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801A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3801A KR20090033801A KR1020080095411A KR20080095411A KR20090033801A KR 20090033801 A KR20090033801 A KR 20090033801A KR 1020080095411 A KR1020080095411 A KR 1020080095411A KR 20080095411 A KR20080095411 A KR 20080095411A KR 20090033801 A KR20090033801 A KR 200900338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 magnetic disk
- raw water
- separation tank
- dis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Landscapes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수(原水) 중의 자성플럭(磁性 flocks)을 자기디스크에 흡착하여 원수 중에서 분리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adsorbing magnetic flocks in raw water onto a magnetic disk to separate and remove them from raw water.
하수나 공장배수 등의 원수(原水) 중에 존재하는 오탁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자기 분리장치가 있다. 이 자기 분리장치는 원수 중에 응집제와 자성분(磁性粉)을 첨가함으로써 오탁 물질을 자성을 지니는 자성플럭(磁性 flocks)으로 형성하여 이 자성플럭(F)을 자석을 배설한 자기디스크에 흡착하여 분리 제거하는 것으로, 마그시드법(magnetic seed method)으로 불리고 있다.As a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present in raw water, such as sewage and plant drainage, there is a magnetic separation device. This magnetic separation device forms flocculants into magnetic flocks having magnetic properties by adding flocculants and magnetic components in raw water, and the magnetic flocs F are adsorbed and separated on the magnetic disk where magnets are disposed. It is called the magnetic seed method by removing.
특허문헌 1에는 자기 분리장치를 조립한 고액 분리장치(固液分離裝置)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분리장치는 분리조(分離槽) 내에 자석을 부착한 복수매(複數枚)의 자기디스크를 회전축에 간격을 두고 배설(配設)한 것이며, 자성플럭을 자기디스크에 흡착하는 것으로 원수 중에서 제거 회수한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incorporating a magnetic separation device. As shown in Patent Literature 1, the magnetic separator is a plurality of magnetic disks having magnets attached to them in a separation tank at a spaced interval on a rotating shaft. It adsorb | sucks to and removes and collect | recovers in raw water.
특허문헌 1 : 특허공개 평10-244424호 공보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44424
그렇지만 종래의 자기 분리장치는 원수 중에서 자성플럭을 제거하는 성능이 다음의 점에서 아직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magnetic separation device cannot be said to have sufficient ability to remove magnetic flocs from raw water in the following points.
(1) 분리조 내로 급수된 원수는 복수매(複數枚)의 자기디스크에 균등하게 접촉하는 것이 원수 중의 자성플럭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자기 분리장치는 분리조 내의 수류가 치우치기 쉽다.(1) Evenly contacting a plurality of magnetic disks with raw water supplied into the separation tank is important for efficiently removing magnetic flocs in the raw wat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gnetic separation device, the water flow in the separation tank is easy to be biased.
(2) 자성플럭을 분리조 내의 원수 중에 대략 반수몰(半水沒)시킨 구성의 경우, 자기디스크에 흡착한 자성플럭은 원수 중에서는 박리되기 쉽고, 자기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원수 중에서 대기 중에 반송된 시점에서는 건조하므로 자기디스크 면에 고착하여 벗겨지기 어려워진다. 종래의 자기 분리장치는 원수 중에서 자기디스크에 일단 흡착한 자성플럭이 박리하고 마는 문제에 대한 대책, 흡착된 자성플럭이 대기 중에서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대책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2)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gnetic flocs are approximately half-molar in the raw water in the separation tank, the magnetic flocs adsorbed to the magnetic disk are easily peeled off in the raw water, and are conveyed in the air from the raw water by rotation of the magnetic disk. At this point of time, it dries, making it difficult to stick to the magnetic disk. Conventional magnetic separators cannot be said to have sufficien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blem that the magnetic flocks once adsorbed to the magnetic disk in raw water and the measures for efficiently recovering the adsorbed magnetic flocs from the ai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자기 분리장치가 지니는 자성플럭의 흡착분리효율 및 회수효율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원수 중에 함유하는 자성플럭을 고성능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has solved the problems of the adsorptive separation efficiency and recovery efficiency of the magnetic flocs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separation device, thereby providing a magnetic separation device capable of removing magnetic flux contained in raw water with high performance. It aims to provide.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성플럭(磁性 flocks)을 함유하는 원수(原水)가 유입하는 분리조(分離槽)와, 상기 분리조(分離 槽) 내에 배설(配設)된 회전축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병설(竝設)되어 상기 자성플럭을 자성력에 의해 흡착하는 복수매(複數枚)의 자기디스크와, 흡착한 자성플럭을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한 자기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매의 자기디스크가 상기 분리조의 원수 중에 대략 반수몰(半水沒)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리조의 하단에 형성된 급수구로부터 상기 원수를 분리조 내에 상향류로서 급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매(複數枚) 각각의 자기디스크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급수구로부터 급수된 원수를 상기 자기디스크 면의 좌우방향 및 상기 자기디스크의 두께방향으로 분류(分流)하는 분류부재가 배설되어 상기 분리조의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양측에는 상기 자기디스크에 의해 원수 중의 자성플럭이 제거된 처리수가 월류(越流)하는 한 쌍의 트로프(trough)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분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ncludes a separation tank into which raw water containing magnetic flocks flows, and excretion in the separation tank. A magnetic separ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agnetic disks installed at predetermined rotational interval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dsorb the magnetic flocks by magnetic force, and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adsorbed magnetic flocs. The plurality of magnetic disks are arranged so that the plurality of magnetic disks are approximately half a mole in the raw water of the separation tank, and the raw water is supplied as an upward flow into the separation tank from the water supply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Iii) Immediately below each magnetic disk, a classification member for dividing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in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gnetic disk surface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gnetic disk is disposed. A pair of troughs are provided on both sides parallel to the rotary shaft of the separation tank, in which a pair of troughs are provided to flow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magnetic flux in raw water is removed by the magnetic disk. to provide.
청구항 1에 의하면, 분리조 하단에 형성한 급수구로부터 급수된 원수는 분류부재에 충돌하여 자기디스크의 직경방향 좌우와 자기디스크의 두께 방향으로 분류(分流)된다. 그에 따라 급수구로부터 급수된 원수가 분류부재에 충돌하여 좌우방향과 자기디스크의 두께 방향으로 흘러서 분류됨으로써 자기디스크 끼리의 사이를 흐르는 원수의 유속이 감속되어 자기디스크 끼리의 사이를 천천히 흐르는 상향류로되어 상승한다. 그에 따라 원수 중의 자성플럭을 자기디스크에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1,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collides with the dividing member and is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diameter directions of the magnetic disk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gnetic disk. As a result,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collides with the sorting member and fl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gnetic disk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flowing between the magnetic disks is decelerated, and the upstream flows slowly between the magnetic disks. To rise. As a result, the magnetic flocs in the raw water can be efficiently adsorbed onto the magnetic disk.
또한 분리조의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양측에는 자기디스크에 의해 원수 중의 자성플럭이 제거된 처리수가 월류하는 한 쌍의 트로프(trough)가 설치되어 있으므 로 분류한 흐름이 분리조 내에 잔류하는 일 없이 처리수를 신속하게 분리조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troughs are provided on both sides parallel to the rotary shaft of the separation tank in which the magnetic water in the raw water is removed by the magnetic disk, so that the classified flow does not remain in the separation tank. Can be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separator.
또한 자기디스크의 바로 아래에 분류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원수가 유속이 빠른 상향류로 되어 자기디스크의 면 근방을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기디스크의 면에 일단 흡착한 자성플럭이 박리하여 원수 중에 탈락하고 마는 일이 없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sorting member directly under the magnetic dis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w water from flowing near the surface of the magnetic disk because of the high velocity of the flow of the raw water. There is nothing to dry.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단면의 두께가 상기 자기디스크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으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게 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ng member is formed in a wedge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disk and at the same time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ng member becomes thinner as it goes to the lower end.
청구항 2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분류부재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급수구로부터 급수된 원수를 자기디스크의 직경방향 좌우와 두께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분류할 수 있다.By forming the shape of the sorting member as defined in claim 2, the raw water f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can be accurately sorted in the radial direction left and right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gnetic disk.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긴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aim 3 is a water supply port of Claim 1 or 2 WHEREIN: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formed in the square cylinder shape long in the said rotating shaft direction.
청구항 3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급수구를 회전축 방향으로 긴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분리조 내로 균등하게 급수하기 쉬워 자성플럭의 제거 성능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As defined in claim 3, the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long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water supply port can be easily supplied evenly into the separation tank, and the magnetic floc removal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청구항 4는 청구항 1 ∼ 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매 각각의 자기디스크의 외주면과 상기 분리조의 내면의 사이에는 기단부가 상기 분리조 내면에 고정되고, 선단부가 자유단으로서 상기 자기디스크의 외주면에 접촉된 밀봉판이 배 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tank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ic disk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heet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tank, the front end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ic disk as a free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late in contact with the.
청구항 4에 의하면, 복수매 각각의 자기디스크의 외주면과 분리조의 내면의 사이에 밀봉판이 배설되도록 함으로써 자기디스크의 외주면을 쇼트패스(shorter route) 하여 자기디스크 면에 접촉하지 않고 트로프로 월류하는 흐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성플럭의 제거를 한층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4, the seal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isk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tank to short-circui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ic disk to flow over the trough without contacting the magnetic disk surface Since it can prevent, the removal of a magnetic floc can be improved further.
청구항 5는 청구항 1 ∼ 4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회전하는 자기디스크가 대기 중에서 원수중으로 진입하기 직전의 자기디스크 끼리의 사이에 상기 회전축의 근방에서 상기 분리조의 외부 까지 홈통상으로 배설되어 양측면 상단의 엣지 부분이 자기디스크 면에 소정의 부세력(付勢力)을 가지고 당접함으로써 자기디스크 면에 흡착된 자성플럭을 긁어내는 홈통상 스크레이퍼와, 홈통상 스크레이퍼 내에 배설되어 긁어내져 홈통상 스크레이퍼 내에 낙하 퇴적한 자성플럭을 상기 분리조의 외부까지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covery means is disposed in the groove through the magnetic disk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tank between the magnetic disks just before the rotating magnetic disk enters the raw water in the air. Groove edge scraper which scrapes the magnetic flocks adsorbed on the magnetic disk surface by contacting the magnetic disk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biasing force, and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sides of the both sides are disposed in the groove scraper and scraped off so as to scrape off the groove cylindrical scraper. And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magnetic flocks dropped and deposited therein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tank.
청구항 5에 의하면, 회전하는 자기디스크가 대기 중에서 원수중으로 진입하기 직전의 자기디스크 끼리의 사이에 회전축의 근방에서 분리조의 외부 까지 홈통상으로 배설되어 양측면 상단의 엣지 부분이 자기디스크 면에 소정의 부세력(付勢力)을 가지고 당접함으로써 자기디스크 면에 흡착된 자성플럭을 긁어내는 홈통상 스크레이퍼를 설치함으로써 대기 중에서 건조하여 자기디스크 면에 고착한 자성플럭이 있어도 확실하게 긁어낼 수 있고, 긁어낸 자성플럭을 확실하게 홈통상 스크레이퍼 내로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5, the rotating magnetic disk is grooved from the vicinity of the rotating shaft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on tank between the magnetic disks just before entering the raw water in the air, so that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sides of both sides is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magnetic disk surface. By installing a groove-shaped scraper that scrapes the magnetic flocks adsorbed on the magnetic disk surface by contacting with the force, it can be reliably scraped even if there is a magnetic floc that is dried in the air and adhered to the magnetic disk surface. The floc can be reliably recovered into the trough scrap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기 분리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자기 분리장치가 지니는 자성플럭의 흡착 분리효율 및 회수효율의 문제를 해소하여 원수 중에 함유하는 자성플럭을 고성능으로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agnetic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adsorptive separation efficiency and recovery efficiency of the magnetic flocs with the conventional magnetic separation device can be solved, and the magnetic flocs contained in the raw water can be removed with high performance.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자기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ccording to an accompanying drawing is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자기 분리장치(20)를 오탁수 정화시스템(10)에 조립한 플로우를 설명하는 블럭도 이다. 또한 도 2는 오탁수 정화시스템(10)을 구성하는 응집장치(14), 자기 분리장치(20), 필터 분리장치(24)의 개념도 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ssembling 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탁수 정화시스템(10)은 원수가 원수펌프(12)에 의해서 우선 응집장치(14)의 급속 교반조(14A)에 송수(送水)된다. 또한 원수펌프(12)와 급속교반조(14A)를 잇는 배관 도중에 자성분(磁性粉)을 첨가하는 자성분 첨가장치(16)와, 응집제를 첨가하는 응집제 첨가장치(18)가 설치되어 자성분 및 응집제가 배관 내를 흐르는 원수중에 첨가된다. 자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삼산화철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응집제로서는 폴리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황산제2철 등의 수용성 무기응집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수 중에 자성분(磁性粉)이나 응집제를 첨가하기 전에 수 mm 크기의 비교적 큰 오물(dirt)은 스트레이너(strainer)를 설치하여 여과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in the
급속 교반조(14A)에서는 원수와 첨가한 자성분 및 응집제를 고속회전하는 교 반 날개(19)로 급속 교반함으로써 수십 ㎛ 정도 크기의 미소한 자성플럭(F; 자성 마이크로플럭이라고도 한다)을 형성한다. 교반 날개(19)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주속(周速)으로서는 1 ∼ 2m/초 정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마이크로플럭에는 자성분, 원수 중의 고형 부유입자, 박테리아, 플랑크톤 등이 들어 있다.In the
다음에 자성 마이크로플럭을 함유하는 원수는 응집장치(14)의 완속 교반조(14B)로 송수(送水)된다. 또한 급속 교반조(14A)와 완속 교반조(14B)를 잇는 연통실(14C; 連通室)의 근방에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는 고분자 응집제 첨가장치(21)가 설치되어 연통실(14C; 連通室)을 흐르는 원수 중에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된다. 고분자 응집제로서는 음이온계(anionic type) 및 비이온계(nonionic type)의 것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Next, the raw water containing the magnetic microflocs is fed to the
완속 교반조(14B)는 자성 마이크로플럭과 고분자 응집제를 저속회전하는 교반 날개(19)로 저속으로 교반함으로써 수백 ㎛ ∼ 수 mm 정도의 크기인 자성플럭(F)을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속 교반조(14B)는 복수단의 연속한 다단 교반조(A, B, 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류측의 완속 교반조(A)로부터 하류측의 완속 교반조(C)로 향함에 따라 교반 날개(19)의 회전속도가 저속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류측의 완속 교반조(A)로부터 하류측의 완속 교반조(C)로 향함에 따라 자성플럭(F)이 성장해 가는 것과 동시에 성장한 자성플럭(F)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교반 날개(19)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주속(周速)으로서는 완속 교반조(A)가 0.5 ∼ 1m/초 정도, 완속 교반조(B)가 0.3 ∼ 0.7m/초 정도, 완속 교반조(C)가 0.1 ∼ 0.3m/초 정도인 것이 바람 직하다.The
응집장치(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속 교반조(14A), 연통실(14C), 완속 교반조(14B)를 일체 구조의 장치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각각을 배관으로 이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크기가 성장한 자성플럭(F)을 함유하는 원수는 본 발명의 자기 분리장치(20)에 송수된다. 자기 분리장치(20)는 원수 중의 자성플럭(F)을 자성력에 의해 흡착 분리하는 것이며, 자기 분리장치(20)에 의해 원수 중의 자성플럭(F)의 약 90%가 분리 제거된다. 자기 분리장치(20)의 구성에 대해서는 오탁수 정화시스템(10)의 플로우 전체를 설명한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raw water containing the magnetic flocs F having the increased size is sent to the
자기분리장치(20)에서 제거된 자성플럭(F)은 원심분리기나 벨트 프레스기 등의 탈수장치(25)에 의해 함수율 80% 정도까지 저감 된 후, 트럭 등에 의해 매립 처분장이나 소각장, 또는 퇴비 제조공장 등에 보내진다.The magnetic flocs F removed from the
한편 자기 분리장치(20)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다음에 필터 분리장치(24)로 송수된다. 필터 분리장치(24)에서는 처리수가 회전 드럼필터(26)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여과되어 처리수에 잔존하는 자성플럭(F)이 제거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eated water treated by the
그에 따라 오물(dirt), 고형 부유입자, 박테리아, 플랑크톤 등의 오탁물질이 포함된 원수를 정화할 수 있다. 회전 드럼필터(26)에 부착한 자성플럭(F)은 회전 드럼필터(26)의 윗쪽에 배설(配設)된 샤워링(showering)장치(28)로부터 세정수가 샤워링됨으로써 회전 드럼필터(26) 내의 호퍼에 집적되어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회전 드럼필터(26)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의 일부를 순환펌프(29)로 샤워링 장치(28)에 복귀시켜 세정수로 재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샤워링에 의해 자성플럭(F)을 포함한 더러워진 세정 배수는 펌프(30)에 의해 원수펌프(12)의 전단으로 복귀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urify raw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such as dirt, solid suspended particles, bacteria, and plankton. The magnetic flocks F attached to the
〔자기 분리장치〕[Magnetic separation device]
도 3은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20)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정면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 분리장치(20)는 주로서 자성플럭(F)을 함유하는 원수가 유입하는 분리조(32)와, 분리조(32)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설된 회전축(34)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설되어 자성플럭(F)을 자성력에 의해 흡착하는 복수매의 자기디스크(36)와, 자기디스크(36)에 흡착된 자성플럭(F)을 회수하는 회수수단(38)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3매 또는 4매의 자기디스크(36)의 예로 설명하지만, 매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분리조(32)는 상면이 개방되는 동시에 양 단면이 측벽(41; 도 5 참조)으로 폐쇄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리조(32)의 양측(도 3의 좌우)에는 회전축(34)과 평행하게 형성된 단면 오목상(凹狀)의 한 쌍의 트로프(40; trough)가 분리조(32)와 일체 형성되는 동시에 트로프(40; trough)의 외측에는 트로프(40)와 평행한 단면 오목상(凹狀)의 플럭 회수조(42)가 설치된다. 또한 플럭 회수조(4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자기디스크(36)가 원수 중에 진입하는 우측(도 3의 우측)에 설치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분리조(32)의 한 쌍의 측벽(41) 상부에는 베어링(35)을 통 하여 회전축(3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회전축(34)의 일단이 모터(39)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축(34)에는 중심부에 삽입공을 갖는 복수매의 자기디스크(36)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삽입 지지된다. 자기디스크(36) 끼리의 사이에는 자기디스크(36) 끼리의 간격을 조정함과 동시에 자기디스크(36)의 내주부를 고정하는 슬리브(31; sleeve)가 설치된다. 자기디스크(36) 끼리의 간격은 자기디스크(36)의 두께에 대하여 1배 ∼ 3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이 1배 미만에서는 원수가 자기디스크(36) 끼리의 사이에 흘러들게 됨과 동시에 3배를 넘어 너무 넓으면 자기디스크(36) 끼리의 사이에 강한 자성력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또한 회전축(34)에 지지된 복수매의 자기디스크(36)는 분리조(32) 내의 원수 중에 1/2 ∼ 2/3의 비율로 수몰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기디스크(36)를 부분적으로 수몰시킨 구성의 경우에는 원수 중에서 자기디스크(36)에 흡착된 자성플럭(F)을 자기디스크(36)가 회전하여 자성플럭(F)이 대기 중으로 반송된 때에 회수수단(38)으로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자성플럭(F)의 흡착과 회수의 효율이 가장 좋아지도록 자기디스크(36)의 수몰율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회전축(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35)을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승강장치에 지지시켜 자기디스크(36)를 유압기구 등에 의해 승강시킴으로써 수몰율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또한 분리조(32)의 하단에는 회전축(34)의 축선 방향으로 긴 사각통 형상의 급수구(44)가 형성되어 이 급수구(44)와 응집장치(14)의 출구가 사각통상의 배관(43; 도 4참조)에 접속된다. 급수구(44)에는 복수의 분류부재(46; 도 5참조)가 배설된다. 이 분류부재(4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자기디스크(36)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상단면의 두께(W1)가 자기디스크(36)의 두께(W2)와 동등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으로 감에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분류부재(46)의 폭치수(D1)는 급수구(44)의 폭(D2) 보다 작아 급수구(44)에 급수된 원수가 급수구(44)와 분류부재(46)의 사이에 형성된 좌우의 틈새(44A, 44B; 隙間)로 분류(分流)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이 분류부재(46)에 의해 급수구(44)로부터 급수된 원수는 분류부재(46)에 충돌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36)의 직경 방향 좌우로 분류(分流)된다. 이와 같이 급수구(44)로부터 급수된 원수가 분류부재(46)에 충돌하여 좌우 방향으로 2개의 흐름으로서 분류됨으로써 자기디스크(36) 끼리의 사이를 흐르는 원수의 유속이 감속되어 자기디스크(36) 끼리의 사이를 천천히 흐르는 상향류로 되어 상승한다. 그에 따라 원수 중의 자성플럭(F)을 자기디스크(36)에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향류의 유속을 감속함으로써 자기디스크(36)에 일단 흡착한 자성플럭(F)이 박리하기 어려워진다.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또한 분류부재(46)에 의해 급수구(44)로부터 분리조(32) 내로 유입한 원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36)의 두께 방향으로도 분류된다. 그에 따라 자기디스크(36)에 흡착한 자성플럭(F)이 급수구(44)로부터 급수된 원수의 수류로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쐐기 형상의 분류부재(46)를 설치하지 않으면,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이 급수구(44)로부터 급수된 원수의 상향류에 직접 노출되는 것으로 된다.In addition, the raw water which flowed into the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부재(46)가 없는 상태에 있어서의 원수의 흐름은 점선으로 나타나도록 유속의 빠른 상향류로 되어 자기디스크(36)의 면 근방을 흐르므로 자성플럭(F) 면에 흡착한 자성플럭(F) 가운데 특히 외주면(36a) 부분에 가까운 자성플럭(F)이 원수의 흐름으로 긁어내져 원수 중에 탈락해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분류부재(46)에 의해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을 원수의 흐름에 직접 노출하지 않게 함으로써 급수구(44)로부터 유입한 원수는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부재(46)에 해당되어 유속이 늦어져 더욱 자기디스크(36)의 두께 방향으로 분류된다. 그에 따라 자기디스크 면에 일단 흡착된 자성플럭(F)이 원수의 흐름으로 긁어내지는 것이 없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flow of raw water in the absence of the dividing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조(32)에는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과 분리조(32) 내면의 틈새(隙間)를 밀봉(seal)하여 급수구(44)로부터 급수된 원수가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을 쇼트패스(shorter route) 하여 트로프(40; trough)로 유출하지 않기 위한 밀봉판(48)이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밀봉판(4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가 분리조(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50)에 고정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자유단으로서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축(50)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부세(回轉付勢) 되어 있다. 그에 따라 밀봉판(48)은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에 대하여 소정의 접촉력으로 당접하므로 자기디스크의 회전을 저해함이 없어 원수가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36a)을 쇼트패스(shorter route)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판(48)의 재질로서는 자기디스크(36) 보다 도 부드러운 탄성체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고무판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ealing
다음에 자기디스크(36)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자기디스크(36)는 내부에 토러스(torus)상의 공동(空洞)이 형성된 비자성체의 케이스(45) 내부에 영구자석편(37)에 끼워진 강자성체의 디스크 기판(33)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디스크 기판(33)의 중심부에는 회전축(34)에 삽통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34)에는 통상 3매 이상의 자기 디스크(36)가 배설된다.The
설치되는 복수매의 자기 디스크(36)에 대해 종래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4)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최외측 자기디스크(36A)나, 회전축(34)의 양단보다 내측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는 내측 자기디스크(36B)나, 강자성체의 디스크 기판(33)의 양면에 영구자석편(37)을 배설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최외측 자기디스크(36A)로부터 분리조(32) 밖으로의 자기 누설의 문제나,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변형의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For a plurality of
내측 자기디스크(36B)의 경우에는 양측에 대향하는 자기디스크가 존재하므로 자기디스크(36)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내측 자기 디스크(36B)의 자성력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므로 자기 누설이나 변형의 걱정은 없다.In the case of the inner
이 대책으로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자기디스크(36B)에 대해서는 종래대로 디스크 기판(33)의 양면에 영구자석편(37)을 배치해 강자성체의 디스크 기판(33)을 영구자석편(37) 끼리로 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최외측 자기디스 크(36A)에 대해서는 디스크 기판(33) 양면의 내측면(내측 자기디스크(36B)의 옆의 면)에만 자성력을 발휘하기 위한 영구자석편(37)을 배치하고, 디스크 기판(33)의 외측면에는 한 매의 철판(52)를 배치해 디스크 기판(33)을 자석과 철판(52)으로 끼워지도록 했다. 이 경우 디스크 기판(33)은 본질적으로 강자성체이지만, 철판(52)은 강자성체이어도 비자성체이어도 된다. 또한 디스크 기판(33)과 철판(52)은 한 매의 두꺼운 강자성체로 일체물로서 구성해도 된다. 그에 따라 최외측 자기디스크 (36A)의 강성을 내측 자기디스크(36B)의 강성보다도 커지도록 했다. 최외측 자기 디스크(36A)의 디스크 기판(33)의 강성을 어느 정도 크게 할까는 내측 자기디스크 (36B)의 자성력에 저항해 최외측 자기디스크(36A)가 변형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와 내측 자기디스크(36B)의 거리, 영구자석편(37)의 자성력, 디스크 기판(33)의 재질 등에 의해 철판(52)의 두께를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As a countermeasure, as shown in FIG. 8 (B), the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경우도, 내측 자기디스크(36B)의 경우도, 강자성체로 디스크 기판(33)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영구자석편(37)을 자기력에 의해 디스크 기판(33)에 직접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케이스(45)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지를 몰드하는 구조 형태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outermost
또한 자기디스크(36)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강자성체의 디스크 기판(330의 면에 영구자석편(37)을 끼워넣는 포켓부(도시하지 않음)를 달아 이 포켓부에 영구자석편(37)을 끼워넣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디스크 기판(33)의 면에 다수의 영구자석편(37)이 고정된 자기디스크(36)의 제작방법으로서는 디스크 기판(33)을 기판(33) 양면중 적어도 한쪽 면에 다수의 구멍인 상기 포켓부를 가지는 허니콤 구조로 형성하는 디스크 기판 형성 공정과, 형성된 디스크 기판(33)의 포켓부에 영구자석편(37)을 끼워넣는 자석 끼워 넣기 공정과, 영구자석편(37)이 끼워넣어진 디스크 기판(33)을 내부에 토러스(torus)상의 공동(空洞)이 형성된 케이스(45)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공정으로 구성된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그에 따라 포켓부(56)의 측벽이 리브(rib; 補强材)의 역할을 하므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포켓부는 비자성체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포켓부를 강자성체의 디스크 기판(33)에 접착제로 붙인다. 이것은 포켓부를 자성체(특히 강자성체)로 형성하면, 포켓부의 측벽에 자속이 흡수되어 결과적으로 자석 표면 근방의 자장만이 강해져 자화 방향에 관계하는 영구자석편(37)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높은 자장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Accordingly, since the side wall of the pocket 56 serves as a rib, rigidity can be increased. In this case, the pocket portion needs to be formed of a nonmagnetic material, and the pocket portion is glued to the
이와 같이 최외측 자기디스크(36A)를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대책으로 자기 실드(magnetic shield)나 자기 코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기 누설을 해소할 수 있고, 게다가 최외측 자기디스크(36A)가 변형하는 것도 없다. 또한 포켓부를 갖춘 내측 자기디스크(36B)를 제작하려면, 디스크 기판(33)의 양면에 포켓부를 형성하면 된다.By constructing the outermost
그러나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디스크 기판(33)의 외측면에 영구자석편 (37)을 배설하지 않음으로써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외측면과 분리조(32) 내면과의 사이를 통과한 원수는 자성플럭(F)이 흡착 분리되지 않은 채 트로프(40; trough)로 유출할 위험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외측면과 분리조(32) 내면과의 틈새가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차폐부재(54)로 매설되도록 했다. 차폐부재(54)로서는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수지나 스펀지 등의 마찰이 작고 부드러운 소재의 것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외측 면에 영구자석편(37)을 배설하지 않아도 자성플럭(F)이 그대로 트로프(40)로 유출해 버리는 것은 없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차폐부재 (54)로 차폐하여도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외측면과 분리조(32) 내면과의 사이에 오목상의 틈새가 형성되지만, 최외측 자기디스크(36A)가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오목상의 틈새에 원수가 체류하는 것은 없다.However, since the
또한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디스크(36)의 케이스(45) 자체를 허니콤 구조로 하는 방법이 있고,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자기디스크(36)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하니콤 구조의 방법은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에 한정되지 않고, 내측 자기디스크(36B)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outermost
다음에 자기디스크(36)에 흡착된 자성플럭(F)를 회수하는 플럭 회수수단(38)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loc recovering means 38 for recovering the magnetic flocks F adsorbed to the
플럭 회수수단(38)은 주로서 홈통상 스크레이퍼(60)와, 반송수단(62)으로 구성된다.The floc recovery means 38 mainly consists of the groove-shaped
홈통상 스크레이퍼(60)는 회전하는 자기디스크(36)가 대기중에서 원수중으로 진입하기 직전의 자기디스크(36) 끼리의 사이에(도 5 참조) 회전축(34) 근방으로부 터 플럭 회수조(42)의 윗쪽까지 홈통상에 배설된다. 그리고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양측면 상단의 엣지부분(60A)이 자기디스크(36)의 면에 소정의 부세력(付勢力)을 가져 당접함으로써 자기디스크(36)의 면에 흡착된 자성플럭(F)를 긁어내도록 구성된다.The groove-shaped
또한 반송수단(62)은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배설되어 긁어내져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낙하 퇴적한 자성플럭(F)을 플럭 회수조(42)의 윗쪽으로 반송하여 플럭 회수조(42)에 낙하시킨다. 반송수단(62)으로서는 스크루 컨베이어(64)나 핀(fin)부착 벨트 컨베이어(66)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도 9 ∼ 도 11은 스크루 컨베이어(64)의 경우이고, 도 12, 도 13은 핀(fin)부착 벨트 컨베이어(66)의 경우이다. 또한 도 9, 도 10, 도 12에서는 자기디스크(36)의 대기중 부분에만 자성플럭(F)을 도시했다.In addition, the conveying means 62 conveys the magnetic flocks F disposed in the groove-shaped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통상 스크레이퍼(60)는 측면의 상단 엣지부분( 60A)이 자기디스크(36)의 면에 소정의 압압력(押壓力)을 가지고 당접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단 엣지부분(60A)은 샤프(sharp)한 박육(薄肉)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시계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자기디스크(36)의 면에 흡착된 자성플럭(F)은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상단 엣지부분(60A)으로 긁어내져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낙하한다.As shown in Fig. 9, the groove-shaped
도 9 ∼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는 스크루 컨베이어(64)의 스크루부(64A)가 수납되어 스크루부(64A)의 일단이 모터(64B)에 연결된다. 이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측면에서 저면 에 이르는 내면 형상은 반송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형성되지 않도록 반원상(半圓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낙하 퇴적된 자성플럭(F)은 스크루 컨베이어(64)에 의해 플럭 회수조(42)의 윗쪽까지 반송되어 플럭 회수조(42)에 낙하한다.As shown in FIGS. 9-11, 64 A of screw parts of the
또한 반송수단(62)으로서 핀(fin)부착 벨트 컨베이어(66)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 12,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핀(fin)부착 벨트 컨베이어(66)는 자기디스크(36)의 직경 방향 양측에 한 쌍의 풀리(68)가 배치되어 이 한 쌍의 풀리 끼리의 사이에 핀(69; fin)을 가지는 무단상(無端狀) 벨트(70)를 감아 걸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풀리(68) 중 한쪽이 도시하지 않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연결된다. 이 무단상(無端狀) 벨트(70)는 자기디스크(36)의 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핀(69; fin)은 무단상 벨트(70)의 외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무단상 벨트(70)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통상 크레이퍼(60)의 측면에서 저면에 이르는 내면 형상은 반송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형성되지 않도록 핀(69; fin)의 형상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핀(69; fin)의 형상을 역사다리꼴로 한 경우에는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내면 형상도 역사다리꼴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in belt conveyor 66 with a fin is employ | adopted as the conveying means 62, it is comprised as shown in FIG. 12, FIG. That is, the pin conveyor belt conveyor 66 has a pair of
또한 도 9 ∼ 도 13에서는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지지 구조나 핀부착 벨트 컨베이어(66)의 풀리(68)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컨대 자기 분리장치(20)의 장치 본체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기울기에 대해서는 도 10(스크루 컨베이어)에서는 우측이 위로 기울어진 것을 나타내고, 도 12(핀부착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우측이 아래로 기울어진 나타냈지만, 우측이 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낙하 체적(體積) 한 자성플럭(F)이 반송수단(62)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자성플럭 중의 수분이 홈통상 스크레이퍼(60)를 타고 흐르지만, 우측이 위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수분이 플럭 회수조(42)에 흘러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럭 회수조(42)에 회수하는 자성플럭(F)은 가능한 한 저수분(低水分)으로 하여 용적 축소화를 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상부 기울어짐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회수 수단(38) 전체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크루 컨베이어 방식의 회수수단(38)의 경우에는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회동축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실린더장치 등의 신축 장치에 의해 홈통상 스크레이퍼(60)를 시소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groove-shape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기 분리장치(2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자성플럭(F)을 함유한 원수는 분리조(32)의 하단에 형성된 급수구(44)로부터 유입하여 분류부재(46)에 의해 분류(分流)된다. 이 분류부재(46)에 의해 원수는 연속 회전하는 자기디스크(36)의 면에 대해서 좌우 양측으로 분류됨과 동시에 자기 디스크(36) 끼리의 사이의 강자성 공간에 흘러들도록 분류된다. 분류된 원수가 분리조(32) 내를 상승하는 도중에 원수 중의 자성플럭(F)이 자기디스크(36)의 면에 흡착된다. 자성플럭(F)이 흡착되어 정화된 처리수는 자성플럭(F)의 좌우 양측에 설 치된 한 쌍의 트로프(40; trough)에 월류(越流) 한다.The raw water containing the magnetic flocks F flows in from the
한편 자기디스크(36)에 흡착된 자성플럭(F)은 자기디스크(36)의 연속 회전에 의해 수면상의 대기중으로 반송되어 대기중에 노출한다. 자성플럭(F)이 대기 중에 노출함으로써 자성플럭(F)의 수분이 중력에 의해 자기디스크(36)의 면을 타고 분리조(32) 내에 흘러 떨어진다. 더구나 자기디스크(36)에 흡착된 자성플럭(F)은 자기 디스크(36)의 자성력에 의해 압밀화(壓密化) 된다. 그에 따라 자성플럭(F)의 탈수가 촉진되어 함수율이 약 90%의 슬러지 상태로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flocks F adsorbed on the
탈수가 촉진된 자성플럭(F)은 자기디스크(36)의 연속 회전에 의해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위치까지 반송되어 홈통상 스크레이퍼(60)의 측면 엣지부분(60A)으로 긁어내져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낙하한다. 홈통상 스크레이퍼(60) 내에 낙하한 자성플럭(F)은 스크루 컨베이어(64) 또는 핀부착 벨트 컨베이어(66)의 반송 수단(62)에 의해 반송되어 플럭 회수조(42)의 윗쪽까지 반송되어 플럭 회수조(42)에 낙하한다.Dehydration-promoted magnetic flocs F are conveyed to the position of the groove-shaped
설치되는 자기 분리장치(20)에 의한 자성플럭(F)의 자기 분리에 있어서, 복수매의 자기디스크(36)의 바로 밑에 분류부재(46)를 설치했으므로 원수 중의 자성 플럭(F)을 자기디스크(36)에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In the magnetic separation of the magnetic flocks F by the
또한 자기디스크와 분리조의 사이에 밀봉판(48)을 설치함으로써 자성력이 발휘되지 않는 자기디스크(36)의 외주면을 원수가 쇼트패스(shorter route) 하여 트로프(40; trough)로 월류(越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트로프(40; trough)로 월류하는 처리수의 수질이 악화되는 것이 없다.Further, by installing the sealing
또한 회전축(34)에 배설된 복수매의 자기디스크(36) 가운데 내측 자기디스크 (36B)에 대해서는 종래대로 디스크 기판(33)의 양면에 영구자석편(37)을 배치하는 한편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에 대해서는 디스크 기판(33)의 내측면(내측 자기디스크의 옆의 면)에만 자성력을 발휘하기 위한 영구자석편(37)을 배설했다. 그리고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영구자석편을 배설하는 디스크 기판(33)의 강성이 내측 자기디스크의 디스크 기판의 강성보다 커지도록 했다. 이 경우 허니콤 구조의 자기디스크(36)를 채용하면,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더구나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외측면과 분리조(32) 내면의 사이에 차폐부재(54)를 매립하도록 했다. 그에 따라 최외측 자기디스크(36A)로부터의 자성 누설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최외측 자기디스크(36A)의 외측면을 원수가 통과하여 트로프(40; trough)로 월류(越流)하지 않으므로 처리수의 수질이 나빠지는 일도 없다.In addition, the shielding
또한 회수수단(38)으로서 홈통상 스크레이퍼(60)를 설치함으로써 자기디스크(36)에 흡착한 자성플럭(F)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groove-shaped
도 1은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를 조립한 오탁수 정화시스템의 플로우를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low of a filthy water purific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present invention magnetic separator;
도 2는 오탁수 정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constituting the filthy water purifica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gnetic separator in cross section,
도 4는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의 측면 단면도,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gnetic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의 정면 단면도,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gnetic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에 설치된 분류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sorting memb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gnetic separator;
도 7은 본 발명 자기 분리장치에 설치된 밀봉판을 설명하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ling plate installed in the magnetic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최외측 자기디스크의 차이를 설명하는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outermost magnetic disk in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자기 분리장치의 자기디스와 홈통상 스크레이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magnetic device and a groove scraper of the magnetic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스크루 컨베이어(screw conveyer) 방식의 회수수단을 설명하는 설명도,10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recovery means of a screw conveyer system;
도 11은 스크루 컨베이어(screw conveyer)와 홈통상 스크레이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1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crew conveyer and a groove-shaped scraper;
도 12는 핀 부착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회수수단을 설명하는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recovery means of a belt conveyor system with a pin;
도 13은 핀 부착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핀과 홈통상 스크레이퍼의 관계를 설 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n of the belt conveyor system with a pin, and a groove-shaped scrap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오탁수 정화시스템 12 : 원수펌프10: sewage water purification system 12: raw water pump
14 : 응집장치 14A : 급속 교반조14:
14B : 완속 교반조 16 : 자성분 첨가장치14B: slow stirring tank 16: magnetic component adding device
18 : 응집제 첨가장치 19 : 교반 날개18: flocculant addition device 19: stirring blade
20 : 자기 분리장치 24 : 필터 분리장치20: magnetic separator 24: filter separator
25 : 탈수장치 26 : 회전 드럼필터25: dewatering device 26: rotary drum filter
28 : 샤워링장치 29 : 순환 펌프28: showering device 29: circulation pump
30 : 펌프 31 : 슬리브(sleeve)30
32 : 분리조 33 : 디스크 기판32: separation tank 33: disk substrate
34 : 회전축 35 : 베어링34: rotating shaft 35: bearing
36 : 자기디스크 37 : 영구자석편36: magnetic disk 37: permanent magnet piece
38 : 회수수단 39 : 모터38: recovery means 39: motor
40 : 트로프(trough) 41 : 측벽40: trough 41: side wall
42 : 플럭 회수조 43 : 사각통상의 배관42: floc recovery tank 43: square cylindrical pipe
44 : 급수구 45 : 케이스44: water outlet 45: case
46 : 분류부재 48 : 밀봉판46: classification member 48: sealing plate
50 : 회동축 52 : 보강부재50: rotating shaft 52: reinforcing member
55 : 뚜껑부재 60 : 홈통상 스크레이퍼55: lid member 60: gutter tube scraper
62 : 반송수단 64 : 스크루 컨베이어62: conveying means 64: screw conveyor
66 : 핀 부착 벨트 컨베이어 68 : 풀리66: belt conveyor with pin 68: pulley
69 : 핀 70 : 무단상 벨트69: pin 70: endless belt
F : 자성플럭 F: Magnetic Flux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257791 | 2007-10-01 | ||
JP2007257791 | 2007-10-01 | ||
JP2008019094A JP5115219B2 (en) | 2007-10-01 | 2008-01-30 | Magnetic separation device |
JPJP-P-2008-00019094 | 2008-0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3801A true KR20090033801A (en) | 2009-04-06 |
KR101544614B1 KR101544614B1 (en) | 2015-08-17 |
Family
ID=4053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5411A KR101544614B1 (en) | 2007-10-01 | 2008-09-29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115219B2 (en) |
KR (1) | KR101544614B1 (en) |
CN (1) | CN101402065B (en) |
MX (1) | MX201000342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62580A (en) * | 2022-01-08 | 2022-03-11 | 安徽普氏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 Magnetic separator applying composite scraper |
CN115557622A (en) * | 2022-08-22 | 2023-01-03 | 黄剑锋 | Intelligent adjustable sewage treatment equipment for heavy industry enterpris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08835B2 (en) * | 2009-03-31 | 2013-06-12 |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 Coagulation / separation device for treated water |
JP2011121033A (en) * | 2009-12-14 | 2011-06-23 |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and magnetic separation meth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JP5485750B2 (en) | 2010-03-05 | 2014-05-0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CN102603042A (en) * | 2012-03-28 | 2012-07-25 | 四川环能德美科技股份有限公司 | Magnetic separating magnetic drum |
JP5730421B2 (en) * | 2014-02-18 | 2015-06-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US10225899B2 (en) | 2015-04-14 | 2019-03-05 | Kowa Company, Ltd. | Light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
CN106241927A (en) * | 2015-09-09 | 2016-12-21 | 无锡亮慧环保机械有限公司 | The sewage treating apparatus separated with bubble auxiliary |
CN106241973A (en) * | 2015-09-09 | 2016-12-21 | 无锡亮慧环保机械有限公司 | The Magnetic Isolation processing means of sludge water |
CN105565446B (en) * | 2016-02-04 | 2018-04-13 | 青岛太平洋化工装备有限公司 | Add magnetic flocculation advanced water purifying system |
CN106186218A (en) * | 2016-08-24 | 2016-12-07 | 安徽清普环保装备有限公司 | A kind of board-like magnetic separating device |
CN106746148B (en) * | 2017-03-17 | 2023-08-01 | 成都源蓉科技有限公司 | Magnetic loading sedimentation filtration purification system |
CN110342646B (en) * | 2019-07-03 | 2024-06-11 | 王超 | Microorganism sewage treatment system and sewage treatment method |
CN114100851B (en) * | 2020-08-27 | 2023-11-14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Magnetic impurity treatment system |
CN115259534B (en) * | 2022-08-10 | 2024-02-06 | 鞍山市松楠矿用机械制造有限公司 | Water treatment method and equipment for sand aggregate prod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30107B2 (en) * | 1992-03-02 | 1999-08-03 |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 Sewage treatment equipment |
JP3241462B2 (en) * | 1992-07-10 | 2001-12-25 | 稲葉 栄子 |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ally coagulating impurities in liquid |
JPH10244424A (en) * | 1997-02-28 | 1998-09-14 | Makino Milling Mach Co Ltd | Chip separation device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
JP4139547B2 (en) * | 1999-11-02 | 2008-08-2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Membrane magnetic separator |
CN2412658Y (en) * | 2000-03-20 | 2001-01-03 | 四川冶金环能工程有限责任公司 | Rare-earth magnetic dick separation purifying apparatus |
JP3325010B2 (en) * | 2000-05-09 | 2002-09-17 | 株式会社プロジェクト・オーガン | Magnetic solid-liquid separator |
JP2002066375A (en) * | 2000-08-31 | 2002-03-05 | Hitachi Ltd | Magnetic separation device for material to be removed |
JP2002102745A (en) * | 2000-09-29 | 2002-04-09 |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 Magnetic separator |
-
2008
- 2008-01-30 JP JP2008019094A patent/JP511521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9-27 CN CN2008101689054A patent/CN10140206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9-29 KR KR1020080095411A patent/KR10154461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9-30 MX MX2010003429A patent/MX2010003429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62580A (en) * | 2022-01-08 | 2022-03-11 | 安徽普氏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 Magnetic separator applying composite scraper |
CN115557622A (en) * | 2022-08-22 | 2023-01-03 | 黄剑锋 | Intelligent adjustable sewage treatment equipment for heavy industry enterpri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101339A (en) | 2009-05-14 |
CN101402065A (en) | 2009-04-08 |
MX2010003429A (en) | 2010-06-09 |
CN101402065B (en) | 2013-06-05 |
JP5115219B2 (en) | 2013-01-09 |
KR101544614B1 (en) | 2015-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33801A (en)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 |
JP5115220B2 (en) | Magnetic separation device | |
CA2640019C (en)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 |
US4039447A (en) |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
JP5019074B2 (en) | Magnetic separation device | |
JP4648917B2 (en) | Magnetic separation filtration purification device | |
US20070039894A1 (en) | Water treatment using magnetic and other field separation technologies | |
CA2567693C (en) | Magnetic separation purifying apparatus and magnetic separation purifying method | |
US20080073278A1 (en) | Magnetic Separation and Seeding to Improve Ballasted Clarification of Water | |
US20080073280A1 (en) | Device for Removing Magnetic Floc from a Magnetic Collector in a 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728529B1 (en) | Treatment apparatus for sewage | |
CN106746148B (en) | Magnetic loading sedimentation filtration purification system | |
US20080073284A1 (en) |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magnetic seeding and separation in a water treatment system | |
US20080073283A1 (en) | Magnetic Separator for Water Treatment System | |
US20160221845A1 (en) | Magnetic ballast clarification designs and applications | |
JP2011016104A (en) | Magnetic separator | |
KR102355047B1 (en) | Scum Removal System Using Wind-type Slope Skimmer | |
JP5115221B2 (en) | Magnetic disk,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gnetic separation device | |
KR102421273B1 (en) | Sedimentation tank for increasing separation efficiency of suspended solids | |
KR101544613B1 (en)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magnetic disk and method of forming magnetic disk | |
CA2639885C (en) |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magnetic disk and method of forming magnetic disk | |
SE458827B (en) | VAETSKEFILTER | |
US20230182148A1 (en) | Magnetic link belt system for clarifying water | |
KR100303255B1 (en) | A method of and a system of treating an adulterated matter | |
JP4821085B2 (en) | Magnetic sepa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agnetic separ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