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667A -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667A
KR20090033667A KR1020070098815A KR20070098815A KR20090033667A KR 20090033667 A KR20090033667 A KR 20090033667A KR 1020070098815 A KR1020070098815 A KR 1020070098815A KR 20070098815 A KR20070098815 A KR 20070098815A KR 20090033667 A KR20090033667 A KR 2009003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ntroller
socket
application
data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3667A/ko
Priority to US12/236,648 priority patent/US8170605B2/en
Publication of KR2009003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4Buffers; Shared memory; Pi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제어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할 소켓을 오픈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오픈된 소켓을 매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한다.
듀얼 모드, 데이터 콜, 어플리케이션,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Dual mod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call}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은 모뎀 칩(제어부)을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 및 사용이 늘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두 가지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혹은 dual standby mode) 휴대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듀얼 모드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이종망이 혼재된 지역 또는 다른 사업자로의 로밍 시에 사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이다.
통상적인 한 가지 무선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지역에서만 통신이 기능하다. 하지만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과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의 경우 CDMA 서비스 지역과 GSM 서비스 지역에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높다.
이와 같은 듀얼 모드 단말기는 듀얼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CDMA 모뎀 칩과 GSM 모뎀 칩을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은 두 개의 모뎀 칩 중에서 마스터로 설정된 모뎀 칩(이하, '마스터 모뎀 칩'이라 한다)에 탑재된다. 다른 하나의 모뎀 칩은 슬레이브로 설정되며, 슬레이브 모뎀 칩이라 한다. 이와 같이 마스터 모뎀 칩에만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이유는, 마스터 모뎀 칩과 슬레이드 모뎀 칩 모두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것에 비해서 메모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양쪽에 코딩을 해야하는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듀얼 모드 단말기는 마스터 모뎀 칩을 통해서만 데이터 콜을 처리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레이브 모뎀 칩은 마스터 모뎀 칩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하지 않는다. 이유는 마스터 모뎀 칩과 슬레이브 모뎀 칩 사이에 통신방식이 다른 큰 용량의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고, 특히 마스터 모뎀 칩과 슬레이브 모뎀 칩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은 슬레이브 모뎀 칩을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제어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할 소켓을 오픈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오픈된 소켓을 매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 모뎀 칩의 어플리케이션이 소켓을 매개로 슬레이브 모뎀 칩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에 연결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은 슬레이브 모뎀 칩을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듀얼 모드 단말기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1 단말부(10)와, 제 2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2 단말부(20)를 포함하며, 제 1 단말부(10)와 제 2 단말부(10)를 매개하는 연결 메모리(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단말부(10)는 제 1 제어부(11), 제 1 카드 슬롯(13), 입력부(15), 제 1 메모리(17), 제 1 무선통신부(18) 및 표시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단말부(20)는 제 2 제어부(21), 제 2 카드 슬롯(23), 제 2 메모리(27), 제 2 무선통신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이 탑재되는 마스터 모뎀 칩으로 사용된다. 제 2 제어부(21)는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이 탑재되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는 슬레이브 모뎀 칩으로 사용된다. 제 1 제어부(11)가 마스터 모뎀 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 2 카드 슬롯(23)이 제 1 제어부(11)에 연결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 2 제어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메모리(17), 제 2 메모리(27) 및 연결 메모리(37)를 메모리부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입력부(15) 및 표시부(19)가 제 1 단말부(10)에 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입력부(15) 및 표시부(19)는 제 2 단말부(20)의 동작에 관여한다.
먼저 제 1 단말부(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제어부(11)는 제 1 단말부(10)를 포함하여 듀얼 모드 단말기(100)를 제 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 1 제어부(11)는 제 2 단말부(20)를 통한 데이터 콜 처리를 제어한다. 제 1 제어부(11)는 CDMA 모뎀 칩, GSM 모뎀 칩, WiBro(Wireless Broadband) 모뎀 칩,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모뎀 칩 중에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CDMA 모뎀 칩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 1 카드 슬롯(13)은 제 1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할 제 1 카드가 수납되는 곳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드는 CDMA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이다.
입력부(15)는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 1 제어부(11)에 전달한다. 입력부(15)를 통해 발생되는 사용자의 명령은 데이터 콜 처리 모드의 실행과,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11, 21)의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15)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메모리(17)는 제 1 단말부(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1 메모리(17)는 데이터 콜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12)과, 그 어플리케이션(12)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 1 메모리(17)는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구현할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 1 메모리(17)는 제 1 제어부(11)에 의한 데이터 콜 처리 요청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연결하는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방식의 소켓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연결하는 소켓(14)을 제 1 소켓이라 한다.
제 1 무선통신부(18)는 단말기 간의 소통을 통하여 제 1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통신부(18)는 제 1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변조하고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제 1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무선 신호에서 메시지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제 1 제어부(11)로 전송한다.
그리고 표시부(19)는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메모리부(17, 27, 37)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9)는 데이터 콜 처리 모드에서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11, 21)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19)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 단말부(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제어부(21)는 제 2 단말부(2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 2 제어부(21)는 제 1 제어부(11)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콜 처리를 제어한다. 제 2 제어부(21)는 CDMA 모뎀 칩, GSM 모뎀 칩, WiBro 모뎀 칩, HSDPA 모뎀 칩 중에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GSM 모뎀 칩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 2 카드 슬롯(23)은 제 2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할 제 2 카드가 수납되는 곳으로, 제 2 카드로 GSM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카드 슬롯(13, 23) 중에 한 곳에 카드가 삽입된 경우,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삽입된 카드에 따른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카드 슬롯(13, 23)에 모두 카드가 삽입된 경우,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제 1 또는 제 1 무선통신 모드 중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모드로 동작한다.
제 2 메모리(27)는 제 2 단말부(2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2 메모리(27)는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구현할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 2 메모리(27)는 제 2 제어부(21)에 의한 데이터 콜 처리 요청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하는 BSD 방식의 소켓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하는 소켓(24)을 제 2 소켓이라 한다.
그리고 제 2 무선통신부(28)는 단말기 간의 소통을 통하여 제 2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통신부(28)는 제 2 제어부(2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변조하고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제 2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 2 무선 신호에서 메시지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제 2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연결 메모리(37)는 제 1 제어부(11)와 제 2 제어부(21)가 동시에 접근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메모리이다. 연결 메모리(27)는 디피램(DPRAM; Dual Ported RAM)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5)를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11, 21)로 제 2 제어부(21)가 선택되면, 제 2 제어부(21)는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할 제 2 소켓(24)을 오픈하고, 오픈된 제 2 소켓(24)을 매개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1)는 연결 메모리(37)로 제 2 소켓 오픈 명령을 전송하면, 제 2 제어부(21)는 연결 메모리(37)부터 제 2 소켓 오픈 명령을 수신하여 제 2 소켓(24)을 오픈한다.
한편으로 입력부(15)를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11, 21)로 제 1 제어부(11)가 선택되면, 제 1 제어부(11)는 어플레이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연결할 제 1 소켓(14)을 오픈하고, 오픈된 제 1 소켓(14)을 매개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연결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12)이 제 1 제어부(11)에 탑재되지만, 입력부(15)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제 2 제어부(21)에서 데이터 콜을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콜 처리 방법
이이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 콜 처리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사용자의 입력부(15)를 통한 키선택에 따라 데이터 콜 처리 모드가 선택되면(S51), 제 1 제어부(11)는 데이터 콜 처리 모드를 실행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부(11, 21)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S53). 이때 제어부 선택 화면에는 제 1 및 제 2 제어부(11, 21)가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입력부(15)를 통한 키선택을 통하여 제어부 선택 화면에서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11, 21)가 선택되면(S55), 선택된 제어부(11, 21)는 어플리케이션(12)과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 26)을 연결할 소켓(14, 24)을 오픈한다(S57). 예컨대 선택된 제어부(11, 21)가 제 2 제어부(21)인 경우, 제 1 제어부(11)는 연결 메모리(37)로 제 2 소켓(24)의 오픈 명령을 전송한다. 제 2 제어부(21)는 연결 메모리(37)로부터 제 2 소켓(24)의 오픈 명령을 수신하여 제 2 소켓(24)을 오픈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제어부(11, 21)는 오픈된 소켓(14, 24)을 매개로 어플리케이션(12)과 선택된 제어부(11, 21)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 26)을 연결한다(S59).
이어서 선택된 제어부(11, 21)는 어플리케이션(12)과 연결된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 26)을 통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한다(S61). 이때 연결된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 26)이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인 경우, 제 1 제어부(11)에 어플리케이션(12)이 탑재되어 있지만 데이터 콜 처리는 제 2 제어부(21)에서 수행된 다.
여기서 S61과정의 데이터 콜 처리 과정 중 쓰기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선택된 제어부(11, 21)는 제 2 제어부(21)이다.
먼저 제 1 제어부(11)는 제 1 IP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 메모리(37)에 쓰기 명령을 전송한다(S71). 즉 제 1 제어부(11)는 제 1 IP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제어부(21)에 보낼 쓰기 명령을 조립한 후 연결 메모리(37)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1)는 쓰기 명령을 전송한 후에 제 2 제어부(21)로부터 수행 결과를 수신(S83)할 때까지 제 1 IPC 인터페이스 상에서 동작을 멈추고 기다린다(S73).
다음으로 제 2 제어부(21)는 제 2 IP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 메모리(37)로부터 제 1 제어부(11)에서 전송된 쓰기 명령(S75)을 전달받는다. 제 2 제어부(21)는 제 2 IP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쓰기 명령을 파싱하여 제 2 소켓 명령으로 연결한다(S77). 그리고 제 2 제어부(21)는 제 2 소켓 기능을 수행한다(S79). 즉 제 2 제어부(21)는 제 2 IP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쓰기 명령 메시지를 변수(parameter)별로 분리한 후, 제 2 소켓 기능을 동작시켜 변수별로 쓰기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 2 제어부(21)는 쓰기 명령의 수행 결과를 제 2 IP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 메모리(37)로 전송한다(S81).
이어서 제 1 제어부(11)는 제 1 IP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 메모리(37)로부터 쓰기 명령의 수행 결과를 전달받는다(S83). 제 1 제어부(11)는 수신한 수행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2)에서 후속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데이터 콜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으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에서 하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로 선택하는 선택 과정과;
    상기 제 2 제어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할 소켓을 오픈하는 오픈 과정과;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오픈된 소켓을 매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하는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처리 과정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제 1 IPC 인터페이스 상에서 동작을 멈추고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처리 과정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 이션에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과정은,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방식으로 상기 소켓을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과정은,
    상기 제 1 제어부는 디피램(DPRAM)으로 소켓 오픈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디피램으로부터 상기 소켓 오픈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소켓 오픈 명령에 따라 상기 소켓을 오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은,
    상기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 1 및 제 2 제어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 1 및 제 2 제어부 중에서 상기 제 2 제어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각각 CDMA 모뎀 칩, GSM 모뎀 칩, WiBro 모뎀 칩, HSDPA 모뎀 칩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8.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와;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에서 하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할 제어부로 선택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할 소켓을 오픈하고, 상기 오픈된 소켓을 매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연결하여 데이터 콜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부에서의 데이터 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 제 1 IPC 인터페이스 상에서 동작을 멈추고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부에서의 데이터 콜의 수행 결과를 수신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방식으로 상기 소켓을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디피램(DPRAM)으로 소켓 오픈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디피램으로부터 상기 소켓 오픈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소켓을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을 처리할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제 1 및 제 2 제어부 중에서 상기 제 2 제어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각각 CDMA 모뎀 칩, GSM 모뎀 칩, WiBro 모뎀 칩, HSDPA 모뎀 칩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KR1020070098815A 2007-10-01 2007-10-01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KR20090033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15A KR20090033667A (ko) 2007-10-01 2007-10-01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US12/236,648 US8170605B2 (en) 2007-10-01 2008-09-24 Dual mode mobile terminal and data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15A KR20090033667A (ko) 2007-10-01 2007-10-01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667A true KR20090033667A (ko) 2009-04-06

Family

ID=4050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815A KR20090033667A (ko) 2007-10-01 2007-10-01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0605B2 (ko)
KR (1) KR200900336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3379B (zh) * 2011-03-11 2013-12-04 华为终端有限公司 用户卡的切换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5228182B (zh) * 2014-06-09 2020-10-0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多模双卡移动终端的双卡配置方法和装置
CN105848123A (zh) * 2016-05-04 2016-08-1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双卡模式下的紧急呼叫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7729C2 (sv) * 2000-11-24 2002-07-09 Columbitech Ab Metod för att upprätthålla kommunikation mellan enheter tillhöriga skilda kommunikationsnät
US7181237B2 (en) * 2001-03-15 2007-02-20 Siemens Communications, Inc. Control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telephone via a single hardware and software man machine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70605B2 (en) 2012-05-01
US20090088200A1 (en)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712B1 (ko)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EP08988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US20070293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system cellular communications
EP1871071B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router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applying address conversion
CN106685468B (zh) 射频电路、终端及射频电路控制方法
US20240349033A1 (en) Automated Subscription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Subscription Profiles
US786519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load balancing and method thereof
JP2003152735A (ja) 無線通信装置
CN113395690B (zh) 蓝牙设备自动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00710B1 (ko) 핫스팟 접속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CN111356209B (zh) 多频WiFi热点开启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1340660A (zh) 多模移动终端以及多模切换方法
CN111918256A (zh) 一种基于蓝牙的智能设备配网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5847048B (zh) 智能设备的配置方法与装置
KR20090083103A (ko)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90033667A (ko)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콜 처리 방법
KR100722472B1 (ko)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8494578B2 (en)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20040090944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frequency in the same system
CN105682079B (zh) 用户识别卡控制方法及终端
CN110502280B (zh) 安卓操作系统的启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070217359A1 (en)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channel assignment method by the same
CN115119221A (zh) 移动接入和回传一体化网络的建立方法、装置及设备
EP1991023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device, notify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5246169A (zh) 无线连接方法、无线连接装置及无线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