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757A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757A
KR20090034757A KR20080097028A KR20080097028A KR20090034757A KR 20090034757 A KR20090034757 A KR 20090034757A KR 20080097028 A KR20080097028 A KR 20080097028A KR 20080097028 A KR20080097028 A KR 20080097028A KR 20090034757 A KR20090034757 A KR 2009003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erminal
transmission rate
terminal
base st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736B1 (ko
Inventor
준이치로 가와모토
아키히토 하나키
다카히로 하야시
요시카즈 고토
유키코 다카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3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10)는, 해피 비트를 기지국(100)에 송신하는 통신부(11)를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비교부(126)와,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의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127)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만족률이 소정의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스케줄링부(120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지국(Base Station) 및 무선 제어 장치(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고 있고, 각 셀은 무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제어 장치는, 복수의 기지국을 관리하면서, 무선 단말기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이하, '제1 기술'이라고 함)은, R99(Release 99) 등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최근, 스루풋(throughput)의 향상이나 지연 시간의 단축 등을 목적으로 하여, 무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네트워크측)을 향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기지국이 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이하, '제2 기술'이라고 함)은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나 EUL(Enhanced Uplink) 등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전술한 제2 기술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을 통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예를 들면, SG(Serving Grant)]에 의해 정해지는 TBS(Transport Block Size)는,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절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AG: Absolute Grant) 및 상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RG: Relative Grant)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는, AG나 RG에 의해 제어되는 SG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해피 비트(Happy Bit)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해피 비트의 종류로서는, SG가 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Happy"와 SG가 부족한 것을 나타내는 "Unhappy"를 들 수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기지국은, 해피 비트 중, "Happy"의 비율인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 경우에, 무선 단말기에 할당하는 SG를 증대시킨다.
[비특허 문헌 1] 3GPP TS25.321 ver.7 11.8.1.5 "Happy Bit Setting"
그러나, 전술한 제2 기술에 의해서는, 단지, 하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해피 비트에 기초하여, 하나의 무선 단말기에 할당하는 SG를 제어할 수 밖에없다.
즉, 다른 무선 단말기의 상황이 고려되고 있지 않으므로,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이 적절히 행해지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적절히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무선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말기측 송신부[통신부(11)]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전송 속도의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무선 단말기인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하는 대상으로해야 할 무선 단말기인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비교부(126)]와,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 중에서 전송 속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의 비율인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 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제1 판정부(127)]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측 송신부[통신부(110) 및 스케줄링부(120a)]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기지국측 송신부는,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우선도를 비교한 결과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에 따라,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단순히, 하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무선 단말기에 할당하는 전송 속도가 제어되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전술한 특징에서, 기지국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를 감소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제2 판정부(1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측 송신부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대한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의 송신을 규제한다.
전술한 특징에서,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할당되는 우선도와는 다른 기준으로 정해진 가중치에 의해,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 도의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각각 취득하는 가중부[가중부(129)]를 더 포함한다. 비교부는,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와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비교한다. 기지국측 송신부는,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한다.
전술한 특징에서, 기지국은,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서,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를 선택하는 선택부[선택부(12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단말기 자체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이, 전송 속도의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무선 단말기인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할 대상이 되어야 할 단말기인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기지국이,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 중, 전송 속도가 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의 비율인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기지국이,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 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서, 기지국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통신부(110)]와, 전송 속도의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무선 단말기인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할 대상이 되어야 할 무선 단말기인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비교부(126)]와,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 중에서 전송 속도가 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의 비율인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제1 판정부(127)]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측 송신부[통신부(110) 및 스케줄링부(12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 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각의 치수의 비율 등은 실재와는 다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 판단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 사이에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물론 포함되어 있다.
제1 실시예(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10)[무선 단말기(10a)와 무선 단말기(10b)]와 기지국(100)을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10)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무선 단말기(10)는, 무선 제어 장치가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방식에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을 통하여 기지국(10O)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 제어 장치가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방식은 R99(Release 99) 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무선 단말기(10)는, 무선 제어 장치가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방식에서,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10O)에 송신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10)는, 기지국(100)이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방식에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을 통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이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방식은,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EUL(Enhanced Uplink)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여기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는, 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즉 프로세스(HARQ process) 단위로 블록화된다. 각 블록(MAC-e PDU)은,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된 프로세스(이하, 액티브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소정 수의 프로세스(프로세스#1∼프로세스#n)는, 1 사이클(HARQ RTT)을 구성하고 있고, 사이클 단위로 반복된다. 그리고, 1 사이클에 포함되는 프로세스의 수는 TTI 길이에 따라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TTI 길이가 2ms인 경우에는, 1 사이클 내에 포함되는 프로세스 수는 8이다. TTI 길이가 10ms인 경우에는, 1 사이클 내에 포함되는 프로세스 수는 4이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10)는, E-DPDCH를 통하여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하여, 송신 전력비와 전송 속도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 전력비는, E-DPDCH의 송신 전력과 DPCCH의 송신 전력과의 비(E-DPDCH/DPCCH)이다. 전송 속도는, TBS(Tranport Block Size)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하에서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송신 전력비를 SG(Serving Grant)라고 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비와 전송 속도는 1 대 1로 대응하고 있으므로, SG(Serving Grant)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송신 전력비를 나타내 는 용어일 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생각해도 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AG 또는 RG)에 따라 SG를 갱신한다(3GPP TS25.321 Ver.7.5.0 11.8.1.3 "Serving Grant Update"를 참조). 이어서, 무선 단말기(10)는, 송신 전력비와 전송 속도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참조하여, SG에 대응하는 전송 속도(즉, TBS)를 결정한다(3GPP TS25.321 Ver.7.5.0 11.8.1.4 "E-TFC Selection"을 참조).
무선 단말기(10)는, 기지국(100)이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방식에서, E-DPCCH(Enhanc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등을 통하여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10O)에 송신한다. 업링크 제어 데이터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SG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해피 비트(Happy Bit) 등이다. 해피 비트의 종류로서는, 단말기 자체에 할당되어 있는 SG가 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Happy"와, 단말기 자체에 할당되어 있는 SG가 부족한 것을 나타내는 "Unhappy"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해피 비트는, 1 비트로 표현된다.
기지국(100)은 복수의 셀(셀 A∼셀 D)을 포함하고 있고, 각 셀은 자기 셀에 재권(在圈)하는 무선 단말기(10)와 통신을 행한다. 각 셀은, 서빙 셀(serving cell)로서 기능하는 경우와 비서빙 셀(non-serving cell)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셀"은, 기본적으로, 무선 단말기(10)와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나타 내는 용어로서 사용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셀"은 무선 단말기(10)가 재권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셀 A에 설치된 EUL 스케줄러의 지시에 따라 무선 단말기(10a)가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즉, 셀 A로부터 E-AGCH를 통하여 수신하는 AG에 따라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해 본다. 이와 같은 경우에, 셀 A는 무선 단말기(10a)가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셀이며, 셀 B∼셀 D는 무선 단말기(10a)가 비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셀이다. 한편, 무선 단말기(10a)는, 셀 A에 대해서는 서빙 단말기이며, 셀 B∼셀 D에 대해서는 비서빙 단말기이다.
기지국(100)은, DPDCH나 E-DPDCH 등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기지국(100)은, E-DPDCH를 통하여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는, 전송 속도의 절대값을 제어하기 위한 절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AG: Absolute Grant) 및 전송 속도의 상대값을 제어하기 위한 상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RG: Relative Grant)를 포함한다.
절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AG)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송신 전력비(E-DPDCH/DPCCH)를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데이터(Index)이다(3GPP TS25.212 Ver.7.5.0 4.10.1A.1 "Information field mapping of the Absolute Grant Value"를 참조).
이와 같이, 절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AG)는, 현재의 전송 속도에 의거하 지 않고, 전송 속도의 값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커맨드이다.
상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RG)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송신 전력비(E-DPDCH/DPCCH)를 상대적으로 지정하는 데이터("Up", "Down", "Hold")이다(3GPP TS25.321 Ver.7.5.0 9.2.5.2.1 "Relative Grants"를 참조).
이와 같이, 상대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RG)는, 현재의 전송 속도를 상대적으로 제어하는 커맨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현재의 전송 속도의 증가를 지시하는 증가 커맨드 "Up", 현재의 전송 속도의 유지를 지시하는 유지 커맨드 "Hold", 현재의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감소 커맨드 "Down"을 포함한다. 그리고, 증가 커맨드는, 소정 폭의 증가를 지시하는 커맨드이며, 감소 커맨드는, 소정 폭의 감소를 지시하는 커맨드이다. 소정 증가 폭은, 소정 감소 폭과 같아도 되고, 소정 감소 폭보다 작아도 된다.
기지국(100)은 절대 전송 속도 제어 채널(E-AGCH: E-DCH Absolute Grant Channel)을 통하여 AG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기지국(100)은 상대 전송 속도 제어 채널(E-RGCH: E-DCH Relative Grant Channel)을 통하여 RG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서빙 셀(여기서는, 셀 A)은, E-AGCH를 통하여 AG를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고, E-RGCH를 통하여 RG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한편, 비서빙 셀(여기서는, 셀 B)은, E-AGCH를 통하여 AG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하지 않고, E-RGCH를 통하여 RG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R99에서 사용되는 채 널(DPDCH, DPCCH 등)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제로는, 각 셀에 다수의 무선 단말기(10)가 존재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0)가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셀은, 1개의 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셀이라도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무선 단말기의 구성)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0)는, 통신부(11)와, SG 관리부(12)와, 송신 버퍼(13)와, 판정부(14)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기지국(100)과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통신부(11)는, E-DPDCH를 통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통신부(11)는, E-DPCCH를 통하여 업링크 제어 데이터(예를 들면, 전술한 해피 비트)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한편, 통신부(11)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전술한 AG 또는 RG)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다.
SG 관리부(12)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관리한다. SG 관리부(12)는 송신 전력비(SG)와 전송 속도(TBS)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G 관리부(12)에 의해 관리되는 SG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하는 AG나 RG에 의해 제어된다.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SG에 대응하는 TBS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송신 버퍼(13)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이다. 통신부(11)는 송신 버퍼(13)에 축적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판정부(14)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SG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14)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에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송신 버퍼(13)에 축적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버퍼량 등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SG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14)는, SG가 충분한 경우에는, SG가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해피 비트("Happy")의 송신을 통신부(11)에 지시한다. 한편, 판정부(14)는, SG가 부족한 경우에는, SG가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언해피 비트("Unhappy")의 송신을 통신부(11)에 지시한다.
여기서, "Unhappy"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조건을 충족할 필요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3GPP TS25.321 ver.7 11.8.1.5 "Happy Bit Setting").
(1)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SG의 상한값에 대응하는 TBS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다.
(2)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어 있는 SG에 해당하는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을 넘고 있지 않다.
(3) 송신 버퍼(13)에 축적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전부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송신 필요 시간)은, 소정의 지연 시간[Happy_Bit_Delay_Condition (ms)] 이상 필요하다
그리고, 송신 필요 시간은, ["송신 버퍼(13)의 버퍼량(TEBS: Total E-DCH Buffer Status)"×"1 사이클에 포함되는 총 프로세스의 수" - 2×TTI 길이]/("SG에 대응하는 TBS"×"액티브 프로세스의 수")를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기지국의 구성)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통신부(110)와, 셀 A 기능부(120)와, 셀 B 기능부(130)와, 셀 C 기능부(140)와, 셀 D 기능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셀 A∼셀 D 내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와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통신부(110)는, DPDCH나 E-DPDCH 등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DPCCH나 E-DPCCH 등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통신부(110)는, E-AGCH나 E-RGCH 등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데이터(AG나 RG)를 무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기지국(100)을 관리하는 상위국(무선 제어 장치나 교환기 등)과도 통신을 행한다.
셀 A 기능부(120)는, 셀 A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한편, 셀 A 기능부(120)는, 셀 B∼셀 D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비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셀 B 기능부(130)는, 셀 B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있어 서빙셀로서 기능한다. 한편, 셀 B 기능부(130)는, 셀 A, 셀 C 및 셀 D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 기(10)에 대하여 비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셀 C 기능부(140)는, 셀 C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한편, 셀 C 기능부(140)는, 셀 A, 셀 B 및 셀 D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비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셀 D 기능부(150)는, 셀 D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한편, 셀 D 기능부(150)는, 셀 A∼셀 C에 재권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비서빙 셀로서 기능한다.
(셀의 구성)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셀[셀 A 기능부(12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셀 A 기능부(120)가 서빙 셀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A 기능부(120)는, 셀 A를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10)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 등을 행하는 스케줄링부(120a)와, 선택부(125)와, 비교부(126)와, 제1 판정부(127)를 포함한다.
스케줄링부(120a)는, AG 제어부(121)와, RG 제어부(122)와, 재송신 제어부(123)와, 송신 슬롯 할당부(124)를 포함한다. 스케줄링부(120a)는, MAC-e(Media Access Control Enhanced)층에서 동작한다.
AG 제어부(121)는, 셀 A를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10)(서빙 단말기)에 대하여, E-AGCH를 통하여 AG를 송신한다. 그리고, AG는, 현재의 전송 속도에 의거하지 않고, 전송 속도의 값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커맨드이다.
RG 제어부(122)는, 셀 A를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10)(서빙 단말기)에 대하여, E-RGCH를 통하여 RG를 송신한다. 그리고, RG는, 증가 커맨드 "Up", 유지 커맨드 "Hold", 감소 커맨드 "Down"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가 커맨드 "Up"은, 소정 폭의 증가를 지시하는 커맨드이므로, 감소 커맨드 "Down"은, 소정 폭의 감소를 지시하는 커맨드이다.
재송신 제어부(123)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잘못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블록(프로세스)마다 판정한다. 이어서, 재송신 제어부(123)는, 잘못되어 있는 블록(이하, '오류 블록'이라고 함)의 재송신을 무선 단말기(10)에 요구한다. 재송신 제어 기술은, 무선 단말기(10)로부터 처음에 송신된 블록(이하, '송신 블록'이라고 함)과 무선 단말기(10)로부터 재송신된 블록(이하, '재송신 블록'이라고 함)을 합성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술이다.
송신 슬롯 할당부(124)는, E-DPDCH를 통하여 송신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블록)의 송신에 사용하는 송신 슬롯(즉, 1 TTI에 포함되는 프로세스)을 무선 단말기(10)에 할당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0)는, 송신 슬롯 할당부(124)에 의해 할당된 프로세스(액티브 프로세스)에서 송신 블록이나 재송신 블록을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선택부(125)는, 셀 A를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10) 중에서,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를 선택한다. 제어 대상 단말기는, SG를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무선 단말기(10)이다. 비교 대상 단말기는,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할 대상이 되어야 할 무선 단말기(10)이다.
여기서,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임의적이다. 즉, 선택부(125)는,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를 랜덤하게 선택해도 된다.
한편, 제어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사전에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는 우선도와는 다른 기준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면, 제어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전송 속도(SG)를 감소시키고 싶지 않은 특정한 무선 단말기(10)를 제어 대상 단말기로부터 제외하는 것 등이다.
또한, 비교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사전에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비교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는 우선도와는 다른 기준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면, 비교 대상 단말기의 선택 기준은, 높은 전송 속도(SG)를 필요로 하고, 만족률이 낮을 것으로 상정되는 특정한 무선 단말기(10)를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제외하는 것 등이다.
제1 판정부(127)는,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에 대하여 비교 대상 단말기가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판정부(127)는,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해피 비트 중, "Happy"를 나타내는 해피 비트의 비율인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족률(Happy Bit Rate)은, "Happy"/"Unhappy"일 수도 있고, "Happy"/("Happy" + "Unhappy")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스케줄링부(120a)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해피 비트 중에서 "Happy"를 나타내는 해피 비트의 비율인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SG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한다.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는, AG일 수도 있고 RG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G 제어부(121)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보다 낮은 SG를 지정하는 AG를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로서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한다. RC 제어부(122)는, SG의 감소를 지시하는 RG(감소 커맨드 "Down")를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로서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한다.
여기서, 비교 대상 단말기가 UE#1이며, 제어 대상 단말기가 UE#2인 경우에 대하여,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서 예시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셀 A에서의 무선 자원(SG)의 할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UE#1에 할당된 우선도가 UE#2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높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UE#1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무선 자원의 할당 상태가 도 5의 (a)에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전술한 전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100)[스케줄링부(120a)]은, 제어 대상 단말기 UE#2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AG 또는 RG에 의해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다른 무선 단말기(10)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는 무선 자원, 즉 이용가능한 수신 전송 속도가 확보된다. 이어서, 기지국(100)[스케줄링부(120a)]은,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을 다른 무선 단말기(10)에 할당한다.
[기지국(100)(셀)의 동작]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셀)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 기지국(100)은, 자기 셀을 서빙 셀로서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10) 중에서,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를 선택한다.
단계 S11에서, 기지국(100)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지국(100)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단계 S12의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100)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지 않은 경우에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2에서, 기지국(100)은,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해피 비트 중, "Happy"를 나타내는 해피 비트의 비율인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지국(100)은,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3의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100)은,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3에서, 기지국(100)은, SG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지국(100)은, AG 또는 RG의 송신에 의해,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단계 S10∼단계 S13의 처리는, 비교 대상 단말기를 교체하면서 반복된다. 또한, 비교 대상 단말기가 되어야 할 모든 무선 단말기(10)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10∼단계 S13의 처리는, 제어 대상 단말기를 교체하면서 반복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미 제어 대상 단말기가 된 무선 단말기를 제외한 무선 단말기 중에서 제어 대상 단말기가 되는 무선 단말기를 선택하고, 현재 제어 대상 단말기로 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를 제외한 무선 단말기를 비교 대상 단말기로 하여 처리가 반복되고, 모든 무선 단말기를 제어 대상 단말기로 하여 처리가 완료한 경우, 또는 E-AGCH의 수만큼 SG를 감소시키는 처리를 만족시킨 경우에,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작용 및 효과)
제1 실시예에서, 스케줄링부(120a)는, 제어 대상 단말기의 우선도와 비교 대상 단말기의 우선도를 비한교 결과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에 따라,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무선 단말기에 할당하는 전송 속도가 제어되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전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기지국(100)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킨다. 전제 조건은, (1)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높고, (2)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어야 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전제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 경우에, 이에 더하여, 기지국(100)이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셀의 구성)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셀[셀 A 기능부(12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7에서는, 도 4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A 기능부(120)는,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다른 점으로서, 제2 판정부(128)를 포함한다. 제2 판정부(128)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킬지 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판정부(128)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가 소정 전송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소정 전송 속도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대하여 보장해야 할 최소한의 전송 속도(최저 보장 전송 속도) 등이다.
제2 판정부(128)는,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판정부(128)는,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SG(수신 전송 속도)의 합계와 셀 A에서의 최대 수신 가능 전송 속도와의 차분(이용가능한 수신 전송 속도)이 소정 수신 전송 속도를 넘고 있는 경우에,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이용가능한 수신 전송 속도는, 셀 A에서의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스케줄링부(120a)는, 이하의 전제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키지 않을 것으로 제2 판정부(128)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의 감소를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의 송신을 규제한다.
전제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1)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높고, (2)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는 SG는, 스케줄링부(120a)가 송신하는 AG 및 RG에 의해 제어되므로, 스케줄링부(120a)는,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SG(수신 전송 속도)를 파악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작용 및 효과)
제2 실시예에서, 제2 판정부(128)는,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케줄링부(120a)는, 전술한 전제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키지 않을 것으로 제2 판정부(128)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의 송신을 규제한다.
따라서,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는 전송 속도가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단말기(10)보다 우선도가 낮으면서 무선 자원(SG)을 낭비하는 다른 무선 단말기(10)가 존재하고 있고, 그 하나의 무선 단말기(10)가 제어 대상 단말기로서 선택된 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그 하나의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된 전송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아도, 다른 무선 단말기(10)가 제어 대상 단말기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는, 다른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는 전송 속도가 감소하므로,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이용가능한 수신 전송 속도)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고, 셀 전체적으로 무선 자원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판정부(128)가,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케줄링부(120a)는, 전제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고,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제2 판정부(128)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의 송신을 규제한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이용가능한 수신 전송 속도)이 이미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는 전송 속도가 지나치게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이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한다.
이에 비해, 제3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이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의 가중 부여를 행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와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비교한다.
(셀의 구성)
이하, 제3 실시예에 따른 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셀[셀 A 기능부(12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8에서는, 도 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는 것에 유의 해야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A 기능부(120)는, 도 4에 나타내는 구성과 다른 점으로서, 가중부(129)를 포함한다. 가중부(129)는,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된 가중치에 의해,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Priority Class)의 중요도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가중부(129)는,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취득한다.
여기서, 가중치는, 우선도와는 다른 기준으로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가중치는, 계약의 종류나 일시적인 상황에 따라, 우선도를 동적으로(다이나믹하게)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비교부(126)는,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와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비교한다.
전술한 스케줄링부(120a)는, 이하의 전제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 경우에,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SG를 감소시킨다.
전제 조건은, (1)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가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보다 높고, (2)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제3 실시예에서는, 가중부(129)가 우선도와는 다른 기준으로 무선 단말기(10)에 할당되는 가중치에 의해 우선도의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제어 대상 단말기 및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취득한다. 스케줄링부(120a)는, 비교 대 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가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보다 높으면서, 또한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는 전송 속도(SG)를 감소시킬지의 여부에 대하여, 가중치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전송 속도 제어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 개시에 의해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 질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지국(100)에 설치된 제1 판정부(127)는, 비교 대상 단말기의 만족률(Happy Bit Rate)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판정부(127)는, 비교 대상 단말기의 불만족률이 소정의 임계값을 웃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불만족률은, "Unhappy"/"Happy"일 수도 있고, "Unhappy"/("Happy" + "Unhappy")일 수도 있다. 그리고, 만족률과 소정 임계값의 비교는, 불만족률과 소정 임계값의 비교와 동일한 의미이므로, 이들을 특별히 구별하여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 및 동작(도 4 및 도 6 등)으로서, 서빙 셀의 구성 및 동작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 및 동작은, 비서빙 셀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서빙 셀 및 비서빙 셀의 연동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셀 A 기능부(12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SG)의 할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셀 A 기능부(12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셀 A 기능부(12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단말기 11: 통신부 12: SG 관리부
13: 송신 버퍼 14: 판정부 100: 기지국
110: 통신부 120: 셀 A 기능부 120a: 스케줄링부
121: AG 제어부 122: RG 제어부 123: 재송신 제어부
124: 송신 슬롯 할당부 125: 선택부 126: 비교부
127: 제1 판정부 128: 제2 판정부 129: 가중부
130: 셀 B 기능부 140: 셀 C 기능부 150: 셀 D 기능부

Claims (6)

  1.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전송 속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말기측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송 속도의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상기 무선 단말기인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할 대상이 되어야 할 상기 무선 단말기인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전송 속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데이터의 비율인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상기 만족률이 상기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상기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측 송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측 송신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상기 만족률이 상기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전송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대한 상기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의 송신을 규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되는 우선도와는 다른 기준으로 정해진 가중치에 의해,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 및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의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 및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각각 취득하는 가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를 비교하고,
    상기 기지국측 송신부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의 가중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상기 만족률이 상기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 및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단말기 자체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전송 속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송 속도의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상기 무선 단말기인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할 대상이 되어야 할 상기 무선 단말기인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전송 속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데이터의 비율인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상기 만족률이 상기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상기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전송 속도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송 속도의 제어 대상이 되어야 할 상기 무선 단말기인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와,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와 비교할 대상이 되어야 할 상기 무선 단말기인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전송 속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데이터의 비율인 만족률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 및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가 상기 비교 대상 단말기에 할당된 우선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상기 만족률이 상기 소정 임계값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송 속도의 감소를 지시하는 상기 전송 속도 제어 데이터인 전송 속도 감소 데이터를 상기 제어 대상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측 송신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KR20080097028A 2007-10-04 2008-10-02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KR101011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61151 2007-10-04
JP2007261151A JP5030730B2 (ja) 2007-10-04 2007-10-04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757A true KR20090034757A (ko) 2009-04-08
KR101011736B1 KR101011736B1 (ko) 2011-02-07

Family

ID=4026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7028A KR101011736B1 (ko) 2007-10-04 2008-10-02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09621B2 (ko)
EP (1) EP2045979B1 (ko)
JP (1) JP5030730B2 (ko)
KR (1) KR101011736B1 (ko)
CN (1) CN101409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5872A1 (en) * 2008-12-29 2010-07-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hanced uplink user entity rate limitation signalling
CN101998447A (zh) 2009-08-17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增强控制信道上快乐位设置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6334B2 (ja) 2000-12-22 2006-08-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基地局
JP4213445B2 (ja) * 2001-10-01 2009-0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リソース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3828431B2 (ja) 2002-01-31 2006-10-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06054597A (ja) * 2004-08-10 2006-02-23 Ntt Docomo Inc スロット割当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141112B1 (ko) * 2004-09-15 2012-05-0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제어국, 무선 기지국, 이동국 및 이동 통신 방법
US7804850B2 (en) * 2004-10-01 2010-09-28 Nokia Corporation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EP1839458B1 (en) * 2005-01-21 2008-11-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US20060215604A1 (en) * 2005-03-24 2006-09-28 Jens Mueckenheim Scheduling method for enhanced uplink channels
ATE515165T1 (de) * 2005-04-01 2011-07-15 Panasonic Corp Happy-bit-einstellung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DE602005018040D1 (de) * 2005-07-25 2010-01-14 Panasonic Corp Einschränkung eines HARQ Verfahrens und Übertragung von ungeplanten Steuerdaten auf Aufwärtskanäle
ATE538554T1 (de) 2005-08-16 2012-01-15 Panasonic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en für das zurücksetzen einer sendesequenznummer (tsn)
KR100929082B1 (ko) 2005-10-12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101174934B1 (ko) * 2005-11-24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스케쥴링 그랜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7660279B2 (en) * 2006-01-27 2010-02-0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scheduling uplink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62341B1 (en) * 2006-03-07 2016-11-02 Panasonic Corporation Overhead reduction of uplink control sign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936765B2 (ja) 2006-03-29 2012-05-23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射出延伸ブロー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94637A (ja) 2009-04-30
CN101409924A (zh) 2009-04-15
US8009621B2 (en) 2011-08-30
EP2045979A1 (en) 2009-04-08
CN101409924B (zh) 2011-07-13
US20090093256A1 (en) 2009-04-09
KR101011736B1 (ko) 2011-02-07
EP2045979B1 (en) 2012-07-25
JP5030730B2 (ja)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KR1010102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US780155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here a radio terminal transmits uplink user data to a base station through an enhanced deticated physical data channel
KR20120115295A (ko) 고속상향패킷접속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0083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EP2317817B1 (en) Base station, upper nod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01173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KR1010467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US834001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rate of uplink user data
KR1010117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