실질적인 온도는 대략 3℃~4℃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가 오프(OFF)된 후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온도제어사양의 상한값(예를 들면, 0℃정도)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온도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보내고, 컨트롤러에서는 다시 압축기를 온(ON)시켜 재 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가 최초 오프(OFF)되어 상기 증발기에서의 냉매 온도가 0℃정도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통상적으로 대략 15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가 다시 구동되어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온도제어 사양의 하한값인 -2℃에 도달하여 다시 압축기가 오프(OFF)되기까지의 압축기의 구동시간은 최초 압축기가 온/오프(ON/OFF) 될 때보다는 온도변화의 폭이 적음에 따라 시간적으로 다소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 보관모드를 통해 김치저장고가 작동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되어 기동 및 정지하면서 저장실 내부온도를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서랍식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일정시간이 지난 후 보관온도대역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고, 보관온도대역에 도달한 이후에는 보관모드에 의한 온도제어사양을 통해 항상 일정한 보관온도대역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보관모드에 의한 온도제어사양을 통해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되는 과정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압축기의 최초 온/오프 과정에서는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는 온도 폭이 크다가 이후 반복적인 압축기의 온/오프를 통해 순차적으로 온도 하강 폭이 줄어들면서 안정화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제상운전으로 인해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8~10℃ 정도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보관온도대역인 0℃이하로 도달하는 데 있어서는 상기 압축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5~6회 정도 온/오프(ON/OFF)되어 기동 및 정지 과정을 수행해야 만이 도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대략 90분 정도의 소요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김치냉장고는 제상 운전시 제상 관련 부품이 고장나게 되면 제상히터로 인해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높게 올라가게 되어 저장고 내부의 식품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상되는 저장고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여, 불량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은,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불량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카운팅단계 이후에, 상기 횟수가 연속 2회 이상이면 고장메세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바로 장치의 고장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에서, 식품저장고는 정상운전되도록 하여,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사용자가 수리를 할 때까지 식품저장고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여, 불량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운팅단계 이후에, 상기 횟수가 연속 2회 이상이면 고장메세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바로 장치의 고장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에서, 식품저장고는 정상운전되도록 하여,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사용자가 수리를 할 때까지 식품저장고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품저장고 제어방법은, 상기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 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7)와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S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상운전은 컴프레셔의 운전시간을 적산하여 적산된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되면 증발기에 구성되어 있는 제상히터에 의해 제상을 시작하고 상기 컴프레셔를 정지시킨다.(S1)
이어서, 제상되는 저장고의 온도를 종래기술에 제시된 온도센서와 같은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고의 온도가 제상을 시작해야 하는 온도(제상OFF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 상기 온도센서는 증발기에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온도가 제상OFF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상히터를 정지시켜 제상을 멈춘 후 일정시간 딜레이 후에 상기 컴프레셔를 다시 운전한다.(S15)
상기 저장고의 온도가 제상OFF온도 미만이면 리턴되어 제상운전을 유지한다.(S1)
이로써 상기 제상단계가 완료된다.(S1, S3, S5)
이어서, 상기 제상단계(S1, S3, S5)에서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5)가 실행된다.
상기 한계시간은 일반적인 최악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제상운전시간을 측정하여 여기에 안전율(10~100%)를 추가하여 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적인 최악의 조건에서 제상운전 시간이 약 20분이라면 상기 한계시간은 22분~40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상기 한계시간 이상이 되면, 그 횟수를 적산하여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한다.(S9)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상기 한계시간 미만이 되면 정상운전(S17)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카운팅단계 이후에, 상기 횟수가 연속 2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이와 같이 연속 2회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은, 마이컴 등에 전 사이클에서의 적산여부를 저장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횟수가 연속적으로 2회가 적산되면 사용자가 바로 알아볼 수 있도록 고장메세지를 외부에 표시한다.(S13) 이와 같이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려 신속하게 A/S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식품저장고는 정상적으로 운전함으로써,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사용자가 수리를 할 때까지 식품저장고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횟수가 연속적으로 2회가 적산되지 않으면 바로 정상운전(S17)단계로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냉식 또는 간냉식의 냉장고, 와인셀러, 김치냉장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김치냉장고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플로우차트.

Claims (3)

  1.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하는 제상단계;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제상운전 시간이 한계시간 이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단계 이후에,
    상기 횟수가 연속 2회 이상이면 고장메세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 식품저장고는 정상운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KR1020070100298A 2007-10-05 2007-10-05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KR10092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98A KR100921374B1 (ko) 2007-10-05 2007-10-05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98A KR100921374B1 (ko) 2007-10-05 2007-10-05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71A true KR20090035171A (ko) 2009-04-09
KR100921374B1 KR100921374B1 (ko) 2009-10-14

Family

ID=4076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98A KR100921374B1 (ko) 2007-10-05 2007-10-05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3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930A (ja) * 1984-09-25 1986-04-19 Nishishiba Denki Kk シヤ−シダイナモメ−タ
KR940009230B1 (ko) * 1991-11-19 1994-10-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KR100238062B1 (ko) * 1997-12-24 2000-01-15 윤종용 냉장고의 제상센서 불량 체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374B1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834B2 (en) Refrigerator
US75065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frigerator
JP2008075964A (ja) 冷却装置の除霜装置
KR20160091741A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US1138497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0728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921374B1 (ko)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JP5722160B2 (ja) 冷却貯蔵庫
JP5983982B2 (ja) 冷蔵庫
JP6167430B2 (ja) 冷却貯蔵庫
JP4912264B2 (ja) 冷蔵庫
JP5359143B2 (ja) 冷蔵庫
JP2003106739A (ja) 冷蔵庫
JP3913618B2 (ja) 冷却貯蔵庫
JP2012026590A (ja) 冷凍装置
JP2008256259A (ja) 冷却貯蔵庫
KR101867826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방법
KR20090027107A (ko) 식품저장고 제어방법
WO2005038364A1 (ja) 冷却貯蔵庫及び冷却用機器
JP2010107116A (ja) 冷蔵庫
JP5262244B2 (ja) 冷蔵庫
KR100379487B1 (ko) 진공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262245B2 (ja) 冷蔵庫
KR20190091986A (ko) 냉장고
KR20080108188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